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건반음악에 나타난 꾸밈음의 주법에 대한 고찰 -[2성 인벤션]을 중심으로-

        전신주 ( Shin Joo Jhon ) 한국음악학회 2010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45 No.-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건반음악에는 많은 꾸밈음들이 나온다.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바흐는 이 꾸밈음들을 음표로 표기하는 대신 여러 가지 꾸밈음의 기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꾸밈음들에 대해 음악사적인 자료가 거의 없고 또한 그 당시 꾸밈임들의 사용은 통일성이 있거나 체계화되어 있지 않았다. 오늘날 건반악기 주자들은 바흐의 건반음악을 "음악의 구약성서"처럼 간주한다. 이처럼 중요한 음악이기에 연주자들은 반드시 바흐의 음악을 다룬다. 이때에 여러 가지 기호로 쓰인 많은 꾸밈음의 주법에 대해 체계화된 지침이 거의 없어 연주자는 당황하게 된다. 실제로 바흐의 꾸밈음이 어떠한 기준이나 개념 없이 그때그때 적당히 연주되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다행히 바흐는 그의 장남의 교육용으로, 불충분하지만 단 하나 뿐인 <엑스플리카치온>이란 꾸밈임의 도표를 남겨 놓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엑스플리카치온>과 이 외에 후세 학자들이 바로크 음악을 연구한, 몇 안 되는 문헌들을 토대로 바흐의 건반음악, 특히 [2성 인벤션]에 나타나는 꾸밈음의 주법에 대해 바로크의 특성을 살린 최소한의 어떠한 가이드라인(Guide line)을 유추해보고자 이 논문의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결론(chapter Ⅵ)에 제시된 몇 가지 바로크적 특성을 지닌 바로크의 꾸밈음의 주법에 대한 해석을 유추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바흐의 꾸밈음을 올바르게 연주할 때 바흐의 음악적 영감은 더욱 더 살아나고 바흐의 의도에 더 가까이 가는 연주가 될 것이기에 그의 꾸밈음에 대한 고증적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연주자는 바흐의 꾸밈음을 대할 때 음악사적인 근거를 토대로 그 꾸밈음이 속해 있는 콘텍스트를 살펴서 바로크의 특성을 살린 정통성 있는 해석을 바탕으로 한 주법을 유추해야 할 것이다. The ornaments in the Baroque music as well as the Bach`s music were not merely decorative, they had a definite expressive function as a means of conveying affections. This study has attempted to present the most logical interpretation for the ornaments in the music of J. S. Bach who was representative composer of the Baroque era when the ornaments indicated by signs were very much used. 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ornaments occur in J. S. Bach`s the [2 Part Invention] which keyboard player must learn and study in their ealy education of keyboard music. It is often very difficult to provide a definitive interpretation on the ornaments of J. S. Bach as well as the general Baroque ornament due to the lack of evidence and systematic use of ornament signs. But there must have been a certain boundary which guided the performer in a certain style at that period. In general, the Baroque ornaments serve the melodic, rhythmic and harmonic functions respectively. In more detail they serve their functions as below. 1st Most trills normally begin on the beat and on the upper note. 2nd Appoggiaturas used to take long values rather than short. 3rd The turn performs a melodic function. 4th The mordent and short trill perform primarily rhythmic functions. From these observations, the ornaments in the Baroque period should at least retain something distinctiv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earlier and later periods. They should be expressed closely to the characteristics and styles of Baroque music as well as the Bach`s music. Today, the majority players of Bach`s music still play the appoggiaturas short and before the beat, and habitually begin trills on the main notes. Such a way of execution would damage the composer`s intention and the inspiration of his music as well as the Baroque characteristics. Therefore, a performer who plays Bach`s music must analyse the context to which the ornaments belong, and deduce the most convincing interpretation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Bach`s ornament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 KCI등재

        근대를 위한 몸짓: 바로크 시대의 춤과 음악

        정경영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0 音樂論壇 Vol.24 No.-

        바로크시기를 통하여 ‘춤음악’은 춤‘음악’으로 변한다. 이러한 변화는 이 시기에 일어난 서구의 근대화 과정을 반영한다. 바로크 시대의 춤은 17세기에 생겨난 정교한 무보법의 개발에 힘입어 안무가의 의도를 반영하는 복잡한 춤으로 변한다. 보다 복잡한 이 시기의 춤은, 당대의 기본 교양을 넘어서 인식의 틀로 작용한 수사학의 영향을 받아 드라마를 가진 것으로 변한다. 18세기 초 중반의 춤‘음악’은 수사학과 춤의 영향을 받고 춤의 기본적인 의미소를 수사학적창안법으로 삼아 춤 없이도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자율적인 음악의 단초를 이룬다. The ‘dance music’ became the dance ‘music’ through the Baroque era. This change reflects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the field of music. Dances in Baroque era developed and get more complicated with the invention of the sophisticated system of choreography. In this process, the rhetoric or the rhetorical thinking also helped to formulate a new, dramatic dance. The stylized dance of the mid-18th century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dance and rhetorical thinking of the time. It laid foundation for music to be an autonomous, that is ‘modern’ art.

      • 휴고 디슬러(Hugo Distler, 1908-1942)의 코랄 모음곡 Op. 8-3: 모음곡의 배경과 특징, 디슬러 음악의 역사적 위치

        소정화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4 음악예술연구 Vol.4 No.2

        20세기에 짧은 생을 살다간 휴고 디슬러(Hugo Distler, 1908-1942)의 코랄 모음곡 Op. 8-3을 통하여 모음곡의 배경과 용도, 그리고 그의 음악 적 경향을 살펴봄으로서, 작곡자와 그의 음악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사상적으로는 루터교의 음악적 상징주의를 기반으로, 바로크 이전시 대의 음악적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그의 음악적 언어는 현대적이며 독창 적이다. 그가 사용한 음악적 형식은 주로 르네상스와 초기 바로크에서 보 이는 파르티타, 비치니움, 리체르카, 그리고 전원곡(pastoral)과 같은 형식 을 취하고 있고, 음악적 구조 역시 독립된 선율들의 대위적 짜임새와 더불 어, 디슬러의 독창적인 음악적 언어를 보이고 있다. 즉, 미분화된 리듬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오르간의 음색을 독특하게 사용하며, 정선율에서 새 소리를 모방하는 선율, 리듬적 특징을 보인다. 루터교 음악가로서 중요하게 간주되었던 요소는 음악적 상징주의인데, 이는 가사의 의미를 음형, 선율, 리듬 등의 음악적 요소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디슬러는 쉼 표, 넓은 도약에 의한 특징적인 음형, 오르간의 음색 등을 통해 이러한 가 사에 대한 음악적 상징을 표현했다. 이러한 그의 음악은 철저히 루터교의 음악적 사상에 입각하여 작곡됨으로서 초기 바로크 작곡가 사무엘 샤이트의 음악적 이상을 추구하고 있다. 코랄 모음곡을 통하여 살펴본 디슬러의 음악적 특징 및 역사적 성취는 세 가지로 요약 될 수 있다. 첫 번째는 르네상스 음향의 구현, 두 번째는 전통적 형식에 덧입혀진 개인적 음악언어에 의한 독창성, 세 번째는 샤이트의 음악적 이상을 추구함으로서 이룩한교회음악의 개혁이 바로 그것이다. 본 논문은 디슬러의 짧은 코랄 모음곡을 통하여, 그의 음악뿐만 아니라 작품의 배경 그리고 작곡자 자신의 음악세계를 논의함으로서 잘 알려지지 않고, 자료가 부족한 디슬러와 그의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20th century, German organist, Hugo Distler(1908- 1942)'s music is known of Neo-Baroquecism in that his musical derived from the Renaissance and early Baroque periods', which are partita, ricercar, bicinium, and pastorale. In this, his musical language is modern and personal. His melody imitate often bird song by dividing rhythm into small note-value and decoration. His music, like other Lutheran musician‘s in Germany, is based on Lutheran philosophy that music should be a instrument for delivering theology. Based on this idea, Distler suggested his unique musical-language with the traditional musical form. Through these musical features, it could be said for his contribution to the musical history that Distler realized Renaissance-sound through organ, and achieved the musical uniqueness by his musical language in the history of church music.

      • KCI등재

        음악교수법연구 : 록버그의 <나흐 바하>와 <파르티타 변주곡> 연구: 바로크 어법의 차용과 재창조

        최재원 ( Jaiwon Choi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5 음악교수법연구 Vol.16 No.-

        본 논문은 20세기 후반에 록버그(G. Rochberg)가 작곡한 피아노 음악에서 나타나는 전통적인 어법의 수용과 이를 재창조하는 전개 방식에 대하여 바로크 어법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록버그는 1960년대에 직접 인용을 통해서 다원주의와 함께 조성으로 회귀하는 경향을 선두 하였다. 록버그의 음악적인 특징을 알아보고 이전 시대의 음악적 스타일을 따르는데 쓰인 음악적 차용(Borrowing)의 구체적인 예를 증명하기 위해 록버그의 대표적인 작품 <나흐 바하>와 <파르티타 변주곡>을 선곡하였다. 두 작품을 통해서 현대 음악의 바탕 위에 전통적인 음악어법을 기반으로 새롭게 재구성하고 재창조한 방식을 연구하였다. <나흐 바하>는 바하 <파르트타 제6번>을 토대로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파르티타 변주곡>은 <나흐 바하>의 일부를 인용한 곡을 포함하고 넓은 의미의 음악적 차용 통해서 다양한 스타일을 융합한 작품이다. 본 연구는 <파르티타 변주곡> 중 프렐류드, 캐논, 푸가의 악곡을 중심으로 바로크적인 어법을 수용하여 발전시킨 측면을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서 다른 피아노 문헌과 비교하면서 다방면으로 모색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작품의 특징을 이해하여 연주하고,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기여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wo piano works by American neo-romantic composer, George Rochberg. Rochberg established and developed the new way of compositions which were based on traditional idiom. He reworked earlier music and recreated it through various borrowing techniques such as quotation and musical borrowing. Discussions follow as to how Rochberg reinterpreted the previous style and achieved his own style. Rochberg``s piano pieces, Nach Bach and Partita Variations are commonly rooted in Baroque musical idiom. Main chapter examines the works comparing the previous piano literature and focuses on how Baroque ideas are transformed into a new creation.

      • KCI등재

        피아노 교수에 있어 바로크 건반음악의 다이내믹 해석에 대한 고찰

        이주혜 ( Lee Joo-hye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7 음악교수법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강약의 조절이 어려운 하프시코드나 오르간을 위해 작곡된 바로크 시대의 건반악기 음악을 다이내믹의 조절이 자유로운 피아노에서 교육할 때, 다이내믹 표현을 지도하기 위한 해석의 방법을 여러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다. 바로크 시대의 건반악기 음악은 악기적 특성 때문에 악보에 다이내믹의 지시가 드물다. 그러나 이 작품들을 다이내믹 표현력이 뛰어난 피아노로 연주할 경우에는 음악적 문맥, 화성, 구조, 드물지만 다이내믹 기호에 따라 시대적 연주관습에 적절하게 다이내믹을 해석할 수 있다. 수직, 수평적인 음의 밀도, 화음의 불협화성은 음량의 크기에 비례하며, 빠른 악곡은 크게, 느린 악곡은 작게 연주하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 방법이다. 같은 단락이 반복될 경우에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한번은 크게, 반복은 작게 등으로 다양성과 대조를 보여주며, 선율의 외곽선에 따라 상행은 크레센도, 하행은 데크레센도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강박, 당김음, 주음 등으로 강세가 있는 음을 향해 진행감을 살리면 자연스러운 점진적인 다이내믹의 변화를 표현할 수 있다. 악보에 기보되어있는 다이내믹 기호는 단순히 음량만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악곡의 구조, 연주 방식, 연주 형태를 나타내는 의미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다이내믹을 해석하면 작곡가의 의도에 보다 적합한 방식으로 바로크 건반음악을 피아노에서 연주하도록 지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J. S. 바흐의 <평균율> 제1권 B-flat major 프렐류드에 적용하여 다이내믹 해석의 예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ore appropriate dynamic interpretation to piano teachers through investigating literatures. Baroque music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in the piano pedagogy curriculum. However, dynamic signs are few in Baroque keyboard compositions because they are composed for harpsichord or organ, which has limited dynamic expressions by not being able to control the volume by touch of fingers. When teaching the Baroque pieces at a modern piano that has much greater dynamic express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dynamic with other musical elements such as musical texture, harmony, structure, and some written dynamic signs in the boundary of the Baroque performance practice. Vertical and lateral density of notes and the degree of dissonance are related to the volume. Allegro movement is played as forte and slow lyrical sections as piano in general. When a passage is repeated, the performer should show diversity and contrast between the passages to avoid monotony of expression by playing first as forte and the repeat as piano, and vice versa. According to the contour, rising melodies tend to a crescendo and falling ones to a decrescendo. Strong beats, emphasized syncopations, and main notes against ornamental notes would be the destination of forward motion creating natural gradation of dynamics. Written dynamics indicate not only volume but also the structure, technique, and implied orchestral expression. A piano teacher would approach to and suggest the more appropriate dynamic interpretation by considering those elements.

      • KCI등재

        요한 쿠나우 <성서소나타> 중 제 1번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에서 나타난 이야기와 음악과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음악적인 해석 방안 모색

        원소연 ( Won Soyoun ),유승지 ( Ryu Seungji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7 음악교수법연구 Vol.18 No.2

        요한 쿠나우의 <성서소나타>는 표제 뿐 아니라 그가 직접 쓴 서문, 그리고 묘사적 설명을 수록한 작품으로 건반음악 문헌에서 표제음악을 논할 때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작품이다. 본 연구는 <성서소나타>의 기초가 되는 성서의 이야기와 음악과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작곡가가 어떤 작곡기법을 사용해서 이야기를 더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는지를 발견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상력을 가지고 연주 할 수 있는 음악 해석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악보 상에서는 음악적 정보가 제한적으로 나타나지만 등장인물의 심리상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음악적 요소를 배합하여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묘사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또한 이야기의 전개에 따른 특징적 리듬 모티브, 박자의 구별된 사용도 드러났다. 그 외 템포, 다이내믹, 아티큘레이션, 프레이즈, 꾸밈음, 음역, 음정, 화성, 조성, 그리고 양식의 사용에 있어서도 감정과 분위기에 따른 대조적인 표현이 발견되었다. 악곡 분석, 5종류의 에디션 분석, 7명의 연주 분석을 통해 다각도로 살펴본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해석,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표제음악 작곡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Biblical Sonatas of J. Kuhnau(1660-1722) are important pieces of work that cannot be overlooked when discussing program music-especially in keyboard music literature. The reasons for this are because The Biblical Sonatas includes the title of each song and explanatory rubric as well as the introduction written by Kuhna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 composition technique to express the story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ory of the Bible and the music, as well as to find a way of interpreting music that can be played expressively with imagin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while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in the score, the story is effectively described by applying unified musical element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condition of the character and situation. The characteristic rhythm motives and meters are also distinctively used as the story is developed. Moreover, contrasting expressions are found in accordance with emotion and atmosphere when using the tempo, dynamics, articulation, phrase, ornamentation, register, interval, harmony, tonality, and style. The information found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five editions and recordings by seven perform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 and music, will provide ideas for both musical interpretation and composing program music.

      • KCI등재

        영화음악의 내러티브 역할 분석

        박지혜(Park, Jee Hye),이주은(Lee, Joo Eu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6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7

        이 논문은 각색 과정을 거친 영화를 음악의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다. 원작소설이 존재하는 영화는 각색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영화적 설치들을 통해 창작자의 의도가 표출되며, 감독의 철학이 들어간 완전히 새로운 작품으로 재탄생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각색은 단순히 소설의 영상화 작업이라는 1차원적 차원을 뛰어넘어 무한한 재해석의 가능성을 지닌 창작품으로 거듭난다. <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는 프랑스의 소설 『위험한 관계』의 무대를 조선시대로 옮겨 온 한국영화이다. 이 영화에서 음악은 영화의 주변부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파편화된 미장센들과 이를 구성하고 있는 기호들을 연결시키고 생명감을 불어 넣어주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특히 원작과 거리를 유지하면서 각색 작의 독창적 연출법을 탄생시키는데 음악이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스캔들>의 OST는 분석결과 24개의 트랙 중에 18곡이 서양 악기로 연주되며, 연출자가 의도적으로 바로크 형식으로 제작한 점을 알 수 있다. 재해석의 과정에서 원작의 색을 청각적으로 남겨두도록 의도한 것이다. 영화음악을 통해 수용자들은 조선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를 감상함과 동시에 서양 원작의 내러티브도 함께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이것이 각색이라는 재해석 과정이 지닌 묘미이며, 이 과정에 음악이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for a film which went through an adaptation process. Films adapted from original novels expose creators’ intentions through various installations in the films during the process of adaptation and they are reborn as completely new works which embrace the directors’ philosophies. In this sense, beyond simple on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novels, adaptation produces creations with infinite possibilities of reinterpretations. ‘Untold Scandal’ is a Korean film which brought the French novel ‘Les Liaisons Dangereuses’ onto the stage of the Chosun dynasty. In this film, music does not take a periphery role in the film but plays an important role of connecting the fragmented mi-en-scene with the symbols constituting them and invigorates them. Especially, music plays the core role in creating a unique and original method of directing the adapted work while maintaining distance from the original novel. As the result of analysis, ‘Untold Scandal’ plays 18 pieces in Western musical instrumentation among 24 original sound tracks, which are played in Baroque style, as by the director’s intention, to maintain the color of the original work, in an auditory fashion, in the process of reinterpretation. Through film music, the audience can appreciate the film which has the setting of the Chosun dynasty and at the same time, absorb the narrative of the Western original narrative source. This is the charm of the reinterpretation process called adaptation, and music plays a vital role in this process.

      • KCI등재

        바로크 독일 정원에서 생성된 음악문화

        조연숙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音樂論壇 Vol.49 No.-

        프랑스 왕실과 하노버 궁정과의 정략결혼으로 인한 친분으로 바로크 독일 정원의 대표성을 띤 헤렌하우젠 정원은 화려한 베르사유 궁정의 정형화된 정원을 모델로 탄생하고 이에 따른 정원의 음악문화도 수용한다. 하지만 동시에 이탈리아의 시문학과 오페라도 독일 정원은 받아들이면서 양국 정원의 음악문화를 독일 정원에 적합한 음악문화로 생성시키고 노천극장과 정자를 건립해 바로크 독일 정원의 특별함을 보여준다. 이를 기반으로 독일 내에 계속 바로크 정원들이 들어선다. 그리고 정원 무대에 오페라가 상연되는 궁정 연회는 정치적 서열이 높은 귀족들의 정치적 관계를 아주 밀접하게 만들어주는 고급 정원 문화행사이다. 따라서 오페라는 귀족들의 출생과 생일, 결혼식, 대관식, 군사적 승리 등을 기념하기 위한 일련의 정원축제에 활용되면서 내빈과 외빈에게 최고의 정치적 그리고 사교적 효과를 가져다주는 ‘사회적 매개물’로 ‘문화적 자본’을 축적하게 한다. 동시에 귀족들이 교양으로 배워야 할 문학, 연극 그리고 음악이 녹아 있는 오페라 장르는 그들 간의 고급대화를 유도하게 하며 친목을 다지게 하여 결국 사회적 관계망을 넓히는 수단으로 정원에서 생성된 음악문화의 또 다른 사회적 의미를 낳는다.

      • KCI등재

        라모 모음곡의 융합적 청취 : 바로크 음악의 과학적 패러다임

        황순도(Soondo Hw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이 연구는 근대 과학혁명기 과학사적 배경을 바로크음악에 적용하여 작품 감상 및 해석의 패러다임을 넓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라모의 화성론과 작곡 실제에 당대 과학혁명기의 사고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음악과 과학 분야와의 협력 양상, 과학적 사고와 음악 언어의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라모는 자연적 음향 원리로부터 화음이 생성됨을 설명함으로써 화성이 음악의 근본임을 전제하였다. 또한 음을 물질로, 진행을 운동으로 환원하여 불협화음의 충돌을 은유적으로 설명함으로써 리듬과 화성에서의 운동성을 강조했다. 이어서 음악 진행의 종결을 인지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중력에 비견되는 기초저음이라는 원리를 창안하였다. 이는 외적 음향뿐만 아니라 가상의 음까지 듣기 위한 관계의 청취를 의미하는 개념이기도 하다. 또한 라모의 작품에 나타나는 혁신적 화성은 작곡 과정을 과학에서의 실험과 경험으로 여기고 자연적 음향과 힘의 원리를 음악의 진행에 반영함으로써 실현되었다.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paradigm of appreciation and interpretation of Baroque works by applying the scientific thought that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to Baroque music. Further, it examines the aspects of collaboration of music and sci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thought and Rameau s music language to clarify how Rameau s theory of harmony and practice of composition reflected the scientific thought of the time. He explained that harmony is governed by natural sound principles and it is presupposed that harmony is the basis of music. Further, he emphasized the impact of motility by metaphorically describing the collision of dissonance by reducing sound to matter and progression to motion. Subsequently, he invented the fundamental bass, which is comparable to gravity, to explain the principle of perceiving the closure of musical progression. Further, it is a concept that is applicable to the listening of both external and virtual sounds. In addition, the innovative harmony of Rameau s works was realized by considering the composition process as a scientific experiment and experience and by reflecting the principles of natural sound and force to the musical progression.

      • KCI등재

        영화 속 바로크 음악의 서사적 기능 연구

        안준희(Jun-Hee Ahn),전윤한(Yoon-Han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근대 음악이 탄생하고 성장했던 바로크 시대의 음악은 영화를 위해 작곡된 음악은 아니지만 영화에 다양한 형태로 삽입되어 영화 전체의 분위기와 서사를 이끌어가고 등장인물의 감정과 내면세계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기능적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 〈친절한 금자씨〉에 사용된 테마곡인 비발디(A. Vivaldi)의 Cantata Rv.684를 포함한 5곡의 바로크 작품을 조성, 템포, 다이내믹, 음형, 음정, 화성, 리듬, 악기 편성, 장르 등의 다양한 관점을 통해 분석한 후 바로크 음악이 영화 속에서 어떠한 서사적 기능과 역할을 가지는지에 대해서 연구해 보고자 한다. Baroque music was the birth and growth era of modern music, but it was not composed for movies. Baroque music, however, is a fea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movies in many different forms, leading to the overall mood and narrative, and the ability to express the characters` feeling and inner word. Therefore, in this study, five Baroque music works, including the main theme song `Vivaldi Cantata RV.684` in the movie 〈Sympathy for Lady Vengeance〉, are produced, and analyzed through tonal, tempo, dynamics, musical notes, tones, rhythms, musical instrument, and genre. Through analysis, we will study what epic functions and roles Baroque music plays in mov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