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거지의 보행친화적 근린환경 요소 특성에 관한 연구

        백수진(Baek, Su-Jin),유석연(Yoo, Suk-Ye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6

        본 연구는 ‘생태교통 수원 2013’사업이 이루어진 수원시 팔달구 행궁동을 대상으로 주거지의 보행친화적 근린환경 요소-물리적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의 특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보행환경에 미치는 요소에 대한 지표를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 연속성, 접근성, 장소성으로 설정하고 이를 물리적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거지에서의 보행친화적 근린환경의 물리적 요소에 대한 계획은 주로 상업이 인접한 주요 도로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행친화적 근린환경의 비물리적 요소에 대한 계획은 상업에 인접한 도로와 주거지에 인접한 도로에 구분 없이 요소의 성격에 따라 장소를 달리하여 사업 대상지 전반에 걸쳐 이루어졌다. 물리적 요소에 대하여는 계획을 통해 변화된 환경에 만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비물리적 요소에 대하여는 사업시행 전보다 사업시행 후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업기간 중 거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원해 주었던 비물리적 계획들이 사업시행 이후 지속되지 못하여 사업시행 전에는 느끼지 못한 불편함을 사업시행후 오히려 느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사점으로 주거지의 보행친화적 근린환경을 위해서는 물리적 요소와 더불어 비물리적 요소에 대한 계획이 함께 수립되어야 하며, 비물리적 계획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deriv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 physical and non-physical factors - implemented in ‘Ecomobility World Festival 2013 Suwon’ in Haenggung-dong. The indices, which are derived from th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factors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s, are categorized into physical and non-physical factors, and further characterized into safety, comfort, convenience, connectedness, accessibility and locality. The analysis concludes that physical factors on pedestrian-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 are carried out mainly in the streets nearby commercial areas, whereas the non-physical factors are implemented in the streets throughout the targeted district. The residents in the targeted district shows satisfactions with each index on physical factors, but not with the non-physical factors. The main reason for the dissatisfaction is that the non-physical factors provided during the project were halted after the project. Sudden suspension resulted in a relative dissatisfaction to the residents who enjoyed the non-physical factors during the project. For pedestrian-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 both non-physical and physical factors need to be established in the project plan.

      • KCI등재

        분양ㆍ임대 혼합단지의 사회적 교류에 관한 연구

        김지환(Kim, Ji-Hwan),박청호(Park, Cheong-Ho),구자훈(Koo, Ja-Ho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7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분양ㆍ임대 혼합단지 내 물리적인 커뮤니티 시설과 비 물리적인 교류활동 중 거주민의 사회적 교류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는 선정된 대상지 내 설치되어 있는 부대복리시설을 지원공간, 복지공간, 휴식공간, 놀이ㆍ운동공간의 물리적 요소로 재분류 했으며, 비 물리적 요소는 실행중인 주민프로그램과 문화ㆍ교류활동으로 분류했다. 종속변수는 문헌조사와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거쳐 교제수준, 참여도, 사회적 지지로 도출하고 각각에 대해 재정의 하였다. PLS-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분석 결과, 물리적 요인과 비물리적 요인 모두 사회적 교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상대적으로 비 물리적 요인이 더 긍정적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자발적인 문화ㆍ교류활동과 이를 지원하는 복지공간은 교제수준, 참여도, 사회적 지지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약간의 통제성을 띠는 주민프로그램은 참여도와 사회적 지지에만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었다. 위의 결과를 근거로, 단지 내 물리적 커뮤니티 공간이 사회적 교류를 위한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법적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거주민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실용적 공간으로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physical factors such as community facilities and non-physical factors such as interaction activities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residents in the mixed sales and lease hous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ategorized into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 support space, welfare space, resting space, and play space. Dependent variables were derived from literature survey and brainstorming process, level of fellowship,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and redefined each. Analysis results using PLS-structural equation model, both physical factors and non-physical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xchanges. But relatively non-physical factors were perceived as more positive factors. The voluntary culture and exchange activities and the welfare spaces that support them both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fellowship,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and the residents" program with a little control was only positive for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is paper argues that the physical community space in the housing district to function as a space for social interaction, should be created as a practical spac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residents.

      • KCI등재

        使役文が表現する因果関係について ─ 非情物主語の使役文を中心に ─

        崔瑞暎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일본학연구 Vol.40 No.-

        사역문이 표현하는 인과관계에 대하여 -비정물주어 사역문을 중심으로- 종래의 사역문의 선행연구는, 연구대상이 사람주어 사역문에 편중되어, 비정물주어 사역문에 대해서는 주어가 결과사태에 대하여 (사역주체가 아닌)원인의 의미를 나타낸다는 지적에 그치고 있었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하고자, 본고에서는 비정물주어 사역문이 표현하는 인과관계의 특징과 원리에 대하여 구체예에 근거하여 상세히 고찰하였다. 먼저, 인과관계는 물리적인 인과관계와 인식적인 인과관계로 나눌 수 있었는데, 비정물주어 사역문이 표현하는 결과사태와 대응시켜 보면, 물리적인 인과관계는 사람의 생리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타입에, 인식적인 인과관계는 기본적으로 사람의 심리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타입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사역문이 표현하는 물리적인 인과관계와 인식적인 인과관계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첫째, 물리적인 인과관계에서는 원인과 결과가 시공간적으로 인접해 있는데 반해, 인식적인 인과관계에서는 시공간적 인접성이 필수적이 아니라는 점. 둘째, 물리적인 인과관계에서 원인으로 작용하는 주어의 성질은 물리적 성질에 한정되어 있었지만 인식적인 인과관계에서 원인으로 작용하는 주어의 성질은 물리적인 성질도 비물리적인 성질도 관찰된다는 점. 셋째, 물리적인 인과관계와는 달리, 인식적인 인과관계에서는 원인과 결과의 인과적인 결합성이 강한 경우도 상대적으로 약한 경우도 보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출현 빈도면에서 보면, 물리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타입은 67예에 그치는데 비해, 인식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타입은 1298예나 관찰되었다. 인식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예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세가지 차이점을 중심으로, 인식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타입이 보다 다양하고 광범위한 관계를 커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비정물주어 사역문에서는 비정물이 사람의 변화를 일으키는 타입이 중심이었으나, 드물게 변화가 아닌 사람의 동작을 일으키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동작은 계획적인 동작이라기 보다는 무의지적인 동작 또는 제어하기 힘든 어떠한 심리에 이끌려 행하게 되는 동작으로서 각각 사람의 생리적인 변화, 심리적인 변화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about causality that causative senctence represent -Focused on inanimate subject sentences- In previous studies about causative sentences, reserch topic is given too much importance about animate subject sentences not inanimate subject sentences. To complement this point, this study reserched about features and priciple of causative sentences with inanimate subject. First of all, the causality inanimate causative sentences represent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the physical causality type and the other is cognitive causality type. The former is corresponded to the physiological change type and, the latter is corresponded to the psychological change type. It is pointed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ces of physical causality type and cognitive causality type. First, though physical causality type has time and space adjacency, cognitive causality type has not. Second, though in physical causality type the feature of cause is limited to physical, in cognitive causal type the feature of cause is not limited to psychological. Third, unlike physical causality type, it is seen varieties of causal cohesion power in cognitive causal type. In the viewpoint of occurrence frequency, physical causal type is accounted 67 and cognitive causal type is accounted 1298. The reason physical causal type is accounted for the majority is explained by three differences aforementioned. And there are rare cases that cause human′s behavior not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change. But as they are unconditional behavior or involuntary behavior, we can say they have related to pysiological change type and psychological change type.

      • KCI등재

        전시회물리적환경이 참관객몰입,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이엔 동북아관광학회 2019 동북아관광연구 Vol.15 No.3

        As exhibition increases steadily the number of visitors, exhibition is expected to increase every year due to the size of the market and frequency of the event, and the importance of the exhibition is increasing due to active purchasing or information-gathering activities of the visitors.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exhibition can be seen as critical to the immersion of visitors into a planned space where service companies have stimulated or interacted with consumers, and the study in which the commitment affects satisfaction and behavio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exhibition physical environment, i.e. attractiveness, accessibility, convenience, cleanliness, and human service,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dience's commitment and satisfaction behavior, and to discover the factors of exhibition physical environment that can affect the viewer's commitment, satisfaction, and behavior in future exhib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importa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exhibition (2019 Seoul Coffee Exp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exhibition by manipulating existing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into variables, and to reveal how thes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the attitudes of observers: visitor commitment, satisfaction, and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ttendees of the "2019 Coffee Seoul Expo" and the final analysis was made of 337. The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hypothesis verification showe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exhibition affected the inflow of visitors, and that the commitment affected the satisfaction and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exhibition can affect the inflow of visitors and serve as an effective marketing role to differentiate from other exhibitions. 전시회가 국내외적으로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시장 규모, 개최 빈도 등으로 전시회에방문하는 참관객의 수는 해마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아울러 참관객의 적극적인 구매활동이나 정보획득 활동으로 전시회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전시회의 물리적환경은 서비스 기업이 소비자들의 행동을 자극하거나 상호작용을 일으키도록 만들어 낸계획적인 공간으로 참관객몰입에, 그 몰입이 만족과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시회물리적환경 즉 매력성, 접근성, 편리성, 청결성, 인적서비스가 참관객의 몰입, 만족 행동의도간의 영향관계를 조사분석하여 향후 전시회에서 참관객의 몰입, 만족,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리적환경 속성을 가진 전시환경의 요인을 발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전시회(2019 서울커피엑스포)의 물리적환경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기존 물리적환경요인들을변수로 조작하여 전시회에서의 물리적환경요인을 밝히고 이러한 물리적환경 요인이 참관객의 태도 즉 참관객몰입, 만족,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밝히는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는‘2019년 커피서울엑스포’참관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337부를 최종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결과, 전시회물리적환경을 참관객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관객의 몰입은 만족과 행동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시회물리적환경은 참관객몰입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다른 전시회와는 차별화 할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게스트하우스 물리적환경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객가치의 조절효과

        강혜숙(Kang, Hyesook),문정인(Moon, Jungin)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5

        본 연구는 강릉지역 게스트하우스 물리적환경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게스트하우스 물리적환경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고객 가치가 조절효과가 유효한지를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설문지 조사기간은 2018년 3 월 25일부터 6월 25일까지(약 3달)간에 걸쳐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에서 회수한 설문지 257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스트하우스 물리적환경 3 개 요인(물리적환경, 편의성 및 청결성, 주변환경특성) 중에서 물리적환경 요인과 편의성 및청결성 요인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게스트하우스 물리 적환경요인과 편의성 및 청결성 요인이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하지만 주변환경특성 요인은 재방문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게스트하우스 물리적환경 요인과 고객만족의 영향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 고객가치는 통계적 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게스트하우스 물리적환경 요인과 재방문의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 고객가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guesthouses in Gangneung regions, and so present whether the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value is effective in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guesthouses. The period of questionnaire survey in this study was from March 25 to June 25, 2018(about three months), during which its questionnaires had been distributed. Of them, this study collected 257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hich were used for its empir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3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in guesthouses, physical environment factor, convenience factor, and cleanliness factor had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physical environment factor, convenience factor, and cleanliness factor in guesthous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visit intention. However, ambi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 factor had negative effects on revisit intention. Third, customer value as a moderating variab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guesthouses. Fourth, customer value as a moderating variab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revisit intention in guesthouses.

      • KCI등재후보

        커피전문점의 물리적 환경이 브랜드충성도와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권금택 동북아관광학회 2015 동북아관광연구 Vol.11 No.2

        최근 급속한 외형적 성장추세를 보여 온 커피전문점들은 보다 나은 이익창출과 발 전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의 한 측면인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물리적 환경이 브랜드 충성 도와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효과적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전 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환경과 브랜드 충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물리적 환경요인인 종업원 서비스, 매력적인 시설, 청결성, 접근성, 편의성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외관과 인테리어가 매력적인 곳에서 좋은 인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곳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물리적 환경과 고객행동의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물리적환경과 브랜드 충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다. 종업원 서비스와 매력적인 시설 이 고객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이유는 고객이 커피전문점을 방문했 을 때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것이 종업원의 복장 및 외모, 시설, 분위기 등 외형적으 로 보여 지는 모습들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요소는 고객이 제공받기를 원하는 서비스의 기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브랜드 충성도와 고객행동의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 충성도는 고객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들의 긍정적인 행동의 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들에게 수준 높은 종업원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것은 물론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데 편리하고 고객들이 원하는 매력적인 시설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노력을 해야 한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how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offee shop has an influence on brand loyalty and customers’ behavior intention and how brand loyalty influences customers’ behavior intention.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by carrying out a survey. The survey was to target the 297 of general public who reside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offee shop on brand loyalty and customers’ behavior inten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classified physical environment as convenience, cleanliness, accessibility, services of employees and a attractive physical evidence. Eventually, physical environment significantly effects brand loyalty and customers’ behavior intention, moderating effects, brand loyalty and marketing performance. Second, well arranged flow of customers, attractive physical evidence and services of employees can make customers be pleased and revisit coffee shop. We also need to recognize that coffee shops are not only for meeting and having a meal but also for experiencing various emotions, feelings and taking a break. Third, this study considers that efficiently coping with physical environment in coffee shop will lead to brand loyalty and customers’ behavior intention.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seen to have important implications based on practical evidence. In the result, we can find that the importance of employees service and a attractive physical evidence in moderating effects.

      • KCI등재

        퇴적물 입자의 점하중강도지수와 마식율의 관계에 대한 연구

        김종연(Jongyeon Kim)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6

        하천 퇴적물질의 마식은 하상과의 충돌과 퇴적물질 입자간의 충돌에 의하여 발생한다. 하천 퇴적물질의 물리적 강도는 마식에 대한 저항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질의 마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퇴적물질의 물리적강도, 퇴적물질의 크기, 퇴적물질의 양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마식기를 이용한 물리적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퇴적물질의 물리적 강도가 마식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강조점을 두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266개의 퇴적물을 이용했으며, 퇴적물질의 양과 퇴적물질의 평균 무게에 따라 11개의 소집단으로 나눠 실험하였다. 각 실험은 1시간 단위로 이루어 졌으며 퇴적물질은 최장 8시간 동안 마식되었다. 마식율은 각 실험단계마다 퇴적물질 입자 무게의 변동으로 측정하였으며, 총 2,128번의 측정이 이루어졌다. 퇴적물질의 물리적 강도는 시험이 종료한 뒤에 파괴하중을 측정하여 계산한 점하중강도지수를 통해 측정하였다. 퇴적물질의 점하중강도지수는 마식율과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변수들 간의 회귀식의 설명율(R²)은 0.22로 나타났다. 퇴적물질의 전반적인 마식은 실험 초기에는 빠르게 진행되지만, 풍화각이 제거된 뒤에는 마식율이 급감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풍화각을 제거하는 초기 단계에는 퇴적물질의 물리적 강도와 마식율의 관계가 미약하지만 이후로 점점 설명율이 상승한다. 이 실험 결과에 의하면 퇴적물질의 물리적 강도는 마식율의 결정적인 설명변수가 아닐 수 있으며, 물리적 속성 이외에도 퇴적물질의 운반조건 등이 마식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Sediment abrasion in rivers is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bedrock channel bed and sediment particles transported through the river. Abrasion rate of sediment particles in rivers is controlled by two major factors; Sediment transport conditions including hydraulic conditions form the erosive forces and physical and chemical strengths of the particles form a resistance force against abrasion and other erosional processes. Physic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find the role of each variable on sediment abrasion process. Total 266 sediment particle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All sediment particles were divided into 11 independent sediment groups with sediment particle size and sediment loads. Each sediment groups were abraded in tumbling mill for up to 8 hours. Changes in weight were recorded by run and total: 2,128 cases of abrasion rate were recoded. Physical strength of rock particles was measured with point load strength index. It is found that sediment abrasion rate has a negative functional relationship point load strength index (Ia(50)). (R²=0.22). It was suggested that physical strength of sediment particles set the “maximum possible abrasion rate’. As sediment flux increases, abrasion rates of sediment particles with similar point load strength index were changed. It could be concluded that not onl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articles, but also sediment transport conditions control sediment abrasion rates.

      • KCI등재

        전자상거래에서의 ‘지식이 강화된 물리적상품’의 어포던스에 관한 연구

        김원용(Won Yong Kim),강윤화(Yoon Hwa Ka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4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 No.13

        온라인에 기반한 전자상거래 거래방식은 무엇보다 소비자에게 상품을 최적의 방법으로 제 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전통적상거래와 같이 소비자가 직접 상품을 만져 보거나 경험해 볼 수 없는 지식이 강화된 물리적상품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물리적상품과는 다른 특성을 지닌 이러한 상품들은 차별화된 방법으로 소비자들에게 접근해야 한다. 이러한 개념의 핵심이 바로 ‘어포던스’ 이다. 어포던스란, 구매과정에서 상품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감각적 정보를 말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의 지식이 강화된 물리적상품 어포던스가 어떤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프로토콜 분석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지식이 강화된 상품의 어포던스(affordance)는 크게 5 가지 차원(제품속성 차원, 제3자 증언차원, 정보탐색 차원, 후광차원, 관여도 차원)이 제시되었다. 이 중 제품속성과 정보탐색, 관여도 차원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어포던스 차원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새로운 차원으로는 제3자증언과 후광차원을 들 수 있다. 전자는 소비자가 제품정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판매자의 추천이나 이미 제품을 사용해 본 다른 사람들에 의한 평가정보를 말하며, 후자는 어떤 대상의 한두 가지 특성에 대해 좋은 인상을 받으면 다른 특성에 대해서도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두 가지 차원 도출은 전자상거래에서의 물리적상품과는 달리 지식이 강화된 물리적 상품의 경우 제3자증언과 후광이 중요한 어포던스 차원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물리적상품에 제한되어 있던 어포던스 개념을 지식이 강화된 물리적상품 으로까지 확장한다는데 이론적 의의가 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consumer purchase process is how effectively goods are suggested on the Web. E-commerce has inherent limitation that we can not touch or smell the goods on the Web. Especially, knowledge enhanced physical goods are only introduced to consumers either only text or image using visual stimuli. "Affordance", which is expected to bring out buying activities, become an important concept in providing visual clues to the potential customers. We have investigated the dimensions of affordance utilizing protocol analysis method. The study finds that there are five dimensions of affordance for knowledge enhanced physical goods. Those dimensions are: product attributes, third-person testimonial, information search, hallo effect, and involvement. It is found that out of five dimensions, third-person effect, hallo effect, and involvement are likely to be unique to knowledge enhanced physical goods. The finding implies that this study extended the concept to knowledge enhanced physical goods, while only the previous studies considered the affordance concept in the area of physical products.

      • KCI등재

        Physical Pain in Oral Health Impact Profile among Korean Adults (55+) : Distribution and Associated Factors

        Bae, Kwang-HaK,Kim, Hyun-Duck,Jung, Se-Hwan,Park, Deok-Young,Paik, Dai-Il,Chung, Sung-Chang 대한구강보건학회 2003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55세이상성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영향지수 중 물리적동통의 유병률을 파악하고, 둘째, 55세이상성인의 구강건강충격지수 중 물리적동통의 연관요인을 파악함에 있다. 조사대상자는 2000년 국민구강건강조사시 층화무작위추출법으로 표본추출된 4,250명의 55세이상성인집단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1,098명의 55세이상성인이었고, 조사방법은 전화면접조사법이었다. 면접문항은 구강건강충격지수 중 물리적동통에 관련된 9개의 문항와 성, 연령, 거주지역 및 의치장착여부등에 관한 4문항을 합하여 총 13문항이었고, 동통정도의 웅답은 5점리커트척도(0-4)룰 이용하여 기록되었다. 동통유병를은 동통정도 0-1을 동통무경험자로, 동통정도 2-4를 동통유경험자로 하였고, 총물리적동통정도(PPS)는 9개의 개별물리적동통정도의 합으로 최저 0점에서 최고 36점에 분포하도록 하였다. 동통유병률에 관한 연관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총물리적동통정도에 관한 연관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두통, 치은동통, 과민성치아 둥에 관한 유병률은 각각 6.8%, 17.2% 및 26.0% 이었다. 여자는 남자에서 보다 두통유병률의 가능성이 2.3배(95% 신뢰구간=1.33,3.99) 높았고, 치은동통유병률의 가능성은 1.4배(95% 신뢰구간=1.01, 1.97) 높았다. 국부의치장착자는 의치비장착자보다 치은동통유병률의 가능성이 1.8배(95% 신뢰구간=1.20, 2.58) 높았으며, 의치장착은 총물리적동통정도를 1.58 증가시겼다(확률값=0.001). 총괄적으로, 두통유병률과 과민성치아유병률의 연관요인은 성이었고, 치은동통유병률의 연관요인은 성과 의치장착이었다.

      • KCI등재

        베이커리카페의 물리적 환경, 브랜드이미지와 재방문의도의 영향관계

        우이식,이종호,박영희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2 산업혁신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베이커리카페 이용 소비자들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물리적환경과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이미지와 재방문의도 사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조사했다. 본 데이터는 부산에 소재한 베이커리카페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279명의 소비자들로부터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 및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베이커리카페의 물리적 환경은 브랜드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브랜드이미지는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물리적 환경에 따른 긍정적인 브랜드이미지 지각과 종업원의 서비스 만족에 따라 재방문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객의 기억 속에 지속적으로 인지시키고 전략적 마케팅 방안을 마련하고 차별화된 브랜드이미지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