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 Elias의 문명화이론에서 바라본 문화인지

        이병준,박응희,정미경 한국문화교육학회 201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pare theoretical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ultural cognition' by exploring cultural cognition and phenomenon of human studying at formative level in cultivation theory of N. Elias. There is continuous justification of cultural paradigm beyond the psychological approach explaining cognitive mechanism. The emphasis of cognition's cultural context, such as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forming worldwide scholastic community of evolution anthropology, known as M. Tomasello, historical-cultural anthropology theory discussed intensively on Berlin, Germany, etc. obtains persuasive power. In the line, network cultural studying theory considering cultivation theory of N. Elias should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theory which can explain cultural cognition. In the book, <Civilization process>, N. Elias explains that aspects of history, society and psychology form ‘figuration’ and cognition of humankind and human is formed culturally. 'Figuration' of N. Elias, the concept explaining ‘cultural cognition’ well, means that individuals and society are operated by combining in complicated form through the network, not operated as independent entities. N. Elias insists that the method of cultural operation displays influence through the social formative equipment called by self-control. 본 논문은 N. Elias의 문명화이론에서 나타나는 문화인지와 조형적 차원의 인간 학습의 현상을 탐색해 봄으로써 ‘문화인지’ 개념 정립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지의 매커니즘을 설명하는 심리학적 접근을 넘어서는 문화적 패러다임에 대한 정당화작업이 계속되고 있다. M. Tomasello로 잘 알려진 진화인류학과 전 세계적인 학문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는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그리고 독일 베를린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역사문화적 안트로폴로지 이론 등 인지의 문화적 맥락에 대한 강조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러한 대열에 N. Elias의 문명화이론이 관계망적 문화학습이론 또한 문화인지를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이론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N. Elias는 그의 저서 <문명화 과정>에서 역사와 사회, 심리적 측면들이 ‘결합태’를 형성하며 인류와 인간의 인지가 문화적으로 형성되어감을 밝히고 있다. N. Elias의 ‘결합태이론’은 ‘문화인지’를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개념으로 개인과 사회가 독립적인 개체로 움직이는 게 아니라 연결망을 통해 복잡한 형태로 결합되어 작동하고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N. Elias는 더 나아가 이러한 문화적 작동방식은 자기통제라고 하는 사회적 조형장치를 통해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문화 연구와 페미니스트 문화이론

        이수자(Lee Sooja) 한국문화사회학회 2006 문화와 사회 Vol.1 No.-

        페미니스트 문화이론의 지형은 페미니즘의 사상적 줄기를 따라가며 맥락화하는 것만큼이나 복잡하게 얽혀 있다. 특히 몸과 육체성(corporeality)을 핵심 개념으로 하여 정신분석학, 탈식민주의, 그리고 포스트모던 문화이론의 영역에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페미니스트 문화이론은 다양한 사회적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준거 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 세 가지 영역에서 이루어진 몸, 섹슈얼리티, 그리고 주체논의를 토대로 하여 전반적인 이론적 지형을 파악하고, 이 이론이 한국의 문화 연구에 수용, 접목되어 생산적으로 재해석된 과정을 계보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프랑스 정신분석학적 문화이론으로부터 출발한 페미니스트 문화이론은 탈식민주의 문화이론과 접합되면서, 보다 역사성을 가진 문화이론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페미니스트 문화이론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파악되고 있는 주체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몸을 기본 토대로 생각하는 독특한 시각을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에서 페미니스트 문화이론이 본격적으로 소개되고, 또한 한국의 문화 현상을 설명하는 데 적용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년 남짓 되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아직 이론적으로 숙성된 단계에 놓여 있지는 않다. 그렇지만 한국 사회에서 사회현상으로서의 문화 현상을 이해하고 그로부터 파생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발휘되는 이론의 실천적 힘을 확인하면서 문화사회학의 중요한 한 범주로서의 페미니스트 문화이론의 발전적 전망을 기대하게 된다. Feminist cultural theory has been developed in the crossing context of feminism and cultural theory. The concepts of body and corporeality as the cores in the cultural theory are very controversial in the discussion on the construction of subject. From this point of view, body and corporeality are regarded as the theoretical starting points of feminism and the core concepts of feminist cultural theory. While the concepts of body and corporeality offer the base for the feminist cultural theory, the discours on sexuality, gender identity and desire consist the framework of this theory. In this article, it is examined what location feminist cultural theory has taken in the topology of cultural sociology, and what role the concepts of body, corporeality and subject have played in the theorization. The most important areas of feminist cultural theory are classified into psychoanalysis, theory of corporeality, and post-colonialism. Feminism is known as a interdisciplinary theory. It means that feminist cultural theory requires at least two approaches; sociological approach and epistemological approach. According to this character, feminist cultural theory can contribute to build up the appropriate framework of theory which is used fo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culture. The topology of feminist cultural theory in Korea is in the process of drawing. With this article, it can be resulted that feminist cultural theory enriches the discussions in the academic field of cultural sociology.

      • KCI등재

        문화사회학과 실천의 문제

        김정환(Jung Hwan K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0 No.-

        이 논문은 문화사회학을 비롯하여 문화인류학, 문화연구 등 문화를 탐구하는 분과들이 실천(practice)의 차원을 강조한다는 점에 착목하여 실천 개념과 관계되는 문화사회학의 이론적․방법론적 문제들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서 이른바 실천적 전환을 중심적인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다. 우선 실천적 전환이 어떤 점에서 전환일 수 있는지 실천이론의 새로움을 두 가지 차원에서 살펴본다. 첫째로 실천이론은 실체론에서 구성주의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했다. 논문에서는 이를 존재론적 전환이라 명명한다. 둘째로 실천이론은 변화가 아니라 질서를 설명하려는 시도에 기여했다. 논문에서는 이를 문제설정의 전환이라 부른다. 하지만 실천적 전환이 갖는 의의를 섬세하게 재고할 필요성 또한 있다. 맑스, 뒤르켐, 베버 등의 고전사회학이 이미 실천에 대한 이론이었음을 고려한다면 부르디외와 푸코 등 실천이론의 등장은 ‘전환’이라기보다는 고전사회학으로의 ‘복귀’에 가까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천이론의 등장이 새로운 주목을 받았던 것은 파슨스를 통하여 유럽의 고전사회학이 선별적으로 수용되고 프래그머티즘의 전통이 영향을 발휘했던 미국적 맥락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한편 실천의 차원에 주목하는 실천이론의 등장은 이론 내적으로는 혁신을 가져왔지만 이론 자체의 위상 하락이라는 역설을 맞기도 했다. 이론의 위기는 비판의 위기와 깊은 관계가 있는 바, 문화사회학이 구체적인 실천들에 주목하면서도 비판의 계기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of cultural sociology which are involved in the concept of practice. For this purpose I focuses on the practical turn in social theory. The practical turn could be regarded as a ‘turn’ in two dimension. First, the turn to practice enabled the ontological turn from substantialism to constructionism. Secondly, it contributed to attempts to explain social orders rather than social changes, which is referred to as problemsetting shift. Despite the significance of practical turn in cultural sociology,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urn’. The emergence of practice theory might be called ‘return’ to classical sociology rather than a ‘turn’ to practice. Because classical sociologies of Marx, Durkheim, and Weber had been already theories of practice before the works of Bourdieu and Foucault attracted attention. Though the approach of practice theory was not fresh indeed, it could be spotlighted on the conditions that ⑴ european classical sociology had been introduced to America by Parsons’ distorted view and that ⑵ the pragmatist tradition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in American intellectual context. If practical turn was a great innovation of theory in general, ironically, it prompted the end of the Theory simultaneously. As the crisis of theory is deeply related to the crisis of critique, this essay seeks to find a way to maintain the critical orientation of cultural sociology while holding the legacy of practice theory still.

      • KCI우수등재

        다문화 상담이론에서의 방법론적 토대로서 현상학

        홍성하(Seongha Hong) 한국철학회 2010 철학 Vol.0 No.105

        이 논문의 목표는 현상학이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다문화 상담이론에 방법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는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다문화 상담이론이 이런 현실에서 내담자의 문화적 경험이나 사회 병리적 현상을 밝히는 데 효율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정신분석, 인지행동주의 그리고 실존주의와 같은 기존의 상담이론들은 기본적으로 합리성과 주체성을 강조하는 서구의 개인주의적 전통과 과학적 분석태도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 이론들은 다문화 사회에서 주류 문화에 속하지 않는 소수 집단의 내담자의 특수한 경험과 삶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내담자의 심리적 고통이나 행동을 이해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내담자 경험의 통일적인 의미토대라 할 수 있는 생활세계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하고 이 세계와 깊은 연관이 있는 문화 현상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태동한 이론 중 하나가 다문화 상담이론이다. 다문화 상담이론의 특성상 상담자가 다른 문화에 대한 일체의 가치 판단을 중지하고 내담자의 경험세계를 있는 그대로 드러낼 수 있도록 태도 변화를 시도함으로써 상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문화 상담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내담자의 근원적인 경험세계는 현상학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현상이며 사태이고, 경험현상을 밝히고자 하는 방법론적 특성은 현상학적이다. 내담자의 경험세계로 되돌아감으로써 상담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다문화 상담이론에 현상학은 매우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다.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in the country has exceeded one million. With the ever-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foreign workers and foreign students, the Korean society has been rapidly becoming multicultural.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ethodologically applying phenomenology to the theory of multicultural counseling. Phenomenology can secure a certain place for itself in the theory of multicultural counseling because of its potential to provide methods effective at revealing a client’s life experience and her/his attitude toward the culture in which she/he has lived. Contemporary counse ling has been dominated by three schools of psychoanalysis, cognitive-behaviorism, and humanistic- existentialism. These three schools have been basically influenced by the Western individualistic tradition emphasizing the subjectivity and the rationality. Despite their grip on contemporary theories of counseling, they have limitations in helping understand a particular experience of minority in the society. The theory of multicultural counseling criticizes contemporary theories of counseling for giving short shrift to ethnic or racial minor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counseling, counseling means understanding of client’s individual life,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cultural background. For the sake of an effective counseling counselors have to remove their prejudices about other cultures. To remove prejudices about other cultures, counselors need to practice the method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Here emerges a meeting point between the theory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phenomenology. A phenomenological method is very helpful in leading multicultural counselors to go beyond learning other cultures toward exploring a client’s world of experience just as it is.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method for returning to everyday experience, counselors should graduate from the temptation to pass judgments on culture, something common in the natural attitude, and should graduate immediately into world of experience in order to reveal the world as it is.

      • KCI등재

        프라하 기능주의언어학파의 ‘언어문화이론’

        김인천(Inch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1930년 대 초반에 프라하언어학파는 ‘언어문화(Language culture)’의 문제를 언어학 연구의 화두로 삼으며, 체코 언어사회 내에서 이미 오랫동안 불안정한 지위를 차지해 왔던 표준체코어를 육성할 이른바 ‘언어문화이론(Theory of Language Culture)’을 주창한다. 이 이론은, 1870년대에 체코어 보호의 목적으로 언어순수주의에 의해 만들어진 인위적인 언어규칙들을 제거하고 당대의 언어관습을 충분히 반영한 표준어규범의 성문화를 그 주요 목표로 삼았다. 이 이론의 핵심 원리들인 언어관습, 언어규범, 성문화 등은 한 언어권 내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층위의 언어들의 육성보다는 특별히 언어의 통일성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표준어의 우월적 지위를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이론 은 표준어만이 한 언어공동체의 수준 높은 언어문화를 이끌어 갈 수 있다고 보았는데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언어문화이론을 표준어의 이론으로 부르기도 한다. 언어문화이론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언어의 공시성(Linguistic synchronicity) 원리는 언어의 순수성과 정확성을 결정짓는 하나의 규준으로 작용하였지만, 언어 공시성의 시간적 범위를 ‘최근 50년간의 언어관습’으로 제한하고 그 기간 동안에 훌륭한 작가의 명작에 사용된 체코어를 표준어의 규준으로 삼게 함으로써 이론의 경직성을 보여주었다. 이 학파는 또한 한 민족의 여러 가지 언어변이형 중에서 오직 표준어만이 다양한 의사소통의 분야에서 대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고 표준어의 기능적 문체를 중시하였는데, 이는 프라하언어학파의 기능주의적 학풍을 잘 드러내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언어문화 이론의 원리에 따라 성문화된 표준어의 규범들은 사실 구어보다는 문어의 언어관습에 의존함으로써 체코어화자로 하여금 표준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데 결국 실패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오늘날도 여전히 체코의 언어사회에 진행되고 있는 양층언어상황(Diglossia) 에 의해서도 입증될 수 있을 것이다. Prague Linguistic Circle was interested in the question of Language Culture, as a topic issue of Czech linguistic situation in the beginning of 1930s. In order to cultivate Standard Czech, they addressed primarily the unstable Czech language situation and founded the Theory of Language Culture. The theory aimed at removing mandatory language rules which Czech linguistic purists formulated in 1890s and at codifying the norm of standard language which adequately reflects contemporary language custom. The key principles of the theory such as language custom, language norm and codification etc. focused on consolidating prestige of standard language. Under consideration that only standard language is assumed to support linguistic uniformity and stability and to promote language culture of a language community, the theory took a serious view of functions of standard language, in this context the theory is sometimes labeled as the theory of standard language. The linguistic synchronicity which serves as a basic framework of the theory work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linguistic purity and accuracy, it showed however the rigidity of the theory since it confined the temporal scope to the recent 50 years’ language custom and limited the norm of Standard Czech to the Czech used mainly in ‘Good authors’ literature’. The linguists of the Prague School laid stress on the functional stylistics of standard language. This idea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nly standard language performs the most effective function communication among all the other variants of the language. This demonstrates the fact that the theory is characterized mainly by functionalism. In the tradition of the theory of language culture, however, the codified norms of modern standard Czech still rely primarily upon the custom of written language rather than that of spoken language and consequently the written form of the language is not actively used by Czech native speakers. The chronic problem of language situation in Czech Republic, so called ‘Czech Diglossia’ is recently growing worse.

      • KCI등재

        Les études culturelles, de la tradition théorique à la question des origines - le cas de la collection Terre Humaine

        박선아 한국불어불문학회 2010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81

        현대사회로 오면서 문화의 정의와 영역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문화를 연구하는 이론과 비평 또한 제도권 학문 안에서 한창 논의 중이다. 우선 본고는 문화연구가 어느 지역을 중심으로, 그리고 어떤 학문적 영역 안에서 수행되어왔는지 그 지적 전통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사회계급이론이 강조된 영국 중심의 문화연구를 출발점으로 하여, 중동, 인도, 아프리카 등 비유럽권 중심의 오리엔탈리즘과 탈식민주의 비평, 그리고 페미니즘을 넘어 젠더연구와 다문화주의의 인종문화연구 등 문화와 권력 사이에 무수히 존재하는 불평등한 메커니즘을 밝히는 ‘문화연구들’을 간략히 훑어보았다. 이 때 프랑스는 문화연구를 하나의 학문으로 수용한 시기가 늦어 상대적으로 부진한 듯하지만, 사실상 프랑스 지식인들의 철학사상이 미국을 위시한 타문화이론에 미친 영향은 상당하다. 무엇보다 1장에서 일별한 문화연구 개관은 우리로 하여금 현대사회에 범람하는 문화연구가 너무 이론적이고 아카데믹한 제도적 학문과 그 지적 전통 안으로 다시 진입하고 있으며, 이분법적 사유 구조와 문화 권력의 헤게모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의혹을 낳게 한다. 현대 문화연구의 이론적 전통과 제도적 진전에도 불구하고 이론과 실천의 괴리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비판적으로 인지하면서, 본고에서는 문화를 일반적, 보편적 개념으로 도출하는 대신 독자에게 일차 자료를 제공하여 다(多)문화의 실체를 개별적으로 이해시키려는 프랑스 플롱 출판사의 기획 총서 『인류 문화기(記) Terre Humaine』를 기존 문화연구의 대안 혹은 보완안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소외와 차별과 억압의 체험을 지닌 증인 당사자가 직접 서술한 1차 사료로서, 유럽 안팎의 주변문화, 오지문화, 소수자 문화, 원시문화와 그 속에 깊이 뿌리 내린 인간 개체들의 삶을 미시적으로 담아낸 이 총서는 1955년 지리인류학자 장 말로리에 의해 창간된 이래, 현재까지 90여 종이 넘는 실(實)문화 이야기를 출간하고 있다. 본래『인류 문화기(記)』역시 프랑스 아날학파라는 새로운 역사주의의 지적 전통 안에서 탄생하였지만, 이론적 편향성을 지닌 제도권 내의 학문과는 일정 거리를 두면서 이에 상호보완적인 실천적인 문화연구로 나아간 것이다. 이 총서에는 본 연구를 기점으로 더 멀리 나아가, 당대의 지적계보와 문화적 원전의 이해, 그리고 증인이나 체험자인 저자들의 글쓰기 방식과 이야기 테마들의 다각적인 분류작업, 아울러 다양한 장르 형식의 공존 등등 그 범주들을 하나하나 나누어 분석해볼만한 가치가 충분히 들어있다. 이 때 총서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은 바로 인간적 감수성과 공감대를 이끌어낼 줄 아는 가공하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 시원(始原)적 문학성에 기인한다. 개개 인간의 감성을 울리는 하나의 거대한 문학 작품으로 평가될 수 있는 이 총서는 자문화중심주의, 헤게모니, 제국주의, 위계질서, 식민주의와 같은 비인간화된 구조를 회의하고, 이 구조에 의해 지배당한 비참한 소수자들이 자신들 안에 자기도 모르는 본연의 위대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스스로 깨닫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타문화에 대한 서구(유럽)독자들의 닫힌 사고를 열어주는 길잡이 역할도 해왔다. 다국어로 번역되어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는 유명한 총서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단 한 권도 소개되지 않은 불모지와 다름 ...

      • 문화·언어 이론의 지리적 독해와 실천

        김순배(Sun Bae Kim)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문화 이론과 언어 이론을 신문화지리적으로 독해하여 공간과 장소에 실천하기 위한 인식론과 방법론의 대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지명연구의 문화정치적 실천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시론적으로 구축하려는 것이다. 지명연구의 문화정치적 접근을 위해 주목한 맑스주의 언어철학의 언어이론, 즉 볼로쉬노프(바흐친)의 이데올로기 기호론과 기호의 다액센트성, 그리고 페쇠의 유물론적 담론이론은 실제 지명이 생산 및 재생산되는 현실 사회관계 및 권력관계의 물질적 양상을 기초로 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지명이 그 삶을 유지하는 영역 내의 물질적이고 정신적인 사회관계가 충실하게 분석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문화 및 언어이론이 신문화지리적으로 이해되고 실천되는 구체적인 문화 현장이자, 문화정치적 성격을 간직하고 있는 한국 지명 변천의 역동적이고 숨겨진 사례들에 대한 기초적인 지명 수집 및 학제적 분석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the epistemology and the methodology for spatial practices in terms of geographical reading on the cultural and language theory, especially from a perspective of new cultural geography, furthermore, to preliminarily construct a theoretical basis toward the cultural-political practices of toponymy. In particular, the language theory such as the ideological sign and the multiaccentuality of sign of Voloshinov (Bakhtin) in the Marxist linguistic philosophy, and the materialistic discourse theory of Pêcheux are based on the material aspect of the real social and power relations on which toponym has been produced and reproduced. Therefore, the cultural-political approaches of toponymy should be deeply investigated the material and spiritual social relations within diverse territories where toponyms have maintained their life. In addition, the dynamic and hidden cases related to toponymic changes in Korea that is a vivid culture field in which the cultural and language theory are geographically understood and practiced as well as the cultural-political phenomena intrinsic to those have to be basically collected and analysed with th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비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원기 ( Lee Won Ki ),유효은 ( Yu Hyo Eun ),이창한 ( Lee Chang Han ) 한국경찰학회 2019 한국경찰학회보 Vol.21 No.1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일반청소년 및 다문화청소년의 비행에 대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 문화변용이론, 일반긴장이론, 사회유대이론, 사회학습이론을 사용하여 다문화청소년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해당 이론들이 가진 상대적인 설명력에 대해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성별, 다문화수용성, 우울, 학교애착, 차별접촉, 정의 변수는 다문화청소년의 비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청소년의 비행에 대해 사회학습이론, 문화변용이론, 사회유대이론, 일반긴장이론 순으로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청소년의 비행에 대해 선행연구를 통해 타당성을 입증 받은 비행이론들을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검증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비행이론의 하위변수들 중에서 어떠한 변수들이 다문화청소년의 비행원인을 설명하는데 중요한지 분석했다는 점과 비행이론별로 다문화청소년의 비행에 대해 가지는 설명력을 비교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ve explanatory validity of factors and theories used to influence the delinquency of multi-cultural juvenile using cultural acculturation theory, general strain theory, social bonding theory, and social learning theory, which was confirmed to have a high level of explanatory validity for the delinquency of ordinary teenagers and multi-cultural juvenile through prior research. According to the analysis, gender, multi-cultural availability, depression, school attachment, differential association and definitions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linquency of multi-cultural juvenile.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delinquency of multi-cultural juvenile was highly explained in order of social learning theory, cultural acculturation theory, social bonding theory, and general strain theory.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mprehensively validated the growing delinquency of multi-cultural juvenile in Korean society based on delinquency theory. It is also worth analyzing which variables are important among the sub-variables of delinquency theory and comparing their explanatory validity to multi-cultural youth delinquency by delinquency theory.

      • KCI등재

        청소년,기 연구에서 문화역사적 행위이론 확립을 위한 이론의 간학문적 기초에 관한 논의

        주경필 ( Joo K P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1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사회과학분야에서 문화역사적 행위이론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학문영역의 사회과학자들 사이에서 문화역사적 행위이론이 주목받고 널리 활용되고 있다는 점은 청소년 혹은 청소년기 연구자들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의식을 갖게 한다. ‘최근 사회과학에서 문화역사적 행위이론의 급속한 발전 및 확립은 무엇에 연유하는가?’, ‘문화역사적 행위이론의 확립이 청소년(기) 연구 분야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 이러한 일반적인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본 연구는 문화역사적 행위이론을 두 가지 인식론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문화역사적 행위이론의 특성 중 하나인 간학문적 기초를 조명하기 위해서 이론의 발달 및 진화에 영향을 미친 주요 철학사상을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독일의 게스탈트 사상과 맑스, 문화역사적 심리학, 그리고 사회학적 전통들의 영향을 포괄적인 관점에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간학문적 기초에서 밝힌 철학사상을 기반으로 문화역사적 행위이론의 핵심 구성개념과 행위시스템 분석모델을 논의하였다. 이후 지금까지 문화역사적 행위이론을 활용한 청소년 연구물들을 이론적 적용방식과 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검토하여 해당 이론이 청소년연구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연구를 위한 이론의 장점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기)연구 분야에서 활발한 이론적 활용을 위한 방향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Recently, a number of social science fields have increasingly accepted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The growing attention to CHAT among social scientists raises some fundamental questions for youth and adolescence researchers. Why has CHAT recently expanded in diverse academic areas? What implications can youth and adolescence researchers draw from the theoretical establishment? Derived from these general inquiries, the current study aims to discuss CHAT in relation to youth and adolescence research, focusing on two epistemological aspects of the theory. First, the study highlights the interdisciplinary foundation of CHAT by elaborating upon the traditions of thought that influenced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the theory. Specifically, it illuminates the influences of German gestalt philosophers and Marx, cultural-historical psychology, and several major sociological traditions upon CHAT in order to demonstrate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the conversations in which the theory has developed. Second, it attempts to provide a systemic overview of CHAT by articulating three fundamental conceptions of mediation, object, and contradiction from the interdisciplinary standpoint. Subsequently, CHAT studies in the youth and adolescence literature are reviewed in an integrative manner. Lastly, the following discussions deal with the strengths and challenges of CHAT as well as it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youth and adolescence research.

      • KCI등재

        문화연구, 이론 전통에서 시원의 문제로 -총서 『인류 문화기(記)』의 사례

        박선아 ( Sun Ah Park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0 佛語佛文學硏究 Vol.0 No.81

        현대사회로 오면서 문화의 정의와 영역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문화를 연구하는 이론과 비평 또한 제도권 학문 안에서 한창 논의 중이다. 우선 본고는 문화연구가 어느 지역을 중심으로, 그리고 어떤 학문적 영역 안에서 수행되어왔는지 그 지적 전통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사회계급이론이 강조된 영국 중심의 문화연구를 출발점으로 하여, 중동, 인도, 아프리카 등 비유럽권 중심의 오리엔탈리즘과 탈식민주의 비평, 그리고 페미니즘을 넘어 젠더연구와 다문화주의의 인종문화연구 등 문화와 권력 사이에 무수히 존재하는 불평등한 메커니즘을 밝히는 `문화연구들`을 간략히 훑어보았다. 이때 프랑스는 문화연구를 하나의 학문으로 수용한 시기가 늦어 상대적으로 부진한 듯하지만, 사실상 프랑스 지식인들의 철학사상이 미국을 위시한 타문화이론에 미친 영향은 상당하다. 무엇보다 1장에서 일별한 문화연구 개관은 우리로 하여금 현대사회에 범람하는 문화연구가 너무 이론적이고 아카데믹한 제도적 학문과 그 지적 전통 안으로 다시 진입하고 있으며, 이분법적 사유 구조와 문화 권력의 헤게모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의혹을 낳게 한다. 현대 문화연구의 이론적 전통과 제도적 진전에도 불구하고 이론과 실천의 괴리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비판적으로 인지하면서, 본고에서는 문화를 일반적, 보편적 개념으로 도출하는 대신 독자에게 일차 자료를 제공하여 다(多)문화의 실체를 개별적으로 이해시키려는 프랑스 플롱 출판사의 기획 총서 『인류 문화기(記) Terre Humaine』를 기존 문화연구의 대안 혹은 보완안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소외와 차별과 억압의 체험을 지닌 증인 당사자가 직접 서술한 1차 사료로서, 유럽 안팎의 주변문화, 오지문화, 소수자 문화, 원시문화와 그 속에 깊이 뿌리 내린 인간 개체들의 삶을 미시적으로 담아낸 이 총서는 1955년 지리인류학자 장 말로리에 의해 창간된 이래, 현재까지 90여 종이 넘는 실(實)문화 이야기를 출간하고 있다. 본래 『인류 문화기(記)』 역시 프랑스 아날학파라는 새로운 역사주의의 지적 전통 안에서 탄생하였지만, 이론적 편향성을 지닌 제도권 내의 학문과는 일정 거리를 두면서 이에 상호보완적인 실천적인 문화연구로 나아간 것이다. 이 총서에는 본 연구를 기점으로 더 멀리 나아가, 당대의 지적계보와 문화적 원전의 이해, 그리고 증인이나 체험자인 저자들의 글쓰기 방식과 이야기 테마들의 다각적인 분류작업, 아울러 다양한 장르 형식의 공존 등등 그 범주들을 하나하나 나누어 분석해볼만한 가치가 충분히 들어있다. 이 때 총서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은 바로 인간적 감수성과 공감대를 이끌어낼 줄 아는 가공하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 시원(始原)적 문학성에 기인한다. 개개 인간의 감성을 울리는 하나의 거대한 문학 작품으로 평가될 수 있는 이 총서는 자문화중심주의, 헤게모니, 제국주의, 위계질서, 식민주의와 같은 비인간화된 구조를 회의하고, 이 구조에 의해 지배당한 비참한 소수자들이 자신들 안에 자기도 모르는 본연의 위대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스스로 깨닫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타문화에 대한 서구(유럽)독자들의 닫힌 사고를 열어주는 길잡이 역할도 해왔다. 다국어로 번역되어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는 유명한 총서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단 한 권도 소개되지 않은 불모지와 다름없다는 점에서 『인류 문화기(記)』의 소개는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이 총서를 기존 문화연구의 새로운 대안으로, 작게는 문화연구를 뒷받침하는 실천적 보완책으로 보고자 했던 본 연구는 보다 세부적이고 분석적인 연구를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두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