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창세기 2장 15절은 개발 명령인가? - 환경 보호와 자원 관리의 관점에서 보는 문화 명령

        성경훈 ( Kyunghoon Sung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21 통합연구 Vol.23 No.1

        본 논문은 우선 창세기 2장 15절의 ‘문화 명령’을 환경 보호와 자원 관리의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문화 명령’이 가지고 있는 자원 개발의 이미지를 벗겨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명령’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배경에서부터 시작하여 ‘문화 명령’이 가진 개발의 이미지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추적한다. 이후 ‘경작하다’(cultivate)라고 번역되어 ‘문화 명령’(Cultural Mandate)의 개발이미지를 불러일으킨 히브리어 ‘아바드’( עָבַד )를 원어 분석과 문맥적인 해석을 통해 ‘경작하다’로 번역하는 것이 올바른 해석인지 검토하는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창세기 2장 15절의 ‘문화 명령’이 인간 중심의 개발 명령이 아니라 하나님 중심의 섬김과 보호의 명령, 즉 청지기적 명령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나아가 이와 같은 청지기적 ‘문화 명령’이 교회 공동체와 기독교인들뿐만 아니라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인류 전체에게 주어진 명령임을 환기시키며, 환경 보호와 자원 관리라는 청지기적 ‘문화 명령’을 감당하기 위해 일반 사회단체와 정부, 교회가 다함께 협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는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교회 공동체의 청지기적 사명을 일깨울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공조를 필요로 하는 환경 정책에 기독교인과 교회 공동체가 동참할만한 해석학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wo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reinterpret the "Cultural Mandate" in Genesis 2:15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source management, and to remove the image of resource development included in it. To this end, I first track what problems exist in the image of development that "Cultural Mandate" has, starting with the background of its use. Subsequently, the work will be carried out to see if it is correct to translate the Hebrew word ‘Abad’( עָבַד ) into ‘cultivate’ through original language analysis and contextual interpretation, which has been translated as ‘cultivate’ and evoked the development image of "Cultural Mandate." And based on this, I want to reveal that the "Cultural Mandate" in Genesis 2:15 is not a human-centered development mandate, but a God-centered service and protection mandate, namely a stewardship mandate. Furthermore, I seek the possibility that NGOs, governments, and churches can work together to deal with the stewardship "Cultural Mandate"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source management, recalling that it is given not only to the church community and Christians but also to the entire mankind created by God. This will not only awaken the stewardship mission of the church community to protect the environment created by God, but also provide a hermeneutical foundation for Christians and the church community to join environmental policies that require global cooperation.

      • KCI등재

        문화사역의 신학적 토대에 대한 성찰 - 몰트만과 마우를 중심으로

        이창호(Lee, Chang-ho)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0 기독교사회윤리 Vol.46 No.-

        문화사역의 기본적인 개념 정의에 있어서 크게 두 가지 흐름이 있음을 탐색할 수 있다. 하나는 ‘문화선교’의 큰 틀 안에서 문화사역을 복음전도와 문화적 영향력의 확대라는 기독교회의 선교적 목적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전술적 방편으로 이해하는 흐름이다. 다른 하나는 교회와 지역사회의 문화적 연관성에 초점을 두는 흐름으로서, 문화사역을 기독교회가 지역사회의 문화적 필요에 응답하면서 지역사회공동체의 형성과 발전에 이바지하려는 사역으로 이해한다.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총체적 신앙적 삶과 실천, 신앙 공동체 밖의 공적 공동체 및 그 구성원들과의 문화 형성·공유·향유, 그리고 문화행위를 통한 사회윤리적 책임 수행과 공적 공동체 강화 등의 신학적 윤리적 함의를 적절하게 고려하면서, 기독교 문화사역의 신학적 토대를 문화명령에 대한 통전적인 신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몰트만(Jürgen Moltmann)과 마우(Richard J. Mouw)를 주목하고자 하는데, 이들은 현대 신학계에서 문화명령에 대해 진지하게 논구한 학자들로서 창조와 구원의 통전성을 충실하게 전개하였기 때문이다. 각 신학자를 다루고 나서 비교·평가할 것이며 또 신학적 토대를 결론적으로 진술할 것인데 문화사역이 견지해야 할 규범적 방향성을 중요하게 포함할 것이다. There are two major streams in defining Christian cultural ministry. One has as its heart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ministry as an important tactical means to achieve missionary purposes of evangelism and expand cultural influences within the framework of ‘cultural mission.’ The other is a stream that focuses on a cultural connection between the Christian churches and various forms of public communities. It understands cultural ministry as a mission designed to form and develop public communities in response to their cultural needs. Church cafes, church libraries and cultural centers can be considered as representative channels of such cultural ministries. Considering comprehensively the Christians’ faithful life and practice for the Kingdom of God in holistic terms, I intend to explore theological foundations of Christian cultural ministry with a focus on holistic interpretations of the cultural mandate. To this end, scholars who have faithfully developed the holistic nature of creation and salvation in contemporary theology will be noted. They include Jürgen Moltmann and Richard J. Mouw. Lastly, I will compare and evaluate these two, highlight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describe conclusively theological foundations of cultural ministry.

      • KCI등재

        한류열풍 속 대중문화를 통한 아시아 선교의 가능성

        민필원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4 No.-

        This article is a study about a possibility of Asian mission through popular culture in Hallyu(Korean Wave) fever which is blowing all over the world. It deals with the influence of pop culture in the human life and a way Christians face pop culture rightly in the Reformed theology by Romanowski. It emphasizes that we have to understand pop culture biblically and face it in the stewardship of creation. In the term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great commission and the cultural mandate, it argues that we have to pop culture more missionally. In the practical aspect, we need to interpret pop cultures rightly and to create excellent cultural arts that reflect Christian worldview. Studying and analyzing the situation of Hallyu fever especially in Asia, we can see the possibility in Asian missions because pop cultures have power to be able to overcome the walls of languages, cultures, peoples. Therefore, if we can create pop cultures which have excellent quality and spirituality, we can share Christian worldview and provide the contact points for missions in Asia. 이 논문은 최근에 전 세계에 불고 있는 한류의 열풍 속에서 대중문화를 통한 아시아 선교의 가능성을 연구한 논문이다. 전반부에는 대중문화가 인간삶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과 기독교가 이 대중문화를 어떻게 대하는 것이옳은지를 로마노프스키의 개혁주의적 입장에서 다루었다. 대중문화를 성경적으로 이해하고 우리에게 주신 창조의 청지기의 사명 속에서 대중문화를 대하여야 함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우리에게 주신 지상명령(마 28:19)과 문화명령(창1:28)의 연결 속에서 우리가 이 대중문화를 더욱 선교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천적인 면에서 이것은 대중문화를 올바로 해석하고, 기독교 세계관을 담은 탁월한 대중문화를 창조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런 신학적이고 이론적인 바탕 속에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한류열풍의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할 때 특별히 아시아권에서 강하고 불고 있는 한류 대중문화의 열풍은 선교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대중문화는 종교, 문화, 언어의 장벽을 넘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탁월한 질을 가진 기독교 대중문화를 창조한다면 기독교 세계관을 전하고 선교를 위한 접촉점을 마련하는 좋은 선교적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아담의 이름 짓기”는 과연 문화 활동인가?: 문화명령과 관련된 두 개의 텍스트(창 1: 26-28, 2:19) 에 대한 구약신학적 재고찰

        이신웅 ( Lee Synwoo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21 기독교철학 Vol.32 No.-

        본 논문은 기독교 세계관에서 말하는 “문화명령”(culture mandate, Creation Commendment)과 그것에 따른 첫 번째 문화 활동으로 제시되는 아담의 이름 짓기 행위를 말하는 본문인 창세기 1장 26-28절과 2장 19-20절을 구약신학적으로 재고찰 한다. 왜냐하면, 이 본문들에 대해 곧 바로 “문화명령”, “문화 행위”라는 철학적인 용어로 명명하기에는 녹녹치 않은 면이 있기 때문이다. 성경 해석에서도 독자반응비평이 발전되면서 저자와 본문 그리고 첫 번째 독자의 이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 곧바로 두 번째 독자가 자신의 시대에 맞춰 해석하고 적용하는 사례가 빈번하여 본문의 원래적 의미와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첫 번째 독자에게 본문의 의미가 무엇이었는지를 고찰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 먼저, 텍스트 언어학(texts linguistics)과 주석학(exegesis)적인 방법론을 통해 해당 본문들을 “문맥적 정황”에서 의미를 고찰하고, 그 후 에 저자와 첫 번째 독자들의 “삶의 정황”(sitz im Leben)에서의 의미를 고찰 한다. 이 과정을 통해, “문화명령”에 대한 이해의 교정과 함께 아담의 이름 짓기 행위가 가지는 엘렝틱스(Elenctics)적인 면을 중심으로 하는 신학적 의미에 대한 이해의 교정이 발생할 것인데, 그것은 아담의 이름 짓기 사건은 문화명령과의 연관성에서 해석하는 문화 행위라기보다는, 딱맞게 포개지는 “돕는 배필”(에제르 케네그도)과 그에 따른 여자의 창조 사건과 연관 지 어 해석해야 그 신학적 의미가 명료하게 드러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 예수와 교회의 관계까지 확장시켜 적용함으로서, 현재 우리 시대에 화두가 되는 “성”(gender) 문제에 구약신학적 대답까지 제시하여, 결국 철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하는 기독교 세계관 운동을 삶에서 실천하려는 신앙 고백 공동체가 성장시키고 열매 맺어야 되는 가장 중요한 근본적인 ‘문화’가 무엇인지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thought Old Testament theologically about “culture mandate” (Creation Commandment) in Genesis 1:26- 28 from Christian worldview and following its first cultural activity that presents Adam’s naming behavior in Genesis 2:19-20. This is because it is not easy to call these texts directly with the philosophical terms of “cultural mandate” and “cultural activities”. As criticism of independent responses develops in biblical interpretation, there are frequent cases of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xt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econd reader without properly recognizing the understanding of the author, the text, and the first reader. As it can be see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at the text meant to the first reader. To do this, first, the meaning in the “contextual context”(sitz im Literatur) of the texts is considered through Texts Linguistics and exegesis method, and then the meaning in the “life context”(sitz im Leben) of the author and first readers. Through this process, along with the correction of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mandate”, there will be a correction of the understanding of the theological meaning centered on the Elenctics aspect of Adam’s naming behavior, which is the name of Adam.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building incident is clearly revealed when it is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creation incident of the woman and the “helper”(Ezer Kennegdo), which overlaps perfectly, rather than as a cultural act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cultural mandate.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extended and appli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Isra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esus and the church, providing an Old Testament theological answer to the problem of “gender” that is a hot topic in our time. In the end, it reveals what the most important fundamental 'culture' is which the confession community that seeks to practice the Christian worldview movement based on philosophical thinking in life must grow and bear fruit.

      • KCI등재

        문화명령과 현대기술

        손화철(Son, Wha Chul)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9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2

        본 논문은 기독교의 입장에서 기술의 문제를 접근한 이론들 중에서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전개된 개혁주의 기술철학을 개괄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이론은 기독교에서 신의 창조에 포함된 인간의 창조를 강조하는 ‘문화명령’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개혁주의 신학의 전통을 따라, 과학기술을 비롯한 인간의 문화활동을 적극적으로 해석한다. 개혁주의 기술철학이 흥미로운 이유는 1970년대 말부터 기술철학 분야의 주요 흐름이 된 ‘경험으로의 전환’과 상당한 유사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는 경험으로의 전환이 고전적 기술철학에 대한 반박으로 제기되었다는 일반적인 견해에 약간의 균열을 일으킨다. 개혁주의 기술철학이 네덜란드에서 적극적으로 펼쳐진 이유가 네덜란드 개혁주의 기술철학 때문이라는 합리적 추측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개혁주의 기술철학이 인간 주체를 강조하는 기술 이해와 기술에 대한 통합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했다는 의의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현상 구제적인 성격을 가져 기술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를 지녔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outlines and critically reviews the reformational philosophy of technology developed in the Netherlands, which is one of the theories that approached the problem of technology from the Christian point of view. This theory actively interprets human cultural activities, including science and technology, according to the tradition of Christian reformed theology, which gives special meaning to the "cultural mandate“ that stresses the creation of man within the creation of God. The reformational philosophy of technology philosophy is interesting because it resembles the “empirical turn” approach that has become a major trend in the field of philosophy of technology since the late 1970s. This causes some cracks in the general view that the empirical turn been brought up just as a rebuttal to classical technology philosophy. It is a reasonable guess that the empirical turn approach emerged in the Netherlands more actively than other places due to the Dutch reformational philosophy of technology. Furthermore, I will argue that, while reformational philosophy of technology has enabled the understanding of technology that emphasizes human subject and integrated analysis of technology, it has the basic tendency of advocating the status-quo of technological society rather than offering fundamental alternatives to it. 본 논문은 기독교의 입장에서 기술의 문제를 접근한 이론들 중에서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전개된 개혁주의 기술철학을 개괄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이론은 기독교에서 신의 창조에 포함된 인간의 창조를 강조하는 ‘문화명령’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개혁주의 신학의 전통을 따라, 과학기술을 비롯한 인간의 문화활동을 적극적으로 해석한다. 개혁주의 기술철학이 흥미로운 이유는 1970년대 말부터 기술철학 분야의 주요 흐름이 된 ‘경험으로의 전환’과 상당한 유사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는 경험으로의 전환이 고전적 기술철학에 대한 반박으로 제기되었다는 일반적인 견해에 약간의 균열을 일으킨다. 개혁주의 기술철학이 네덜란드에서 적극적으로 펼쳐진 이유가 네덜란드 개혁주의 기술철학 때문이라는 합리적 추측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개혁주의 기술철학이 인간 주체를 강조하는 기술 이해와 기술에 대한 통합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했다는 의의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현상 구제적인 성격을 가져 기술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를 지녔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outlines and critically reviews the reformational philosophy of technology developed in the Netherlands, which is one of the theories that approached the problem of technology from the Christian point of view. This theory actively interprets human cultural activities, including science and technology, according to the tradition of Christian reformed theology, which gives special meaning to the "cultural mandate“ that stresses the creation of man within the creation of God. The reformational philosophy of technology philosophy is interesting because it resembles the “empirical turn” approach that has become a major trend in the field of philosophy of technology since the late 1970s. This causes some cracks in the general view that the empirical turn been brought up just as a rebuttal to classical technology philosophy. It is a reasonable guess that the empirical turn approach emerged in the Netherlands more actively than other places due to the Dutch reformational philosophy of technology. Furthermore, I will argue that, while reformational philosophy of technology has enabled the understanding of technology that emphasizes human subject and integrated analysis of technology, it has the basic tendency of advocating the status-quo of technological society rather than offering fundamental alternatives to it.

      • 성경적 관점에서 고찰한 성(性)

        김혜도(Hyedo Kim)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9 종교문화학보 Vol.6 No.-

        오늘날 우리는 성문화 이상 현상으로 인한 직․간접적인 피해 속에 살고 있다. 현대 많은 사람들이 성에 대해 부정적인 사고를 갖고 있다. 그 이유는 성을 금기시하는 문화의 반작용으로 ‘방종의 성문화’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성경은 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한다. 창조론의 관점에서 볼 때 성은 하나님의 창조의 한 부분이다. 창조주는 인간에게 첫 번째 문화명령으로 남자와 여자로 구분되어지는 성을 통하여 자녀들을 생산할 것을 말씀하셨다. 뿐만 아니라 자녀생산의 목적 외에도 성은 부부간의 친밀함과 위로, 기쁨을 누리는 삶의 활력소이다. 하나님이 창조하신 것은 모두 선하므로 창조의 일부인 성도 아름답고 신성한 것이다. 하지만 타락 후 피조세계는 변질되었다. 성경은 성관계가 이루어지는 범주를 혼인으로 분명히 제한하지만 타락한 인간은 순리대로 쓸것을 가지고 왜곡된 성행위로 자신들의 욕망을 채워나갔다. 이에 대해 성경은 혼외 성행위나 동성애 등을 엄금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성행위는 상호 보완관계로 창조된 남녀가 사랑이 전제되는 부부가 되어서 누릴 수 있는 복이다. 부부는 성생활을 통해 한 몸을 이룸으로써 연합의 기쁨을 구체적, 현실적으로 느낄 수 있다. 하나님께서 성을 창조하신 이유는 단순한 육체의 하나 됨을 초월한 육체와 영혼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인간은 그리스도와 교회의 영적 신비를 발견하기도 한다. 인간은 창조주의 의도대로 성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부부는 함께 시간을 보내고 상대방을 섬기는 자세로 성생활을 해야 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부부간의 성생활에 대하여 연구하고 함께 가정을 세워나가야 한다. 또한 청소년들에게는 건전하고 밝은 분위기 속에서 성을 교육하고 왜곡된 성에 노출된 이들은 전문기관에서 치료하여 회복을 도와야 할 것이다. 부부간의 성생활이 부득이한 경우라면 성교 이외에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제 속에서 칭찬하고 배려하고 대화하는 등을 통해 성적 욕구를 발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부간 스킨십과 애무나 키스는 성교 이상으로 사랑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창조주로부터 선하게 창조된 성이 본래의 목적대로 사용되어 축복된 성을 누려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가정적, 사회적, 종교적, 그리고 국가적으로 계몽이 일어나야 한다. These days we loves under direct or indirect damage for unhealthy sexual culture. Now a days many people have a negative thinking. The reason appears a disolute sexual culture by reason of inhibition culture of sex. In the case of sex, the Bible express down words. In the creative sight, sex is a part of the Creation of God. The first order of culture, the Creator demand give birth to a baby through the divided sex made or female. But besides objection of giving birth to a child, the sex is cause of livable energy of life to married couple. The Creator create so good, therefore sex a part of the creation is beautiful and holy. But after fallen of men, created world destroy better. The Bible define sexual boundary as marriage but apostasy men with unhealthy sex insteed of correct sex tilled their sexual appetite. The Bible inhibit strong sex out of married. Sex of homo sex is blessing to created married couple each other to need with living mind. The married couple can make one body through sex, therefore they can feel united joy detaily and nonfictionaly. The cause of the God create sex united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beyond only one body. In through there facts, men sometimes discover spiritual for Jesus christ and Church. Men have to use sex. in acorrding with the God’s meaning. Married couple have to spend time together and to do sex obligation each other. Continualy married couple must research of sex and make a sweet home together. And teenager and youngster is educated in sound & bright surroundings. otherwise people under unhealthy sex is healed to rescue in professial organigation. If married couple is impossible sex, besides sex they can solve sexual appetite in many multiple people with conversation, praise, care. Skinship or sweet touch kiss of married couple with emotion of love is method to express beyond sex. Therefore created sex from the God be used acorrding original objection. For these facts, sexual in enlightenment must rise up homely, social, religional and national.

      • KCI등재후보

        통전적 선교명령과 기독교수의 소명과 역할

        김영완 한국대학선교학회 2012 대학과 선교 Vol.23 No.-

        Christian universities and mission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Like secular universities and colleges,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are academic communities that seek after the three missions of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iming at cultivating students for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church, nations, and the whole world. At the same time,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are entrusted with a mission of doing missions as a community of witness through research activities. The concept of holistic mission has a comprehensive meaning including both evangelism and social responsibility. This concept of holistic mission has been clearly defined by the Lausanne Covenant in 1974 in the International Congress on World Evangelism at Lausanne in Switzerland. The biblical basis of holistic mission is found in the works and commands of Jesus Christ. Therefore the Christian mission should be performed in the viewpoint of this hoand colleges. Christian professors are called to fulfill the holistic mission callings. In accordance with the Scripture, the Cultural Mandate (Gen. 1:28), the Great Commission (Matt. 28:1820),and the Great Commandment (Matt. 22:3740)address the Christian holistic mission. These three are independent and complementary,combined in the holistic missional mandate. Christian professors should do their best in playing the roles of carrying out the missional mandate. They should do research and educate as carriers of the cultural mandate. They should model and exert themselves in the developing of characters of students as well as teach the truth. They should not only reveal the truth of God and serve human society but also glorify God through research activities. They should, as great commissioners, devote themselves to campus mission. They should love and serve their neighbors as great commandment carriers through voluntary service and activity as well.listic mission. Christian professors are the most crucial resource in carrying out the holistic mission, realizing the identity of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Christian professors are called to fulfill the holistic mission callings. In accordance with the Scripture, the Cultural Mandate (Gen. 1:28), the Great Commission (Matt. 28:1820),and the Great Commandment (Matt. 22:3740)address the Christian holistic mission. These three are independent and complementary,combined in the holistic missional mandate. Christian professors should do their best in playing the roles of carrying out the missional mandate. They should do research and educate as carriers of the cultural mandate. They should model and exert themselves in the developing of characters of students as well as teach the truth. They should not only reveal the truth of God and serve human society but also glorify God through research activities. They should, as great commissioners, devote themselves to campus mission. They should love and serve their neighbors as great commandment carriers through voluntary service and activity as well. 기독교대학과선교는밀접한관계가있다. 기독교대학은일반대학과 마찬가지로 대학의 3대 사명인 교육, 연구, 봉사를 추구하는 학문공동체로서, 기독교교육을 통하여 교회와 국가와 인류사회에 공헌할인재들을양성하는것을목적으로한다. 동시에기독교대학은학문활동을통하여그리스도의복음을증거하는증인공동체로서선교적사명을가지고 있다. 통전적선교란복음전도와사회참여를모두포함하는포괄적의미의선교개념이다. 이러한통전적선교의개념은1974년스위스의로잔에서모인세계복음화국제대회의로잔언약을계기로명확하게이루어졌으며, 통전적 선교의 성경적 근거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과 명령에서찾을수있다. 따라서기독교대학의선교는이러한통전적선교의관점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기독교수는 기독교대학이 정체성을 구현하며 통전적 선교를 감당함에있어서가장핵심적인인적요소이다. 기독교수는통전적선교명령에대한소명을받은자들이다. 성경에나타난통전적선교명령은문화명령(창 1:28)과 대위임령(마 28:1820)과 대강령(마 22:3740)이다. 세명령은 각각 독립적이면서도상호보완적인 관계이며, 통전적 선교 명령안에서 통합되어 있다. 기독교수는 선교명령의 수행자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기독교수는문화명령의수행자로서교육과연구활동을해야한다. 기독교수는 교육 활동을 통하여 진리를 가르칠 뿐만 아니라 모범을 보여야하고학생들의인격형성에도힘써야한다. 기독교수는연구활동을통하여하나님의진리를드러내고인류사회에봉사할뿐만아니라궁극적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한다. 기독교수는 대위임령의 수행자로서학원선교사의 사명을 감당해야 한다. 기독교수는 대강령의 수행자로서봉사 활동을 통하여 이웃 사랑과 섬김에 힘써야 한다.

      • KCI등재

        한국 사회 침묵의 문화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연구

        박우영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침묵이 갖는 사회적 의미와 역할은 다양하게 평가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침묵이 명령과 통제라는 억압적 기제로 작용한다면, 침묵의 문화는 개인과 공동체의 도덕적 성찰과 실천을 가로막는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될 것이다. 특 히 한국 사회 내에서는 왜곡된 가족주의 문화와 같은 집단 이기주의를 중심으로 부정과 부패에 관해 침묵하는 문 화, 사회적 신뢰집단의 상대적 부재로 인해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하지 못하는 침묵의 문화, 개별적인 책 임적 자아의 가치판단과 실천에 개입하여 순응시키고 통제하여 침묵을 강요하려는 문화 등이 존재해 왔다. 한국 사회 내 학교에서는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삶의 이야기를 풀어낼 표현의 자유보다 획일적 순응과 복 종이 성숙이라는 잘못된 메시지를 통해 침묵을 학습해 왔다. 교회는 현실주의적 이원론을 근거로 비정치화된 기 독교 신앙을 중요하게 여겨왔기에, 사회 속에서 도덕적 주체들을 형성시키고, 그들로 하여금 도덕적인 숙고와 실 천을 이끌어가도록 제대로 돕지 못했다. 신학의 현장은 사회적 악의 문제에 대한 비판과 악의 구조를 새롭게 명 명하여 읽어낼 작업을 지속적으로 감당하지 못할 때, 신학의 침묵이란 신학적 죄에 빠지게 된다. 한국 교회 내에 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앙고백적 언어와 현실분석적 언어를 구별해 내는 작업, 인간의 기본가치 실현을 향한 다양한 노력들을 포용해야 할 것이다. 침묵의 문화를 넘어서기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은 첫째로 침묵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의 층위가 매우 복합적이라 는 점, 둘째로 누가 왜 사회적인 침묵을 강요하는지 지속적으로 질문하는 작업, 셋째로 지역 공동체, 신앙 공동체 등과 같은 크고 작은 공동체들의 서로 다른 의견들이 공적으로 표출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는 일, 넷째로 다양 한 신뢰집단의 생성이란 과제들이다. 이와 같은 방향성을 향한 실천의 도덕적 주체로서 교회 공동체가 사회적으 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침묵의 문화를 극복하려는 방향성은 단 하나의 진리라는 폐쇄적 구조에 서 벗어나 ‘자기-관계적 진리’라는 차원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진리로 여겨지는 것이 새로운 관계성들 가운데서 어떠한 동인이 되고 있는지를 참여적 실천을 통해서 알아가고 경험해 가는 것이다. 획일적 명령과 통제에 의한 강요된 침묵이 아니라, 서로의 다른 의견과 가치, 그로 인한 새로운 방향성과 실천에 감탄하고 동의하는 의미의 침묵이 새롭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social meanings of silence could be variously evaluated. However, if a culture of silence works as an oppressive system for order and control in the society, it can be a major obstacle to not only individual but also communal moral reflection and practice. Especially in Korean society, there have been a distorted culture of familism based on collectivism which leads to silence on injustice and corruption, an absence of trustful social groups that can speak for the marginalized, and a coercive culture of internalization of others' values. Youth members in Korean schools have been forced to accept uniform orders and obedience rather than to express their own stories and thoughts, which can lead to a culture of silence. Korean churches based on a strong dualism between church and society have emphasized a depoliticized Christianity as a goal of people of faith. As a result, Korean churches could not help lay members to be active moral agents and to consistently make a moral reflection and practice. In the field of theology, theological sin could be committed when theology gets lost in responsibly criticizing current structures of social evils and creatively naming concealed social evils. To overcome these problems in Korean churches and theological fields, I suggest that we should distinguish between confessional languages and realistically analyzing languages in our harsh realities and try to realize human basic values like freedom, equality, and justice. To go beyond a culture of silence in Korean society, these critical points need to be reconsidered: 1) socially multi-layered meanings of silence, 2) critical questions of who wants to force a culture of silence and why, 3) official channels through which various opinions and thoughts of different local communities and churches, and 4) a process of building up socially trusted groups that speak for the marginaliz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 suggested points, the major role of Korean churches as communities of faith need to be reevaluated. Finally, a direction toward overcoming a culture of silence is related to changing the closed system of truth into multi-dimensions of participating in 'truth in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