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중 인문교류의 현황과 전망

        魏幸復(Hang-bok Wee) 중국어문논역학회 2017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1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특수한 관계에 있으며, 오랜 기간 활발한 문화교류를 유지하여 왔다. 냉전시기에 들어선 이후 양국의 교류가 잠시 중단되었지만, 1992년 修交 이후로는 모든 방면에 있어서의 교류가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그러나 장애요소가 없지도 않으니, 역사, 영토, 문화유산에 관한 갈등, 북한 핵, 미국과 중국의 경쟁과 갈등 등등, 새로운 문제들이 계속 대두하고 있어서, 교류와 접촉의 확대에 따라 갈등 또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문교류는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갈등을 완화하거나 해소하는 방편이 될 수 있다. 인간이 집단을 이루고 살면서 창조해 온 ‘人文’이 ‘존중’과 ‘화합’의 가치를 추구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국과 중국이 문화적으로 높은 친연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학술적, 문화적 교류가 문제에 대한 이성적이고 본질적 인식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비이성적이고 피상적 인식이 야기할 수 있는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을 방지하거나 해소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과 중국의 인문교류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상호의 문화적 정체성을 인정하고 공존의 관계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 정부가 求同存異의 원리를 내세우고 있지만, ‘儒敎文化圈’ 혹은 ‘漢字文化圈’이라는 단순한 범주화는 문화제국주의에 대한 우려를 야기할 수도 있다. 평등하고 상호적인 인문교류가 전제되어야만 ‘문화공동체’의 모색도 가능해질 것이며, 문화산업 분야에서의 共贏 가능해질 것이다. 최근의 경험은 인문교류가 다른 분야에서 발생한 갈등요소에 의해 간섭받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일깨웠다. 그렇게 해야만 인문교류의 본래적 의의를 살릴 수 있을 것이다. 양국의 인문교류를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전시켜 갈 수 있는 제도와 기구를 설립하고, 교류의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Korea and China have a special geographical relationship and have been active in cultural exchanges for a long time. After entering the Cold War period,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been suspended for a while, but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exchanges in all aspects have been developed dramatically. However, as a result of expanding exchanges, there comes new obstacles such as conflicts on history, territory, cultural heritag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competi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so on, Respectively. In this period of time, humanistic exchange can be a way to alleviate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conflicts. It is not only because ‘humanities’ that human beings have created while living in a collective society pursues the values of ‘respect’ and ‘harmony’, but also because Korea and China have relatively high cultural affinity. Academic and cultural exchanges will enable us to recognize the fundamental problems, and will prevent or even eliminate unnecessary misunderstandings and conflicts that may result from irrational and superficial perceptions. In order to develop humanistic exchanges,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e cultural identities of each other and to establish a coexistent society between Korea and China. Chinese government persists the principle of ‘acknowledging the differences between pursuing the same point’, but this simple categorization of ‘Confucian Cultural Circle’ or ‘Chinese Character Culture Circle’ may cause concerns for cultural imperialism. Equal and mutual exchanges of humanities should be premised on achieving the original purpose of ‘strengthening human bonds’ and win-win in the field of cultural industries will be possible. Recent experiences have reminded us that humanistic exchange should not be interfered by conflicts of other fields. Only then will the ‘humanistic exchange’ can regain its original meaning. We should establish systems and institutions that can develop the humanistic exchanges between two countries, and also build plans for long term roadmap of further relationships.

      • KCI등재

        대외문화정책 담론의 변천과 국가별 용어 활용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 국제문화교류의 개념 고찰

        신혜선,조효정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3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6 No.2

        The Republic of Korea enacted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motion Act in 2017, which generated heated congressional discussions over the vagueness of the key terminology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is situation necessitates a careful review of the term for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However, this terminology problem is not unique to Korea and represents one of the key challenges currently faced by Korean cultural diplomacy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olicy.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this challenge and provide valuable policy insights and a rationale for policy improvement in the field of Korean cultural diplomacy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pursuit of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rucial terminologies within the realm of cultural diplomacy/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is study will conduct a multi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discursive policy analysi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dynamic evolution and prospective trajectory of cultural diplomacy,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engagement and cooperation. Additionally, the study identifies the distinctive approach employed by Korea in the utilization of the term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which combines elements of cultural diplomacy with the arts and culture industries. By addressing the terminological ambiguity and proposing recommendations for clarity and precision in the terminology used,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Korea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olicy. 2017년에 제정된 「국제문화교류 진흥법」의 입법 심사과정에서 ‘국제문화교류’에 대한 학술적, 실제적 정의의 불명확성이 지적되었다. 이에 주목하여 ‘문화외교’와 ‘국제문화교류’를 둘러싼 국가별 행정 용어 활용 실례, 그리고 이론적 개념을 담론적 정책 분석(discursive policy analysis)에 근거하여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를 중심으로 채택된 용어가 어떤 사회적, 정치적 맥락 가운데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용어별 의미에 대한 이해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이론적 정의를 한국 문화정책 맥락에서 이행된 문화교류 정책에 비추어봄으로써 '국제문화교류' 개념 정립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자료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국가별 대외문화정책을 지칭하는 용어는 문화외교, (국제)문화협력, 국제문화교류, 국제문화정책 등으로 각 국가의 언어, 문화적 관념과 유관 정책의 진화과정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문화외교’로부터 ‘문화협력’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유럽을 중심으로 문화협력의 개념적 정의와 담론이 조성되고 있다. 한국의 국제문화교류 정책에서도 쌍방향 교류와 문화협력 담론을 수용한 행정체계와 정책과제가 확인된다. 그러나 지원사업을 통해 본 한국 국제문화교류의 추세는 한국 문화예술 분야의 국제 경쟁력 강화 및 국제시장 진출이 주를 이루고 있다. 더불어 2020년 신한류 정책에 쌍방향 교류 담론을 적용함으로써 경제적 파급효과 중심의 한류 정책과 국제문화교류 간 개념 및 정책의 경계가 모호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국제문화교류 정책 방향의 명확성과 개념 정립을 위해 문화교류 참여 주체 중심의 현장성 및 상호성이 강조된 ‘문화협력’ 개념을 한국 정책 환경에 적합하도록 재해석하고, ‘팔길이 원칙’의 행정체계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 중국의 문화교류 증진을 위한 거버넌스 기능 분석

        이초범(Chao Fan Li),황인영(Inyoung Hwang),이종열(Jong-youl Lee) 한국문화정책학회 2015 문화정책 Vol.2 No.2

        21세기 글로벌 환경에서 국가 간의 교류는 점점 더 빈번해지고 있으며 그 분야와 다양성은 날로 확대되고 있다. 그 중 문화교류는 다른 분야의 교류를 견인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경제발전에서 나아가 자국의 우수한 문화유산을 발전시키고 이를 전 세계에 알려 중국의 국가브랜드를 높이고자 애쓰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 문화교류 거버넌스의 기능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여 향후 중국의 문화교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중국 문화교류 거버넌스 참여주체는 크게 중앙정부, 지방정부, 민간단체로 구분되며, 각 주체들은 대내외적으로 서로 다른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은 다양한 거버넌스 참여주체들을 통해 거버넌스 체계를 발전시키고 있다. 현재 거버넌스 체계에서 각 참여주체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협력관계의 기능을 보완한다면 중국의 문화교류는 더욱 전세계적으로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Exchanges among nations become frequent and subject and diversity of exchange is expanded in the 21st century global environment. Cultural exchanges leads exchanges of other fields. China makes an great effort to enhance national brands by developing excellent cultural heritage and introducing it to the world.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China"s cultural exchange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functions of China"s cultural exchanges governance and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in the cultural exchanges governance of China are largely divided into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each participant takes different roles domestic and foreign aspects. China is developing the cultural exchanges governance system through the fostering various participants. Cultural exchange of china is expected to be promoted by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participants and complementing the functions of cooperative relationships.

      • 문화 영역 ODA 관점에 따른 한ㆍ아랍 문화교류 활성화 방안

        김향림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13 문화예술경영 Vol.3 No.-

        우리나라 국제문화교류는 문화다양성에 기반을 둔 소통 중심의 쌍방향적 교류를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아랍연맹국가와의 문화교류 시 문화교류 및 문화외교 차원에서의 단발성 교류만 진행되 고 있으며, 이들 지역 개발도상국 같은 경우는 국가수교행사 이외에는 문화교류가 전무하다 시피 하다. 우리나라 정부와 아랍연맹 국가는 그동안 문화적 교류가 부진하였던 점을 반성하고, 양 국 가 간의 상호 이해와 협력 증진을 목적으로 2008년 한국과 아랍연맹 22개국이 한-아랍소사이어 티(Korea-Arab Society: KAS)라는 공익비영리재단을 설립하였다. 현재 KAS는 우리와 아랍지역과 의 유일한 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 상호문화를 존중하는 문화교류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 만, 교류 현황을 보면 여전히 정부 대 정부의 문화외교 수준에서의 교류가 주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 영역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의 관점을 가지고 아랍 연맹국가와의 교류 시 문화다양성에 기반을 둔 소통 중심의 문화교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하 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화 영역 ODA의 개념과 사업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아랍연맹 및 KAS의 문화교류 현황을 통해 쟁점을 도출하며, 4가지 해결 방안을 모색 하였다. 즉 아랍지역 문화교류 거점지역 개발, 전문 인력의 양성, 문화 영역 ODA 사업 발굴, 그리고 한-아랍간의 가교 역할을 하는 KAS의 역할 확대에 대한 방안을 제안한다. Korea'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has its purpose as communication oriented mutual exchange based on the cultural diversity. However, in culturally exchange with the Arab League, only the sporadic exchanges are being implemented in the dimension of the cultural exchange and of the cultural diplomacy; in the case of the developing countries in these areas, though, there are virtually no incidents happening other than the ceremonial events of the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countries. Korean government and the Arab League countries have established in 2008 a non- profit organization called ‘Korea-Arab Society: KAS’, for the purpose to promote their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regretting that there hasn't been enough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so far. At present KAS is, as the only cultural exchange mediating agency between Korea and the Arab League, expediting their cultural exchange activation with mutual respect of each other's culture; in looking at the current condition, though, it is still mainly the government vs. government cultural diplomacy level exchange. Thus, in this study I'd like to propose the cultural exchange activation strategies based on the communication centered two way exchanges based on the cultural diversity with the cultural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erspective in the cultural exchanges with the Arab League. For this, I reviewed the cultural ODA's concept and their business types to extract the issues through the Arab League and KAS's cultural exchange current conditions, and explored the 4 solution strategies to propose as follows: the Arab League cultural exchange base area development, cultivation of the expert labor force, cultural ODA business development, and KAS' role expansion to include the Korea-Arab bridging.

      • KCI등재

        문화교류사의 입장에서 본 동아시아 고대 교육

        안경식(安京植)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4 敎育思想硏究 Vol.15 No.-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세 나라는 지리적으로도 인접해 있지만 문화적으로도 동질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세계’, ‘동아시아 질서’ 등의 개념까지 생겨났다. 역사적으로 보면, ‘동아시아 세계’ 혹은 ‘동아시아 질서’가 처음 형성된 것은 한대(漢代)부터였으며, 이것은 강제적이고 무력적으로 형성된 세계이다.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세계가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당대(唐代)부터이다. 고명사(高明士) 교수는 당대에 형성된 이 세계를 교육의 입장에서 ‘동아교육권’이라 하였고, 이는 한자(漢字)교육․유학(儒學)교육․양사(養士)교육․성학(聖學)교육으로 구성된다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고대교육의 동질성의 형성과정을 문화교류의 내용과 형식이라는 두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문화교류의 ‘내용’의 측면에서는 교육제도의 교류과정과 교육사상의 교류과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문화교류의 ‘형식’이란 측면에서는 공식적, 비공식적 인적 교류를 통한 교육문화의 형성과정을 고찰하였다. 동아시아 교육모형은 7세기에 동아시아 삼국에 정착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 동아시아 삼국은 문화교류를 소홀히 했고, 자기 문화의 동질성 보존에 치중했다. 문화적 동질성은 화해와 협력의 바탕이 되기도 하지만 자기중심주의와 폐쇄주의로 흐를 수 있으며, 문화적 이질성은 갈등과 문제의 소지가 되기도 하지만 문화적 역량을 키우는 바탕이 되기도 한다. 고대 동아시아사는 국가가 발전하고 교육이 발전하려면 부단한 문화교류를 통해 끊임없는 자기혁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本文旨在從文化交流史之立場, 探討古代東亞三國之敎育制度和思想, 呈現出東亞文化的同質性, 提供未來東亞三國文化發展之參考資料. 本文除緖論(第一章)和結論(第五章)以外, 共分三章. 各章題目如主要內容如下: 第二章: 從政治立場看東亞世界和東亞敎育圈. 在此章探討所謂‘東亞世界’的出發點在於先秦時代的天下觀念和華夷觀念, 而到了漢代靠武帝的膨脹政策形成了以中國爲主的東亞世界. 但漢代東亞世界之特色是單方的ˎ武力的, 不是雙方的ˎ文化的. 在東亞三國之間眞正的文化交流, 到了唐代才實現. 高明士敎授在他的著書造出‘東亞敎育圈’的槪念基於從來的東亞世界, 它被構成了漢字敎育ˎ儒學敎育ˎ養士敎育ˎ聖學敎育等四個共通文化要素. 第三章: 從文化交流之內容看古代東亞敎育. 在此章從敎育制度和敎育文化等兩方面探討東亞三國之文化交流的實際. 本文指出要了解東亞敎育制度需要考察學校制度ˎ敎育行政制度和學禮, 同時指出東亞敎育思想之主要來源不但是儒敎, 而是佛敎. 尤其是佛敎思想對東亞三國之民衆敎育所扮演的角色和影響絶不能忽視. 第四章: 從文化交流之形式看古代東亞敎育. 在此章探討使節ˎ宿衛學生等公的文化交流和求法僧等私的文化交流之敎育意義. 從文化交流史的立場來看古代東亞三國之敎育, 雖有不少之差異, 透過不斷的文化交流而克服自己爲主的文化閉鎖性. 此時期被形成的敎育文化的共通特質, 籍供爲未來東亞新敎育模式參考資料.

      • 남북 문화유산의 교류협력 현황과 과제

        정은찬(Jeong, Eun-Chan),문철훈(Moon, Chul-Hoon)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 No.1

        이 글은 남북 문화유산 교류협력의 필요성과 과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화유산 교류협력은 남북한 주민들이 실제 생활에서 정서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분야이다. 문화유산은 남북 주민의 삶을 통해 같은 역사, 같은 문화 속에서 형성된 것이며, 감정이나 유대감이 담겨 있는 자산이다. 때문에 서로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이 많으며 이념이나 정치적 의도에 의해서 영향 받을 가능성도 적다. 남북한 간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이나 관리방식에서는 현재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그동안 남북 문화유산 교류협력은 일정한 성과를 거두어왔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하였으며, 향후 남북한 주민의 동질성 회복을 위해 적극 추진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무엇보다 교류협력의 범위와 내용을 확대하고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남한의 물질·기술적 지원, 교류협력을 위한 인프라 구축, 민간단체와의 협조체계 등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북한은 문화유산발굴과 보호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김정은의 담화 발표, 법제정, 문화유산 유네스코 등재, 문화유산 관리 우수자 표창 등의 노력들은 교류협력 활성화 가능성이 보이는 부문이다. 물론, 남북이 문화유산을 바라보는 시각에 차이가 적지 않아 분단현실을 실감하게 하는 부분도 많다. 그럼에도 우리는 점진적으로 문화유산 교류협력을 확대하면서 북한지역의 문화유산 보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남북 문화유산 교류협력이 궁극적으로 통일로 나아가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통일 이후 남북한 주민 간의 갈등을 줄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discusses the necessity and tasks of the South-North exchange and cooperation in cultural heritage. The South-North cultural heritage is an area which can form a sentimental sharing between the South and North residents as it was formed through the same history and culture and is still experienced in their daily life. It is definitely a valuable asset which can be shared to a great extent for the sentiments and fellowship embedded in it. This field also has little risks of being influenced by political purposes or ideologies. Thus, promoting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field of cultural heritage seems appropriate and urgent. Although there has been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has made some accomplishment. However, there are several tasks we need to solve in order for activating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Expansion of scope and content of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material and technical support from the South for preserving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North; building infrastructure for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liaison with private organizations are the necessary tasks. Recently, the North has showed positive interest for excavating and protecting the cultural heritage. Jung-eun Kim"s announced statements, legislation, UNESCO registration, commendation of excellent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re among the efforts. These efforts suggest that there is a great potential for invigorating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As a matter of fact, differences between the perspectives on the cultural heritag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cannot be overlooked. Despite that, we should gradually enlarge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cultural heritage and pay close attention to the preserving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North region. Ultimately,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the cultural heritag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can play a great role in progressing towards unification and it also can contribute to reducing conflicts among residents after unification.

      • KCI등재

        전통의 현대적 수용과 계승을 위한 모색 -문화청 문화교류사 사업을 중심으로-

        김현욱 ( Kim¸ Hyeon-wook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3

        이 논문은 문화청 문화교류사 사업이 일본 정부가 추진하는 국제문화교류·국제공헌을 위한 주요 시책이라는 인식하에 문화교류사의 지명과 지명 분야의 선정배경을 조사하고, 동시에 문화교류사 사업의 특징과 성과를 살펴본 연구이다. 문화교류사의 지명은 전통문화 분야에서의 선정 비율이 높고, 그중에서도 장르와 영역을 넘어 활동하는 국제성을 갖춘 문화예술인을 지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결과 문화청 문화교류사 사업이 의도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전통예술을 현대적인 방법으로 융합시키고 동시대적인 힘을 얻게 하는 데에 커다란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문화교류사 사업이 결과적으로 전통문화에 종사하는 예술인을 후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이를 문화교류사의 활동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사례로 들은 전통예술문화 분야의 문화교류사는 전통과 현대, 일본과 해외의 경계를 넘어 활약하는 예술인이 대부분이다. 이미 국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으며, 해외 예술가와의 인맥 형성이 왕성한 이들을 문화교류사로 지명함으로써 문화교류사 사업이 목적으로 하는 해외 문화예술가와의 네트워크 강화라고 하는 점은 상당 부분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bout the Japanese Cultural Envoy. This undertaking aims to deep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understanding of Japanese culture and build and strengthen networks between Japanese and foreign artists and experts. Throughout the thesis,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Japanese Cultural Envoy is investig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Japanese Cultural Envoy are considered. In particular, the Japanese Cultural Envoy has a high rate of selection in the traditional culture field. Although the profession is a specialist in traditional arts, there are many examples where people who perform in collaboration with contemporary artists or active internationally are selected as the Japanese Culture Envoys. As a result, opportunities for modern people to have cultural values and interest in traditional arts are increasing. In sum, this thesis explains various examples of the Japanese Cultural Envoys.

      • 한일 청소년문화 교류의 실제와 발전방안

        이용교 글로벌청소년학회 2013 글로벌청소년학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다양한 국가간 청소년교류 중에서도 한국과 일본의 청소년교류의 실제를 살펴보고 발전방 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일 청소년교류는 그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 국가||| 지방정부||| 청소년단체||| 학 교||| 기업 등이 있고||| 교류의 내용이 무엇인지에 따라 학술활동||| 문화활동||| 스포츠활동||| 종교활동||| 여행||| 산 업시찰 등 다양하다. 국가간 교류는 초청하는 국가가 체재비의 전부 혹은 일부를 지원하고||| 지방자치단 체간 교류는 자매도시끼리 주기적으로 교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청소년단체가 교류는 협약한 단체들이 상호 초청을 하고||| 기업에 의한 교류는 목적사업에 맞추어서 진행된다. 이점에서 ‘한?일 해협 8개 시?도?현 청소년 문화포럼’은 한국과 일본의 8개 지역 청소년과 지도자 100여명이 함께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국제교류를 하면서 국내 지역간 교류도 가능한 방식이었다. 참가자들은 한국속의 일본문화||| 일본속의 한국문화||| 그리고 학교문화에 대해서 토론하고 문화활동을 관 람하며 여행하면서 친교할 수 있었다. 한일 청소년교류가 더욱 발전되기 위해서는 교류의 계기를 확대하 고||| 상대방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온라인을 통한 일상적인 소통||| 수학여행을 통한 교류를 확대하 고||| 아시아문화를 함께 창조하며||| ‘유스 피스보트’와 같은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남한과 북한, 통일의 문화적 조건

        박신의(Park Shin-eui) 한국국학진흥원 2007 국학연구 Vol.10 No.-

        남북 통일의 문화적 조건을 논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동질성을 단순 ‘회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재창조’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둘 필요가 있다. 차이 자체가 갈등의 요인일 수 있지만, 그 자체의 존중과 이해를 통해 훨씬 새로운 차원의 문화적 자원을 얻어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실제로 남북문화의 차이는 단순한 갈등의 관계로만 연결되지 않는다, 오히려 북측의 차이가 남측의 예술언어와 문화적 표현방식에 신선한 자극과 상상력, 창의적인 발상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 점에서 남북문화교류의 접근을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장치로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은 실제로 분단으로 인해 야기된 상호 적대적이며 대결적인 분단체제를 해체하고 온존한 상호이해 기반 체제를 이루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남한 사회 내부에 여전한 냉전문화라든가, 반쪽의 역사를 통해 훼손된 전통과 언어, 그리고 각종 자본주의적 이윤추구에 의해 상업화된 우리의 민속문화와 문화적 아노미 현상 등을 성찰하게 되는 계기로 받아들일 수 있다. 동시에 남북문화교류를 자국의 구도가 아니라,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재규정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세계화 현상은 상호 체제의 이질성으로 인한 문화적 단절감을 새로운 형태로 진전시키게 된다. 가장 비근한 현실은 곧 북한에 불기 시작한 한류의 영향이다. 그 영향력이 매우 크게 드러나자, 북한은 남한 대중문화에 대한 경계심을 더욱 높게 가질 수밖에 없게 되면서 상호교류에 대해 일정하게 장애요소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북한의 개혁과 개방이라는 과제는 세계화 현상 속에서 더욱 구체적이고 긴급한 요구로 다가오게 된다. 그런 점에서 세계화와 통일의 문제를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스펙트럼이 요구된다. 개혁과 개방에 의한 남북문화교류는 북한 문화시장에 대한 개방을 의미한다. 이 시장은 남한이 독점할 수 없는 개방된 시장일 것이며, 북한 문화시장을 두고 남한을 비롯하여 중국과 미국, 일본의 대중문화가 경쟁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북한의 문화시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적절한 문화상품을 공급할 수 있는 지원체제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남북문화교류와 이를 통한 사회통합이라는 과제는 다시 동북아 문화공동체라는 구도를 갖게 된다. 결국 남북 통일문화는 곧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미래적 제언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세계화 기존에 걸맞는 사고와 행동, 다양성 존중, 공존상생하려는 생명존중과 평화 및 국제협력에 대한 존경을 실현하기 위해 편협한 민족주의 또는 국수주의를 과감히 벗어버리는 일이 될 것이다. 또한 남북문화공동체 형성은 남북의 통일을 위한 과정이면서 동시에 한민족의 정체성을 고리로 한 한민족 문화네트워크의 재구축 과정과 병행될 때 세계적 구도가 주어질 수 있다. 이러한 통일을 위한 문화교류의 새로운 구도를 놓고 이를 실행할 여건을 형성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기본적으로 교류 사업을 동질성에 대한 막연한 가정을 두고 결과물 중심으로만 할 것이 아니라, 예술 창작과 향유, 교육 전반에 걸친 구조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면서 교류대상을 창작물 형성 과정에 대한 것으로 전환하는 것도 한 빙안이라 본다. 또한 문화예술 분야에서 지속적인 교류 협력사업이 수월해치야 하는 요구에 따라, 남북문화교류 채널의 제도화와 이와 관련한 법제도 기반 조성을 여건 형성으로 제시할 수 있다. 그런 가운데 『겨레말큰사전』 사업을 통한 언어공동체 형성 작업은 앞서 제안한 구도를 실현할 수 있는 본격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즉, 단순 동질성의 회복이 아니라, 새로운 창조로의 방향에 대한 실천이라는 것이다. To discuss the cultural condition of the unification of North-South Korea, we need to approach this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re-creation' of new identity not 'restoration' of past identity. The difference itself can be a factor of conflict, but it also can be seen as a new level of cultural resources based on the respect and understanding of this difference. In fact, the cultural ga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doesn't always indicate the feud. Rather, the North Korean culture provides fresh new vivacity and imagination as well as creative thinking to South Korean cultural expressions and artistic languages. In this sense, the approach to cultural exchange between two Koreas need to be considered as a means for the social integration. This approach, in fact, is the process to dismantle the hostile and competitive atmosphere to each other caused by the political division and eventually to establish mutual understanding based system. And also this means, for example, to have the opportunity to reflect the persisting cold war era attitude in South Korea, the damaged traditional and language by the half split history, commercialized folk culture by the capitalistic interests, and present cultural anomie phenomenon, etc. Meanwhile, we need to redefine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in more wide spectrum of globalization, not in the local and self-centered perspectives. The globalization, above all, leads to a sense of alienation derived from newly faced heterogeneous cultures and political systems. The easiest example is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called 'Hallyu'. When this Korean Wave appears to be so powerful, North Korean government became even more alert to the South Korean pop culture, and it effects negatively to an extent in North-South cultural exchange. But the reformation and openness to the world of North Korea in the midst of imposing globalization will grow more urgent and concrete. In this sense, we need to have a stereoscopic spectrum to view the globalization and unification issue.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led by North Korea's social reformation and openness policy means the openness to the North Korean cultural market. This market is an open market which South Korea cannot hold monopoly, and China, United States, and Japan will be fighting over for North Korean culture market. Therefore, it needs to be studied on North Korean culture market and the necessary support system to provide the right cultural product based on these studies will be also required. Also the challenge to build North-South cultural exchange and the social unification enabled by this exchange, will be once again structured in the frame of North-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To establish a unified culture of North and South is after all the futuristic proposal for the peace and prosperity of North-east Asia. To be equipped with the mind and action corresponding to global standards, the respect for diversity, the respect for life for co-existence, and again the respect for the peac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we need to discard the narrow mind set of nationalism. Also building the North-South Korean cultural community is a step towards the unification. And the international composition will be possible when it's accompanied simultaneously by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of Korean cultural network anchored in Korean identity. It is a very important issue to satisfy necessary conditions in relations with the newly proposed composition of cultural exchange which fundamentally directs the unification. As a method, the cultural exchange needs to be propelled based on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artistic creation and its enjoyment and education. Also the goal of exchange needs to be shifted from the final product which is made based on uncertain hypothesis of Korean homogeneity to the creation process itself. Following the increasing demands to ease the exchange and co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