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회자 이수영과 그의 목회자관

        최윤배 ( Yoon Bae Choi )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4 No.-

        우리는 여섯 가지 관점에서 장로교회의 신학자와 목회자로서의 이수영(李秀英, Sou-Young Lee, 1946-)을 특징화했다. 그는 한국인으로서 칼빈신학을 주제로 신학박사학위를 받은 칼빈전문가이다. 그는 “성경적·복음적·개혁적” 신학자이며, 경건 훈련과 실천을 강조하는 경건과 실천의 신학자이며, 국제적 석학이다. 또한 이수영은 교회연합과 일치의 목회자인동시에 전형적인 장로교회의 목회자이다. 그는 “보통 목회”를 추구했다. “보통”의 목회는 인간적인 목회인 동시에 민주적인 목회이다. 인간적인 목회라는 말은 인간중심주의적인 세속적 목회라는 말이 아니라, 사람을 닦달하지 않는 자연스러운 목회를 말한다. 그가 의도하는 “보통” 교회는 모든 일을 바르게 하는 바른 교회와 교과서적인 모범적 교회이다. 이수영은 목회 현장으로서의 교회를 개혁교회의 전통과 에큐메니칼 정신을 구현하는 성서적, 사도적 교회로 이해한다. 그의 교회관은 삼위일체론을 밑바탕에 깔고 있으면서도, 기독론 중심적이고, 교회연합적이고, 종말론적이다. 그는 전형적인 개혁교회의 세 가지 표지(말씀의 바른 선포, 성례전의 바른 집행, 바른 치리 시행)를 교회의 표지(notae ecclesiae)로 받아들인다. 그는 목회자의 역할로서 목자, 교육자,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언급하고, 목회자의 자질과 자세와 관련하여, 목회자는 신앙인, 하나님 말씀의 종, 성령 충만한 지혜자, 전인적 인격자, 믿음과 경견의 모범, 사랑과 공의의 소유자임을 강조한다. 목회자 이수영이 신학자라는 사실은 그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목회 현장과 신학 세계의 불가분리의 관계에 대한 절대적인 강조에서 나타난다. “목회 따로 신학 따로”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것은 그에게는 절대적으로 불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목회 없는 신학이나 신학 없는 목회는 그에게 절대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말이다. 그는 목회자와 학문의 관계에서 목회자는 어떤 의미에서 학자적인 사람이 되어야함을 주장한다. 학자적인 목회자는 분석 능력, 종합 능력, 교수 능력을 가져야 한다. 이수영은 목회자는 일반 학문(역사와 철학 등)에 대한 관심과 함께, 특별히 신학에 대한 전문가로서 계속 연구해야함을 강조한다. 목회자에게 성경과 교리가 내용적으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목회자는 일차적으로 성경 연구와 교리 연구에 더욱 집중함과 동시에, 목회의 실천과 전달 방법과 관련하여 설교학과 교육학이 이차적으로 목회자에게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이수영은 목회자인 동시에 신학자이고, 신학자인 동시에 목회자이다. 그는 전형적인 개혁교회 전통에 서있는 장로교회의 목회자이면서도, 성경적, 사도적, 교회연합과 일치(ecumenical)의 목회자이다.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Rev. Dr. Sou-Young Lee as Minister and his View on Minister. As we celebrate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we will celebrate the significance of the Reformation Movement in the 16th century and celebrate the faith of theologians and pastors who are faithful to the tradition of the Reformation in the 130 years of Korean Church history. In addition to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need for research, he began his work by proposing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pastor, Sou-Young Lee (1946-) himself and his pastor, as well as a reformed theologian of Presbyterian Church. He was born on October 9, 1946 in Seoul. He can be called a Korean excellent Calvinist. He thought systematic theology 17 years at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PUTS). Since then he has been ministering in the Presbyterian Saemoonan Church, Korea`s most organized church for 17 years. Only one thesis about him is written until now. This writing will be the second thesis about him. In discussing Lee`s view on minister, we used an approach generally used in systematic theology. His life was examined, followed by his view on minister. Section II deals with his life. Section III deals with Lee`s view on minister. Section IV summarizes our thesis. Sou-Young Lee as minister and his view on minister can be summarized and evaluated in the following ways. In conclusion, Lee is a pastor, a theologian, a theologian, and a pastor. He is a pastor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a typical Reformed tradition, but also a biblical, apostolic, ecumenical pastor.

      • KCI등재

        목회자의 이중직에 대한 실증 연구- 목회자 이중직에 대한 설문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기반하여 -

        조성돈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9

        한국교회 목회자들이 경제적인 어려움 가운데 있고, 그 결과로 이중직을 하고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각 교단들은 이러한 상황을 외면하고 있었고, 불법의 상황을 방치하고 있었다. 이에 목회자 이중직과 관련하여 목회자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포함한 실증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살피고 이에 기반하여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조사에 의하면 한국교회 목회자들의 66.7%는 보건복지부 기준 4인 기준 최저생계비 이하이고, 85.6%는 대법원이 정한 4인 기준 최저생계비 이하의 사례를 받고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자 이중직에 대해서는 73.9%가 긍정적으로 대답을 했고, 26.1%가 반대의견을 나타냈다. 겸직을 찬성하는 이유는 70.4%가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기 때문이라고 했고, 20.4%는 신학적로 가능하다고 대답했다. 또 현재 이중직을 하고 있는 목회자는 37.9%가 하고 있다고 대답을 했다. 특히 담임목사의 경우는 35.2%가 하고 있다고 대답을 해서 현실을 잘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이중직을 함에 있어서 애로사항을 물었는데 교인들이 좋아하지 않는다는 대답은 12% 밖에 안 되어서 현재 일반 교인들도 목회자들의 이중직에 대해서 개방적인 입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터뷰를 통해서 보면 더욱 실제적인 이야기들이 나타나는데 사모들이 먼저 경제적인 일을 시작하고, 사모들이 후유증으로 몸이 아프게 되는 상황에 몰렸을 때 목회자들이 이중직에 나서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은 한 일은 다양한데, 많은 경우 밤을 새우는 일이거나 위험한 일들도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이중직을 통해서 성도들의 삶을 더 이해하게 되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현재 목회자 이중직은 현실적으로 나타난 현상에 신학적 구성이 뒤따르는 상황이다. 더군다나 교단들의 입장에서는 불법화하고 있는 이중직에 대해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전향적인 이해가 필요하고, 신학적인 연구와 교단의 법률적, 실제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It is now a well known fact that many pastors are in serious financial crisis and, as a result, are in bi-vocational ministry in Korean churches. However, denominations are ignorant of the situation, and pay no attention to it although they knew that such situations violate their by-laws. For those reasons, in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are offered on bi-vocational ministry based upon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surveys, and qualitative research. According to the study, 66.7% of Korean church pastors make below the minimum cost of living for a family of four. 85.6% of them receive below the minimum cost of living suggest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Regarding bi-vocational pastors, 73.9% responded positively, and 26.1% were opposed to it. Reasons given for supporting the idea of bi-vocational pastors were because the pastors also need to support the family financially (70.4%). 20.4% answered that there was no problem theologically with the idea of bi-vocational pastors. Among the respondents, 37.9% are now bi-vocational. Shockingly, 35.2% of bi-vocational pastors were senior pastors, which gives a good picture of the reality in Korean churches. When asked about their difficulties as bi-vocational pastors, only 12% said that congregation members don’t like their pastors to be bi-vocational. This tells us that church members are more generous about and open to a bi-vocational approach. From the in-depth interviews, more practical stories were introduced about bi-vocational pastors. In most cases, pastors’ wives worked to help with the living expenses of the family, and pastors had to step into bi-vocational roles as their wives became sick or exhausted from their efforts in the work force. Their jobs vary, but some of those jobs require difficult and even physically dangerous work. However, they all said that they can understand more of their church members’ lives through their bi-vocational experiences. The issue of bi-vocational pastors is both practical and theological. Most denominations define bi-vocational pastors as violating their bylaws, and yet no alternate options seem to exist for those who can’t afford full time ministry due to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the church. There are active discussions and debates among pastors regarding the bi-vocational issue. Thus, more prospective studies about bi-vocational ministries aa well as thoughtful, theological, practical legal discussions are necessary for the future church.

      • KCI등재

        목회자 성범죄에 관한 체계적 사고

        김용우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8 신학사상 Vol.0 No.181

        The ‘Me Too Movement’ in Protestant churches seems quite passive, in spite of the movement’s spread to all fields of contemporary Korea society. However, this passive stream does not mean that Protestant pastors are free from this movement. Rather, pastors are likely more involved in sexual crime because of their powerful spiritual authority aspastors, and because of power imbalance between pastors and lay people in the Korean church. Pastoral sexual crime is not matter of linear causation in terms of personal sexual or spiritual deviation but a systemic problem in view of the personal pathology of narcissism and the abuse of power at the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level. First, pastor sexual misconduct derives from a pastoral proclivity to engage in narcissism. A pastor who has tendency of a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shows off his male identity through sexual relationship with woman believers. This reveals the interpersonal dynamic in which his need to satisfy his sexual desires comes at the expense of the exploitation of the women of his church and shows lack of empathy towards the sufferers of sexual crime. Second, pastoral sexual crime harnesses male-centered patriarchal power in Korean society and culture. Males in Korea society are dominators in the family. They sexually dominate and exploit females who are social and cultural underdogs. This is possible because they received the dominant power and social status from Korea society and culture. Third, pastoral sexual crime is abuse of spiritual power. A pastor that holds the abuse of narcissism power and male-centered patriarchal power, commits sexual crime to the weak female believer by using their absolute spiritual power. Thus, pastor sexual crime is the abuse of narcissistic power, male-centered patriarchal power, and spiritual power. This crime is protected by abuse of church’s power. However, pastor sexual crime is not any special pastor’s problem. It is likely to happen to many pastors who are oriented toward the narcissism power, the male-centered patriarchal power, and the spiritual authority. Therefore, a definite preventive discipline needs to be set up do respond to and prevent pastoral sexual crime and heavy punishment should be implimented toward sexual abusers in order to eradicate this phenomenon. 최근 한국 사회 전반에서 ‘미투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신교내에서는 ‘미투운동’이 꽤 소극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소극적인 흐름이 개신교와 목회자가 성범죄에서 자유롭다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목회자에게 부여된 강력한 영적 권위와 힘, 그리고 한국 교회의 목회자와 성도간의 절대적 힘의 불균형의 관계 때문에 목회자들은 성범죄에 연루될 가능성이 높다. 목회자 성범죄는 개인의 성적 또는 영적 일탈이라는 선형적 요인 (linear causation) 의 문제가 아니라, 개인의 자기애적 병리, 사회 문화적, 그리고 종교적 차원에서의 힘의 악용이 서로 얽혀 만들어낸 체계적 (systemic) 문제다. 먼저, 목회자의 성범죄는 자기애적 힘의 남용이다. 자기애적 인격 장애 성향의 목회자는 교인들과의 성적인 관계를 통해 자신의 남성 정체성을 과시하고자 하며, 자신의 욕구 만족을 위해 성적으로 대인관계적 착취를 하며, 성범죄 피해자들에 대한 공감 부족을 보이고 있다. 둘째, 목회자의 성범죄는 한국 사회의 남성 중심 가부장적 힘의 남용이다. 한국 사회의 남성들은 가정의 지배자요, 직장에서는 여성을 지배할 힘과 사회적 지위를 한국 사회와 문화로부터 부여받아 사회 문화적 힘의 약자인 여성을 성적으로 지배하고 착취하였다. 셋째, 목회자 성범죄는 영적 권력의 남용이다. 자기애적 힘의 남용과 남성 중심 가부장적 힘의 남용을 소유한 목회자는 강력한 영적 권력을 통하여 힘이 없는 여성 교인을 성적으로 지배하고 착취하는 영적 권력을 남용하는 성범죄를 저지른다. 이처럼, 목회자 성범죄는 심리적 자기애적 힘의 남용, 남성 지배적 가부장적 힘의 남용, 그리고 영적 권력의 남용으로서 교회 권력의 힘의 남용을 통해 교묘히 보호받고 있다. 목회자 성범죄는 어느 특정한 목회자의 문제가 아니라 자기애적 힘, 남성 중심적 가부장적 힘, 그리고 영적 권위주의를 지향하는 많은 목회자들에게도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에, 목회자 성범죄에 대한 철저한 예방 교육과 성범죄 가해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

      • 교회 심방에 나타난 목회자의 역전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순식 한국실천신학회 2021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세미나 Vol.2021 No.05

        목회자들은 심방을 통하여 성도를 만나며 사역을 한다. 심방과정에서 목회자는 역전이를 경험하게 된다. 역전이는 목회자와 성도 사이에 매우 중요한 현상이다. 목회 자는 역전이를 연구하고, 본질을 파악하며, 역전이를 극복하여 잘 대처해야할 필요성 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목회자들이 심방에 있어서 목회상담의 필 요성과 역전이 현상을 인식하여 심방 사역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심방에서 목회자가 경험하는 역전이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Colaizzi 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목회 현장에서 심방 사역을 담당 했던 경험이 있는 경력 2년 이상의 목사 8명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5개의 범주에 201개의 의미 문장을 도출하여 심방에서 발생하는 목회자의 역 전이 현상의 본질을 심도 있게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심방에서의 목회자 역전이 본질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 지로 정리 되었다. 첫째, 대부분의 목회자는 과중한 업무로 인해 심방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으며, 심방 이전부터 목회자는 성도와 신앙 안에서 이미 교제하고 있기 때문 에 역전이 반응이 일어나 목회자가 심방하기 이전부터 역전이를 경험하고 있다. 둘째, 역전이의 감정은 목회자 자신의 역동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목회자는 자신에게 발생하 는 역전이에 대하여 희박하게 인식하고, 역전이 현상을 성도가 목회자의 감정을 자극하는 것으로만 생각하여 방어를 하게 된다. 셋째, 목회자의 역전이 표현은 성도의 신 앙 상태와 반응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성도가 목회자의 권면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황에서는 목회자가 성도를 성경의 말씀으로 완곡하게 권면함으로써 본인의 역 전이를 표현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목회자가 성도의 말을 수동적으로 듣기만하 거나 감정의 표현을 전혀 하지 않는 방법으로 역전이를 표현하게 된다. 넷째, 대부분 의 목회자는 역전이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역전이를 심방에 효과적으로 활 용하지 못한다. 다섯째, 목회자가 자신의 역전이 현상을 인식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성령님의 인도하심으로 역전이 현상을 도구로 사용하여 목회자가 성숙하게 되는 경우 들도 있었음이 현상학적 연구를 통하여 증명되었다.

      • KCI등재

        목회자 은퇴 연구 : 공교회적 관점을 중심으로

        김상덕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3

        한국교회가 압축적이고 급속도의 성장을 거치고 난 후, 2000년도를 기준으로 전반 적인 감소세의 상황을 거치고 있다. 이는 다양한 문제로 이어지는데 그중 하나가 바 로 목회자 은퇴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한국교회의 목회자 수급과 처우, 작은 교회의 재정 자립도, 지속된 교인 감소세 등의 맥락 속에서 은퇴를 앞둔 목회자 의 수는 늘고 있다. 향후 은퇴하는 목회자의 수나 그에 따른 필요 재정, 구체적 기준 이나 교육 프로그램 등의 가이드라인이 없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목회자 은퇴와 관련한 지침이나 상황은 교단별로 상이하고, 그마저도 개교회에게 맡겨놓은 상황이라 이로 인한 부담과 책임은 오롯이 목회자와 교회의 몫으로 남아 있다. 근본적으로, 공 교회적 대응이 부족하다. 이 글의 주목적은 목회자 은퇴와 관련한 문제의식을 높이고 이에 대한 공교회적 대책을 고민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목회자 은퇴와 관련한 현실적인 어려움, 그중에서도 경제적 부분에 주목한다. 그리고 목회자 은퇴와 관련한 윤리적이고 신학적 논 의를 다룬다. 특히 작고 평범한 교회의 목회자가 은퇴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이 무엇 인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목회자 은퇴 보수 문제로 제기될 수 있는 사례를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이어서 목회자 및 교회가 당면한 현실적인 문 제를 따져볼 것이다. 글 마지막에는 불완전한 현실을 인정하고 이를 헤쳐 나가기 위 한 공교회적 관심과 실천의 필요성을 다룰 것이다. After the Korean church’s compressed and rapid growth, it is now undergoing an gradual decline as of 2000. This leads to various problems, one of which is the lack of preparation for the retirement of pastors. The number of pastors who are about to retire is increasing, while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imbalance of the supply of pastors in Korean churches, the lack of financial independence of small churches, and the continued decline in church members. Confusion is increasing because there are no guidelines such as the number of pastors retiring in the future, their financial needs and preparation, and manuals or standards for retirement. The circumstances related to the retirement of pastors are different for each denomination, and even that is left to each church, so the burden and responsibility for this remains solely pastors and churches. Fundamentally, there is a lack of a communal response as the one Holy Catholic Church.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aise awareness of problems related to the retirement of pastors and to consider a necessity of a communal response. This study focuses on the practical difficulties related to the retirement of pastors, especially the economic part. It also deals with ethical and theological discussions related to pastoral retirement. There are five major cases that can be raised as a pastor's retirement pay, particularly in order to examine in detail what difficulties arise when a pastor of a small and ordinary church retires. Then, it will examine the practical problems facing pastors and churches. At the end of the article, I will acknowledge the incomplete reality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communal response and practice to overcome it.

      • KCI등재

        목회자의 성폭력 원인과 방지 대책

        박기영 ( Park Kiyoung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9 복음과 상담 Vol.27 No.2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목회자 성폭력의 원인’을 고찰하고‘방지 대책’을 제시함으로 한국교회에 경각심을 갖게 해 한국교회 목회자의 거룩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오늘날 한국교회가 부패하고 타락했다는 그 중심에는 목회자의 성폭력 문제가 있다. 지금까지 목회자의 성폭력이 발생할 때 기독교계는 이 문제를 덮어버리려는 태도를 보였다. 그 결과 목회자의 성폭력은 계속 발생되고 있으며, 이는 기독교에 대한 신뢰도 추락과 교회부흥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 문제 해결의 한 방안으로 연구자는 메스컴을 통해 보도된 목회자 성폭력 관련 자료와 문헌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먼저 연구자는 목회자 성폭력의 실태와 그 후유증을 다루었다. 본론에서 연구자는 목회자 성폭력의 원인을 목회자의 세속주의 및 심리적 요인, 가부장적 교회구조와 영적 권위의 남용, 성경의 자의적 해석과 오용, 기독교 윤리 덕목의 왜곡, 교단의‘제 식구 감싸기’관행과 법령의 미비 등으로 보았다. 목회자 성폭력 방지 대책은 영성적 측면, 교육적 측면, 목회상담적 측면, 제도적 측면으로 나누어 구체적 대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연구가 각 교단 목회자 성폭력 예방 교육을 위한 자료로 사용이 되어 교회 내 목회자 성폭력을 방지할 뿐 아니라, 한국교회의 거룩성을 회복하는데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auses of sexual Violence of Pastors and Preventive Measures so leaders of christian churches of Korea could acknowledge the significance of this issue and take part in actual actions. The sexual violence and abuse of pastors are at the core of the corruption and graft of christian churches of Korea. Therefore, the author has analyzed the causes of sexual violence of pastors and preventive measures. First, the author addressed the reality of sexual abuse by pastors and its aftereffects. In this paper, the author claims that psychological factors of pastors, patriarchal church structure, abuse of spiritual authority, arbitrary interpretation and misuse of the Bible, distortion of moral virtues of Christianity, practice of a church of protecting it own people, lack of regulations and laws, and others are attributable to pastors’ sexual abuse. As for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exual violence of pastors, the author suggests various options in detail under 4 aspects: spiritual, educational, pastoral, and institutional aspects. It is truly hoped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the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for pastors, so that it will not only prevent the sexual abuse of pastors in the church, but also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the holiness of christian churches in Korea.

      • KCI등재

        목회자의 교회내 성폭력 예방을 위한 연구

        정희성(CHUNG Hee-Su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4

        이 논문은 목회자의 교회내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해 쓰였다. 현재 한국의 경우 목회자 성폭력에 대한 정확한 통계가 없지만, 신문이나 방송매체 등의 보도를 통해 보건대 외국 교회 못지않게 한국 교회에도 목회자에 의한 교회내 성폭력이 일정비율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구체적 연구가 매우 부족하기에 이 논문을 통해 교회내 성폭력의 정의와 현황을 이해한 후 목회자 성폭력 예방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했다. 이 논문에서 목회자 성폭력 예방방안은 세 가지 관점에서 다뤄졌다. 첫째 심리학적 진단의 측면에서이다. 진단의 관점에서 보면, 교회내 성폭력에 관여한 목회자들이 가장 많이 드러내는 성향은 자기애성 인격장애이다. 이에 심리학적 관점보다 목회신학적 관점에서 대안을 모색했다. 목회자의 자기애성 성향은 심리학이 관심하는 어린 시절 경험을 넘어서 선민의식, 또는 하나님과의 단독자 경험을 강조하는 신학이 더욱 강화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부부관계적 측면에 주목하였다. 부부간 불화는 목회자의 성폭력이나 성적비행을 예측케 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목회자 부부간 관계증진을 위한 다양한 상담 및 교육을 제시했을 뿐 아니라 부부관계 회복이 불가능한 경우의 현실적인 대안 또한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교단 정책적 측면에서 논의했다. 목회자 성폭력이나 성적비행은 개인 뿐 아니라 기독교 공동체를 파괴한다. 때문에 교단이 목회자의 잘못된 행위에 대한 분명한 명명과 치리를 통해 성폭력 문제에 개입된 개인 뿐 아니라 공동체를 돌보아야하기 때문이다. 목회자 성폭력 예방 방안에 대한 한국교회의 논의가 아직도 적은 시점에서 이 논문은 목회자 성폭력 예방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Jesus preached equality and justice between males and females, masters and servants, and Jews and Gentiles throughout his ministry. He treated everyone regardless of gender, race, and class. Yet, this spirit has been discouraged under the influence of patriarchy in Christian churches for centuries. Churches have even legitimized sexual oppression and violence of males and clergy over females, the congregation, and church staffs. In this paper, therefore, I explored ways to prevent the clergy sexual violence/sexual misconduct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ly, I discuss clergy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and suggest prevention not only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but also a theological perspective. Christian theology has reinforced the narcistic characteristics of clergies. Secondly, I discuss the marital issue of clergy couples and its prevention. Marital disharmony is an influential factor that causes clergy’ sexual misconduct. Finally, I discuss the denominational policy. Clergy sexual violence is a violation of sacred trust and power. So I suggest various ways and steps for establishing fair and just denominational policies in Korea. Current Korean churches do not have any concrete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clergy sexual violence and misconduct. This will serve as a good warning to the potential perpetrator and a sound judgement for the victim and the congregation.

      • KCI등재후보

        목회자의 분노관리

        전요섭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08 복음과 실천신학 Vol.17 No.-

        본 연구는 목회자의 자기관리에서 분노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밝히려는 것이다. 목회자는 어떤 직종에서 근무하는 사람보다도 철저한 자기관리가 요구되는 사람이다. 목회자가 자기관리에 소홀하면 목회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Richard Clinton과 Paul Leaveworth는 현대 목회자 가운데 불행하게도 대략 30%만이 그들의 목회 사역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목회자의 자기관리에 실패하는 요인은 물질의 오용과 남용, 권력의남용, 자만, 성적 탈선, 가족관계의 실패, 성령의 임재 없는 목회 등 여섯가지 요소라고 보았다. 하지만 그들은 목회자의 자기관리 가운데 분노관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목회자는 교회에서 신자들에게 분노하지 않을 사람의 대명사처럼 인식되고 있다. 분노가 조절 및 관리되지 않은 목회자들은 대체로 성공적인 목회를 하는 경우가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분노의 개념에서 분노의 정의, 성경에 나타난 분노, 목회심리학적 분노 이해, 목회자의 분노의 원인과 증상, 분노의 목회적 영향 및 폐해, 분노관리 방법 등을 다루었다. 목회자의 분노대상으로는 자녀와 아내, 신자들과 교회 중직자 그리고 하나님에게 분노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목회자의 분노관리에서 합리적 정서행동 치료적인 입장이라고 할 수 있는 인지치료적 기법에 기초하여 분노를 다루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자는 현대 목회자들이 자기관리를 잘 하여 훌륭한 목회를 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했다.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anagement of anger for the pastor’s selfmanagement. If a pastor is negligent of such self-management, he/she is bound to give up his/her own ministry. Accordingly, self-management is significantly critical in the pastor’s lifestyle. Richard Clinton and Pau Leaveworth analyzed that, unfortunately, barely 30 percent of modern day ministers retire from their ministry successfully. In addition, they emphasized that the reasons for such failures are derived from six areas of pastors’self-management. In brief, six such reasons of failures in pastor’s lives consists of misuse of money, conceit, sexual desertion, failure in family relationships, and ministry without the Holy Spirit. Richard Clinton and Paul Leaveworth, however, did not mention psychological, nor practical ministerial areas. If a minister does not control or manage his/her anger, his/her ministry will not achieve success.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dealt with definition, notion, influence of anger, anger in the old & new testaments, anger of pastoral psychological, ministerial view points, phenomena of anger, evil effects of anger in ministry, and methods of anger management. Normally, a pastor makes their spouse, children, church members, and deacon(ness), elders, and even God as an object of anger.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cognitive therapy by William Backus & Marie Chapian as solution for anger. Actually, the TRUTH is similar with REBT by Albert Ellis and TCRRS by Parrott.

      • KCI등재

        목회자의 성적 비행과 목회 윤리적 과제에 관한 연구

        백광훈(BAEK Kwang-Hu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2

        이 논문은 한국교회 안에 심각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는 목회자 성적 비행에 대한 문제를 기독교 윤리학적인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목회자의 성 일탈 행위는 목회 윤리적으로 그른 행위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심각한 파장을 낳는다. 1차적으로 피해자에게 엄청난 고통을 주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목회자 자신의 목회에도 치명적이며 교회 공동체에 대한 신뢰를 심각하게 저하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안타깝게도 한국 교회는 목회자의 성적 비행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대응 매뉴얼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점증하는 목회자 성적 비행에 대한 분석과 함께 목회 윤리적 대안과 실천적 과제를 마련하고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전시킬 것이다. 먼저, 논자는 목회자 성적 탈선의 전반적 현황을 다룬 후, 목회자 성적 일탈의 원인에 대해 정서&심리적, 이데올로기로서의 남성 중심의 성차별 문화, 성중독과 판타지 문제, 영적 고갈의 차원에서 다룰 것이다. 또한 목회자의 성적 일탈의 유형에 대해 논의하게 될 터인데, 그랜츠(S. Grenz)와 벨(R. Bell)의 정의를 따라, 포식자 유형, 연인 유형, 방랑자 유형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구분하게 될 것이고, 결과적으로 이 모든 유형들이 목회자에게 부여한 힘과 신뢰를 남용한 것임을 주장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보다 실천적인 대안으로서 목회자 성적 비행을 방지하기 위한 교육과 윤리 강령 및 법제정의 필요성을 이야기하고, 또한 목회자 성적 비행 문제가 실제 발생했을 때 교회공동체가 염두 해야 할 자세와 행정적 절차도 함께 제언하였다. 여기에는 피해자 중심의 절차적 정의의 확보, 교회의 공동책임 의식, 동시에, 경우에 따라서 선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성적 비행 목회자의 복귀 방안 등도 포함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포괄적인 접근을 통해 목회윤리로서의 성 일탈 문제를 환기키시고, 동시에 실천적인 차원에서 교회가 지향해야 할 자세와 과제들을 제언함으로 교회 공동체가 점증하는 목회자의 성적 비행에 책임적으로 응답하는 하나의 방향을 제안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concerns the sexual misconduct of clergy that is emerging as a serious problem in Korean church. Sexual misconduct of clergy result in serious consequences. Most of all, clergy’s sexual misconduct is wrong in ministerial ethics. It causes great damage to the victim, clergy himself and the church community. Unfortunately, the Korean church has not responded to this problem until now. Because of this, I explored the reasons of clergy’s sexual deviances. Some of these reasons are dysfunction of family, distorted sense of sex, sexual addiction and fantasy, spiritual depression, and more. Then I analyzed types (lover, wanderer and predator) of sexual misconduct of clergy and concluded that all sexual misconduct of clergy is a misuse of power. That is the essence of clergy’s sexual deviances. First, I will emphasize sex education of clergy and pastoral candidates, enactment of ministerial ethics and construction of specific legal procedures. Second, the church community needs to have procedural justice for victim and a sense of the church’s responsibility on clergy’s sexual misconduct. Finally, the church will also have to prepare restoration plans for clergy who do commit sexual misconducts, uniquely for each case. Through all this work, churches are going to be responsible for the victim, community and God. This paper will be meaningful to suggest a practical way that the church can be accountable for sexual misconduct of clergy and establish ministerial ethics.

      • 이중직 목회 허용정책에 대한 실천신학적 고찰

        김명기 한국실천신학회 2019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세미나 Vol.2019 No.05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한국교회와 교단에서 논의되고 있는 목회자의 이중직 허용 정책 에 대한 실천신학적 입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중직 목회의성서·신학적 근 거를 고찰한다. 또한 각 교단별 이중직 목회 현황과 교단정책을 분석하면서 한국교회 상황에 서 목회자의 이중직 허용 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한국 교회는 경제 성 장의 둔화와 목회자의 증가로 목회자의 임지가 부족한 상황이다. 교인이 감소하고 교회 재정 이 악화되고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목회자의 경제적인 상황도 악화되면서 이중직 목회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회자 이중직 허용정 책에 대한 실천신학적인 방향성의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중직의 목회를 많은 교단에서 금 지하고 있지만 이중직의 목회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오늘날 이중직이 목회를 유지하는 방법 이 되고 있다. 특히 미자립 교회를 담임하는 목회자들이 생계형 이중직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 런 상황이 계속 진행된다면 목회자의 정체성이 약화될 위험성이 있다. 목회자 이중직의 허용 여부에 대한 논의가 교회와 교단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목회자 가정의 재정적인 위험성 과 더불어 이중직 목회자의 정체성을 다시 생각해야 한다. 한국교회는 전통적으로 목회자의 전임제를 목회 유형으로 이해해 왔다. 목회자의 이중직을 목회 모델의 한 유형으로 인정하느 냐는 쉬운 문제는 아니다. 교회를 개척해서 미자립 교회에서 자립교회로 성장하는 시대가 아 니다. 이중직 목회를 전임제 목회의 유형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한국 교회는 목회자의 겸직에 대해 교회와 교단차원에서 구체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목회자의 이중직 허용정책에 대한 논의에 앞서서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의 이해를 바탕으 로 이중직 목회에 대해서 성서적으로 먼저 접근해야 한다. 또한 신학적으로 루터의 만인제사장직과 루터의 소명사상의 신학적 타당성을 논의해야 한다. 이중직 목회의 허용 정책은 국내 교단마다 허용하는 입장과 금지하는 입장으로 나누어진다. 교단에서 이중직 목회를 허용하는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교회에 재정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소신 있는 목회를 할 수 있다. 목회자가 이중직 목회를 수행하면서 성도들의 삶을 좀 더 이해를 할 수 있어서 목회 와 설교에도 도움이 된다. 반면에 이중직 목회를 금지하는 교단에서는 이중직 목회의 부정적 인 측면인 목회자의 정체성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고 본다. 대부분의 교단에서 목회자는 전임 제 목회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목회자 이중직에 대한 방향성 제안을 해보면 먼저 미자립 교회의 자립화 정책이 필요하다. 재정적 지원과 자립을 위한 지원, 행정, 교육, 관 계 등으로 나누어 체계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이중직 목회는 전통적인 교회 중심의 목회 에서 탈피하여 지역 사회에 필요한 부분을 채워주는 목회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목회자 이중 직의 금지가 목회자에게 세속적인 삶을 따르지 않고 전임목회에만 전념하도록 한 의도에서 마 련된 법이다. 그러나 현재의 급변하는 한국교회의 상황에서 재정적인 자립과 전도의 접촉점이 라는 긍정적인 측면과 전통적인 목회를 넘어서는 다양한 목회모델이라는 측면에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ractical-thelogical review of the bi-vocational ministry acceptance policy. Until the early 1990s, the Korean churches grew in size and number with the great revival that took place. However, since the late 1990s the number of churchgoers has declined, and the church finances have also become low, making it difficult for the church leadership to survive financially. Consequently, the number of bi-vocational pastors has rapidly increased. Many denominations of the Korean Church have banned bi-vocational ministry. More and more pastors are suffering financially today, since many of them serve in churches with small congregations. A large number of pastors are forced to take a second job in order to survive financially, causing the number of bi-vocational pastors to continuously increase. There are three types of bi-vocational ministry: the vocation type, the livelihood type, and the exhausted type. The vocation type refers to having another profession while serving for a church. Livelihood type pastors are those who work in places outside the church due to financial problems. Many pastors today belong to the livelihood type. Finally, the exhausted type pastor is one who has chosen to serve in a financially independent state rather than depend on the money they receive from the church, in order to avoid further conflict with the congreg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discussions on whether or not to accept bi-vocational ministry are highly demanded. The identity and ethical aspects of the livelihood type pastors should also be discussed accurately. In addition, the Korean churches should provide concrete policies related to bi-vocational ministry on the church and denomination level. Traditionally, the Korean Church has regarded full-time service in a church as the only type of ministry.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not an easy matter whether or not to acknowledge bi-vocational ministry as a type of ministry. A newly planted church is usually unable to support itself financially. Thus, a systematic measure of whether or not to accept bi-vocational ministry as full-time ministry needs to be devised. Before discussing its acceptance in the denomination, bi-vocational ministry must be approached with a theological review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It is difficult for present day pastors to lead the lives of the Old Testament priests and Levites who served in temple courts. Unlike the days in the Old Testament where only certain people and their family (the Levites) were called to be priests, in the New Testament anyone who has received Jesus Christ as Savior is called a ‘royal priesthood.' The role of the priest in the Old Testament cannot be a reason for banning bi-vocational ministry. Therefore, a pastor living in the present day must recognize his God-given calling and lead a balanced ministry like the Apostle Paul did. The theological validity of Luther's notion of universal priesthood and royal summons must first be discussed through a theological approach. So far, the Korean churches have traditionally advocated full-time ministry. However, Luther's notion of universal priesthood and royal summons do not stand as reasons against bi-vocational ministry. In fact, Luther himself has demonstrated that there is no theological problem in having pastoral and secular jobs at the same time for a family's livelihood. Religious reformers have recognized every job in the world as God's calling. In other words, they saw all jobs beyond the means of earning a living and regarded them as God’s sacred callings. God himself revealed his working attribute through his creation. The denominations in Korea hold different positions on whether to accept bi-vocational ministry or not.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bi-vocational ministry. One of its positive aspects is that it helps pastors understand better the lives of church members, thus providing a great advantage for them when ministering or writing a sermon. With bi-vocational ministry it is also possible to serve for a church without relying on the salary paid by the church. The negative aspect of bi-vocational ministry, on the other hand, is that can cause confusion of the pastor’s identity. It is also difficult for a livelihood type pastor to have a professional job. Here are some guidelines for bi-vocational ministry in Korea. First of all, policies to help churches become financially independent have to be made. A systematic policy should deal with the financial support for churches as well as the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relationship support to help churches become financially independent. In addition, bi-vocational ministry needs to turn its attention from the traditional church-centered ministry into a ministry that fills the needs of the community. The ban on bi-vocational ministry is intended to encourage pastors to devote themselves to full-time church service instead of leading a secular life. Under the current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bi-vocational ministry needs to be further discussed from a perspective that surpasses its positive aspects - financial independence and evangelism - and tradition. Theological systems and theories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deal with problems that may arise in terms of job ethics and pastoral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