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기피 현상에 관한 근거 이론 연구

        박용남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4 체육과학연구 Vol.35 No.1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양상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93명의 초등교사로부터 얻은 개방형 설문 결과와 7명의 초등교사가 참여한 FGI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 이론 분석 절차(Strauss & Corbin, 1997)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자료 분석 결과, 중심 현상(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기피 현상), 인과적 상황(초등체육수업의 전통적 장애 요인, 모형과 초등체육수업/교수자 사이의 부정합, 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경험 및 교사 지식 부족), 맥락적상황(복잡한 초등체육 교수 체계, 강력한 놀이 수업 트렌드), 중재적 조건(흥미 중심의 체육수업 가치 정향, 신체활동가치 교육과정에 대한 오해), 상호작용 전략(교수 방법보다는 신체활동 선정, 유튜브 위주의 수업 준비), 결과(학습자 포괄 효과 및 탈교육과정화)로 이어지는 근거 이론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다. [결론] 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기피 현상은 계속해서 보고되고 있는 초등체육수업의 문제점들이 복합적으로빚어낸 산물이며, 향후 반복적으로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초등 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예비 및 현직교사교육에서 모형 활용을 위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ES) teachers' avoidance of teaching model-based instruction (MBI) in physical education (PE) lessons. METHODS An open-ended questionnaire (n=93) and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FGI ) were conducted with seven ES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analysis procedures (Strauss & Corbin, 1997). RESULTS Accordingly, we derived a grounded theory paradigm model composed of the core phenomenon (ES teacher’s avoidance of MBI in PE lessons), causal conditions (traditional difficulties of Elementary PE lessons, mismatch between MBI and ES teachers/PE lessons, lack of experience and teacher knowledge for/in MBI), contextual conditions (complex instructor organization, powerful trend of play), intervening conditions (value orientation for fun-focused PE, misunderstanding about PE curriculum), interactive strategies (focus on screening physical activities, preparing for PE lessons with YouTube rather than teacher guide book), and results (learner inclusive effects and de-curricularization). CONCLUSIONS ES teachers’ avoidance of MBI in PE lessons is a result of several reported problems with elementary PE lessons and is likely to be a recurring problem in the future. To encourage ES teachers’ MBI in PE lessons, efforts should be made to build practical knowledge of model use in pr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모형 기반 체육 수업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2004년-2018년 연구를 중심으로

        장경환,이기대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9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모형 기반 체육 수업에 관한 최근 15년간의 국내의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시사점을 탐색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4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출판된 관련 논문 80편에 대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가장 많은 빈도수로 발표된 다섯 가지 수업 모형(스포츠교육 모형, 협동학습 모형, 하나로 수업 모형, 이해중심게임수업 모형, 책임감 모형)에 대한 각각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체육 수업 모형 연구 시사점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인성교육 사례로서 체육 수업 모형 적용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가 보다 실천적인 수준에서 필요하다. 둘째, 모형 기반 체육 수업은 교사의 모형 활용 지식을 필 요로 하며, 이와 같은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각 지역과 학교, 학생의 문화 적, 교육적 맥락을 고려한 수정, 변형 모형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모형 기반 체육 수업 에 관한 후속 연구 및 현장 적합성 제고를 위해 교육과정과 체육수업모형의 논리적 연결 노력, 학습자의 입 장 고려와 목소리 반영,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수업 모형에 관한 교육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 and issues of research on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80 related researches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KCI) from 2004 to 2018. As a result, five instruction models are analyzed and three implications were follow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ecessity of a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models for the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Second,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would enable teacher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and practical knowledge in model-based instruction need to be studied. Third, efforts were need to develop a modified models taking into account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context of each region and school, student, and the research needed to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began a specific model. Thus, further research on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suitability on school contexts. This study suggested the logical connection effort between curriculum and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consideration of learner's voice, and instruction of model-based instruction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하나로수업모형 성장기(成長記): 연구 동향에서 드러난 성과와 과제

        박용남,정현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8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로수업모형의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하나로수업모형의 성과와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 체육수업의 질적 제고를 견인하는 모형기반체육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하나로수업모형이 소개된 2001년 이후 현재(2017.08.30)까지 하나로수업모형을 연구한 총 75편의 학술 논문과 학위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동향은 모형 적용기(2001-2006), 검증기(2007-2010), 확산기(2011-현재)로 나누어 각 시기 별로 연구주제, 출판 학회지 및 대학원, 연구자, 연구대상, 연구방법으로 유목화하여 특징과 함께 정리하였다. 연구 동향 데이터에 의거한 하나로수업모형의 성과는 대안적 체육수업모형,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는 체육수업모형, 연구하는 교사를 양성하는 체육수업모형으로 범주화되었다. 또, 하나로수업의 학문적, 실천적 성장을 위해 성장통 역할을 할 수 있는 비판적 연구의 필요성과 편중된 연구방법의 다각화가 향후 연구 과제로 도출되었다. 끝으로 체육수업모형연구와 모형기반체육수업 활성화를 위해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를 양성하는 예비 및 현직교사교육의 강화와 한국형 체육수업모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outcomes of Hanaro Teaching Model and its further research task, and to provide a perspective for a model-based instruction which could lead to qualitative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75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1 when this model was introduced and these 75 pape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Research trend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effective period(2001-2006), verification period(2007-2010), diffusion period(2011-ongoing), and each period’s trend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topic, journal/graduate school, researcher,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with specific features. Based on this research, we identified Hanaro teaching model as an alternative instructional model, an instructional model that is responsive to current time, and an instructional model that promotes teachers’ study.  Furthermore, we have identified its further research tasks such as significances of critical research for academic and practical growth of Hanaro teaching model and its necessities of diverse research methods. Lastl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ossibilities of Korean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as well as strength of pre-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which could train teachers as curriculum developers.

      • KCI등재

        모형 기반 초등 체육 수업을 위한 교사 지식 탐색

        장경환(Kyung Hwan Jang),이옥선(Ok Seon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모형 기반 초등 체육 수업을 위한 교사 지식을 하나로 수업을 중심으로 탐색하고, 수업모형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지식이 체육 수업의 실천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교사지식의 분석을 위해서 Cochran-Smith와 Lytle(1999)의 ``지식-실천의 관계``를 이론적 틀로 채택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로 수업을 1년 이상 꾸준히 연구하며 적용해 온 초등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수업관찰을 실시하고, 문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귀납적 범주 분석의 결과, 형식적 지식으로는 하나로 수업의 목표를 인성교육을 위한 실천 모델로써 인식하고 있다는 점, 내용과 방법 측면에서 하나로 수업의 네 가지 구조를 이해하고 있다는 점, 운영의 측면에서 하나로 수업의 핵심 요소인 터와 패를 교육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실천적 지식의 주제는 초등교육의 특성을 반영하는 ``교실과 운동장을 하나로``, 하나로 수업 모형과 이외의 ``다양한 수업 모형과의 전략적 유대로``, 하나로 수업에 대한 기존의 ``오해와 비판을 이해와 긍정으로`` 등 크게 3가지로 범주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생성적 지식의 수준에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실천 모델로써 하나로 수업을 발전시켜 적용할 수 있다는 점, 수업 모형을 넘어 하나의 수업 철학 및 새로운 렌즈로써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 주제로 드러났다. 아울러 수업 모형과 관련된 교사의 지식은 형식적 지식에서 출발하여 실천적 지식으로, 더 나아가 생성적 지식으로 연결되는 흐름 및 순환의 과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교사의 역할이 ``수동적 지식 활용자``에서 ``능동적 지식 생성자``로 전환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odel-specific knowledge in Hanaro Teaching (HT)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knowledge on model and PE practice. Participants were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n=3, 3 males) who have over a year of HT model implementation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class observations, teachers` reflective journal entries, lesson plans and analyzed inductively. Findings revealed three domains of HT model-specific teacher knowledge based on the Conceptions of Teacher Learning Framework (Cochran-Smith & Lytle, 1999). The framework conceptualizes teacher knowledge in terms of knowledge for practice, knowledge in practice, and knowledge of practice. First, knowledge for practice dimension in HT model implementation included: (a) the purpose of HT as a character education model, (b) perception of 4 basic structures of HT a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nd (c) pedagogical understanding of Teo(i.e. learning station) and Pae(i.e. activity group) in terms of PE management. Second, knowledge in practice in HT implementation included: (a) classroom management as an extension of HT implementation, (b) building connection with other instructional models, and (c) transforming misconception on HT model into possibility. Lastly, knowledge of practice dimension included: (a) building connection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and (b) understanding HT model as teaching philosophy and fresh lens for re-searching and re-viewing the elementary PE. In conclusion, we identified that model-specific teacher knowledge was related to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knowledge was developed progressively from knowledge for practice to knowledge in practice, and eventually shifted toward knowledge of practice. Through this process, teacher`s role should be also shifted from passive knowledge user to active knowledge producer.

      • KCI등재

        생활기술 발달을 위한 ‘팀’기반 수업모형의 가능성 탐색

        이병준(Lee, Byung-Jun),이주욱(Yi, joo-wook),김동환(Kim, Dong-Hwa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7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2 No.2

        팀스포츠의 ‘팀’은 팀스포츠에 참가하는 학생들이 생활기술을 발달시킬 수 있는 자원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팀스포츠의 팀을 팀 역동성 이론의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팀에 기반한 수업모형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생활기술, 및 팀 역동성을 다룬 문헌과 현장의 실천사례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팀스포츠의 팀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 팀의 정의와 팀 역동성 이론의 탐색하였다. 둘째, 팀스포츠에서 팀의 의미와 팀스포츠 참여와 생활기술과의 관계, 팀의 능력을 이해하기 위해 IPO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셋째, 팀에 기반한 수업모형에서 경험하는 생활기술에 대해 탐색하였다. 넷째, 팀스포츠의 맥락을 생활기술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로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팀기반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몇 가지 교수-학습 원리를 제안하였다. 이를 토대로 생활기술 발달을 위한 팀기반 수업모형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eam’ of team sports is a resource that allows students to participate in team sports to develop life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team - based instructional model by comprehensively exploring a team of team sports in terms of team dynamics theory. Methods:: To do this, the literature on life skills and team dynamics, and case studies on the field.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First, we explored team definition and team dynamics theory to correctly understand team in team sports. Second, we examined the IPO model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eam in team s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team sports and life skills, and the ability of team. Third, life skills that students experience in a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team were explored. Fourth, we interpreted that students have an opportunity to learn life skills in the context of team sports and suggested several teaching - learning principles for developing a team. Conclusion: Based on this result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team - based instructional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life skills was confirmed.

      • KCI등재

        메츨러 트랩의 역설: 교수학습모형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한상모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30 No.1

        The Instructional Models in Physical Education(IMPE) had a positive effect on sports education by suggesting the purpose,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consistent class. On the other hand, it is pointed out that thinking based on IMPE hinders a broad interpretation of sports education phenomen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IMPE through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s. In this paper, monism is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Maturana and Varela (1987) and IMPE is interpreted as an epistemological frame. And the integration of IMPE and the epistemological consistency for model transformation were examined. Finally, the meaning of IMPE was explored in the teacher's competence and role through the concepts of ‘narrative’ and ‘bricoleur’. This discussion will help to enrich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IMPE by presenting various aspects of IMPE. 체육과 교수학습모형은 일관성 있는 수업의 목적과 내용, 방법, 평가를 제시함으로써 스포츠 교육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존의 교수학습모형에 기초한 사고가 스포츠 교육이라는 현상을 폭넓게 해석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 나타났다. 이에 본고는 체육과 교수학습모형의 해석과 적용을 인식론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심신일원론을 Maturana와 Varela(1987)의 관점으로 설명하고 교수학습모형을 인식론적 프레임으로 해석했다. 그리고 교수학습모형의 통합 가능성을 살펴보고 모형의 적용을 인식론적 일관성 추구로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모형이 가지는 의미를 ‘내러티브’와‘브리콜뢰르’라는 개념을 통해 교사의 역량과 역할에서 탐색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체육과 교수학습모형의 다양한 측면을 제시함으로써 해석과 적용을 풍부히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메츨러 트랩 벗어나기: 새로운 스포츠교육론들의 탐색과 그 지형도 그리기

        최의창(Euichang Choi)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1

        “신체활동을 가르치고 배우는 전 과정”(목적, 내용, 방법, 대상 등)에 관련된 개념적, 실천적 아이디어를 논의하는 스포츠교육론은 스포츠교육학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한다. 지난 이십년간 마이클 메츨러의 “체육교수모형”의 개념틀은 이 논의를 진행시키는 대표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이제는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스포츠교육학의 다음 단계로의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스포츠교육론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접근이 필요하며, 우리가 넘어야 할 첫 번째 고개는 바로 메츨러의 개념틀로 국한되어버린 모형기반 사고방식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체육교수모형 논의에 포함되지 않는 새로운 스포츠교육론의 아이디어들을 선별하여 소개하고, 넓어진 지평에 근거하여 스포츠교육론의 새로운 지형도를 대략적으로 그려보는 것이다. 우선, 스포츠교육론의 개념을 폭넓게 규정하면서 기존 아이디어들을 정리하며 살펴보도록 한다. 이어서 새롭게 제안되어 개념적, 실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여러 스포츠교육적 이론과 모형들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한다. “스포츠교육론사분면”(Sport Pedagogy Quadrant)이라는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소개된 스포츠교육론들이 전체 속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어디에 위치하고 속해있는지를 알아본다. 그리고 새로운 접근이 현재 우리에게 당면한 주요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 어떤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는지 살펴보며 마무리한다. Sport pedagogy(SP) refers to the discourse and practice o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physical activities(goals, content, and methods etc.). It stands firmly as one of the central topic areas in Sport Pedagogy Studies. Mike Metzler’s “Instructional Models in Physical Education”(IMPE) introduced in 1999 has been the main character in this SP discourses. Although the idea of IMPE has contributed to the academic and practical spheres in SP, it is time for a re-examination. It has become a kind of trap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especially in Korea. To think about and act on SPs beyond the eight models have become difficult, or worse im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ome new possible SPs emerged for the last two decades in diverse fields such as sport philosophy, sociology and psychology. It would widen the horizon of current SP territory extending our sights beyond the IMPE. Based on this extended horizon of SP, a typological map is drawn in order to locate the each SP. The idea of Sport Pedagogy Quadrant is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arranging SPs in each of the four quadrants. It is suggested that this attempt to recruit new pedagogical ideas and practices in the discourse of SP would give new insights for the solution of several problems that Korean sport is now confronting hardly, such as content relevance for the sport instructor licensing subject, the prevention of violence in sport co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the COVID―19 situ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