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김수영 문학에서 망각에 관한 연구

        김태선(Kim, Tae-Seon) 픽션과논픽션학회 2019 픽션과논픽션 Vol.1 No.1

        This study focused on problem of Oblivion in Kim Su-Young s Later Literature. In General, Oblivion means forgetting a memory; but Su-Young looked at Oblivion as an essential movement related to poetry writing in the thought that reached the last winter of his life. At that time, Su-Young was thinking about way of beyond the limit of I that blocked sees things from the inside as th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order. WaSeon [lying meditation] is the article in which Su-Young s inquiry of such a thought appeared. Su-Young introduces the method of meditation called WaSeon and talks about passive attitude because he saw that it makes him approach to the essential place of Things that can not be approached by active action such as the capacity of the subject. Thus we looked at Kim Su-Young s passive attitude with referring to the passive synthesis as the first synthesis of time on Deleuze s theories about time. Passive synthesis is the movement towards contraction in which different things meet and become individualized before the action of intelligence that makes it aware when the subject recognizes something, which foundation for images and memories. But image of thought ready-made concealed the encounter with such process of generating. The reason why Su-Young argued that things should be seeing from inside is to approach the process of generating that could not be approached in the active instance of the subject I . Su-Young said the waiting , WaSeon and passive attitude in way to get a gaze to see the inside of things. Kim Su-Young discusses the way to poetry by passive attitude , which is done through reminiscence in the oblivion. And writing poetry and poetry performs the movement of oblivion that erases itself, which is what appears in Händel s music. Heidegger discussed Brave Obliv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blivion[forgetting] in general sense in Andenken [reminiscence]. Brave Oblivion is a process that approaches the essential dimension of the double movement of Being as appearing and disappearing, and an experience of ecstase[Ekstase] that leaves I outside I , and opens oneself and performs the movement to enter into the inside of others as the things. The attitude to writing poetry that Su-Young called passive attitude is aimed to reach such a movement. In addition, Oblivion is the condition of reminiscence as recalling the disappearances, and in this case, the returning does not reappear as they once appeared. They are partial objects of what are potential in the qualifications of the pure past, and appear to constantly change their appearance and place. This movement is the double movement of Being, in which something is a movement to oblivion, and is manifested as constantly erasing itself and appearing. This is also the movement of Oblivion performed by poetry, which Su-Young wanted to refer to Handel s music. Therefore, Kim Su-Young s Oblivion and the writing of Oblivion as the movements of differential generation that reveals themselves as the differences. With Oblivion, writing becomes a movement to participate in the experience of Being and to express the experience itself. The writing of oblivion is a movement that erases itself and expresses itself, and through such movements, it produces a generation that brings small but certain changes. 이 연구는 김수영 후기 시론의 ‘망각’에 관한 문제를 탐구하였다. 망각이란 일반적으로 어떤 기억을 잊는 일을 뜻하지만, 김수영은 자신의 생애 마지막 겨울 무렵에 이른 사유에서 ‘망각’을 시 쓰기에 관련된 어떤 본질적인 움직임으로 살폈다. 당시 김수영은 ‘사물을 내부로부터 보는 일’을 가로막는 ‘나’의 제한, 즉 기성의 질서에 따른 인식의 태도를 넘어서는 일을 사유하고 있었는데, 그 방법의 하나로 ‘망각’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이 연구에서 김수영의 시론에 나타난 ‘망각’을 주목하는 까닭은, 김수영이 ‘사물을 내부로부터 보는’ 일을 방해하는 ‘나’의 제한, 즉 기성의 질서에 따른 인식의 태도를 넘어설 수 있게 하는 한 방법으로 ‘망각’의 문제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사유의 탐구가 개진된 산문 중 하나가 바로 「와선」이다. 김수영이 ‘와선’이라는 명상의 방법을 통해 ‘수동적 태세’를 운운한 까닭은, 그 방법으로써, 주체의 능력이라는 능동적 행위에 의해서는 다가갈 수 없는, 사태의 본질 영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김수영이 ‘수동적 태세’라 한 움직임 강조한 까닭을 고찰하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들뢰즈의 시간론 중, 첫 번째 시간의 종합에 나타난 수동적 종합을 참조하였다. 수동적 종합은, 주체가 무언가를 인식할 때 그것을 어떤 앎으로 만드는 지성의 작용에 앞서 나타나는, 서로 다른 것들이 만나며 개체화되는 ‘수축’의 움직임이며, 이는 이미지나 기억 등을 형성하는 정초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성의 사유이미지는 그와 같은 발생적인 것과의 만남에 틀을 덮어씌운다. 김수영이 사물을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바라볼 것을 주장한 까닭은, 바로 ‘나’라는 주체의 능동적 심급이 가리고 있던 그 발생적 차원으로 다가가기 위해서이다. 김수영은 사물의 내부를 보는 시선에 이르기 위해 ‘와선’이라는 기다림을, 그 ‘수동적 태세’를 말하였던 것이다. 김수영은 ‘수동적 태세’로써 ‘시’에 이르는 길을 주장하는데, 이는 망각 가운데에서의 ‘상기’ 혹은 ‘회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시와 시 쓰기가 이행하는 것은 김수영이 헨델의 음악에서 본, 스스로를 지우는 망각의 움직임이다. 하이데거는 「「회상」」에서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망각과 구분되는 ‘대담한 망각’을 논의한다. ‘대담한 망각’은 생성과 소멸의 이중운동이라는 존재의 본질적 측면에 이르는 한 과정이자, ‘나’를 ‘나’ 바깥에 놓아두는 ‘탈자태’의 경험으로, 자신을 열어 사물 혹은 사태라는 타자의 내부로 들어가는 움직임을 수행한다. 김수영이 ‘수동적 태세’라 한 시 쓰기의 태도는 바로 그와 같은 움직임에 이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망각은 사라져간 것을 다시 불러오는 회상 혹은 상기의 조건으로, 이때 되돌아오는 것은 자신이 한 때 현현했던 모습 그대로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그 것들은 순수 과거의 자격에서 잠재적인 것의 한 부분대상들로, 끊임없이 스스로의 모습과 자리를 바꾸는 것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잠재적 대상들의 움직임은, 무언가가 망각에 이르는 움직임이자, 끊임없이 스스로를 지워나가는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현성하는, 존재의 이중 운동에서 볼 수 있는 그 움직임이다. 이는 김수영이 헨델의 음악을 통해 전하고자 했던, 시가 이행하는 망각의 움직임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살핀 김수영의 망각, 그리고 그 망각의 글쓰기는 스스로를 부단히 차이짓는 차이로서 드러내는 미분적인 생성의 움직임이다. 망각과 함께 글쓰기는 존재 경험에 참여하는 것이 되는 동시에 그 경험 자체를 표현하는 움직임이 되는 것이다. 망각의 글쓰기는 스스로를 지워나가는 동시에 또한 표현하는 움직임으로, 그와 같은 이행을 통해서 작지만 확실한 변화를 가져오는 생성을 이루어낸다.

      • KCI등재

        망각으로부터의 기억의 발생 - 니체의 기억 개념 연구 -

        홍사현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5 철학논집 Vol.42 No.-

        니체는 ‘망각’을 기억의 상실 혹은 부재가 아니라 기억 활동과 기억 발생 의 토대가 되는 생산적인 과정이자 역사나 문화에서 삶이라는 자연적 토대를 유지 해주는 힘으로 보기 시작했다. 기억이 망각과 맺고 있는 전통적 이분법적 관계를 무화시키는 기억의 계보학적 생성의 구조를 통해 니체는 망각의 의미만을 절대적으 로 강조하는 것이 아니다. 기억의 과정과 망각의 과정을 ‘하나’의 자기 조절과정으 로 통찰함으로써, 기억 개념 자체에 대한 가치 전도 역시 일어난다. 망각의 과정과 기억의 과정은 하나이다. 이것은 망각이 스스로부터 자신의 형식으로서 기억을 만 들어내는 자기생산적인 ‘하나’의 과정인 것이다. 기억이, 혹은 문화가 하나의 현상 으로 계속 생성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망각이 작동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기억을 위한 공간과 가능성이 마련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삶은 자신의 자연성에 따라 현 재를 다층적인 통일체로 항상 새로 구성하는 “조형력”으로서, 삶의 과정 자체를 존 속하게 하는 원리로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망각의 기능은 삶을 위한 것이고, 이 기능은 삶을 위해 ‘기억’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 자체로 유기체인 모든 세계 에, 즉 생성으로서의 삶에 속해있는 기억과 망각의 모순적 상호관계성을 통해 각각 새로운 형식으로의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이 반복된다는 점에서, 망각으로부터 발생 하는 기억의 구조는 인간 인식 뿐 아니라 역사와 문화와 가치 등 존재 전반의 존 속 자체를 보장한다. 이점에서 니체의 ‘기억’ 개념 역시 힘에의 의지와 영원회귀를 설명하는 또 하나의 표본적이고도 본질적인 구조에 대해 말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논의를 위해 전통적 기억 개념에 대한 니체의 비판을 출발점으로 삼아, 기 억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니체의 저작들을 중심으로 각각 역사비판, 도덕비판, 인 식비판의 영역으로 나누어 그 중요한 내용을 발생학적 측면에서 서술하였다.

      • KCI등재

        정보의 방향성에 따른 인지적, 감정적 망각 효과

        박지혜(Jin Hye Park),이현석(Hyun Suk Lee) 한국마케팅학회 2010 마케팅연구 Vol.25 No.4

        소비자들은 부정적 정보를 쉽게 망각하지 않고 오래 기억하는 경향을 보이며 정보에 대한 기억은 이후의 태도와 구매행위 등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정 기업 정보에 대한 인지적 기억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 망각될 수 있으나 한번 형성된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은 상당한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정보방향성에 따른 소비자의 인지적 망각과 감정적 망각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브랜드에 대한 정보를 긍정적인 정보와 부정적인 비리정보, 부정적인 사고정보로 세분화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인지적, 감정적 망각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둘째, 소비자의 정보 처리 동기 요인인 사전 브랜드 선호도가 정보방향성에 따른 인지적, 감정적 망각에 조절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3(정보의 방향성: 긍정적 정보, 부정적 비리정보, 부정적 사고정보) X 2(브랜드 선호도: 고, 저) 집단간요인설계를 실시하였다. 총 150명이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1차와 2차, 총 2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정보의 방향성에 따라 인지적, 감정적인 망각 정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정적인 비리정보와 부정적인 사고정보 모두 긍정적인 정보에 비해 인지적, 감정적 망각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정적 정보 중 기업 책임 귀인 정도 따른 비리 정보와 사고 정보에 대한 망각 정도 차이는 인지적 망각과 감정적 망각 모두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선호도의 조절 효과 또한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e information-centric era,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corporate information is an important issue. When negative information happens to be unintentionally disseminated to the public, the significant damage on the corporate or brand image can occur. Forgetting indicates failure of retrieval or retention of the information stored in memory. Forgetting can be either spontaneously or intentionally performed. When negative information is removed from interfering with the encoding and retrieval of relevant or current information, such damage can be reduced. However, past research focused on how to store and sustain the information in memory. Research on information forgetting or emotional forgetting has not been found. Although emotional response from the negative information can remain over time without remembering the event, only cognitive or conative response has been the main interest of research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formation valance/ responsibility attribution on cognitive and emotional forgetting. Information valance influences product or brand judgement. According to Fiske (1980), the unusual or negative information is more weighted for target evaluation than other types of information. Negative information is likely to be more diagnostic or informative than positive or neutral information. Negative attributes strongly imply membership in low quality product category to the exclusion of others, whereas positive attributes are more ambiguous to categorize product quality. Also, in the negative event, attribution to the organization strengthens the diagnoticity of the information and results in less forgetting. Coombs and Holladay(2002) classified thirteen types of negative information based on the amount of crisis responsibility that the public would attribute to the organization. False information such as rumor may not be less attributed to the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whereas misconduct information such as violations of laws or deception of stakeholders can be more attributed to the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Based on the literature, five hypotheses (H1. Information valance can influence cognitive forgetting; H2. Information valance can influence emotional forgetting, H3. The effect of information valance on cognitive forgetting can be greater than the effect of information valance on emotional forgetting; H4. Brand preference can moderate the effect of information valance on cognitive forgetting; H5. Brand preference can moderate the effect of information valance on emotional forgetting) were developed. A 3(information valance: positive vs. negative/accident vs. negative/misconduct) X 2(brand preference: relatively high vs. relatively low) between subjects factorial design wa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 The total of 15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wo phases. In the pre-phas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the given information scenario and respond to the questions including a recall item and the 8-item emotion scale. In the post-phase, the questionnaire was given without the scenario presented in the pre-phase. Six newspaper articles rewritten and revised to reflect the treatment conditions were only presented in the pre-phase. The time lag between the pre- and post-phase was 10 days. Based on the 2-way ANOVA analysis, results revealed the main effect of information valance on both cognitive forgetting and emotional forgetting.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less negative corporate responsible information (accident) and more negative corporate responsible information (misconduct) was not found. Interaction effect of information valance and brand preference was not found on cognitive forgetting but on emotional forgetting. The present study provides the evidence of cognitive and emotional forgetting as a function of information valance. Preference was influential on the effect on emotiona

      • KCI등재

        망각의 서사와 ‘욜로(YOLO)’적 삶

        이혜경(Lee, Hye-kyoung)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9 No.2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잊히는 사건과 사연들 속에서 과연 우리의, 나의 기억은 오롯한 사실일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세월호 사건을 기억하는 사람들과 묻으려는 무리, ‘나도 역시’ 그날의 기억이 아프다는 사람들의 아우성 등을 통해 끊임없이 생성과 소멸을 거듭하는 기억의 움직임을 본다. 기억은 저장되고 재생되는 고정된 실체라기보다 각자의 무의식과 의식을 망라하는 내적 의지의 구현이며, 편집과 재구성으로 관계의 층위를 구성하는 임의적인 에너지다. 『살인자의 기억법』은 알츠하이머에 걸린 살인자 병수의 기억과 망각을 추적하는 소설이다. 망각의 질병 알츠하이머와 살인의 기억이 충돌하며 병수 내면의 정체성과 병수를 둘러싼 관계를 혼돈에 빠뜨린다. 그러나 그 이전에 병수라는 현대의 군상이 겪은 먼 과거가 현재를 조절하고 있다는 점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망각의 질병인 ‘알츠하이머’는 필연적으로 망각이라는 작용을 불러오는 장치로서 내적 의지가 개입할 여지가 없다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소설에서 보여주는 망각의 내용은 주체적 의지가 반영된 결과물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병수의 과거는 상처로 얼룩져 있다. 주폭을 휘두르는 아버지로 인해 불행한 누이와 어머니, 그들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죽여야 했던 아버지, 살인의 기억은 이후 분노와 살인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반복되는 살인은 번민과 자괴감 속에서 무의식적 주체의지의 발현으로서 ‘망각’을 초래한다. 한편,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이 불안한 미래를 짊어지고 선택한 삶의 방식은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잊는’ 것이다. 미래의 고통을 현재로 끌어오는 것보다 현재를 충실히 즐기자는 삶의 방식이라는 점에서 ‘욜로’라는 가치관은 슬픈 웃음을 선사한다. ‘욜로’는 부조리한 운명을 견디기 위한 선택이지만, 미래를 선택하기 어려운 자들의 필연적 운명일 수도 있다. 살인은 어떤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다. 그런 측면에서 ‘욜로’와 살인자 병수를 한 데 묶어 살인자의 ‘망각’을 논하는 것은 윤리적 측면에서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병수라는 살인자를 통해 우리는 살인의 과거를 문책하고 힐난하기보다 그 너머의 상처와 망각의 미래를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인간 내면의 상처와 그로 인해 수반되는 망각의 관계성에 주목해, ‘망각’이 고통의 과거, 미래를 배제하기 위한 내적 주체의 의지임을 증명해 나가려 한다. 이는 문학의 윤리, ‘욜로’의 경계에 선 주체 내적 고민이며, 추악한 현실을 드러내는 것으로서 현실의 고통을 위로받고 치유받을 수 있다는 문학의 가능성일 것이다. In the events and stories that people remember and forget, I come to doubt that our or my memory is really true. People who would memorize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those who would bury that; ‘I, too,’ see the movement of memory, which endlessly repeats creation and destruction through the clamor of those who remember the memory of the day. The memory is the implementation of an internal will covering each person’s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rather than a fixed entity to be stored and displayed and arbitrary energy that constitutes the layer of a relationship through editing and reconstruction. Memoir of a Murderer is a novel that traces the memory and oblivion of Byoung-soo with Alzheimer’s disease. The collision of the disease of oblivion, Alzheimer’s disease with the memory of murder forces Byoung-soo’s inner identity and the relationships surrounding him into chaos. And yet, before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distant past experienced by Byoung-soo, a person in the crowd of the contemporary times controls the present. ‘Alzheimer’s disease,’ a disease of oblivion is a device that necessarily brings about the action of oblivion, there is no room for the intervention of an internal will. However, the content of oblivion shown in the novel cannot but be the result, in which a subjective will is reflected. Byoung-soo’s past is stained with wounds. His sister and mother who were unhappy because of his father who was violent while drunk. His father he must kill to protect them. The memory of the murder leads to anger and murders subsequently. Also, the repeated murders cause ‘oblivion’ as an expression of the subject’s unconscious will in agony and sense of shame. In the meantime, the way of life chosen by young people living in Korean society, carrying an unstable future is not “preparing the future” but “forgetting it.” In that it is a way of life of enjoying the present life thoroughly rather than drawing the future pain to the present, the values of ‘YOLO’ present a sad laughter. ‘YOLO’ is a choice to endure an absurd fate, but it may be an inevitable destiny of people who have difficulty in choosing the future. No murder can be justified in any circumstances. In this sense, it may be somewhat difficult to discuss a murderer’s ‘oblivion,’ binding ‘YOLO’ and Byoung-soo the murderer together. And yet, through the murderer Byoung-soo, rather than reprimanding and blaming the past of murder, we should be able to read the future of wound and oblivion beyond that. This study would prove that “oblivion” is the subject’s internal will to exclude the past and the future of pain,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internal wound and oblivion accompanied by that. This is the worry inside the subject who is standing on the boundary of the ethics of literature, ‘YOLO’ and reveals an ugly reality, which may be the possibility of literature that we can get the pain of reality consoled and healed.

      • KCI등재

        퍼포먼스의 일상화, 일상의 퍼포먼스화: 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 시리즈와 퍼포먼스의 수행적 실천

        김기란(Kim, Kir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이 글에서는 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 시리즈를 중심으로 현대공연예술의 전략과 미학적 윤리에 대해 고찰했다. 문화의 연극성이 발견되면서, 연극과 문화가 수행적 속성을 매개로 상호침투하며 퍼포먼스적 전환이라 할 수 있는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일상의 의례를 포함하는 문화적 퍼포먼스의 성격을 공유하면서도, 그것의 위임된 수동성을 문제시하여 퍼포먼스의 수행적 실천을 환기하는 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 시리즈를 살펴보았다. 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 시리즈는 2014년의 세월호 참사를 다루는 장기 공연 프로젝트로, 2017년에 시작되어 대한민국의 주요 참사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작 시리즈이다. 일상을 통해 익숙해진 위임된 수동성을 문제시하며, 그것이 2014년 세월호 참사를 망각하도록 방조하는 메커니즘을 성찰한다.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선택되는 일상의 행동이 기실 위임된 수동적 행위일 수 있으며, 그것이 사회적 문제에 대한 망각과 닿아 있다는 점을 환기하기 위해 일상 자체를 퍼포먼스로 공연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극적 사건을 구성하거나 재현하여 참여자들의 공감을 강요하는 방식이 아니라, 일상과 닿아 있는 문화적 퍼포먼스의 메커니즘을 활용, 참여자들이 익숙한 일상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스스로의 성찰에 이르도록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공연된 일상과 전시된 일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018년에 마무리된 이동형 거리극인 <망각댄스> 시리즈에서는 일상에 스윙 댄스와 세월호 타임테이블과 같은 비일상적 퍼포먼스를 삽입함으로써 일상적 시간의 흐름을 지연시켜 망각된 것들에 대해 성찰케 했다. 일상과 퍼포먼스가 상호침투하며, 서로가 서로를 낯설게 만드는 전략이다. 2020년 <망각댄스-4.16편, 박제>편에서는 퍼포먼스의 형식이 이동형 거리극에서 전시극으로 바뀌고, 일상의 공간에 초점을 맞춰 퍼포먼스를 구성했다. 기억을 공간화하는 전략을 통해 익숙한 일상 안에서 참여자들 스스로 박제되어 망각된 기억을 떠올리도록 만들었다. 이를 통해 극단 신세계의 퍼포먼스가 자율적 예술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예술적 윤리학을 구성”하는 수행적 실천일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ategy and aesthetic ethics of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after the performance turn, focusing on the <not-remembering Dance> series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As the theatricality of culture has been discovered, theatre and culture show the change that can be called performance turn. In this situation, the <not-remembering Dance> series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which shares the characteristic of cultural performance including everyday rituals, but reverses its delegated passiveness and reminds the performance practice, was the subject of this article. The <not-remembering Dance> series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is a long- term performance project that deals with the disaster of the Seowall incident in 2014. It started in 2017 and has been performed at major disaster sites in Korea until 2020. In a context that questions the delegated passiveness that is familiar in the everyday life, it shows a strategy to resist forgetting in order to remember the ‘sewol’ ship disaster in 2014. The daily behavior of the subjective and active choice can be passive delegated behavior, and it is in contact with the forgetting of social problems. To remind it, the daily life is performed in the <not-remembering Dance> series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Specifically, this is not a way to compose or reproduce dramatic events to force participants to sympathize with them, but a way to utilize the mechanism of cultural performance that representates daily life and allow participants to participate and experience them directly. In this article, I divided these contents into daily life to be performed and daily life to be displayed. In the <not-remembering Dance> series, a mobile street performance art that was completed in 2018, participants can reflect on the oblivion by delaying the flow of everyday time by inserting something non-daily into everyday things. It is a strategy that everyday life and performance penetrate each other and make each other unfamiliar. In 2020, <not-remembering Dance-4.16, Stuffing>, the form of performance changed from a mobile street performance art to an exhibition performance, and the performance was organized focusing on the space of everyday life. Through the strategy of spatializing memories, participants make themselves think of memories in familiar daily life. Through this, it was examined that performance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can be a performative practice that does not only autonomous art but also constructs a new “artistic ethics”.

      • KCI등재

        망각의 번역과 자기구원의 서사 -임철우의 『백년여관』을 중심으로-

        서동수 ( Dong Soo Se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2

        임철우의 장편소설 『백년여관』은 한국의 근현대사 속에서 피 맺힌 원한과 고통 가운데 살아가는 역사적 희생자들의 비극적 운명을 그리고 있다. 비극적인 역사와 개인의 운명 가운데 작가가 특히 주목하고 있는 점은 ‘망각’이다. 『백년여관』은 ‘망각과의 투쟁의 과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망각은 서사의 중심축을 이룬다. 작품의 서사구조 역시 망각의 존재들이 백년여관에 모여 망각의 정체를 다시 기억해내고 자기구원의 가능성에 이르는, 이른바 ‘망각-기억-구원의 모색’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임철우에게 망각과 기억은 곧 생의 의지와 에토스와 연결되고 있다. 작품 속의 망각은 발터 벤야민의 잃어버린 아담의 언어의 파편들이다. 작중의 소설가는 망각되고 실어증에 걸린 그들의 침묵을 다시 번역하기 시작하고, 이를 통해 잊고 있었던 낙원의 파편들을 만나게 된다. 역사의 피해자들의 기억을 복원하는 것은 고통의 재발견이 아니다. 피해자들의 파편적 기억이란 모두 역사라는 장 속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고통의 파편은 도리어 그들이 돌아가야 할 낙원의 모습을 보여준다. 결국 임철우에게 망각과의 투쟁이란 역사적 진실의 증언과 함께 근원성에 대한 지향이기도 하다. A novel of Im Cheol-woo, A Hundred Years` Inn, depicts the tragic destinies of historical victims living in the bruised grudge and pain in the early modern history of Korea. The autho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oblivion" in the middle of tragic history and individual fate. As a matter of fact, oblivion is such a central axis of narrative in the novel tha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novel presents a "process of struggle with oblivi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shows the process of so-called "pursuit of oblivion-recalling-salvation," in which the beings of oblivion get together in A Hundred Years` Inn, recall the identity of each oblivion, and reach the possibility of their own salvation. Forgetting and recalling are connected to will for life and ethos of life to the author. In the work, oblivion is the fragments of Adam`s language lost by Benjamin. In the novel, the novelist restarts to translate the silence of those who are forgotten and have aphasia, thus facing the fragments of the paradise he has forgotten. Restoring the memories of historical victims is not re-discovering pain. The fragmentary memories of the victims are all intertwined each other in the venue of history, and the fragments of pain rather display the aspects of the paradise to which they should return. In the end, struggle with oblivion is also orientation toward fundamentality along with the testimony of historical truth to the author.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악(惡)’ 이해

        이진주 한국가톨릭철학회 2023 가톨릭철학 Vol.- No.41

        하이데거는 셸링의 『자유론』을 재료삼아 ‘개별 인간 존재자의존재’를 ‘자기 마니아적 자기성’으로, 즉 ‘악’으로 이해한다. 이 ‘자기 마니아적 자기성’은 『니체IㆍII』를 경유하여 ‘존재망각’ 개념과 연결된다. 한 개별 인간의 존재가 악이고, 그 악이 존재망각과 연결될 때, 존재망각은 한 개별 인간에게 닥쳐오는 역사적 운명처럼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존재망각은 필연적인 사건이고, 그래서 그것의 극복은 요원한가? 이 글은 언급된 내용에 대한 설명과 분석 이후에, 존재망각의 문제를 조금은 다른 각도에서 주목하고자 시도한다. 『철학에의 기여』 에서 ‘제1 시원’과 ‘다른 시원’에 대한 논의를 통해 드러나는바, 제1 시원의 역사로서 존재망각의 역사는 그 망각에 머물지 않으며, 오히려 그로부터 존재이해로의 이행, 즉 다른 시원으로의 이행이 함께 진행된다. 그러나, 제1시원으로부터 다른 시원으로의 이행이 발생할 때, 존재망각은 ‘제거’되거나 ‘개혁’되지 않는다. 제거나 개혁은 개별 인간 존재자의 존재의 한 단면이 악이라는 사실로부터 이미 불가능한 것이다. 존재망각의 극복은 오히려 그것으로부터 ‘거리둠’을 통해 그것을 ‘마주함’을 뜻한다. 즉, 우리가 존재망각의 역사를 ‘현존재가 존재하는 한 그가 경험할 수밖에 없는 어두운 역사’로서 직시할 때, 우리는 그것의 ‘극복’을 ‘사유’할 수 있다. 이 직시의 첫 발걸음은 존재망각을 추동시키는 기저원리인 ‘악’ 을 이해하는 것이다. 현존재에 내재한 이러한 어둠을 마주함을 통해, 인간은 그것에 잡아먹히지 않고 존재의 소리를 듣는 자로서 발걸음을 내딛을 수도 있을 것이다. Using Schelling’s Freiheitsschrift as a source, Heidegger understands the being of the individual human being as the egoistic selfhood, as evil. This egoistic selfhood is linked to the concept of the forgetfulness of being through the analysis of Nietzsche I⋅II. If the individual human being’s being is evil, and this evil is related to forgetfulness of being, then forgetfulness of being seems to be a fate that the individual human being experiences. Is the forgetfulness of being in this situation inevitable and therefore impossible to overcome? After explaining and analyzing what has been said, this article will attempt to illuminate the problem of forgetfulness of being to be from a slightly different angle. As the explanation of the first beginning and the other beginning in Contributions to Philosophy shows, the history of the forgetfulness of being as the history of the first beginning does not remain in its forgetfulness; rather, from this history of the forgetfulness of being proceeds a transition to the understanding of being, a transition to the other beginning. However, in the transition from the first beginning to the other beginning, the forgetfulness of being is not eliminated or renewed. Because evil is an essential aspect of the individual human being, it cannot be eliminated or renewed. The overcoming of the forgetfulness of being means, rather, the confrontation with it through a position of distance from it. In other words: If we accept and confront the history of oblivion of being as the dark history that Dasein must inevitably live through as long as it exists, we can think of overcoming it. Understanding the evil that underlies the forgetfulness of being is the first step in this confrontation. By confronting the darkness inherent in Dasein, man is not swallowed by it, but can emerge as a listener to the echoes of being.

      • KCI등재

        철학과 존재이해

        손영삼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코기토 Vol.- No.96

        We ask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a philosophy? and What does mean it for the philosophy researcher, to research on a philosopher’s philosophy? We research on Heidegger’s philosophy. Every philosophy begins with a man’s doing-philosophy. While doing philosophy, someone becomes a philosophy student, a philosophy researcher, and a philosopher. Philosophy researchers generally investigate into a philosopher’s philosophy, and try to have a unique system for their own philosophy. In this research, a philosopher's philosophy is a ladder for the philosophy researchers. Not all philosophy researchers need the ladder, but we take Heidegger's philosophy as the ladder. In investigating into Heidegger's philosophy, we have arrived at some achievements in our own way. Now we are going to review these achievements by asking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According to what we get as Heidegger's philosophy, we always inevitably do philosophy as long as we exist in human beings. How do we, doing-philosophy,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Pointing out that the philosophy, investigating into the nature of beings, does not ask the question on Being, Heidegger tries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How does Dasein understand Being?" while analyzing Dasein ontologically in Sein und Zeit. Not asking questions on Being is called Being-forgetting by Heidegger. This Being-forgetting is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and then the forgetting of human beings. As long as philosophy originates from the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s, so does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from the forgetting of human beings. There are attempts to find the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what Heidegger called Being-forgetting. However, Heidegger found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in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not to ask questions on Being. The Being, forgotten at the dimension of human beings, is understood at the dimension of Dasein, and this Being-understanding continues to the philosophy, and then to human beings. In this respect, the root,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cannot be Being-forgetting of human beings’. Analyzing of Dasein in Sein und Zeit, Heidegger discusses on the ordinariness and the non-originality of Dasein. The ordinariness of Dasein seems to be passive or negative compared to the naturalness, and non-originality seems to be passive or negative compared to the originality. There are attempts to find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the ordinariness and the non-originality of Dasein. However, Heidegger's strategy, distinguishing between the ordinariness and the naturalness of Dasein, and between the originality and non-originality of Dasein, is not intended to show that any problems arise in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In this respect, we cannot find the root,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According to Heidegger, a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 stems from the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How can we explain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especially the philosopher Heidegger's participation in the Nazis? In the following study, we will try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n the process from the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to a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 “철학이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함께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을 연구하는 일은 철학 연구자에게 무슨 의의를 갖는가?”라는 물음을 우리는 지난하게 묻고 있다. 우리는 하이데거의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어느 철학이든지 모두 어느 한 인간의 (철학)하기로부터 시작된다. 철학하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누군가는 철학도가 되고, 철학 연구자가 되고, 철학자가 된다. 철학 연구자는 대체로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을 연구하면서 자신의 철학하기에 고유한 체계를 갖추려고 기획한다. 이 일에서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은 철학 연구자에게 일종의 사다리이다. 비록 모든 철학 연구자에게 사다리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우리는 철학자인 하이데거의 철학을 사다리로 삼고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하이데거의 철학을 나름대로 연구하면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루고는 있다. 이제 우리는 이 성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물음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는 무엇인가? 우리가 하이데거의 철학이라고 파악하고 있는 바에 따르면, 우리는 인간으로 실존하는 한, 언제나 필연적으로 철학한다. 그런데 철학하는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른다. 도대체 무엇을 위한 철학인가? 존재자의 본질을 탐구하는 철학이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다고 지적하면서,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 에서 현존재(Dasein)를 존재론적으로 분석하는 가운데 “현존재는 존재를 어떻게 이해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제시하려고 했다.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 태도를 하이데거는 존재망각(Seinsvergessenheit)이라고 일컫는다. 이 존재망각은 우선 철학의 존재망각이지만, 인간의 존재망각에서 비롯된다고 우리는 파악하고 있다: 철학이 어느 한 인간의 (철학)하기에서 비롯되는 한, 철학의 존재망각도 인간의 존재망각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하이데거가 존재망각이라 일컫는 것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 망각에 빠진 철학의 밑바탕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존재이해(Seinsverständnis)를 찾아내었다. 인간의 차원에서는 망각되고 있는 존재가 현존재의 차원에서는 이해되고 있으며, 이 존재이해가 존재망각에 빠진 인간에게 나아가서는 철학에 이어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가 인간의 존재망각일 수는 없다. 존재와 시간 의 현존재 분석론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일상성(Alltäglichkeit)과 비본래성(Uneigentlichkeit)에 대해 논의한다. 현존재의 일상성은 근원성(Ursprünglichkeit)에 비해 그리고 비본래성은 본래성(Eigentlichkeit)에 비해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인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은 현존재의 일상성과 비본래성에서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찾으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현존재의 일상성과 근원성을 구별하고, 비본래성과 본래성을 구별하는 하이데거의 전략은 현존재의 존재이해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은 아니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우리는 현존재의 존재이해, 특히 일상성이나 비본래성에서 찾을 수는 없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 ...

      • KCI등재후보

        노화와 망각의 가치

        이향만(Lee, Hyang Ma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5 생명연구 Vol.37 No.-

        노화와 망각을 인지하는 것은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의식현상이다. 사람들은 성장과 기억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반면에 노화와 망각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노화와 망각이 노년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면 이를 긍정적으로 바라 볼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노화와 망각을 병리적 현상으로만 바라 본다면 단지 극복해야할 대상으로만 남는다. 그런데 이것이 인간의 삶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의식현 상으로 고유한 의미와 면모를 갖고 있다면 이를 좀 더 심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노화와 망각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기 위 하여 본문에서 다음과 같이 내용을 다루고 있다: 1. 노화의 생물학적 의미 2. 노화의 심리 3. 기억과 자 아정체성 4. 망각과 회상 5. 희망과 관조 6. 아남네 시스와 좌망. 철학자 소크라테스와 공자는 노년에 철학적 삶을 처절하게 살았다. 이 두 분의 삶은 노년의 삶이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 잘 나타내고 있다. 노년의 삶 에 대한 가치는 철학적으로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노년의 철학적 판단은 인간 지성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기억과 망각으로 대변되는 동서양 철학의 기원으로 자리하고 있다. 또한 방법은 다르지만 궁극적으로 진리와 도에 귀일하고자 하는 바람은 동일한 삶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고령화 시 대에 노화와 망각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을 넘어 노년의 삶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The consciousness of cognitive aging and forgetting is believed to be a phenomenon that only humans have. Growth and memory are accepted affirmatively while aging and forgetting are recognized negatively. If aging and forgetting is a natural phenomenon of old age, there is a need to look at this process positively. Furthermore, if aging and forgetting are considered as pathological phenomena then its a subject to be debated to how to overcome it. However, if it has unique meaning and are necessary aspects of the conscious phenomenon in human lives then these processes are needed a more deeper approach to understand in proper context. Therefore, this pap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and recognize the value of aging and forgetting from a new perspective, through the following contents: 1. Biological Meaning of Aging 2. Psychology of Old Age 3. Memory and Self-identity 4. Forgetting and Retrospect 5. Hope and Contemplation 6. Anamnesis and Z uowang (坐忘). Philosophers like, Socrates and Confucius lived a very noble and fruitful life in their old ages. Their lifestyles are good instances of what life in older age should aim to do. The value of old age life lies in its deeper philosophical meaning. The philosophical evaluation of old age will open up new horizons in human intellectual history, of which origin lies in the representations of memory and forgetfulness in old age in the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In spite of methodological differences, the philosophical purpose that the two philosophers had accomplished, is the same life. Beyond the negative preconceptions about aging and forgetfulness, it is important to necessitate a new postulate to the life in old age.

      • KCI등재

        존재 망각의 세 층위

        이진주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4 철학논집 Vol.76 No.-

        하이데거의 철학은 ‘존재망각의 사태’로부터 존재이해를 향해가는 ‘존재에 대한 물음’의 과정이며, 이를 통한 ‘존재망각의 극복’의 사유다. 그의 철학이 이러한 물음과 극복의 사유일 때, 존재망각은 역설적이게도 하이데거 철학이 자라난 토양으로 기능한다. 이 글은, 그 토양을 면밀하게 탐구해야 할 필요에서 존재망각 개념을 문제 삼는다. 이때 ‘문제 삼음’은 해당 개념 자체를 오류라고 지적하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그것의 ‘무엇임’을 철저히 따져 보는 것이다. 존재망각은 ‘존재자와 존재의 존재론적 차이에 대한 망각’으로 정의된다. 이 한 줄의 정의는 우리에게 존재망각의 무엇임을 설명해주지 않는다. ‘존재와 존재자의 다름이 잊힘’이 가리키는 ‘사태’가 무엇인지가 명확하지 않다. 이 글은 존재망각이 가리키는 사태를 그 정의를 자세히 들여다보는 일에서부터 시작하여(2장), 존재의 층위에서(3장), 인간 이해의 층위에서(4장), 그리고 존재자와의 현실적 관계 맺음의 층위에서(5장) 살피고자 한다. 존재의 층위에서 그것은, 존재의 드러내며 감추는 본질로부터 유래한 존재의 역사적 운명이다. 인간 이해의 층위에서 그것은, 인간이 표상 작용을 통해서 존재자를 대상화함으로써 초래된 결과이고 위험이기도 하지만, 인간 존재이해에 필연적으로 속하는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존재자와의 현실적 관계 맺음의 층위에서 그것은, 기술을 통해 존재자를 부품화한 결과인데, 이때 존재자가 가진 존재 의미는 완전히 왜곡된다. 그 왜곡을 통해 ‘인간 존재의 무화’, ‘대지의 황폐화’ 그리고 ‘세계대전’이라는 현실적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 세 가지 층위를 고려할 때, 망각은 인식론적이거나 존재론적인 층위에서 관찰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실적 문제로서도 포착될 수 있다. Heidegger's philosophy is a process of questioning being, which moves from the event of the forgetfulness of being to the understanding of being, and it is the thinking for overcoming the forgetfulness of being through this questioning. When his philosophy is the thinking of these questions and their overcoming, the forgetfulness of being paradoxically functions as the foundation on which Heidegger's philosophy grows. This article problematizes the notion of the forgetfulness of being out of a need to explore its foundations more closely. In this case, problematizing doesn't mean pointing out that the concept itself is a fallacy. Rather, it means thoroughly examining what it is. Forgetfulness of being is defined as forgetfulness of the ontological difference between being and beings. What does this simple definition tell us? This article begins with a definition of what the forgetfulness of being is (Chapter 2), and then explores the forgetfulness of being at the layer of being (Chapter 3), at the layer of human understanding (Chapter 4), and at the layer of realistic relationships with beings (Chapter 5). At the layer of being, it is the Geschick of being that results from the revealing concealment of the nature of being. At the layer of human understanding, it is a consequence and a danger of the human objectification of beings through the representation, but it is also an unavoidable part of the human understanding of being. Finally, at the layer of a real relationship with beings, it is the result of a standing reserve of beings through technology, where the meaning of their being is completely distorted. Through this distortion, real problems such as “annihilation of human existence,” “devastation of the earth,” and “world war” arise. Considering these three layers, forgetfulness of being can be observed at the epistemological or ontological layer, as well as captured as a real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