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 유형에 따른 말명료도 분석

        이영미(Young Mee Lee),성지은(Jee Eun Sung),심현섭(Hyun Sub Sim),한지후(Ji Hoo Han),송한내(Han Nae S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말명료도 수준에 따른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마비말장애인의 말명료도를 예측할 수 있는 조음오류 유형을 살펴보았다. 방법: 대상자는 화자와 청자로 나누었다. 화자는 뇌성마비를 동반한 마비말장애인 100명이며, 청자는 마비말장애인의 말을 청취해본 적이 없는 20대 정상 청력 성인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신뢰로운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 유형의 분석을 위해서, 훈련된 평가자가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 유형을 APAC 녹음 자료를 사용하여 자음의 생략, 대치, 왜곡, 첨가, 음소 및 음절의 연장, 반복, 부적절한 쉼, 비구어적 소리를 분석하였다. 말명료도 측정을 위해서 청자가 조용한 환경에서 헤드폰을 착용하고 화자가 말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단어를 받아쓰도록 하였다. 산출된 말명료도 점수에 따라서, 화자를 말명료도 수준에 따라서 고 집단(n=44), 중 집단(n=33), 저 집단(n=23)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혼합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말명료도 수준과 조음오류 유형의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말명료도와 조음오류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하였다. 말명료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조음오류가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으며, 생략, 대치, 쉼의 조음오류 유형에서 말명료도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 유형 중에서, 생략, 대치, 비구어적 소리만이 말명료도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말명료도 수준에 따라서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 유형의 프로파일에 차이가 있었으며, 생략, 대치, 비구어적 소리만이 마비말장애인의 말명료도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마비말장애인의 말명료도 수준과 조음오류 유형을 평가, 치료, 음성 인식 프로그램 개발 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rticulation error patterns according to the level of speech intelligibility and to examine which articulation error patterns significantly predicted speech intelligibility in adults with dysarthria. Methods: One hundred speakers with dysarthria and 25 native listene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Based on the levels of speech intelligibility, speak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ighintelligibility speakers (n=44), mid-intelligibility speakers (n=33), and low-intelligibility speakers (n=23). APAC words were used as stimuli for obtaining dysarthric speech. Articulation error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eight categories as follows: omission, substitution, distortion, addition of consonants, prolongation, repetition of the phonemes and syllables, intra-word pause, and non-speech sounds. Frequencies of articulation error patterns were examined by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peech intelligibility was judged by 25 native listeners using a word transcription task. Results: Results of the two-way ANOVA (groups x articulation error patterns) revealed that the two main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high-intelligibility speakers showed fewer errors than the rest of the groups, and that substitution had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for error than the rest of the patterns. A two-way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ue to the fact that the group differences emerged only in three articulation error patterns (substitution, omission, and intra-word pause).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analysis showed that omission, substitution, and nonspeech sound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peech intelligibility in dysarthria. Discussion &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articulation error pattern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speech intelligibility and may differentially contribute to speech intelligibility in persons with dysarthria.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evaluating dysarthric speech and developing a speech recognition device for dysarthric speakers.

      • KCI등재

        청자의 친숙도에 따라 낱말수준에서 살펴본 24∼48개월 아동의 말 명료도 발달 연구

        김미진(Mijin Kim),하승희(Seunghee Hab)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4

        Background & Objectives: Speech intelligibility is an important index for determining a child’s verb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need for intervention and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speech intelligibility based on single-word productions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etween 24 and 48 months of age according to listener’s familiarity with child’s speech.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at were divided into 4 age groups (6-month intervals, 10 children per group). The listener groups consisted of 40 children’s mothers and 42 individuals who were not familiar with the child’s speech. A picture list of 23 target words was presented to children who were asked to produce each target word spontaneously. Listeners listened to children’s recorded speech samples and transcribed what they understood. Speech intelligibility was measured by dividing the number of fully intelligible target words by the total number of words and multiplying by 100.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4 different age groups in both listener groups. Post-hoc test revealed that speech intelligibility in the early 2-year-old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late 2-year-old and early and late 3-year-old groups. Addition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speech intelligibility between the late 2-year-old group and late 3-year-old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peech intelligibility percentages between listener groups. Discussion & Conclusion: Speech intelligibility rapidly developed at 2 years of age and gradually progressed showing more than 70% of speech intelligibility after 3 years of age. The results suggested that listener’s familiarity with a child’s speech did not affect the speech intelligibility measures in single-word levels. 배경 및 목적: 말 명료도는 아동의 말 산출 능력을 결정하고 언어치료 중재의 필요성과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어머니가 청자일 경우와 아동 발화에 친숙하지 않은 청자일 경우에 따라 월령별 말 명료도 발달 양상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화자는 24∼48개월 일반아동을 6개월 단위로 구분하여 각 10명씩, 총 네 집단으로 구성하였고 청자는 아동의 어머니 40명과 아동의 발화에 친숙하지 않은 사람 42명으로 구성하였다. 말 명료도 평가를 위해 선정된 23개의 목표낱말을 그림으로 제시해 단어명명하기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의 발화를 녹음하였다. 녹음된 발화를 두 청자 집단에게 들려준 뒤 아동이 의도한 낱말과 청자가 이해한 낱말의 수를 퍼센트로 산출하여 말명료도를 측정하여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월령에 따라 말 명료도 측정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청자에 따라 말 명료도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월령과 청자 집단 간 상호작용도 유의미하지 않았다. 사후분석결과, 2세 전반의 말 명료도 결과는 2세 후반, 3세 전반, 3세 후반 말 명료도 결과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고 2세 후반의 말 명료도 결과는 3세 후반의 말 명료도 결과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낱말수준의 말 명료도 검사에서 아동의 발화에 대한 청자의 친숙도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 명료도 발달은 2세 전반과 후반에 비약적으로 발달하였고, 3세 이후의 연령부터 점진적인 발달을 이루어 70%이상의 말 명료도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청각장애 성인의 청지각적 말 평가

        이성은(Sung Eun Lee),김향희(HyangHee Kim),심현섭(Hyun-Sub Sim),남정모(Chung Mo Nam),최재영(Jae Young Choi),박은숙(Eun Sook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4

        청각장애인은 의사전달이 어려운 ‘말 명료도’ 문제와 청자가 화자의 말을 이상하게 여기는 ‘말 용인도’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임상의 말 평가는 말 명료도와 분절적 요소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각장애 성인의 발화가 초분절적 요소, 말 명료도, 말 용인도 측면에서 청지각적으로 어떻게 평가되는지 살펴보고, 초분절적 요소가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음도, 음량, 음질, 공명, 억양, 말속도의 상위 6개 영역 항목에 속한 하위 22개 구체 항목으로 초분절적 요소에 대한 평가 항목을 작성하였다. 피험자는 고도 이상 난청 성인 55명이었으며, 언어습득 전과 언어습득 후 난청집단, 고도와 심도 난청집단으로 구분되었다. 피험자는 그림설명 과제와 문단 읽기 과제, 무의미음절과 단어 이름대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청각장애 경력이 3년 이상인 언어치료사 5인이 초분절적 요소와 말 명료도, 말 용인도를 100mm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에 평가하였다. 결과: 첫째, 초분절적 영역 항목 중증도는 청력 손실의 시기와 정도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언어습득 전이 언어습득 후 난청집단보다, 심도가 고도 난청집단보다 중증도가 높았다. 둘째,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는 언어습득 전이 언어습득 후 난청집단보다 낮았고, 심도가 고도 난청집단보다 낮았다. 말 용인도는 말 명료도에 비하여 다소 낮게 평가되었으며, 두 변인은 전체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언어습득 후 난청집단에서는 말 명료도에 비해 말 용인도가 다양하게 나타나서, 두 변인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말 요소와 말 명료도, 말 용인도의 상관분석 결과, 분절적 요소는 말 명료도와, 초분절적 요소는 말 용인도와 상관계수가 높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말 명료도는 자음정확도, 모음정확도, 억양 중증도, 말속도 중증도가, 말 용인도는 자음정확도, 억양 중증도, 공명 중증도, 말속도 중증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분절적 요소 역시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에 영향을 미치며, 말 용인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청각장애 성인의 청지각적 말 평가에서 초분절적 요소, 말 명료도, 말 용인도가 청각장애의 다양한 말 문제를 기술하는 데 있어 유용한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Pati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HI) have problems communicating due to the lack of speech intelligibility (SI) and speech acceptability (SA). However, the speech evaluation in clinics is limited to evaluating SI and segmental factors. Hence,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the speech of adults with HI are perceptually evaluated in terms of suprasegmental factors, SI, and SA, and specifically how suprasegmental factors may influence SI and SA. Methods: First, the auditory-perceptual suprasegmental profiles were created by including the upper 6 section items such as pitch, loudness, voice quality, resonance, intonation, and speech rate, and the lower 22 concrete items. Fifty-five subjects were separated into 2 groups based on the onset of HL (prelingual vs. postlingual) or the degree of HL (severe vs. profound). Subjec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picture description tasks, paragraph reading tasks, non-syllabic and wordnaming tasks. Five professional speech and language pathologists used the 100 mm Visual Analog Scale to measure the severity of the suprasegmental section items, SI, and SA.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prasegmental factors depending on the onset and the degree of HL; prelingual patients showed a relatively greater degree than postlingual patients, and the profound group demonstrated greater severity than the severe group. Second, SI and SA were relatively lower in the prelingual and profound group than in the postlingual and severe group. In addition, overall SA rates were lower than SI rates. Although these 2 rates showed high correlations in general, no significant orrelations were observed in the postlingual group. Thir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segmental factors were more highly correlated with SI, but suprasegmental factors were more highly correlated with SA.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mplied that factors such as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PCC), percentage of vowels correct, and the severity of intonation and speech rates significantly influenced SI. However, PCC, the severity of intonation, and the resonance and speech rates significantly influenced SA.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verified that suprasegmental factors, SI, and SA are valuable indices that may be applied to the effective evaluation of various speech problems in adults with HI during an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 KCI등재

        구개열 아동의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간의 상관연구

        한진순(Jin Soon Ha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2

        배경 및 목적: 조음장애에 대한 임상적 의사결정에는 자음정확도 외에 의사소통의 효율성에 대한 지표도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구개열 아동의 문장발화에 대해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방법: 연령을 일치시킨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일반 아동 각각 9명에게 8음절문장 7개를 따라 말하게 하여 63개 문장 발화의 자음정확도를 산출하였다. 그 다음, 문장 발화를 무선화하여 청취자료로 제작한 뒤 일반인 청취자 40명에게 들려주고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이후 전체 문장, 문장 유형별,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수준별로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간의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문장에서 판정된 자음정확도와 말 명료도, 자음정확도와말 용인도, 그리고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 간의 상관은 세 아동 집단에서 모두 유의하였다.문장의 유형을 구분하여 자음정확도와 말 명료도, 자음정확도와 말 용인도의 관련성을 분석한결과, 각 집단별로 유의한 상관을 보인 문장 유형은 다르나 대체로 혓소리와 발달상 늦게습득되는 자음 문장에서 상관이 유의하였다.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의 수준에 따라 세 변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대체로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 간의 상관 외에는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문장발화에서 판정된 자음정확도가 높을수록 말 명료도와말 용인도도 높게 평가될 수 있다. 자음정확도 외에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의 판정에 미칠수 있는 여러 조음 변인을 논의하였다.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 간의 상관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두 변인에 작용하는 조음 변인이 다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It is important to account for the index of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s well as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PCC) in clinical decision-making when treating patients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the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Methods: Nine children with cleft palate, nin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nine children without developmental abnormalities, all three to six years of age and age-match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seven eight-syllable sentences. Each utterance was judged in regard to correct articulation of the target sounds, and a PCC score was calculated for each sentence. After listening to each sentence, 40 naive listeners were asked to rate both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each sentence on a 10㎝ Visual Analog Scale. Results: The PCC scores, speech intelligibilities, and speech acceptabilities of the sentences produced by children with cleft palate were significantly rela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PCC score,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ratings for lingual consonants and consonants that are generally acquired later during development was detect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CC scores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ratings, and the PCC scores and the speech acceptability ratings were not significant when analyzed by level of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Discussion & Conclusion: Although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re influenced by PCC score, they are not interchangeable measures. Variables that may underlie the relationships between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was discussed.

      • KCI등재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와 비음치가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에 미치는 영향

        장선정(Seon Jeong Jang),최현주(Hyun Joo Choi)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3

        본 연구는 표준문단 읽기 과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동일한 말샘플을 통하여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와 비음치가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마비말장애 성인 10명과 일반 성인 16명이었다. 비음치 측정을 위한 과제로는 모음 연장,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 읽기를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표준문단을 사용하여 자음정확도를 측정한 후, 평정자 20명에게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명료도, 말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에서는 마비말장애 성인 집단의 비음치가 일반 성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모음연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자음정확도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가 말명료도와 말용인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말용인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의 상관이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 and effect of PCC(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 and nasalance score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in adults with dysarthria by reading task of standardized passage. Ten adults with dysarthria and sixteen normal adul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CC and nasalance score were measured through reading task of standardized passage. And,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were examined using visual analogue criteria.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nasalance score of adults with dysarthria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adults group in reading sample by standardized passage. Second, the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 However, the nasalance score doesn’t show significant corelation with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CC is closely related to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but nasalance score is not related to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 KCI등재

        Speech Intelligibility of Spontaneous Conversation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etween 2-4 Years of Age

        김수진(Soo-Jin Kim),김정미(Jung-Mee Kim),윤미선(Mi-Sun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3

        Objectives: Speech intelligibility is an effective index to evaluate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Conversational speech is one of the most socially valid contexts for evaluating speech intellig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spontaneous speech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etween 2-4 years of age.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 children in 3 age groups (G1, 2;00-2;11; G2, 3;00-3;11; G3, 4;00-4;11). Speech samples of the children were collected during conversations with their caregiver at home. Twelve college students listened to the recorded samples and evaluated the intelligibility using a rating scale and Eojeol (a unit of Korean language) identification test. Results: Intelligibilities measured by the rating were 40% for G1, 50% for G2 and 68% for G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telligibility among groups. However the results of the intelligibilities score by the Eojeol identification test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among those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rating scale for speech intelligibility was more sensitive than the Eojeol identification task for demonstrating the developmental change of speech in young children. This study also provided the data of speech intelligibilities in typically developing Korean children between 2-4 years of age. These results can serve as useful information for clinical practice as well as for future research. 배경 및 목적: 말명료도는 말소리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효과적인 지표이며, 일반 아동의 말소리 발달 평가와 연구에도 사용되고 있다. 2-4세는 말소리 습득과 발달이 활발히 진행되는 시기로, 본 연구에서는 이 시기 아동의 연령과 평가방법에 따른 말명료도의 차이를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2-4세 일반 아동으로, 각 연령 당 10명씩 총 30명 아동이었다. 말 자료는 어머니와 아동이 대화하는 자발화 녹음 자료에서, 연속된 아동의 50발화를 선정하여 어머니의 발화 부분을 제외하고 편집하였다. 평가자는 대학생 12명으로 말명료도 평가는 평정척도를 이용한 명료도 평정치와 낱말 확인과제를 이용한 어절 명료도의 두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명료도 평정치와 어절 명료도 값이 모두 연령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명료도 평정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반면 어절 명료도의 차이는 연령 간 유의하지 않았다. 두 명료도 간의 상관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2-4세 아동 자발화에서의 말명료도 수준을 제시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자발화의 말명료도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언어 발달과 같은 외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말소리 명료도와 모음공간면적의 상관성

        이옥분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코기토 Vol.- No.68

        이 연구의 목적은 말명료도와 모음공간면적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말명료도는 청자입장에서 화자가 발화한 메시지의 해석정도로 정의할 수 있다. 의사소통장애 영역에서 말명료도 평가는 구어장애를 가진 화자들의 말소리 지각과 산출에서 정상화자와는 다른 비정상적인 말소리 변화와 패턴을 감지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모음공간면적은 화자가 산출한 말소리의 음향학적 분석의 하나로써, 첫 번째 공명주파수(F1)와 두 번째 공명주파수(F2)값에 근거하여 산출된다. F1은 구강 내 혀의 높이, F2는 혀의 전후 자질과 관련되는데, 이 분석을 통해 말소리 문제가 있는 화자의 구강 내 혀운동 변화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모음공간면적과 말소리 산출특성 간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청각장애, 말더듬, 정신지체의 조음장애, 뇌손상으로 인한 마비말장애 등의 의사소통장애 영역에서 다양한 각도도 연구되어 왔다. 모음공간면적의 음향학적 분석결과는 말소리 평가의 청지각적 판단의 신뢰성을 뒷받침해 주는 중요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말명료도에 미치는 청지각적 변수들을 구체적으로 체계화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들이 있다. 말소리를 평가하는 청취자의 조건이나 청취환경, 화자가 산출한 메시지 길이, 발화의 문맥적 단서, 말소리의 언어학적 특성 등이 말명료도 평가의 획일화와 체계화에서 많은 연구적 고려점을 제시하고 있다. 적어도 말소리평가를 위한 구어 샘플의 언어학적 요소에 대한 적용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다학문적인 팀접근을 통한 말명료도 평가도구개발과 임상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speech intelligibility and vowel space area. Speech intelligibility can be defined the degree that a listener can recover the represented messages by a speaker.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 speech intelligibility test is very important to detect the problem and changes in speech perception and production in individuals with speech disorder. In respect of speakers, vowel space area based on the first formant frequency(F1) varying with tongue height and the second formant frequency(F2) varying with tongue advancement is also useful to check out the problems in speaking. Increased vowel space area can be said that the motion range of articulatory is increased. Many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intelligibility and vowel space area in dysarthria, stuttering, hearing impairment, etc. But there are many variables to influence to perceptual judgement by listeners, such as listening environment, message length, contextual cues, linguistic information in speaking, etc. So those variables controlled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intelligibility and vowel space area. At least, if linguistic components in speech stimuli can be unified in intelligibility test, it can be get the more meaningful and reliable results to describe the relation of them.

      • KCI등재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일음절 낱말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비교

        한진순(Jin Soon Ha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구개열 화자의 임상에서 말소리 산출 특성뿐만 아니라 그 특성이 말 명료도나 말 용인도 등 의사소통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구개열 아동이 산출한 일음절 낱말의 자음정확도, 전사 말 명료도 및 평정 말 용인도가 기질적 문제가 없는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과 정상 조음발달을 보이는 일반 아동에 비해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방법: 구개열 아동 9명과 연령을 일치시킨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 각 9명에게 15개의 CVC 일음절 낱말을 산출하게 하여 낱말 초성 자음정확도를 산출하였다. 이후 각 집단별로 일음절 낱말을 무선화하여 청취자료를 제작한 뒤 일반인 청취자 40명에게 들려주고 받아 적기 과제를 이용하여 전사 말 명료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 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이후 초성 전체, 조음위치, 조음방법 및 발성유형 구분에 따라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에서 세 아동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한지 검증하였다. 결과: 전체 자음정확도는 구개열 아동이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에 비해 낮았고,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전체 말 명료도는 구개열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낮았으나, 구개열 아동과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세 집단의 전체 말 용인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조음위치, 조음방법, 발성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비교하였을 때 집단차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자음의 종류 및 집단 대조는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에서 다소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일음절 낱말에서도 조음수행 정도에서 크게 다르지 않은 아동들은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에서도 비슷한 평가를 받을 것으로 여겨지나 목표자음의 종류에 따라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는 다르게 평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판정에 미칠 수 있는 여러 변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397-410. Background & Objectives: Accounting for the index of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s well as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PCC) in clinical decision-making is important when treating patients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CC derived from single words in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effects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PCC,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speech acceptability of CP children with those of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three age-matched groups of children: nine with CP, nine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nine normal developing children. All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seven 15 one-syllable words. Each word was judged in regard to correct articulation of the initial target sounds, and a PCC score was calculated for each word. After listening to each word, 40 naive listeners were asked to write down the word on a phoneme to phoneme basis and to rate the speech acceptability of each word on a 10-cm Visual Analog Scale. Results: The PCC of the words in children with C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However,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e words in children with CP was lower only in comparison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with regard to speech acceptability.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of variabl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target consonant, different tendencies were observed. Discussion & Conclusion: Even though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re influenced by the PCC, they are not the same measures and represent different variables. Some possible variables which underlie the relationships among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re further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397-410)

      • KCI등재

        듣기 중심의 언어중재가 특수학교 인공와우 이식 중등부 학생의 말 지각과 말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박은혜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ditory Skills Program on speech perception and speech intelligibility of students with cochlear implants who were in special school. The participants were eight students with CI which was implanted before the age of 10, who attended at the special secondary school. ASP was translated and mod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language and the subjects. Each student had participated 20 individual intervention sessions, conveying each student sound awareness and auditory comprehension at the discourse, sentence and word level respectively. All participants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ith single syllable word test, ASP placement test, Speech Intelligibility Rating scales and Urimal-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ings; (1) the significant increases in one syllable word speech perception and the U-TAP Consonant Accuracy were shown at the post-treatment test, and (2) there was increase of auditory comprehension level according to ASP placement test. However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R scales. ASP intervention was effective on the increase of speech perception and auditory comprehension in the students with CI who were in the special education setting.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speech intelligibility, it motivated the students for correcting speech sound in order to increase intelligibility and students responded that the intervention made their listening skills increase. 본 연구는 듣기 중심의 언어 중재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인공와우 이식 중등부 학생들의 말 지각과 말 명료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인공와우를 이식받고 청각장애 특수학교 중등부에 재학 중인 학생 8명이고, 단일 집단 사전 사후 설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중재는 1회기 40분, 총 20회기의 개별 지도로 진행되었고, 중재 내용은 Auditory Skills Program(Romanik, 1990; 2008)이 제시하는 중재 원리와 듣기 발달 단계에 따라 우리말 특성과 대상 연령에게 적합한 활동 내용을 고안하여 적용하였다. 1음절 단어 말 지각 검사, SIR 말 명료도 평가, 우리말 조음음운검사(U-TAP)의 자음과 모음 정확도 검사로 말 지각과 말 명료도 측정 결과, 1음절 단어 말 지각의 단어와 음소 수준 모두 중재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고, SIR 말 명료도는 한 명을 제외하고 사전-사후 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자음 명료도의 낱말과 문장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특수학교 인공와우 이식 중등부 학생들에게 학교 상황에서 제공한 듣기 중심의 언어 중재는 말 지각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음 정확도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으나 직접적인 말 명료도 향상 보다는 학생들에게 말 명료도 증진에 대한 동기화 부여 등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공와우 이식 학생의 개별 수준에 따른 단계적 중재 내용을 특수학교 환경에서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인공와우 이식 학생들을 위한 듣기 중심의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논의점과 제언,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하위그룹별 말속도와 쉼의 특성 및 말명료도와의 관계

        정필연(Pil Yeon Jeong),심현섭(Hyun Sub Sim) 한국음성학회 2020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하위그룹별로 말속도와 쉼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말명료도와의 관련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26명이 참여하였다. 말문제와 언어문제가 없는 NSMI-LCT 4명, 말문제는 없지만 언어문제가 있는 NSMI-LCI 그룹 6명, 말문제가 있지만 언어문제는 없는 SMI-LCT 6명, 말과 언어문제를 모두 동반하는 SMI-LCI 그룹 1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과제는 문장 따라말하기였고, Praat을 통해 말속도, 조음속도, 쉼 시간의 비율, 평균 쉼 횟수, 평균 쉼 시간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말속도와 조음속도는 언어문제의 유무와 관계없이 NSMI와 SMI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NSMI에 비해 SMI 그룹에서에서 쉼 시간의 비율은 더 높고, 쉼 횟수는 더 빈번하였으며 쉼 시간은 더 길게 나타났다. 셋째, 말속도와 조음속도는 말명료도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느린 말속도가 SMI 그룹의 말산출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특성이고, 말명료도에 있어서 조음속도와 말속도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rate and paus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CP)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speech intelligibility. In all, 26 children with CP, 4 with no speech motor involvement and age-appropriate language ability (NSMI-LCT), 6 with no speech motor involvement and impaired language ability (NSMI-LCI), 6 with speech motor involvement and age-appropriate language ability (SMI- LCT), and 10 with speech motor involvement and impaired language ability (SMI-LCI) participated in the study. Speech samples for the speech rate and pause analysis were extracted using a sentence repetition task. Acoustic analysis were made in Praat. First, it was found that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language impairmen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between the NSMI and SMI groups were found in speech rate and articulation rate. Second, the SMI groups showed a higher ratio of pause time to sentence production time, more frequent pauses, and longer durations of pauses than the NSMI groups. Last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peech rate, articulation rate, and intelligi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low speech rate is the main feature in SMI groups, and that both speech rate and articulation rate play important roles in the intelligibility of children with spastic C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