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리장성 설화의 형성 기원과 문화사적 의의 :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속담 설화와 관련하여

        이수자(Lee Soo-Ja)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28 No.-

        우리나라에는 중국 진시황, 혹은 진시황 때 축성되었다고 전하는 만리장성과 관련된 이야기가 다수 전한다. 이 중에서도 특히 '하루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속담의 유래담으로 알려져 있는 이야기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널리 광포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본 논문은 이러한 속담 유래담과 관련된 만리장성설화에 관심을 갖고 이 설화의 문학적·문화사적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만리장성 설화는 그 내용이 중국 진시황 적에 만리장성을 쌓을 때의 일이라 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어떤 남자가 만리장성을 쌓으러 갔는데, 그 부인이 글을 모르는 어떤 남자를 유혹하여 하룻밤을 동침하고는 그에게 남편에게 옷가지와 편지를 전해주고 오면 함께 살겠다 한다. 남자가 이 말을 믿고 심부름을 했는데, 편지에는 남편 대신 성 쌓을 사람을 보내니, 그를 대신 붙잡아 놓고 빨리 도망오라고 쓰여 있어 남편은 그 남자에게 옷을 갈아입고 오는 동안 잠시 성을 쌓아 달라고 부탁하고는 그대로 도망하여 집으로 돌아왔다는 것이다. 이 설화는 이야기 끝에 여기에서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속담이 생겼다 하고 있어, 이러한 속담을 만들어낸 기원설화라 볼 수 있다. 만리장성 설화는 여성의 지혜담, 지략담, 기지담이라고 볼 수 있고, 넓게는 열녀담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룻밤을 여자와 동침한 남성의 입장에서 보면, 글자를 몰라 억울하게 여자에게 속아 평생을 망친 남자의 존재론적 비극성이 나타나 있어 문학성도 풍부하다. 또한 이 설화는 글자를 알아야 남에게 당하지 않는다는 교훈성도 갖고 있다.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속담은 원래 어떤 사람이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아, 어떤 사람은 하룻밤을 자고도 평생 만리성을 쌓는데, 너는 그 정도로 뭐가 억울하다고 하느냐?"하는 의미로 사용되던 것이었으나, 나중에는 '잠깐 사이에도 깊은 정분을 쌓을 때' 사용하는 속담으로 변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사람 관계에 있어 잠깐 사이에도 깊은 정분이나 인연을 맺는 기회가 많아 여기에 사용할 속담이 필요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만리장성 설화는 특히 경상도 지역에서 많이 구연되고 있는데, 경상도에는 특별히 중국 진시황의 만리장성 쌓을 때의 이야기가 설화, 혹은 전설화 되어 다수 전하고 있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는 노인들이 전하기를 진한(辰韓)은 옛날에 진역(秦役)을 피해 이곳으로 옮겨왔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바, 특별히 고대 진한의 땅이었던 경상도 지역에 이와 같이 진시황, 혹은 진시황 때의 만리장성 성 쌓기와 관련된 설화가 많이 전승되고 있는 것은 신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A lot of stories have been handed down to our country in regard to the Great Wall of China said to have been built up at the emperor of Jinsi, China. Among the, the tale known as the proverb "we build a castle even if we sleep overnight." seems to be widely spread all over our country, so this essay concerned about the tale of the Great Wall of China related to the original story of the proverb, looked into the meaning of literary and cultural history on this story. The tale of Great Wall of China can be seen as the wisdom, cleverness, wit story of women, and in a wide sense, and a virtuous woman story as well. From the viewpoint of the man sleeping with a woman, it indicates the ontological tragic character of the man ignorant of letters, so deceived by the woman, and ruining his life, which can be found to have rich literary characteristic. Thus, this story teaches us a lesson that we should know letters by all means. The saying 'we should build a castle even if sleeping overnight' was originally used as meant for 'Ah, some person built a life-long Great Wall of China even at one-night sleeping, but for what do you feel pent-up for that extent?' when he suffer from something unfair, but later, changed to the proverb used when 'we become deeply intimate with someone even for a short time.', which can be due to the need of a proverb to be used for the chance to cultivate a deep friendship with others for a short time. The tale of Great Wall of China has been orally narrated in Gyeongsang-Province, where the stories of the building of tale of Great Wall of China in reign of Qinshihuang(秦始皇) China have been much inherited as myth or other similar type. Wijidongijeon of 『Samgukji』 recorded that the elders in Jinhan(辰韓) said Chinese moved there in order to avoid to Qin services(秦役), especially, that the earth of the ancient Jinhan, Gyeongsang-Province has a lot of inherited stories concerning the building of the Great Wall of China in the reign of Qinshihuang can be said to a mysterious thing.

      • KCI등재

        만리장성 설화의 형성 기원과 문화사적 의의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속담 설화와 관련하여-

        이수자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0 No.28

        우리나라에는 중국 진시황, 혹은 진시황 때 축성되었다고 전하는 만리장성과 관련된 이야기가 다수 전한다. 이 중에서도 특히 ‘하루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속담의 유래담으로 알려져 있는 이야기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널리 광포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본 논문은 이러한 속담 유래담과 관련된 만리장성설화에 관심을 갖고 이 설화의 문학적ㆍ문화사적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만리장성 설화는 그 내용이 중국 진시황 적에 만리장성을 쌓을 때의 일이라 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어떤 남자가 만리장성을 쌓으러 갔는데, 그 부인이 글을 모르는 어떤 남자를 유혹하여 하룻밤을 동침하고는 그에게 남편에게 옷가지와 편지를 전해주고 오면 함께 살겠다 한다. 남자가 이 말을 믿고 심부름을 했는데, 편지에는 남편 대신 성 쌓을 사람을 보내니, 그를 대신 붙잡아 놓고 빨리 도망오라고 쓰여 있어 남편은 그 남자에게 옷을 갈아입고 오는 동안 잠시 성을 쌓아 달라고 부탁하고는 그대로 도망하여 집으로 돌아왔다는 것이다. 이 설화는 이야기 끝에 여기에서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속담이 생겼다 하고 있어, 이러한 속담을 만들어낸 기원설화라 볼 수 있다. 만리장성 설화는 여성의 지혜담, 지략담, 기지담이라고 볼 수 있고, 넓게는 열녀담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룻밤을 여자와 동침한 남성의 입장에서 보면, 글자를 몰라 억울하게 여자에게 속아 평생을 망친 남자의 존재론적 비극성이 나타나 있어 문학성도 풍부하다. 또한 이 설화는 글자를 알아야 남에게 당하지 않는다는 교훈성도 갖고 있다.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속담은 원래 어떤 사람이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아, 어떤 사람은 하룻밤을 자고도 평생 만리성을 쌓는데, 너는 그 정도로 뭐가 억울하다고 하느냐?”하는 의미로 사용되던 것이었으나, 나중에는 ‘잠깐 사이에도 깊은 정분을 쌓을 때’ 사용하는 속담으로 변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사람 관계에 있어 잠깐 사이에도 깊은 정분이나 인연을 맺는 기회가 많아 여기에 사용할 속담이 필요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만리장성 설화는 특히 경상도 지역에서 많이 구연되고 있는데, 경상도에는 특별히 중국 진시황의 만리장성 쌓을 때의 이야기가 설화, 혹은 전설화 되어 다수 전하고 있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는 노인들이 전하기를 진한(辰韓)은 옛날에 진역(秦役)을 피해 이곳으로 옮겨왔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바, 특별히 고대 진한의 땅이었던 경상도 지역에 이와 같이 진시황, 혹은 진시황 때의 만리장성 성 쌓기와 관련된 설화가 많이 전승되고 있는 것은 신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A lot of stories have been handed down to our country in regard to the Great Wall of China said to have been built up at the emperor of Jinsi, China. Among the, the tale known as the proverb “we build a castle even if we sleep overnight.” seems to be widely spread all over our country, so this essay concerned about the tale of the Great Wall of China related to the original story of the proverb, looked into the meaning of literary and cultural history on this story. The tale of Great Wall of China can be seen as the wisdom, cleverness, wit story of women, and in a wide sense, and a virtuous woman story as well. From the viewpoint of the man sleeping with a woman, it indicates the ontological tragic character of the man ignorant of letters, so deceived by the woman, and ruining his life, which can be found to have rich literary characteristic. Thus, this story teaches us a lesson that we should know letters by all means. The saying ‘we should build a castle even if sleeping overnight’ was originally used as meant for ‘Ah, some person built a life-long Great Wall of China even at one-night sleeping, but for what do you feel pent-up for that extent?’ when he suffer from something unfair, but later, changed to the proverb used when ‘we become deeply intimate with someone even for a short time.’, which can be due to the need of a proverb to be used for the chance to cultivate a deep friendship with others for a short time. The tale of Great Wall of China has been orally narrated in Gyeongsang-Province, where the stories of the building of tale of Great Wall of China in reign of Qinshihuang(秦始皇) China have been much inherited as myth or other similar type. Wijidongijeon of 『Samgukji』 recorded that the elders in Jinhan(辰韓) said Chinese moved there in order to avoid to Qin services(秦役), especially, that the earth of the ancient Jinhan, Gyeongsang-Province has a lot of inherited stories concerning the building of the Great Wall of China in the reign of Qinshihuang can be said to a mysterious thing.

      • KCI등재

        만리장성의 동쪽 끝과 낙랑군의 위치

        이덕일(eokil Lee) 바른역사학술원 2024 역사와융합 Vol.- No.19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403~221) 이후 중원의 역대 왕조는 여러 목적으로 장성(長城)을 쌓았다. 그중 연·진(燕秦) 장성은 북방 기마민족의 남진을막기 위해 쌓은 것이고, 이런 성격은 한(漢) 장성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이런 점에서 만리장성은 중원 역대 왕조가 자신들의 강역을 표시한 구조물이기도 하다. 만리장성 안쪽은 중원 왕조의 영역이고 그 바깥쪽은 북방 기마민족의 영역임을 뜻하는 국경선이기도 했다. 역사상 중국 만리장성의 가장 동쪽 끝은 명(明:1368~1644) 때 쌓은 산해관(山 海關)이었다. 그런데 지금 중국 국가박물관은 진·한(秦漢) 때 만리장성이 평양 근처까지 온 것으로 그려놓고 있다. 이는 1910년 일본인 식민사학자 이나바 이와기치(稻葉岩吉)가 한국사의 강역을 한반도 내로 가두려는 반도사관(半島史觀)으로 처음 고안한 제국주의 역사학의 논리였다. 이나바 이와기치는 「진 장성 동쪽 끝 및 왕험성에 관한 논고(秦長城東端及王險城考)」에서 진(秦) 장성이 지금의 북한 황해도 수안(遂安)까지 연결되었다고 주장했다. 이제국주의 침략이론을 1931년 중국의 왕국량(王國良)이 『중국장성연혁고(中 國長城沿革攷)』에서 받아들이면서 진장성이 평양까지 왔다고 조금 변형시켰다. 해방 후에도 한국의 강단사학계는 일본 제국주의 침략사관을 추종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런 한국 강단사학계의 태두(?)라는 이병도는「낙랑군고(樂浪郡考)」에서 이나바 이와기치의 논리를 표절해서 진 장성이황해도 수안까지 내려왔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현재 일본 제국주의 침략논리인 진 장성 동쪽 끝이 한반도 북부까지 내려왔다는 주장이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이다. 명(明)에서 역사상 가장 동쪽의 산해관을 쌓은 것은 만주족의 침입을 막기위한 것이었다. 만주족이 설립한 청은 더 이상 장성을 쌓지 않았다. 진(秦) 장성은 물론 중국의 어느 장성도 한반도 안까지 들어온 적이 없다. 진(秦)이 장성을 쌓은 것은 흉노(匈奴)와 고조선을 막기 위한 것이었는데, 진과 고조선의국경은 지금의 하북성(河北省) 갈석산 부근이었고, 그 북쪽에 진·한(秦漢) 장성의 유적이 있다는 사료가 있다. 고대 진·한(秦漢) 장성은 이 갈석산을 넘지 못했다. 갈석산 동쪽은 고조선의 강역이었다. Since China's Warring States Period (403-221), successive dynasties have built great walls for various purposes. Among them, the Yan and Qin great walls were built to block the southward advance of the northern equestrian people, and this characteristic continues in the Han great walls. In this respect, the Great Wall of China is also a structure through which various Chinese dynasties marked their territory. It was also a border line, meaning that the inside of the Great Wall was the territory of the Chinese dynasty, and the outside was the territory of the northern equestrian people. Historically, the easternmost end of the Great Wall of China was Shanhaiguan, built during the Ming Dynasty (1368-1644). However, the Chinese National Museum now depicts the Great Wall as having reached near Pyongyang during the Qin and Han Dynasties. This was the logic of imperialist history first devised by Japanese colonial historian Inaba Iwagichi in 1910 as a peninsular view of history that sought to confine the power of Korean history to the Korean Peninsula. Inaba Iwagichi claimed in 『Treatise on the Eastern End of the Qin Great Wall and The Capital of Wangheom of Gojoson』 that the Qin Great Wall was connected to Suan of Hwanghae Province, present-day North Korea. In 1931, China's Wang Guo Liang accepted this theory of imperialist invasion in 『A History of the Chinese Great Wall』, slightly modifying it to say that the Qin Great Wall reached Pyongyang. Even after liberation, Korea's Kangdan History academia has been criticized for following the Japanese imperialist view of the history of invasion. Lee Byeong-do, who is considered to be the leader of the Korean Kangdan History academia, plagiarized the logic of Inaba Iwagichi in “Nakranggungo (樂浪郡考)” and claimed that the Qin’s Great Wall came down to Suan, Hwanghae Province of North Korea. Therefore, the claim that the eastern end of the Qin’s Great Wall, which is the logic of Japanese imperialism's invasion, reached all the way to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s currently being accepted around the world. During the Ming Dynasty, the construction of Shanhaiguan, the easternmost mountain in history, was to prevent invasion by the Manchurians. The Qing Dynasty, founded by the Manchurian people, no longer built great walls. Not only the Qin general, but no Chinese general has ever entered the Korean Peninsula. The reason why the Qin Dynasty built the wall was to block the Huns and Gojoseon. The border between Jin and Gojoseon was near Galshi Mountain in present-day Hebei Province, and to the north of it are the remains of the Qin and Han Great Walls. There is evidence that says. The ancient Qin and Han generals could not climb this brown stone mountain. The eastern side of Galshi Mountain was the area of Gojoseon.

      • KCI등재

        카프카의 '만리장성 축조 때'에 나타난 서사와 동일성의 문제

        오순희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0 독일언어문학 Vol.0 No.87

        Kafkas “Beim Bau der chinesischen Mauer” zeigt, wie die großen Diskurse, aus denen sich kollektive Identität zusammensetzt, funktionieren, wobei das Motiv “Teilbau” eine entscheidende Rolle spielt. Die durch Teilbau entstandenen “Lücken” der Mauer sind ein literarisches Mittel, um auf das Problem der kollektiven Identität hinzuweisen. Der Erzähler identifiziert sich zuerst mit der Bedeutung der chinesischen Mauer, aber im Laufe der Zeit wird er skeptisch dieser Identifikation gegenüber, was auf eine wesentliche Änderung seiner Narrative hinausläuft. Dementsprechend wird das Bild des Kaisers zerspaltet. Die Demontage der Symbole der Großen Mauer führt auch zur Identitätskrise des Erzählers, die durch die abrupte Unterbrechung der Untersuchung über die Beziehung zwischen Kaiser und Volk symbolisiert wird. Dieser Prozess der Destruktion der kollektiven Identität zeigt paradoxerweise die Erzählstrategie der modernen Literatur auf, wie sie von Kafka vertreten wird. Sie ähnelt wiederum den Lücken in der chinesischen Mauer. 카프카의 '만리장성 축조 때'는 집단적 동일성을 구성하는 거대담론의 작동방식을 보여준다. 여기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부분축조’라는 모티브이다. ‘만리장성의 틈새들’은 부분축조로 인해 생겨난 것으로서 집단 동일성의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한 문학적 장치이다. 이 작품의 화자는 만리장성의 의미와 자신의 정체성을 동일시하는 입장에서 출발하다가 뒤로 갈수록 이러한 동일시에 대해 회의를 느끼는 모습으로 변해가며, 이러한 변화에 상응하여 ‘황제 이미지’도 분열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만리장성과 황제로 대변되는 동일성의 상징들이 해체됨으로써 화자 자신의 정체성도 불확실해진다. 황제와 백성의 관계를 연구하던 화자가 갑자기 연구를 중단하는 것은 이러한 동일성의 위기를 드러내는 행위이다. 그런데 이러한 집단 동일성의 해체과정이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카프카로 대변되는 현대 문학의 서사전략이다. 그것은 만리장성의 틈새와도 같은 것이다.

      • KCI등재

        중국현대미술과 ‘만리장성(萬里長城)’의 역사성

        정창미(Changmi Chung) 현대미술사학회 2014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6

        This paper investigates features of Chinese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art practices which have revolved around the theme of the Great Wall of China since the 1980s, thereby revealing the symbolism of the relic in contemporary Chinese art. To the Chinese, the Great Wall means more than fortifications; they have projected their philosophy and ideology onto the wall in every moment of history. In contemporary Chinese art―whose full development was spurred by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1976―the Great Wall has not only served as a site to practice art embodying the history, culture and ideology of the contemporary Chinese citizens, but also constituted the artworks themselves. In this paper, Chinese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art practices from the 1980s are classified into three periods, with the ground-breaking exhibition titled The China/Avant-Garde Exhibition (1989) bifurcating the first two. The third period begins in the 2000s when China consolidated its status in the international scene, keeping up with the rest of the world. Artworks of each period reflected different aspects of the Great Wall; the wall was an organism bearing the scars of modern history, or a metaphor for a materialistic society. Art practices staged in a specific site tend to build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historicity of the site. Just as the same historic event is interpreted differently in every period, so varies the significance of the site. In this sense, diverse approaches to interpreting a specific historical heritage may open up possibilities for novel artistic attempts.

      • KCI등재

        중국 역사학계의 새로운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성민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6

        당대는 정치, 경제, 문화, 모두 종합적으로 발달하여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세계가 성립되었다. 唐이 세계제국으로 불리는 것은 단지 한민족에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적 세계제국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당전기에는 당과 우호적으로 왕래한 국가가 70여개 국 이상이었고, 당시 상인, 유학생, 승려 등 많은 외국인이 당대의 수도 장안으로 들어와 거주했으며, 鴻臚寺와 같이 외교사무를 담당하는 기구에서는 외국사절들에게 숙식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당대의 주변국에 대한 개방과 포용을 확인할 수 있다. 오늘날 중국은 21세기 세계의 최강국으로 도약한다는 야심을 갖고 중국 역사상 최고의 부국강병을 보여줬던 ‘盛唐시대’를 재현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은 제국의 패권을 암시하는 盛唐만을 강조하고, 盛唐에 명실상부하는 세계제국의 ‘융합과 포용’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일반적인 지적이다. 본고는 부상하는 중국에 대해 세계가 주목하고 국내외 학계에서까지 중국위협론을 제기하는 것을 보면, 중국이 무리한 방법으로 동아시아 질서를 재편하는 것은 아닌지를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개혁개방 이후 경제 발전은 중국 고고학의 발전에 큰 원동력이 되었고, 중국의 다양한 지역에서발굴된 고고학 성과는 중국 역사학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경제 성장의 과실을 누리기 시작하며 되찾은 중국의 자신감과 이에 따른 신중화민족주의의 대두가 대형 학술 프로젝트를 이끌게 되었다. 이러한 대형 학술 프로젝트의 첫 시작이 된 것이 하상주단대공정이고. 이 공정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뒤 이어서 동북공정과 중화문명탐원공정이 추진되었다. 하상주 단대공정에서는 서주 공화 원년 이전 시기의 각 왕과 상대 후기 무정 이하 각 왕에 대한 비교적 정확한 연대와 상대 전기에 대한 상세한 연대의 지표를 만들고, 하대의 기본적인 연대의 틀을 제출한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다. 중화문명 탐원공정에서는 1000년을 더 소급하여 기원전 3500년으로 확대하였고, 연구대상 지역도 동북지방 요하유역까지 확대하였다. 2011년 8월 중국 정부는 요녕성 조양시 牛河梁 유적지를 곧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는데 이에 대해 중국학계는 우하량 유적을 중국 5,000년 문명사의 상징으로, 동아시아와 전세계를 대표하는 문화로 소개하고 있다. 문제는 이와 같은 ‘역사공정’이 중국 국내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우하량 유적 흥산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요하문명론’의 대표적인 비파동검 등은 고조선의 배경문화로 만주와 한반도를 범위로 한 한민족의 문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이른바 ‘역사공정’은 시간적 확장뿐만아니라, 중국역사의 공간적 확장을 포함하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가 장성의 확장이다. 중국역사의 시간적 공간적 확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공정으로 만리장성의 확장이 있다. 2009년에 중국은 이미 만리장성의 동단을 확장하는 주장을 두차례 발표하였다. 만리장성의 동쪽 시작점으로 국내학계에서는 고구려 박작성으로 추정하는 압록강 변의 虎山山城으로 확정하고 있는 것이다. 2012년 장성에는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에 있는 고구려산성과 발해유적이 포함된다. 즉 장성 자체의 성벽, 참호, 보루같은 시설물 등 유산 43,721곳을 모두 합해 장성의 총길이가 2만1196.8㎞로 늘어났음을 발표하였다....

      • 松遼分水嶺與南北文化區域的界限

        張士尊(Zhang Shi-zun)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1 아시아연구 Vol.- No.14

        만약 역사상에서의 동북부지역을 두개의 문화지역으로 나눈다면, 남북한계선은 송료(松遼)지역의 분수령(分水岭)일 것이다. 중국의 연나라, 진나라, 한나라, 명나라가 모두 만리장성을 수리하였고 만리장성은 남북문화구역의 한계선으로서 송료지역의 분수령에 있다. 예컨대 요나라, 금나라, 원나라시기는 장성을 수리하지 않았지만 실제적으로는 그 한계선도 송료지역의 분수령이다. 그 원인은 무엇일까? 지리적 환경이 중요요인이라고 생각한다. 송료지역의 분수령의 남부의 주민들은 대부분이 중원에서 온 이주민으로서 자기들의 고향과 비슷한 환경의 지역을 찾으려고 애썼는데 송료지역이 바로 그들의 조건에 부합되었다. 또한 남부 지역에서 받는 인구압력과 북부지역의 부족들의 역량인 “정탁(頂托)”도 이 한계선을 유지하는 주요한 사회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청나라 중기, 남부지역에서 오는 압력이 커지면서 북부부족들의 “정탁(頂托)” 역량이 점차 소실되자 이주민들은 북부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동북문화 구역이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 If history is divided into two cultural regions of Northeast, then the dividing line between north and south divide in Songliao. Yan, Qin, Han, Ming are the Great Wall, the Great Wall became the boundaries of cultural regions north and south; Liao, Jin and Yuan Dynasties do not repair the Great Wall, but the northeastern region of North-South cultural watershed boundaries are still in the Songliao, the difference is only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edges of the edge of it. What causes of the Great Wall and not the Great Wall region north and south boundaries of cultural watershed in Songliao? Geographical environment is an important factor, regardless of climate, vegetation and fauna, Liaohe River and Songhua rivers are very different, so some geographers tend to the south of the Liaohe River watershed was placed under the north, while the Songhua River Basin Plan go northeast, roughly the dividing line between the two watersheds in the southern Songliao edge. Songliao divide North and South this obvious geographical differences, a direct impact on the population and culture in Northeast distribution. Because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Northeast and out of the southern population are quite frequent, south and north of the population are gathered in the north central plains population of the Liao River Basin. From south to north migration of the population mainly from the north, they have to find a similar geographical home, and the case of the Liao River Basin watershed south of the base to meet their requirements. And other social factors, such as from the southern population “pressure”, and the power of the northern tribes, “Backwater,” maintaining cultural boundarie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ongliao divide. Mid-Qing dynasty, especially after a hundred years of Kangxi and Qianlong, the rapid population increase in the Central Plains, south of Songliao watershed population of nearly saturated, the population started to become the output region; After many years of migration since the early Qing Dynasty,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opulation north of Songliao watershed, the remaining population are assigned to the Eight Banners, that is, the original northern tribes of the “backwater” effect disappears, these are the watershed for the immigrants to break through the geographical Songliao conditions, the rapid northward to create a favorable environment. Thus, with the northward migration, the Northeast region have a fundamental cultural change.

      • KCI등재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현대독일문학의 중국수용과 생소화 - 브레히트, 카프카, 프리쉬를 중심으로

        이정린 ( Jeong Rin Lee ) 한국브레히트학회 2015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0 No.33

        Das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ist, China-Rezeption und Verfremdung in der modernen deutschen Literatur am Beispiel von Brecht, Kafka und Frisch zu untersuchen. Die Schwerpunkt der Untersuchung liegt vor allem auf der ‘produktiven’ China-Rezeption. Dabei geht es um den Verfremdungsprozess, wo dem Betrachter vertraute Dinge in einem neuen Licht erschienen werden und so Widerspruche in der Realitat sichtbar gemacht werden. Trotz der Verschiedenheit in den Beschreibungen der Chinesen ist - bis zum Ende des 19. Jahrhunderts - die Anziehungskraft der fremden Welt fur die deutschen Dichter ist unbestritten. Kuriositat, Exotismus, Traumerei und geistige Zuflucht bilden fur viele Dichter die besondere Anziehung. Die anderen Dichter suchen ein Wunschbild in dem fernen China, um ihre eigene Weltschau zu korrigieren, zu erganzen und zu erleuchten. Kafka, Brecht und Frisch in der ersten Halfte des 20. Jahrhunderts ziehen ahnlich wie die andern das ferne China zur Spiegelung nachstliegender Erfahrungen, Probleme, Interessen her und nutzen zum Entwurf der eigenstandigen literarischen Texten. Sie leihen, kopieren oder idealisieren aber nicht einfach die Formen und Inhalte des Chinesischen. Sie aneignen, rekonstruieren und verfremden dagegen sie beispielsweise in Der Gute Mensch von Sezuan (Brecht), Beim Bau der chinesischen Mauer (Kafka) und Die Chinesische Mauer (Frisch), um das Gewohnt-Gewohnliche im Fremd-Befremdlichen zu verfremden und zu veranschaulichen. So verarbeiten Franz Kafka in der Mitteilungen der distanzierten Historiker uber die Hintergrunde des Mauerbaus seine Motive wie Gottferne, Kommunikationshemmung, Isolation und Kontaktverlust. So zeigte Bertolt Brecht in der Kulisse des Chinesischen den heimischen Kapitalismus auf. Frisch gibt seinem Appell zum Kampf gegen Dummheit und Unmenschlichkeit, die den Verlauf der Geschichte gepragt haben, die Form der verfremdeten satirisch-polemischen Komodie. In diesem Sinne gelten ihre China-Rezeptionen fur ‘produktiv’.

      • 심상과 사실, 지도의 상상력: 박경리 『토지』의 만주지역 형상화 방식

        이상진 ( Lee Sang-jin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8 통합인문학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만주지역 형상화 방식의 특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토지』는 20세기 전반 한국을 비롯한 중국과 연해주, 일본까지를 그 배경으로 삼고 있다. 특히 만주지역은 작가의 미체험 공간으로 지도와 문헌자료에 바탕으로 두고 창조되었는데, 이 점에서 다른 지역 형상화와 차이를 보인다. 우선, 사전적이고 객관적인 정보, 지도를 바탕으로 한 정확한 사실에 대한 서술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것은 당시 대부분의 독자에게 낯선 지역에 대한 상세한 정보 전달을 염두에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서사 공간이 확장되면서 여정 중심의 서사가 많아진다. 이에 따라 만주지역 형상화에서 추상적이고 평면적이며 원거리 조망에 의한 파노라마적 서술이 자주 나타난다. 셋째, 인물과 사건, 공간의 연결이 긴밀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곧 공간은 인물의 활동과 이야기를 위한 부수적인 배경이 되거나, 공간에 대한 감정이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소외와 상실감을 느끼게 되는 등 외부성을 보인다. 넷째, 공간에 대한 서술이 서사의 맥락에서 이탈하여 서술자의 논평과 분석이 길어지는 여담 형태가 나타나 구조적 통일성을 해치는 일이 나타난다. 다섯째, 작가가 중국을 기행한 후에 집필된 『토지』 5부에서 심상과 사실의 간극, 체험과 상상의 차이에 의한 미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토지』의 2부부터 만주지역이 배경으로 등장함으로써 당시 동아시아의 첨예한 민족갈등에 대한 분석과 논평이 삽입되었고 고토회복에 대한 작가의 열망도 전달될 수 있었다. 그러나 배경지역의 역사적 의미와 사실 전달에 치중하여 인물의 행위에 실제성을 부여하거나 지역역사와 연결된 사건을 서사화하고 미적 통일성을 확보하는 데는 소홀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Manchu area in Toji by Kyong-ni Park. Korea, China, Russia, and Japan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the backgrounds of this long novel. Park confessed that she had no choice but to describe it with reference to maps and records because she had never been to Manchuria. This is connec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anchu area in Toji. First, the encyclopedia and objective information, imaginary narrative by map, abstract and flat description, and panoramic description are primary in this novel. Second, this space (Manchu) becomes an incidental background (which E. Ralph called “outsideness”) of the characters’ acts and stories. In some cases, it becomes a ‘digressive passage’ that deviates from the main story. Third, a slight difference is found in the description of Manchu area in Part 5 that Park wrote after traveling in China. Through a narrative based on Manchuria, Park tried to analyze and comment on ethnic conflicts in East Asia. However, her focus on the historical meanings and facts, it can be said that she neglected to give actuality and to secure aesthetic 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