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세이에 나타난 19세기 중남미 통합주의 사상 연구 : 19세기 통합주의의 경향 및 “파나마 의회”(1826)의 역사적, 사상적 배경과 의미를 중심으로

        전용갑 ( Yong Gab Jeon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4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6 No.-

        Throughout the last decade, in Latin America, several supranational organizations have emerged such as ALBA(Alianza Bolivariana para las Americas), Banco del Sur and UNASUR(Union de Naciones Suramericanas). As it is well known, these abovementioned organizations pursue the achievement of common interests of the member countries; and, at the same time, are based fundamentally on a basic principle: integration. Nevertheless, "the Latin-American integration" is not a new concept, due to the fact that it appeared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when Francisco de Miranda, ``The Latin-American Emancipation Precursor``, conceived(1790) the establishment of a great state called ``Colombia``, which would enclose from Mississippi River(in the northern part) up to Cabo de Hornos(in the southern). From that very moment, many Latin-American leaders and intellectuals - such as Miguel Hidalgo, Jose de San Martin, Bernardo O`Higgins and Simon Bolivar - actively participated in this trend, which is not only political and economical, due to the fact that also encloses social and cultural aspects. Thus, if the Latin-American integration is considered as a contemporary phenomenon, or as an economic-commercial one, it could not be possible to understand deeply the real spirit and sense that thi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cept represents. In this sense, several researches on this topic have been carried out in South Korea with a social science approach. However, throughout this investigation, this issue shall be analyzed from a human science point of view, specifically through the essay genre in which philosophical ideas and historical scenes abound. In this regard, first of all, several trends and some integrationist movement protagonists from 19th century shall be analyzed. Subsequently the main concept and historical values from the Congress of Panama(1826), which is considered as the first attempts towards the Latin-American unification, shall be examined minutely. Likewise,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the objective of this investigation does not consists on the search of a new critical opinion about the continental integration, due to the fact that it is one of the topics more analyzed in the Latin-American studies. In this sense, it is clarified that this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a reflection about the topic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essay texts that keep the 19th century protagonists` original voice such as Simon Bolivar. 최근 라틴아메리카 통합에 대한 국내의 관심이 현격히 높아졌으며 관심의 주체 또한 학계뿐만 아니라 정부와 기업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10여 년간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파고(波高)에 맞서 이 지역 일부 국가들이 미주볼리바르동맹(ALBA), 남미공동은행(Banco del Sur), 남미국가연합(UNASUR) 등 민족주의적 성격의 정치, 경제적공동체 결성 움직임을 가시화하면서 더욱 고취되었다.5하지만 ‘라틴아메리카 통합’이라는 화두는 최근의 산물이 아니다. 주지하다시피 18세기후반 독립의 여명기에 라틴아메리카 해방의 ‘선구자(Precursor)’라 불리는 베네수엘라의 프란시스꼬 데 미란다(Francisco de Miranda)가 북쪽의 미시시피 강으로부터 남으로는 대륙의 최남단인 오르노스 곶에 이르는 광활한 대륙을 하나의 주권국가로 묶는 ‘콜롬비아(Colombia)’ 구상을 밝힌 이래, ‘통합’은 지난 2세기 동안 이 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그리고 사상과 언어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쳐 끊임없이 회자되고 논의되어 온 가장핵심적인 쟁점이었다. 따라서 라틴아메리카 통합을 21세기에 한정하거나 혹은 경제적 블록화의 일환으로만 이해하는 것은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지엽적인 인식에 그칠 우려가 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취지에서 기획되었다. 즉, ‘라틴아메리카 통합’을 지난 2백년간 이 지역을 관통한 역사적, 사상사적 궤적에서 이해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오늘날 논의되고 있는 대륙 통합의 진정한 의미와 문제점을 성찰하고자 함에 이 연구의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하지만 누구나 예상할 수 있듯 ‘라틴아메리카 통합’은 매우 방대한 주제로, 역사와 철학, 정치와 경제, 문화와 예술 등 모든 인문, 사회과학적 지식이 요구되는 학문적 집대성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 학계에서는 사회과학적 분과학문을 넘어서는 통합논의의 근원과 주요 흐름에 대해서 거의 학술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연구주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영역과 방법론을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의 역사적 범주를 19세기로 한정하였다. 둘째, 분석 대상을 크게 ‘19세기 통합사상의 제 경향’ 및 ‘파나마 의회(1826)의 역사적, 사상적 배경과 의미’에 초점을 맞추었다. 셋째,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 대상으로 ‘에세이 장르’를 설정하였다. 미리 밝히자면, 본 연구는 19세기 라틴아메리카 통합론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19세기 통합론은 국제학계에서는 매우 일반적인 주제로서 자료의 양도 방대하거니와 역사적 평가 또한 거의 완결된 분야에 속하기 때문이다. 국내학계에서도 미란 다와 볼리바르, 호세 마르띠(Jose Marti) 등 몇몇 명망가 중심의 통합론에 대해서는 그 개요가 알려져 있다. 하지만 통합운동가들이 직접 남긴 1차 서적 중심의 직접적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운동가들의 직접적인 육성을 통해 당시 통합운동의 역사적 가치와 사상적 의미를 재고해 보는 데에 우선적인 목적이 있다. 다만 결론부에 19세기 통합론의 현재적 가치를 연구자의 관점에서 간략하게 서술할 것이다. 이 연구가 그동안주로 정치, 경제 등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논의되어 온 국내 라틴아메리카 통합연구의 인문학적 지평을 넓히고, ‘통합’을 오늘날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후속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남미공동시장 주도 라틴아메리카가 통합 과정에 있어 교육의 역할: 남미공동시장 교육부문 SEM 1차-5차계획(1992-2015)을 중심으로

        양은미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18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15 No.2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a series of efforts focused on education during the integration process of Latin America promoted by MERCOSUR, one of the principal blocks of the region. Such a work begins from some fundamental questions in this regards: Does exist there a broadly agreed concept of integration in Latin America?; What parts of the vast sphere of society are the objects of priority of that integration and how will they be achieved?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process in which the significances and the importance given to education have been changed in the integration efforts and to how the specific policies have been elaborated and put into practice by examining the projects and programs executed during the Action Plans of SEM(Educational Sector of Mercosur) in the period of 1992 to 2015. In this process a recognition of the need to form the conscience of integration, the regional citizenship and one Latina American ident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orts toward it are also analyzed through the institutional efforts within the framework of SEM. 본고는 라틴아메리카 주요 통합체들 중 하나인 남미공동시장 차원에서 이루어진 라틴아메리카의 통합 시도 과정에서 교육에 초점을 둔 노력들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라틴아메리카에는 과연 광범위하게 합의된 통합의 개념이 존재하는가’, ‘방대한 사회 영역의 어떤 부분들을 우선적 통합의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어떻게 그것을 이룩할 것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들에서 시작된다. 여기서는 1992년부터 2015년까지 남미공동시장의 교육부문 SEM(Setor Educacional do MERCOSUL)의 기간계획들 하에 행해진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들을 살펴봄으로써 남미공동시장 주도의 통합 노력에 있어 교육이라는 요소에 부여된 의미 및 중요성의 변화와 이의 구체적 실천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에 주목한다. 또한 남미공동시장의 SEM이라는 틀 내에서 라틴아메리카의 통합을 위해 이루어지는 제도적 노력을 통해 통합의 의식, 지역시민의식, 라틴아메리카 정체성 형성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노력의 성격을 이해하려 한다.

      • KCI등재후보

        베네수엘라의 신(新)볼리바르주의 지역통합운동 - 사상적 기원과 성격을 중심으로 -

        강경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09 국가안보와 전략 Vol.9 No.2

        After the year 2000, a distinctive aspect in Latin American regional integration is the appearance of the Alternativa Bolivariana para los Pueblos de Nuestra Ame'ica(ALBA). Neo-Bolivarian regional integration movement has been directed by Hugo Cha'vez and is making Venezuela obtain an advanced diplomatic influence in Latin America, molding a rival relationship with Brazil.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the origins of Simo'n Bolivar's thoughts and his experience of the regional integration movement in order to explore fundament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o-Bolivarian Regionalism. This article concludes those of neo-bolivarianism as a regional integration movement that is included by Latin American regional identity, a value of freedom and equality and popular support and vision. Additionally, the neobolivarianism has a new peculiar pattern of the regional integration under its own historical experiences. 2000년대 이후 라틴아메리카의 지역통합운동에서 가장 두드러진 점은 ‘우리아메리카 민중을 위한 볼리바르 대안(ALBA:Alternativa Bolivariana para los Pueblos de Nuestra Ame'ica)’의 출현이다. 차베스 대통령이 주도하는 신(新)볼리바르주의 지역통합운동은 브라질 주도의 라틴아메리카 주의 지역통합운동과 경쟁관계를 형성하며 라틴아메리카에서 베네수엘라의 외교적 영향력을 전례 없이 증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본 논문은 신(新) 볼리바르주의 지역통합운동의 성격을 심도 깊게 이해하기 위해 그 사상적 기원인 시몬 볼리바르의 지역통합사상과 지역통합운동의 전개를 고찰하였 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베네수엘라 차베스 대통령의 신(新)볼리바르주의 가 라틴아메리카의 지역적 정체성, 자유와 평등의 가치, 민중적 관점을 강 조하는 지역통합운동이며, 라틴아메리카 고유의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하 는 독특하고 새로운 유형의 지역통합운동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 KCI등재

        라틴아메리카 지역통합의 새로운 흐름: 태평양 동맹 사례를 중심으로

        윤성욱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9 아태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whether the Pacific Alliance can lead a new trend of regional integration in Latin America on the basis of discussion on its sustainability. The previous research on regional communities in Latin America has mostly focused on Mercosur, and the establishment of UNASUR and ALBA was merely perceived as a new model. However, the Pacific Alliance was initiated for the purpose of regional integration with the principle of market-driven open regionalism. Having considered the fact that various regional communities in this region have neither been maintained nor played their roles properly, this research explores how the Pacific Alliance could resolve these problems and maintain its sustainability.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Pacific Alliance seems to increase its possibility of sustainability by various policy measures such as reflection of private sector’s policy suggestions, implementing policies with rapid and practical outcomes by early-harvest approach, and also for increasing regional cohesion. In this sense, the Pacific Alliance has attracted interests from many countries, and it is time for Korea to set up more detailed policies to strengthen the tie with the Pacific Alliance. 본 연구의 목적은 태평양 동맹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태평양 동맹이 라틴아메리카에서 새로운 지역통합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의 중남미 지역의 지역공동체에 대한 연구가 Mercosur에 집중되어 왔고 UNASUR와 ALBA 등의 등장은 새로운 지역공동체의 모델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태평양 동맹은 자유교역, 시장 주도의 개방형 지역주의를 원칙으로 지역통합을 목표로 표방하고 있다.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설립된 다양한 지역공동체들이 오래 지속되지 못하거나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태평양 동맹은 어떻게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기존 문헌의 연구와 정책결정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뷰를 통해 본 연구는 태평양 동맹이 민간 부분의 의견을 수렴하는 정책 수립, 조기 수확 방식에 의한 실질적인 성과 도출이 빠른 정책 시행, 지역 결속력을 강화하는 정책 등으로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태평양 동맹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한국도 또한 보다 구체적인 관계 강화 방안을 마련할 시점이다.

      • KCI등재

        ‘라틴’ 개념 인식에 나타난 브라질-스페인어권 아메리카 간의 상호배제 및 동화(同化) 연구

        최해성(Choe, Hae Sung)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21 라틴아메리카연구 Vol.34 No.2

        In Latin American studies, the concept of ‘Latin/Latinity’ had a great influence on postcolonial thought and discourse, and it provided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task of overcoming western-centrism. However, it has long been overlooked that the concept of ‘Latin’ has become a tool for mutual exclusion and otherization between Spanish-speaking America and Brazil within the region defined by this term.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oncept of ‘Latin’ was recognized and accepted after independence in two axes of Latin America, ‘Hipano’ America and ‘Luso’ America, that is to say, Spanish America and Brazil, and how that recognition and acceptance defined the other and self-image between the two regions. Furthermore, by analyzing how the two worlds overcame the long period of mutual ‘negligence’ and shared ‘latinity’ and a shift in perception, this study presents the need for integrated study of both regions, which remains a non-small blank space in the field of study.

      • KCI등재

        세계화시대 자유무역과 이민

        최금좌(Keum-Joa Choi)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05 라틴아메리카연구 Vol.18 No.1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verify if the international migration in the southern region of Latin America was influenced by the formation of Southern Common Market(MERCOSUR). As the same reason for the NAFTA's case, MERCOSUR also showed that it may not be directly to blame not only for the increased internal migration, but also for the increased external migration, specially to the United States. The characteristic of this region's intra-migration had and has been “frontier migration”. Even though it is a good example under the neoliberal economic politics, it is more to do with the region's historical background, such as the construction of the Itaip' u Hydro-electric Power Plant and the failure of the Brazilian Agrarian Reforms to correct the social inequality. However, after the formation of MERCOSUR, the Asian financial cirsis, Brazil's currency devaluation and later, economic uncertainty in Argentina took the role of “push factor” for the emigration from the region to the more advanced countries of the NAFTA.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principal migration stream from South to North in the America would not change with ease, because of the system change of social structure, derived from the different economic power among the MERCOSUR and the NAFTA. Thus it will be strongly needed for establishing the legal migration program to fortify the function of the nations which are concern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