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인문학재단 (NEH)의 디지털인문학 육성 사업

        김현(Kim, Hyeon),김바로(Kim Ba-Ro)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4

        이 글은 미국 디지털인문학의 실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우리나라의 디지털인문학 육성 시책 개발에 참고가 되게 하려는 목적에서, 미국 인문학재단이 디지털인문학 진흥을 위하여 수행하고 있는 지원 프로그램 및 이를 통해 수행되고 있는 디지털인문학 연구 프로젝트의 실제 내용을 조사, 분석, 정리한 것이다. 미국 인문학재단(NEH)의 디지털인문학단(ODH, Office of Digital Humanities)에서 지원하는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의 유형은 5가지이다. 그 첫 번째인 ‘디지털인문학 초기 조성 지원금’(Digital Humanities Start-Up Grants)은 디지털인문학의 경험이 없는 순수 인문학자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연구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금이다. 본격적으로 디지털인문학 연구의 수행이 가능해지면, ‘디지털인문학 실행 지원금’(Digital Humanities Implementation Grants)을 통해서 실제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인문학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지원금’(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을 통해서 전통 인문학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교육하고 전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인문학 빅데이터 분석 과제’(Digging Into Data Challenge)는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된 빅데이터를 인문학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 하고 있으며, 독일의 연구진흥협회(DFG)와 공동으로 미 · 독 양국의 협력 연구팀을 선발 · 지원하는 ‘NEH/DFG 디지털인 문학 협력 프로그램’(NEH/DFG Bilateral Digital Humanities Program)은 디지털인문학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까지 NEH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는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는 전통적인 인문학에서 다루어 오던 연구 주제를 디지털 시대에 디지털 기술의 도움을 받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성과를 도출하려는 시도가 주류를 이룬다. 중요한 시사점은 이러한 프로젝트 기획 및 수행의 전 과정이 인문학 연구자들의 주도로 이루어지며. 디지털 기술의 이해와 운용 또한 인문학자들 스스로 담당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개인 연구보다는 공동 연구를 지향하며,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연구 소통을 강조하여 연구 과정에서의 학제 간 공동연구 방법이나 연구 결과의 완전 공개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도 NEH 디지털인문학 육성 프로그램에서 의미 있게 짚어보아야 할 사항들이다.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digital humanitie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urvey is mainly focused on the various projects supported by the Office of Digital Humanities (ODH) of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NEH). The grant programs offered by the NEH include the Digital Humanities Start-Up Grants, which support the initial stages of planning digital humanities researches, as well as the Digital Humanities Implementation Grants, which are involved with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research projects. Also, the 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is designed to support training programs for humanities scholars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n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ies. The Digging Into Data Challenge seeks for a new research method to use big data tha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diverse digitalization projects, and the NEH/DFG Bilateral Digital Humanities Program displays exemplary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s for humanities research. The most fundamental implications of the NEH’s Digital Humanities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actors of the researches should be humanities scholars whose academic bases are on the traditional humanities disciplines. Second, a certain kind of training programs are required to transform these scholars into “digital humanities scholars,” since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methodology related to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uch training program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projects and properly supported during the initial phases for promoting digital humanities. In Korea, along with digital humanities, “cultural content” studies have been emerged as a result of methodological convergence between humanities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Cultural content studies in Korea succeeded in achieving positive outcomes in terms of industrial application of humanities studies. However, unlike the United States, this approaches turned out to be insufficient for providing solid foundation for humanities studies and innovating relevant research methodologies. It is expected that Korean humanities researchers will discover a mutual, complementary progress both for the traditional humanities disciplines and the applied humanities contributing to creative industries throug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analysis on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digital humanities of the world.

      • KCI등재

        `2014 세계 디지털인문학` 학술대회 및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홍정욱(Hong, Jung-Wook),김기덕(Kim, Ki-Duk)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4

        본 글은 스위스 로잔에서 개최된 2014년 세계디지털인문학 학술대회(Digital Humanities 2014)를 소개하고,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현황을 검토한 것이다. 이 학술대회의 주제는 ‘디지털 문화의 역량강화’(Digital Cultural Empowerment) 였는데, 이는 인문학 입장에서 디지털 기술의 다양한 접목을 통해 디지털문화의 역량 강화를 모색한 것이다. 결국 이것은 ‘디지털기술’에 방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 에 방점이 있는 것이다. 본 대회는 총 223편의 논문발표와 115편의 포스터가 있었고, 학술대회 참여자 명단에는 총 873명의 저자들이 이름을 올렸다. 기조연설이 4편 있었는데, 특히 부르노 라투르(Bruno Latour)의 연설 (Rematerializing Humanities Thanks to Digital Traces: 디지털 발전으로 인한 인문학의 재탄생)이 주목되었다. 그는 디지털이라는 개념에 대한 인식을 둘러싼 일반적 오류를 지적하면서, 디지털인문학에서 디지털은 한 영역이라기보다는 인문학 연구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도구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디지털기술은 이전에 추상적 영역에 있던 것들을 경험적 영역속으로 전환하여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양한 워크삽은 인문학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디지털 기술 관련 실용적인 내용들이 다루어졌다. 즉 디지털 툴 또는 프로젝트 소개 및 활용에 관한 주제와 디지털인문학 연구방법론에 관한 발표가 있었다. 패널 세션은 현재 디지털인문학에서 추진 중인 프로젝트 및 방법론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패널 참가자들과의 논의를 통하여 좀 더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디지털인문학의 융합적 특성에 맞추어, 좀 더 실용적이고 체계적이며 세분화된 방법론 정립 및 모색에 대한 노력들이 시도되었다. 일반 발표 논문은 제목으로 분석할 경우, ‘TEI’, ‘topic modeling’, ‘text analysis’, ‘archives’라는 키워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다수의 키워드들이 ‘collaboration’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관계만을 형성하고 있었다. 즉 ‘collaboration’을 중심으로 ‘visualisation’, ‘Project Management’, ‘OCR’, ‘Software’, ‘Tool’, ‘Text analysis’ 등의 키워드가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해석해보면. 인문학적 연구방법 (text analysis, visualisation)을 토대로 다양한 디지털 기술 및 툴(tool, software, OCR 등)이 결합하는 디지털인문학의 연구방법론적 특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발표 논문들 대부분이 2인 이상이 참여한 공동 연구들로 이루어져 있어 단독저자 논문을 찾아보기 어려운 이유도, 이러한 방법론적 특성으로 인해 인문지식과 디지털 기술의 공유가 불가피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visualization’ 을 중심으로 ‘text analysis’, ‘text mining’, ‘ontology’, ‘poetry’, ‘xml’ 등의 키워드가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디지털인문학에서의 인문학 연구 및 분석을 맵핑(mapping)하고 시각화하려는 경향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디지털인문학의 세계적인 동향과 관련하여, 이번 학술대회를 주관한 로잔공과대학(EPFL)의 프레드릭 카플란 교수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동향을 한국과 비교하자면 여러 교차점이 발생하면서 유사성과 차이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한국도 일찍부터 인문학과 디지털기술의 결합을 시도해 왔다. 더 나아가 그러한 성과가 산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문화콘텐츠’라 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여 왔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가장 아쉬운 점은 인문학자들과 디지털 기술을 구사하는 전문가가 유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인문학 자료의 올바른 맥락화를 저해했으며, 여전히 인문학자들은 디지털기술과의 직접적인 결합의 주체가 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져왔다. 그런 점에서 한국의 상황에서 시급한 정책 과제는 인문학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인문학 교육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인문학은 인문학자가 중심이 되어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성과를 산출할 때에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앞으로 한국도 세계디지털인문학을 주관하는 ADHO의 산하단체로 가입하여 활동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을 강조하였다. The paper examines Digital Humanities 2014 conference held in Lausanne in Switzerland and also discusses the current trends in the discipline of Humanities in Korea in keeping up with so-called a new trend of digitalization. Under the conference theme of ‘Digital Cultural Empowerment’, 223 papers and 115 posters were presented and 873 authors were on the list of participants, discussing a variety of research questions applying digital technology in the humanities research. In particular, Bruno Latour, in his plenary speech with the title of ‘Rematedalizing Humanities Thanks to Digital Traces’, called attention with his notion of the digital, showing the digital is not a single domain but a single entry to bring the expansion of humanities research domain. His point of view on the digital is still in discussion among digital humanists, even after the conference. The workshop sessions comprised a variety of practical topics which mainly focus on the needs from humanities research and researchers. The participants were given practical training of digital technology or opportunities to share the experiences or information from the leading scholars of the field who are mostly involved in managing or directing some major projects or developing digital tools or technology. The panel sessions proved very active efforts of the scholars to expand and systematize the methodologies in approaching with increasingly extending research ideas and questions in the field. Through the paper sessions, some key words, such as ‘topic modeling’, ‘text analysis’, and ‘archives’, were most discussed, proving that text-based research topics or methodologies are quite dominant in digital humanities. Also, analyzing the relations among all the key words, the key word ‘collaboration’ was most frequently connected with other key words. In more detail, the key words related to text (ex. ‘text analysis’) were in network with other key words like ‘visualization’, ‘project management’, ‘OCR’, and ‘software’, through ‘collaboration’ which is one of the key features of digital humanities. This also implies that the research projects in digital humanities are not possible to be done with only one single method and by only one or two researchers, but rather requiring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with skills and knowledge from the researchers and organizations or institutes in different fields or disciplines. Discussing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digital and humanities in Korea and its similarities and differentces from the U.S and Europe, the paper argues that in Korea, also, the humanities research with the digital application has been attempted since the 1990s. In Korea, the term ‘Culture Contents’ has been used, replacing Digital Humanities. It has been developed as a field of study, seeking its convergence with commercial activities. However, most the humanists involved in this field have been isolated from the digital technology. Their lack of the knowledge and skills has resulted in failing convergence of humanities and digital and also failing in positioning the humanists themselves as the leading agent in the field. In this regard, the paper emphasizes that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needs to be prepared and given to the humanists, to provide the knowledge and ideas of digital application. Also, as a way to bring the advancement of the field in Korea, it suggests that the humanists in Korea create an association of digital humanities and also join in umbrella organizations or communities, such as ADHO. Through the network, they can share the ideas with the digital humanists in the globe.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

        김현(Kim, Hyeon)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29

        인문콘텐츠학계와 전통적인 인문학계가 공동으로 관심으로 가져야 할 과제로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의 가능성에 주목해 볼 것을 제안한다. 디지털 인문학이란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방식으로 수행하는 인문학 연구와 교육, 그리고 이와 관계된 창조적인 저작활동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인문학의 주제를 계승하면서 연구 방법면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 그리고 예전에는 가능하지 않았지만 컴퓨터를 사용함으로써 시도할 수 있게 된 새로운 성격의 인문학 연구를 포함한다. 순수 인문학의 입장에서 보면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지식의 사회적 확산을 돕는 길이고, 인문콘텐츠학의 입장에서 보면 그것은 문화산업에 응용할 방대한 인문학 지식을 가장 효과적으로 획득하는 방법을 마련하는 일이다. 미국과 유럽, 심지어는 가까운 일본과 대만의 상황을 보더라도 디지털 인문학의 육성은 범인문학계(인문학+인문콘텐츠학)의 자연스러운 발전 궤도상에 있는 과제이다. 인문콘텐츠학이 디지털 인문학을 수용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문화콘텐츠학과에서 배출하는 인력의 일부를 인문정보기술의 운용 능력을 갖춘 지식코디네이터로 육성하는 일이다. 이들은 인문지식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뿐 아니라 그곳에서 생산되는 지식을 디지털 콘텐츠로 조직화하는 정보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는 사람들이다. 디지털 인문학의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대학마다 독립적으로 이 분야의 정규 교과 과정을 운영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학회 차원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교육 기회를 마련한다면, 소수의 교수 인력만 가지고도 다수에게 그 지식을 전달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will argue that a cooperation is necessary between the fields of humanities contents and traditional humanities in exploring the potential of digital humanities. Digital humanities refers to all new types of humanities research, education, and creative projects enabled by information technology. The definition is not limited to studies of traditional humanities topics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s a research method; but it also includes completely new forms of humanities research realized by the use of computers. Digital humanities can be beneficial to both humanities and cultural contents. For the traditional humanities studies, digital humanities will contribute to a wide dissemination of humanities knowledge in society; for cultural contents, digital humanities will provide the most efficient medium to acquire humanities knowledge for application in the cultural industry. In order for the cultural contents to contain digital humanities, I suggest that education programs of the cultural contents departments should train some of their stud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to raise them as humanities knowledge coordinators. These coordinators should be equipped with not only the basic humanities knowledge, but also the information-processing skills to systemize the knowledge into digital contents. In case of Korea, where there is a shortage of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it is difficult for colleges to independently run digital humanities programs. But with open educational opportunities such as Digital Humanities Conference, it will be possible with just a few human resources to distribute knowledge and ideas to a large audience.

      • KCI등재

        국내 디지털인문학 정책 수립을 위한 제언

        김민규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1

        Digital humanities are forming a big trend. In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and overseas, the Digital Humanities Support Policy is being implemented to activate digital humanities such as building infrastructures. In Korea, the policies are somewhat inferior to the various activities of digital humanities. Although there is a project to support digital humanities, the digital humanities policy in Korea is set as a part of the humanities promotion policy. In the sense that the humanities promotion policy is a policy response to the social atmosphere that is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the digital humanities support project is also in that context. In other words, digital humanities are recognized as an effective way of proving the social utility of humanities rather than approaching new research trends. In order for the digital humanities in Korea to evolve further,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iscourse on digital humanities and establish more active policies. In order to establish the digital humanities policy,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policy status of digital humanities, to map digital humanities, to diversify support projects, to reconceptualize the digital humanities infrastructure, and to secure separate organizations and resources. 국내외에서 디지털인문학은 하나의 큰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미국과 프랑스 등해외에서는 인프라 구축 등 디지털인문학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인문학 지원 정책을시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디지털인문학의 다양한 활동에 비해 정책은 다소 미흡하다.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지원 사업은 있지만, 해외에서는 디지털인문학을 별도의정책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과 달리 국내 디지털인문학 정책은 인문학 진흥정책의 일환으로 설정되어 있다. 인문학 진흥 정책이 인문학의 위기라는 사회적분위기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라는 점에서 디지털인문학 지원 사업도 그 맥락 하에있다고 하겠다. 즉 디지털인문학을 새로운 연구 경향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인문학의사회적 효용성을 증명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국내 디지털인문학이 한층 더 진화하기 위해서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담론 확대와 함께 보다 적극적인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디지털인문학 정책의 수립을 위해서 디지털인문학의 정책적위상 제고, 디지털인문학의 매핑, 지원 사업의 다양화, 디지털인문학 인프라의 재개념화, 별도의 조직과 재원의 확보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과 한문학 연구 - 고문헌 자료 대상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류인태 ( Ryu In-tae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9 No.-

        2,000년대 중후반 이후로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논의가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확산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쉬운 점은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과 별개로, 실제 국내에서 이루어졌거나 또는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가 매우 적다는 사실이다. 최근 국내에서 ‘디지털 인문학’이라는 개념에 대한 담론은 많이 형성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구체적 방법론이 무엇인지 그 실제(實際)에 대한 논의가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현실적 상황과 관련이 깊다. 특히 고전 자료 또는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한 인문학 연구의 경우, 텍스트로부터 데이터를 풍부하게 추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디지털 인문학 연구 방법론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에서 진행되었거나 또는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 또한 찾아보기가 어려운 현실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디지털 미디어를 본격적으로 활용한 국내의 연구 사례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그리고 각각의 연구가 안고 있는 학술적 맥락이 무엇인지 정리해볼 필요가 있다. 당장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가장 훌륭한 참고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은, 기존 연구 사례가 무엇인지에 대한 소개와 개별사례에 대한 귀납적 검토이다. 각각의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기초적 문제의식과 연구 과정에 적용된 디지털 기술 그리고 구현된 결과물이 갖추고 있는 디지털 형식의 의미가 무엇인지 개략적으로 파악된다면,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구를 시도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매우 훌륭한 참고 요소가 될 것이다. 실제로 본고에서 정리한 9가지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는 각각이 다른 형식의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면서도 유사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였거나 또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온톨로지를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등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의 차원에서 비교 대조하여 참고할만한 지점이 매우 많다. As debates in the digital humanities has continued to grow largely across the world since the mid 2000s, there also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spite of the growing interest in the digital humanities, it is disappointing that few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Korea.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discourse about the concept of 'digital humanities' in Korea, but the fact that discussions on what is the specific methodology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have not been active is deeply related to this realistic situation. In fact,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s still at an early stage. Therefore, in order to ha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digital humanities and to avoid embracing imprudent opinions, we have to approach cautiously so as to remove abstractness from discussions on digital humanities. With this as consideration, it is necessary to epitomize humanities researches in Korea that uses digital platforms in earnest. There are nine cases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es in this paper. Though each case has its own object that distinguishes one case from another cases, digital platforms that they are based on are very similar to one another's. Web Ontology Language, Network Graph Visualization and Media WikiTM are the examples. It's likely that scholars and researchers who want to study digital humanities can reach a better understanding by reading the cases presented in this paper.

      • KCI등재

        국내외 디지털인문학 교육 사례와 고전문학 교육에의 시사점

        이승은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2 고전문학과 교육 Vol.51 No.-

        본고는 국내외 대학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대학에서 고전문학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한 것이다. 이는 디지털 전환이라는 사회적 흐름에 부응하는 동시에, 디지털 네이티브로 정의되는 지금의 대학생에게 보다 실효성 있는 고전문학 교육을 제공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기획되었다. 먼저 미국과 중국・대만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현황을 개괄적으로 살피고, 문학 교육에 접목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미국의 경우 대학, 연구소, 도서관이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주체로 기능하고 있다. 학부와 대학원에서는 디지털 인문학 학위 과정 및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연구소와 도서관은 정기적・비정기적 워크숍 등을 통해 교육과 연구를 지원한다. 반면 중국과 대만의 경우 정부 주도로 디지털 인문학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해외 디지털 인문학 교육은 종래의 인문학 탐구에 컴퓨팅적 방법을 적용한 것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문학 교육에서도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텍스트 분석, 전자지도 제작, 네트워크 분석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이론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수행을 필수화하여, 학생들이 각자의 관심 영역에 대한 디지털 결과물을 제작, 발표하도록 하는 것은 공통적이었다. 다음으로 국내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황과 문학 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은 시작 단계로, 방향성을 정립해가는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중에서 고전문학의 소재를 디지털 인문학 강의에서 활용한 사례를 통해 교육의 난점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고전문학 교육에 있어 디지털 인문학 교육 사례가 지니는 시사점은 세 가지이다. 첫째, 문학 작품과 그것을 둘러싼 맥락을 디지털 환경에서 표현하는 법을 교육할 것, 둘째,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분석하는 법을 교육할 것, 셋째, 디지털 환경에서의 확장성을 이용해 문학이 아닌 다른 것들과 겹쳐 읽기를 시도하고 그로부터 새로운 해석을 이끌어내는 법을 교육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육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의 기반 위에서 고전문학 데이터의 이해-구축-분석-시각화-해석의 데이터 처리 및 실습을 교육과정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프랑스 `디지털 인문학`의 인문학적 맥락과 동향

        김동윤(Kim, Dong-Yoon)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4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전지구적 사건으로서 문명사에 새롭게 떠오르는 인문적 지평이다. 오늘날 정치, 경제, 지식, 국가 등 모든 방면에서 ‘디지털’로의 전회 (digital turn)가 이뤄지고 있으며, 이른바 디지털 문명은 통계 전산 데이터를 다루는 ‘컴퓨팅’ 기술의 수준을 넘어 새로운 인문 사회과학의 에피스테메와 담론 창출을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 전회’는 근본적이고 광범위한 변화로서 수직적이고 위계적인 지식의 체계를 무너뜨리면서 횡적으로 끊임없이 연결되는 지식 생태계, 즉 디지털 휴머니티를 구성하려는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볼 수 있다. 디지털 인문학은 살아있는 인류의 거대한 지식과 기억의 보고이자 모든 창조적 가능성과 발현의 총화, 그리고 테크놀로지가 새롭게 확보한 공간(territory)을 거주가 가능한 공간으로 구체화하는 기획과 실천방식인 것이다. 디지털 인문학의 핵심을 이루는 요소는 창조적 협업과 초학제적 (transdisciplinary) 집단 지성이다. 초학제적 성격의 디지털 인문학은 자유로운 비판정신과 상상력을 통한 집단지성, 지식 융합 등으로 구체화하며 인간 · 기술 · 지식을 하나로 ‘융합’(convergence)하려는 시도와 다름 아니다. 창조적 협업을 통해 인류가 온축한 모든 지식과 지혜를 통합하려는 노력은 탈경계, 탈위계의 성격을 지니며. 다양성, 관용, 사회적 신뢰와 같은 인문적 가치들을 바탕으로 삼고 있다. 오랫동안 프랑스는 - 특히 인문과학 분야에서 - 디지털 기술에 대해 비판적이고 유보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자들은 ‘디지털에 대해 진지하게, 그리고 디지털과 함께’ 생각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는 보수적인 인문학 전통이 뿌리 깊은 이곳서도 디지털 인문학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디지털 인문학과 프랑스 인문학과의 관계, 그리고 ‘프랑스 디지털 인문학’의 역사적, 문명사적 맥락을 짚어보고, 파리 ‘디지털 인문학 마니페스토’와 다양한 연구 성과를 통해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Our study is to show how Digital Humanities(Humanites numeriques) is now being developed in a country with a long and deep tradition of Human sciences like France. Indeed, as a newly coined term, Digital Humanities is an rapidly emerging and vast ‘discipline’ intergrating all kinds of knowledges created by human beings into the ‘space-territory’ based upon digital technology. Il covers a wide range of academic areas essentially including human and social sciences. Moving beyond basic functional literacy, we are able to ask how the digital configures a meta-discourse and what kind of practices, ethical and aesthetic values in an increasingly complex digital environment. First of all, we are witnessing the rapid shift from the Humanites Computing to Digital Humanities through which our every day life could undergo a deeper and more structural transformation. ‘French digital champion’, Gilles Babinet accurately described this fundamental change not as a simple paradigm shift, rather as a kind of rupture with a conventional way of producing and circulating knowledge. Historically speaking, this new phenomenon of Digital Humanities seems to largely reflect the spirit of the Encyclopedie movement conducted by the leading scholars like d’Alembert and Denis Diderot. This French collective intelligence project was famously well known for the great achievement of a creative cooperation as well as of a society of Hommes de Lettres. In line with the Encyclopedic spirit, Digital humanities essentially should be a collaborative effort of volunteer knowledge-creators who willingly share an interest in the Aufklarung and a belief in making freely available to everyone the Humanities. Being a digital version of the Encyclopedie movement, Digital humanities project can only reach it’s goal to make everyone access to a huge ocean of knowledges, if every one is volunteering to contribute to the creating of this vast pool of humanities. In this regard, Wikipedia provides a great example for this gigantesque on-going ‘cyber culture’ or digital humanities project. According to Pierre Levy,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orists of digital humanism, ‘Cyber culture’ has been largely inspired from European spiritualities like Pierre Teilhard de Chardin who was a great archeologist having explored into the sphere of mind, called ‘Noosphere’. Teilard de Chardin’s theological philosophy(Noosphere) shows us an optimistic vision for the cyber culture being constituted by digital technology. If we may transpose this philosophical idea on the digital humanism perspective, Digital Humanities movement ultimately would contribute to elevate humanity to the highest spiritual level: ‘Omega Point’ smartly defined by the French theologist. In short, as we could have seen it on the occasion of DH 14 conference at Lausanne, Digital Humanities, a newly rising ‘transdisciplinarity’ over the horizon of Human sciences, is not a clearly defined project, but rather an ever-lasting experimental enterprise for which all human creative potential will be intergrated into the emergence of an unprecedented digital civilization.

      • KCI등재

        해외 디지털인문학 동향

        김바로(Kim, Ba-Ro)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3

        디지털인문학은 인문학과 정보기술이 합쳐진 융합학문으로서 인문학의 위기를 타개할 인문학의 미래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도 문화콘텐츠의 이름으로 인문학과 정보기술을 융합한 인문학의 대안을 제시하였고, 인문학의 산업화 영역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렇기에 인문학 연구를 위한 방법론에 집중하고 있는 디지털인문학을 통하여 문화콘텐츠의 성과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글에서는 한국에서의 디지털인문학 발전을 위한 토대 작업으로써 미국, 타이완, 일본, 중국의 디지털인문학 정책과 연구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미국은 학계에서 발전시켜온 디지털인문학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더해져, 자료의 수집과 분석 및 교육 등의 인문학 전 영역에 걸쳐 새로운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타이완은 정부의 강력한 디지털인문학 지원 정책을 통해서 디지털인문학을 발전시키며 아시아의 디지털인문학 선두주자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일본은 정부의 지원은 미미한 상태이지만, 학계차원에서 서구의 디지털인문학을 받아들이며 제 나름의 방식으로 디지털인문학을 흡수하고 있다. 중국은 디지털화에만 치중하는 디지털인문학 초기 발전 단계를 밟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형 디지털인문학 토대구축을 위한 해외선진사례 분석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하여 간략하게나마 부록을 통하여 해외 주요 디지털인문학 문헌과 프로젝트를 소개하였다. Digital humanities is an integrated discipline that has been emerged as a result of disciplinary convergence between traditional humaniti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is new academic discipline is currently considered as the future of humanities, especially in the recent situation where the “crisis of humanities” prevails all over the world. In Korea, the alternative to pass through the humanities crisis was presented under the title of “cultural contents,” producing a large number of significant achievements in terms of commercializing the research results. However, these achievements are expected to be further improved and expanded by incorporating diverse efforts made in digital humanities, which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new methodologies for humanitie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national policies for and current research trend of digital humanities, in particular in the United States, Taiwan, Japan, and China, so as to establish a solid foundation for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the United States, as the academic circles continuously tried to develop the concept of digital humanities with the positive support from the national government, the scope of digital humanities projects has been expanded towards data mining, data analysis, and new digital forms of education. The Taiwanese government provides substantial support through various national policies for developing digital humanities, and the country, as a result, has emerged as the leader of digital humanities in Asia. Although only receiving minimal governmental support, the Japanese academia adopts the US and European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ies to integrate them into their own ways. Digital humanities researches in China concentrate on digitalizing sources, and thus are still in the rather early stages. Finally, in the appendix, the paper includes a brief overview of the major digital humanities monographs and projects overseas, as a basis of analysis for providing a foundation for digital humanities in Korea.

      • KCI우수등재

        대만 디지털인문학의 발자취와 진화

        송인재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40

        Since 2011, there has been a collective academic trend called Digital Humanities in Taiwan. The foundation was the task of building a digital archive of historical literature and the sense of problem. Digital Humanities was a stepping stone to academic questions and practices in applying information science technology to humanities research. The scholars of Digital in Taiwan have created a new method of learning by developing and using tools to read and analyze massive amounts of digital archive in such a way. This method is to read and analyze digital data in digital rather than analog.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Digital Archive & Digital Humanities” (DADH) started to held in 2009, the organization of digital humanities was strengthened and the Taiwan Association Digital Humanities was officially launched in 2016. Through this process, digital liberal arts has become a new territory and the term ‘DHer(Digital Humanities Scholar)’ has also been coined. Taiwan's digital humanities will further evolve after developing data, developing systems, and improving areas. After several years of preparation and experimentation, it is going to provide a solution called ‘DocuSky’ that will build a database and analysis system that will meet the research needs of individual researchers. Based on this evolved environment, Taiwan's Digital Humanities will move forward to a new level by accelerating expansion and growth. 대만에서는 2011년 무렵부터 디지털인문학이라고 불리는 집단적 학문 경향이 등장했다. 그 기반은 역사 문헌을 전자자료로 구성된 디지털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작업과 문제의식이었다. 디지털인문학은 정보과학 기술을 인문학연구에 접목시키려는 학제적 문제의식과 실천의 발로였다. 대만의 디지털인문학자들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방대한 디지털아카이브를 독해하고 분석하는 도구를 개발, 활용하면서 새로운 학문방법을 창출했다. 이 방법은 디지털자료를 아날로그식이 아닌 디지털방식으로 독해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 2009년부터 대규모 디지털인문학 국제학술회의가 개최되면서 디지털인문학자의 조직력은 강화되고 2016년에 대만 디지털인문학회가 정식으로 출범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디지털인문학은 새로운 영역으로 정착하고 특정 학문분야에 국한되지 않은 ‘디지털인문학자(DHer)’라는 용어도 탄생했다. 데이터, 시스템, 영역개척을 거쳐 대만 디지털인문학은 한층 진화한다. 대만대학 디지털인문학 수년의 준비와 실험을 거쳐 개별연구자의 연구 수요에 맞는 데이터베이스와 분석시스템을 구축할 솔류선을 제공하기에 이른다. 이로써 자료구축, 독해, 분석을 연구자가 직접 디지털식으로 수행하는 환경이 구축되었다. 이러한 진화된 환경을 토대로 대만의 디지털인문학은 확장과 성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 KCI우수등재

        인문학 연구에서의 디지털 기술 활용 현황 및 적용 방향 -디지털 인문학 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박경우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200

        최근 머신러닝, 인공지능을 이용한 정량적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인문학자들에게 기술적인 진입 장벽이 높게 느껴져 새로운 연구를 시도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본고는 인문학자들이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정량적 연구 방법에 대한 관심에 부응하여 디지털 인문학의 연구 주제와 적용된 디지털 기술을 분석하여 인문학 연구에서 디지털 기술이 연구에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를 밝히고, 인문학자들이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디지털 인문학 기술들을 검토하기 위해 160개 학술지에서 30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디지털 인문학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10개의 주제로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2015년을 기점으로 협업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기술 논문에서 비인문학 전공 연구자들의 비중이 과반수를 넘고 있어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 이공계 학자들의 기여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제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세부 연구 주제 현황을 읽어낼 수 있었고, 기술과 관련하여 어떤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도 밝힐 수 있었다. 기술적 연구 못지 않게 비기술적 연구들도 디지털 인문학의 범주에 있었는데, 디지털 전환과 관련한 인문학 담론에 참여하거나 인문학자의 도메인 지식을 바탕으로 디지털 설계 부분에 참여하는 등의 방식을 찾아낼 수 있었다. 또한 디지털 기술 습득과 연구 논문 생산성과의 관계를 추적함으로써, 디지털 기술의 습득이 디지털인문학 연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객관화시키고 인문학자들이 디지털 기술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