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국가의 사이 혹은 너머에 대한 상상 ―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트랜스내셔널 양상

        구재진 ( Koo Jaeji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2

        본고는 문학사의 ‘이방인’으로서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나타나는 트랜스내셔널한 양상을 고찰하였다. 특히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한국문학사의 영토화를 경계하고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이 디아스포라 문학으로서 지닌 새로운 방향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경향을 대표하는 미중일의 세 작품을 검토하였다. 대상 작품은 허련순의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 가네시로 가즈키의 『GO』, 그리고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 이다. 이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나는 트랜스내셔널한 상상력의 세 가지 양상을 밝혔다. 허련순의 작품에서는 부유하는 노동와 트랜스로컬 주체를 통해서 트랜스내셔널한 상상력이 펼쳐진다. 코리안 드림이라는 판타지를 가지고 밀항선을 탔던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비극적인 결말은 그러한 판타지의 실현 불가능성과 허구성을 암시한다. 그러나 이 작품의 디아스포라들은 자본과 노동의 세계화 속에서 이동할 수밖에 없는 트랜스로컬 또는 트랜스내셔널 주체로서 나타나고 있다. 이창래의 작품은 원어민에 의해 타자화되는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이 ‘타자로의 열림’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통합’이 아닌 ‘공존’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를 통해서 미국이라는 국가적 정체성을 넘어서는 트랜스내셔널한 지향성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가네시로 가즈키의 작품은 민족-국가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폭력과 차별의 패러다임 자체를 문제 삼고 디아스포라의 자유와 일본인에 대한 디아스포라의 (윤리적) 우위성을 선언한다. 그럼으로써 일본인과 재일 디아스포라의 비대칭성을 전복시키고 트랜스내셔널한 지향성을 제시한다. 최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세가지 양상은 하나의 민족-국가의 문학으로 영토화하는 민족주의적 기획에 맞선 디아스포라 문학만의 트랜스내셔널한 기획의 현실성을 입증해준다. This paper studied the transnational aspects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ppearing as ‘stranger’ of history of literature. The purpose is to be alert of Korean literature history’s territorialization on Korean diaspora literature and to illuminate the directivit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s diaspora literature. Three literary works of America, China and Japan representing the new tendenc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re examined. The works are Who Saw the Butterfly’s House by Heo, Ryeon-Sun, GO by Kaneshiro, Kazuki, and Native Speacker by Chang-Rae Lee. Three aspects of transnational imagination in Korean diaspora literature are clarified through analysis of these works. In the work by Heo, Ryeon-Sun, transnational imagination is presented through drifting labor and translocal subject. The tragic ending of Korean diaspora in China who took a smuggler with a fantasy of Korean Dream suggests fantasy is unrealistic and impossible to reach. However, the diaspora in this work are shown as translocal or transnational subjects who have no choice but to migrate within capital and globalization of labor. The work by Chang-Rae Lee shows the possibility of identity of diaspora that is otherized by natives to move towards ‘coexistence’ instead of ‘integration’ through the process of ‘opening towards others.’ Transnational directivity that overcome national identity as America is shown through such process. Lastly, work by Kaneshiro, Kazuki calls paradigm of violence and discrimination done under the name of nation into question and declares diaspora’s (moral) superiority on diaspora’s freedom. Thereby subvert the asymmetr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diaspora in Japan and suggest transnational directivity. These three aspects in recent Korean diaspora literature proves the reality of diaspora literature’s unique transnational plan against nationalistic plan that territorialize as a single nation literature.

      • KCI등재

        이스라엘과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관계 분석 연구

        최창모(Choi, Chang-Mo)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2

        최근 이스라엘-유대인 디아스포라 관계는 주목할 만한 상이점이 노출되면서 둘의 관계는 빠르고 분명하게 변하는 중에 있다. 이스라엘 건국이후 ‘고국’(homeland)과의 관계 설정에 큰 틀에서 어떤 변화가 발생했는지, 그 과정에서 유대인의 정체성은 어떻게 재정립되었는지를 분석해 나갈 필요가 있다. 아직까지도 많은 이스라엘 사람들은 디아스포라 유대인 세계와의 동등한 협력과 열린 대화를 강조하면서도 실질적으로 디아스포라 유대인 세계의 구심점은 역사적 권리로 보나 영향력으로 보나, 여전히 이스라엘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그러나 디아스포라 유대인 세계는 국경을 뛰어 넘는 ‘초국가 사회-정치적 존재물’(trans-state socio-political entity)이다. 디아스포라 유대인 공동체는 한편으로 복잡한 국가안보, 정치-경제 이슈 등과 관련되어 있는 이스라엘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주인-국가의 특수한 조건과 이해관계와도 연관되어 살아간다. 디아스포라의 ‘자율적 공존’(autonomous coexistence)은 최근 글로벌화 경향과 대단히 맞물려 있으며, 국가 간의 다양한 상호관계 속에서 움직여 나간다. 따라서 이스라엘은 이러한 추이들을 잘 살피고, 비관료적인 태도로 이들 다양한 공동체의 다양한 조건들을 정상적으로 고려하여 정책을 수립하거나 관계를 맺어가야 할 것이다. 전통적인 이스라엘 중심적 접근 방식보다는 상호 동등하면서도 다원적인 디아스포라 유대인 사회와의 관계 정립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assess the Israeli–Jewish Diaspora relations and how these are conduct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rticle focuses on a number of issues, such as the identity debates, the Israeli public"s attitudes toward the Diaspora; the current ideologies and agendas in this sphere; the formal positions of Israeli governments; and the debatable issues of interdependence and centrality of the two parts of the Jewish nation. Recently, more homelands have been demonstrating a good deal of increasing attention to what is happening in and with ‘their’ ethno-national diasporas. Consequently, homelands are initiating much closer formal official and informal connections with these entities. Thus, for example, India, Poland, Japan, Lebanon, Italy, Greece, China, South Korea and Israel all have established ministries, or special governmental agencies, for dealing with their diasporas. Consequently, in comparison with previous decades, all these and other states and governments are more involved in many aspects of the peaceful or turbulent existence and development of their diaspora. On the basis of these and other connected aspects, the article suggest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homeland–diaspora relations from the homeland"s perspective. The more general argument is that the Israeli–Jewish case study can serve as an explanatory example according to which other homelands’ relations with their diasporas may be researched and analysed.

      • KCI등재

        고대 디아스포라 종교 사례로 본 지구화 시대 종교성에 대한 전망

        안연희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9 디아스포라 연구 Vol.13 No.1

        Recently, as the global diaspora and globalization deepen, diaspora researches in various fields are active, and globalization theorists are paying more attention to religion than secularist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iaspora religiosity in relation to religious changes in the globalization process. Therefore, this thesis attempted to offer prospects for a new religiosi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rough two cases of ancient diaspora religion. First, I defined ‘diaspora religiosity’ as three aspects of cultural hybridity,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cultural mediating and dynamic creativity, and discussed what new cultural creativity the ancient diaspora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exercised through ‘diaspora religiosity’ respectively. The Jewish Diaspora, scattered throughout the ancient empire cities, created a new religious culture from diaspora religios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ranscendental monotheism, the religiosity of holy life through Torah(law), and the synagogue as a center of cross-regional networks and cultural exchanges. Early Christianity, using this Jewish Diaspora network, abolished the signs of national identity such as circumcision etc. with universal love, and developed it as a universal religion, creatively appropriating the cultural resources of the Hellenistic and Roman empire. These examples show that Diaspora religion dynamically created transcendental and universal religious ideas and frameworks beyond nationalism through de-territorialization, re-territorialization and cultural hybridity. In globalization, religions face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re-leap as cosmopolitan religions that can cooperate and coexist to solve global problems and risks and have a non-violent open identity to others. The past examples of diaspora religion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rospects for religious change in the globalization era promoted by global diasporas. 최근 글로벌 디아스포라와 지구화가 심화되면서 다양한 분야의 디아스포라 연구가 활발하지만, 지구화 국면의 종교현상들과 관련한 국내의 디아스포라 종교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이 논문은 고대 디아스포라 종교의 두 사례를 통해 지구화 시대의 새로운 종교성에 대한 전망을 시도하였다. 먼저 ‘디아스포라 종교성’을 문화적 혼종성,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문화적 매개와 역동적 창조성의 세 측면으로 규정하고, 고대 디아스포라 유대교와 초기 그리스도교의 디아스포라 종교성에 의한 새로운 문화창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대 제국 도시들에 흩어져있던 유대인들은 디아스포라 종교성을 역동적으로 발휘하여 초월적 유일신관 정립, 토라 집성과 율법을 통한 거룩한 삶의 종교성, 범지역적 네트워크와 문화교류의 구심점인 시나고그를 발전시켰다. 또한 초기 그리스도교는 이러한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기반을 이용하면서, 할례, 율법엄수 등 민족적 경계와 정체성의 표지들을 보편적 사랑으로 폐지하고 헬레니즘 및 로마 제국의 문화적 자원들을 창조적으로 전유하여, 범세계적인 보편종교로서 발전하였다. 이러한 사례들은 디아스포라 종교가 탈영토화와 문화적 혼종성을 통해 일국주의를 넘어 초월성, 보편성에 대한 사유를 역동적으로 창출했음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검토는 지구화시대 종교들이 직면한 새로운 위기와 기회, 즉 지구적 문제와 위험들에 대해 실천적으로 연대하고 공존할 수 있고, 타자에 대해 비폭력적인 열린 정체성을 가진 세계시민성 종교로서 재도약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오늘날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 KCI등재

        미주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를 위한 이민신학

        이길표 ( Gil Pyo Lee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1 복음과 선교 Vol.16 No.-

        이 연구는 은둔의 민족이었던 대한민국을 전 세계로 흩으셔서 복음의 사역을 감당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선교현장을 바라보며 하나님의 선교의 주역이 되어야 할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하나님의 선교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도전하기 위해 성경에 충실하고 현장에 밀접한 이민신학을 제시한다. 먼저 필자는 싱가포르와 미국에서의 한인 디아스포의 경험을 통해 한인 디아스포라들이 갖고 있는 열등적 자존감(Marginality)과 그리스도인의 잘못된 우월의식의 문제점으로 시작한다. 예를 들면, 미국에 있는 한인 디아스포라들은 서양인들로부터 느끼는 열등적 자존감을 느끼고 제3세계 국가에서 온 사람들에게는 우월의식이 있다. 한인 디아스포라들은, 특별히 남성들은, 미국 사회에서 문화적 차이와 언어적 장벽으로 인하여 존경과 인정을 받지 못하고 사회적 지위상승에 한계가 있음을 경험하였으며, 그것의 영향으로 교회의 직분에 대한 잘못된 동기와 이해가 생기기 시작했고, 이러한 배경이 전통적인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 구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또한,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의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교회중심의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교회중심적인 한인사회에서 교회는 종교적이고 영적인 역할만큼이나 사회적 관계의 중심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이는 전도의 접촉점으로서 아주 중요한 역할이지만 많은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들이 그 역할에서 본질적인 선교적 역할로의 전환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 다른 현상은 한인 디아스포라를 통한 하나님의 선교가 아주 빠른 속도로 확장되고 있다는 것이다.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은 매년 해외로 흩어지는 한인 디아스포라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저명한 선교학자 앤드류 월즈가 말하고 있는 것처럼 앞으로 세계선교의 주역은(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로 흩어지는 디아스포라가 될 것이라는 주장을 볼 때에, 한인 디아스포라는 세계선교의 마지막 과업을 이루는 강력한도구가 될 것이다. 하지만 문제점은 전 세계로 점점 더 흩어지는 한인 디아스포라들을 위한 이민 신학 혹은 디아스포라 신학 혹은 선교신학이 부족하다는 사실이다. 그들이 하나님의 선교라는 큰 그림 안에서 그들의 성서적, 선교적 정체성을 바르게 갖는다면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를 통한 하나님의 선교를 더욱 바르게 이루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장과 필요들을 볼 때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를 위한 선교신학 혹은 이민신학은 반드시 세워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선교적 인식전환을 위한 성서적 기초를 요한복음 20장21절에 둔다.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세상에 보내시고(요3: 16), 예수님께서 성령을 세상에 보내신 것(눅 24:49)과 같이 보내시는 하나님의 성품에 기초를 둔 이해를 제시한다.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백성들을 세상에 서 부르신 목적은 다시 보내시기 위한 것이라는 선교신학을 기초로 한다. 참된 그리스도인으로서 완성이 될 수 있는 곳은 교회가 아니라, 세상한가운데에 있는 자신의 삶의 현장이어야 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보내신 곳을 선교지로 여기고 선교사적 정체성을 지니고 선교적인 안목으로 살아갈 때 하나님께서 부르신 궁극적인 목적을 이루며 살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선교신학적 기초로 하여 세 가지 인식전환을 제시한다. 첫째는 성서에 대한 선교적 이해로의 전환이다. 성경을 그리스도인의 삶을 성공하도록 이끄는 성공적인 삶의 매뉴얼로 이해하여 그리스도인의 삶이 풍요로워지는 것만을 목표로 살아가는 삶이 아니라, 자신의 삶이 하나님의 보내심의 역사 혹은 하나님의 선교를 위한 길 위에서의 삶임을 인식하여 하나님께서는 어떤 사람들을 보내셨고, 어떤 사람들을 보내시고, 어떤 사람들을 보내실 것인지에 대한 거대한 하나님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성경은 끊임없이 보내시는 하나님을 이해하여 자신의 삶도 보내어지고 보내는 삶이 되도록 조율하는 기준이 되도록 해야 한다. 둘째는 복음에 대한 선교적 이해로의 전환이다. 복음을 오직 천국가는 티켓으로만 이해하는 전통적 이해방식에서 이 땅과 이 땅 이후의 영원한 나라까지 모든 세상을 통치하는 통치원리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영혼이 구원받는 것뿐만 아니라, 한 인격체로서 지, 정, 의가 하나님의 말씀의의 통치를 받는 원칙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복음을 통하여 사후의 하나님의 나라를 기대하는 동시에 이 땅위에서의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 가는 영원한 진리로 이해하고 선포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는 교회에 대한 이해이다. 교회는 예수를 그리스도로 고백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고 할 때, 교회의 궁극적인 목표는 세상 가운데에서 소금과 빛이 되는 것이다. 신앙생활의 종착지로서의 교회가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들을 세상으로 다시 파송하기 위한 훈련 소와 같은 교회로 인식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교회는 그 지역에 파송된 선교사인 것이다. 영혼들을 구원하는 사역을 하지만, 궁극적인 목적은 파송된 지역으로 하나님의 백성들을 파송하여 그 지역의 복음화되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백성들을 부르신 궁극적인 목적이기 때문이다. 이 세 가지의 선교적 인식의 전환은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들 이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전 세계에 흩어진 한인 디아스포라들을 세계선교를 위한 중요한 동력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하여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들이 열방을 향한 하나님의 선교를 이루는 일을 잘 감당할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중앙아시아 디아스포라 선교를 위한 로잔 선교신학의 실천적 적용

        김광성,남성택 한국선교신학회 2019 선교신학 Vol.56 No.-

        본 연구는 디아스포라 선교에 관한 로잔 문건들을 중심으로 중앙아 시아디아스포라 선교의 방안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디아스포라 선교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서 성경과 로잔의 문건들을 고찰하고, 이어서 중앙아시아 디아스포라의 현황과 선교 방안을 모색한다. 성경은 디아스포라를 사랑과 돌봄의 대상이요 선교의 대상으로 본다. 로잔운동 역시 디아스포라 현상을 하나님의 절대주권 안에서 하나님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바라본다. 디아스포라에 대한 성경과 로잔의 관점은 디아스포라가 하나님의 계획안에 있음을 확인한 다. 중앙아시아는 다양한 원인으로 이주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 중의 하나이다. 선교 신학적 토대 위에서 디아스포라의 선교를 위한 연구와 실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나아가 중앙아시아 디아스포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현황에 대한 조사와 선교 방안에 대한 진일보한 연구가 과제로 남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s of diaspora mission in Central Asia by focusing on the Lausanne documents about the diaspora mission. The Bible sees diaspora as objects of love, care, and mission. The Lausanne Movement also recognizes the diaspora phenomenon as a means for God’s purpose in God’s absolute sovereignty. The Bible and Lausanne’s view on diaspora confirm that the diaspora is in God’s plan. Central Asia is one of the fields where migration is actively occurring due to a variety of reasons. Diaspora missions in this area are emerging as a new task for modern missions. There is also an urgent need for missionary research and practice on mission for diaspora scattered throughout the region.

      • KCI등재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음악에 관한 개괄적 검토

        이동희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0 이화음악논집 Vol.24 No.1

        2019년 현재 전 세계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는 193개국 7,493,587명으로, 이들은 대부분 각자의 거주국에서 한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본국에 대한 향수를 지닌 ‘코리안 디아스포라 집단’으로 살아가고 있다. 디아스포라의 확장적 의미에는 ‘이산’(離散), ‘본국과의 연계’, ‘본국의 이상화’가 포함되는데 이 집단이 내재하는 정체성 표출의 주요 도구 중 하나는 음악으로, 디아스포라에서 음악은 국가의 개념을 초월하여 거주국으로 이산된 민족의 정체성을 표현한다. 재외동포 다수거주 주요 국가들을 북미, 중국, 일본, 독립국가연합(CIS)으로 범주를 재구조화하여 각 지역에서 나타나는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의 전반적인 특징과 그 안에서 행해지는 음악의 종류 및 의미를 살펴본 결과, 각 거주국 디아스포라 집단의 성격, 형성시기, 지리적 여건에 따라 음악의 종류와 기능이 조금씩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코리안 디아스포라 음악의 기능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면, ‘향수’와 ‘결속’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능을 대표하는 음악은 ‘아리랑’과 ‘사물놀이’라 할 수 있다. 아리랑은 이주한인 1세대들을 중심으로 본국에서 거주국으로 이주할 당시부터 존재하여 본국을 향한 거주국에서의 그리움을 표출하는 매개로서 지속되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 집단에서 향유하는 아리랑의 종류는 거주국의 지역적 특성과 거주국에서의 삶과 관련되어 끊임없이 변이되어 전승되었고, 디아스포라인들이 함유하는 한의 정서와 결합되어 있다. 반면 사물놀이는 이주한인 1세대의 후속세대들과 신이민자들이 중심이 되어 흥미로 출발했다가 디아스포라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한 매개로서 승화된 것으로, 음악적 동시대성을 확보하며 오늘날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민족적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아가 사물놀이는 향유자들이 코리안 디아스포라 집단에 국한되지 않고 초국적인 성격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As of 2019, there are 7,493,587 ethnic Koreans living around the world in 193 countries, mostly living as ‘Korean diaspora groups’ that maintain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and have nostalgia for their home countries. Diaspora’s expanding meaning includes ‘discrete,’ ‘link to home country’ and ‘idealization’ - one of the main tools of this group’s inherent identity expression is music, and in diaspora, music expresses the national identity that is separated into a residential country beyond the concept of a nation. After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types of music and meanings of the Korean diaspora in each region by reorganizing the categories into North America, China, Japan, and the CIS, I found that the types and functions of the diaspora groups in each country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nature, timing of formation and geographical conditions. However, if the Korean diaspora music is divided into two main functions, it can be defined as ‘nostalgia’ and ‘solidarity,’ and the music representing each function can be ‘Arirang’ and ‘Samulnori.’ Arirang has been around since the time of moving from home country to living country, focusing on the first generation of old comers, and continued as a medium for expressing their longing for homewardness. The type of Arirang enjoyed by the Korean diaspora group has constantly changed in relation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countries and their lives in the living countries. Samulnori, on the other hand, is an interesting starting point for a follow-up to the old comers or newcomers, and then sublimated as a medium to strengthen diaspora’s solidarity, securing musical contemporary characteristic and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ethnic identity of Korean diaspora today. Furthermore, Samulnori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perfomers are not limited to the Korean diaspora group but have a supranational personality.

      • KCI등재

        구소련지역 러시아 디아스포라의 특징 및 과제

        이신욱(Lee Sin-Uck)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7 디아스포라 연구 Vol.11 No.1

        이 논문은 구소련지역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함께 그 특징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나타나는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의 특수성을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소련의 붕괴로 인해 나타난 구소련지역 디아스포라는 우크라이나에서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기존 디아스포라 이론과 분류를 통해 러시아인 디아스포라를 고찰함에 있어 많은 상이점이 존재하였고, 도출된 상이점들을 도표화하여 정리하여 분석틀로 삼았다. 러시아인 디아스포라를 통해 러시아는 구소련지역에서 그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고 여기에 반발한 우크라이나는 탈러·친EU정책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의 친EU정책은 우크라이나 주류사회와 동부지역에 강력한 네트워크를 형성한 러시아인 디아스포라를 자극하였고 이들에게 새로운 길로 모색을 강요하였다. 크림공화국의 분리와 러시아로의 합병은 이레덴타와 이레덴티즘의 부활을 알렸고 동부우크라이나의 러시아인 디아스포라도 여기에 동참하여 우크라이나는 내전상태에 빠졌다.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나타나고 있는 우크라이나지역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연구는 이레덴타(Irredenta)와 함께 심도 있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uniqueness of Russian diaspora shown through theoretical approach about Russian diaspora in former Soviet Union, summarizing its characteristics. Diaspora in former Soviet Union formed by collapse of former Soviet Union shows variable forms in wider areas ranged from Ukraina to Central Asia.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investigating Russian diaspora through existing diaspora theory and classification. The summarized differences in diagram became framework for analysis. Through Russian diaspora, Russia is strengthening its influences in former Soviet Union. Ukraina that opposed such influences is seeking a new possibility through post-Russia and EU friendly policy. But EU friendly policy of Ukraina stimulated Russian diaspora who formed strong network in main stream society of Ukraina and its Eastern areas. This forced them to seek a new way. Separation of Republic of Crimea and its annexation and integration to Russia meant revival of Irredenta and Irredentism. Russian diaspora of Eastern Ukraina attended the events of separation and annexation so that Ukraina fell in internal war. A study about Russian diaspora in Ukraina, written from perspective of diaspora should be deeply progressed together with Irredenta.

      • KCI등재후보

        민족, 종족, 디아스포라의 자아의식

        김게르만 ( Kim German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2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6 No.1

        최근 디아스포라에 대해 집중된 관심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번째는 개념의 본질 자체가 바뀌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디아스포라 연구의 현실성은 시공간적 범주에서의 전면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세 번째는 디아스포라는 국가의 대내, 대외정치간 일관되는 국제관계에서의 주체와 대내정치의 객체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현재 정치학에서는 국제관계에 디아스포라 영향의 문제 연구들은 특히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디아스포라 패러다임은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로비아, 구소련의 몰락과 동방연합의 붕괴 후, 단일국가의 이전 시민들의 수천만 사람들이 급격히 디아스포라의 상황에 놓이게 되었을 때 고유한 음성을 만들어 내었다. 이에 대한 디아스포라 문제에 관한 현재의 연구 그룹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첫 번째 그룹은 ‘디아스포라’ 연구들을 위해서 현재 기초를 이루고 있는 이론적이고 방법론적인 설계의 어려움들이다. 두 번째 그룹은 특정한 종족-사회적 현상과 같은, 디아스포라의 구체적인 특수성과 다양한 관점들의 연구들이다. 세 번째 그룹은 지금보다 더 큰 관심을 끈 다양한 원인의 결과 중에 종족 디아스포라의 기능의 종족문화적, 사회-경제적, 법률적이고 국제적인 관점들의 연구들이다. 네 번째 경향은 국외에서의 러시아 디아스포라 문제에 관한 연구들이다. 디아스포라의 종족적 자아의식 특징들의 의미와 역할은 역사적-정치적인 상황과 종족적 환경의 특성과 강화에 따라 변화한다. 오랜 역사 동안 종족적 특징들의 구성에서 디아스포라의 본질이 의식, 관습과 전통으로 바뀌었다는 주장은 어느 정도 연역적이며, 이러한 연역법은 그 주장의 사실을 포함하고 있다. 실제로 오랜 민족명절에 디아스포라인들은 다른 이들과 완전히 구별되고 다르다고 느끼고 있다. 선구 이주자들을 시작으로 그 다음 세대를 확인하는 핵심과 같은 디아스포라 이념은 디아스포라 자아의식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이념을 기초로 자신의 역사적인 운명의 특별함이 인식된다; 모친의 종족과 다른 나라에 있는 그 일부들과의 유사점과 차이점; 역사적 모국과의 관계 수단의 성립과 유지의 필요성; 거주국의 내부 디아스포라의 강화와 종족 간 통합 지향. 수용국가에 뿌리를 내린, 동요된 이주 종족 집단과는 달리, 디아스포라는 그들의 삶과 후손들의 삶이 새로운 모국과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The concept of “diaspora” has changed, there are now new criteria according to which we relate to diasporas and other groups of people forming a community, though this may not be solely based on the notion of homogenous ethnic origin. The last decade has seen a drastic broadening of political, socio- economic and ethno-cultural problems, all of which include a key definition of “diaspora”. Diaspora self-consciousness is often mixed with the ethnic and the national, yet does not coincide with them completely and also does not find itsel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 and the whole due to the various social lives of its bearers - the nation and ethnic group. This kind of blend and overlap in understanding, however, can be attributed to that fact that all three communities of people, differing in many respects from each other, share with each other the core of “ethnicity.” Ethnic self-consciousness, on the other hand, is a stable system of conscious perceptions and assessments of actual ethno-differentiating and ethno-integrating signs of ethnicity. That is, the understanding of ethnic consciousness is voluminous and multi-faceted and is reflected in the various manifestations of life of an ethnos. The most significant and peculiar of ethnic characteristics include ethnonym (self), the origin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members of an ethnos, ethnicity, territory, language, religion, culture and the economy, all representing the elements of various subsystems and spheres of ethnic culture. Furthermore, culture and ethnicity is represented in the media as anthropological and psychological reflective of the members of an ethnic group. National consciousness, as is known, presents a reflection of being a nation, its place and role in the life of society, its relationship to other national communities. National consciousness develops in parallel with the formation of national life. Long-term residence in another country transforms the generation of immigrants into a subethnos, a Diaspora, a splinter broken away from the main ethnic core, with a culture, lifestyle and language that differs from the original. The representatives of this kind of subethnos (Diaspora) usually have dual ethnic identity, with a consciousness of belonging to the larger ethnos, and a consciousness of belonging to the Diaspora. One of the keys to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Diaspora consciousness is understanding that the Diaspora does not generate Diaspora consciousness, but that, on the contrary, Diaspora consciousness creates the Diaspora. The genesis of the Diaspora, on the whole, is objective, but to argue that the processes of Diaspora formation have ended is possible only with the formation of Diaspora consciousness.

      • KCI등재후보

        국제이주와 발전의 연계 담론에서 ‘디아스포라’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신지원(Shin, Julia Jiwo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디아스포라 연구 Vol.9 No.2

        전례 없는 수준의 활발한 국제인구이동이 발생하고 있는 시대적 현상과 맞물려 디아스포라의 개념은 초국가주의의 개념과 중첩되고 확장되어 오늘날 국제이주와 발전의 담론에서 중요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주와 발전에 있어 디아스포라의 잠재적 역할은 ‘이주와 발전에 관한 국제포럼(GFMD)’에서 매년 빠짐없이 논의되는 주제이다. 본국의 발전에 있어 디아스포라의 영향력은 주로 송금, 두뇌 유입 혹은 순환, 초국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설명된다. 이 글은 국제이주와 발전의 연계성 담론에서 부각되고 있는 디아스포라의 개념과 그 역할에 대해 탐색하고, 인도와 아프리카 지역 출신 디아스포라의 지식교류를 통한 두뇌순환 및 공동발전프로젝트(MIDA)와 멕시칸 디아스포라의 향우회(HTAs) 결성을 통한 초국적 네트워크 및 활동 사례를 통해 ‘디아스포라에 의한 발전’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체화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해본다. 이 글은 ‘디아스포라에 의한 발전’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국의 발전이라는 공동의 가치와 동기를 통해 디아스포라가 형성되어야 하고, 디아스포라의 활동 및 고국과의 유대를 지속가능하게 하는 송출국과 수용국 내 사회적, 구조적 환경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아울러 송출국과 수용국은 개인 혹은 공동체와 시장으로 ‘발전’의 실천적 책임을 전가하는 경제중심적 관점을 넘어서서 진정한 ‘공동발전’의 개념을 정립하여 디아스포라가 고국의 경제발전뿐 아니라 정치사회적 변화에 긍정적인 역할과 기여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함을 주장한다. With the unprecedentedly vigorous international movement of population in the present epoch, the term, diaspora, has received prominent attention in the discourse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development. The potential role of diasporas in development is one of the key issues discussed at the Global Forum on Migration and Development (GFMD) every year. The contribution of diasporas to the home country’s development is explained mainly by remittances, brain gain/circulation and transnational networks. This paper explores the contemporary concepts and roles of diasporas emerged in the migration-development nexus. It discusses the development by diasporas examining the cases of brain circulation, co-development projects (MIDA - Migration for Development in Africa) and the transnational networks of Mexican hometown associations (HTAs). The paper highlights that, in order to fulfill the development by diasporas, a diaspora should be formed based on shared values and interests on the home country’s development, and positive social and structural environments need to be established both countries of origin and destina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sustainable link between the diaspora and the home country. In addition, both origin and destination countries should seek for the tangible measures to promote ‘co-development’ that goes beyond the economic-centered perspective which passes the practical responsibility of ‘development’ merely on to individuals, communities or markets, and makes progressive way for diasporas to fully contribute to political and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economic development in home countries.

      • KCI등재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운동과 사중복음

        김영택 한국선교신학회 2020 선교신학 Vol.58 No.-

        본 논문은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운동과 성결교회의 신학적 정체성 인, “사중복음”과의 관계를 논하고 있다. 먼저,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운 동은 이 시대를 위한 가장 효과적이며 적합한 선교방법론임을 밝힌다. 이미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한인들, 특별히 2세대들을 세계선교를 위한 자원으로 세워가자는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운동은 이 시대의 가장 탁월한 선교방법론임에 틀림없다. 선교운동은 그 운동을 가능케 하는 신학적 토대와 근거가 필요하다. 필자는 사중복음이 한인 디아스 포라 선교운동을 위한 신학적 동력이 되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사중복음의 각각의 주제인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은 성결교회의 신학을 넘어, 복음이 증거되는 곳에서는 반드시 선포되어야 할 기독교의 가장 핵심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에 흩어진 한인 디아스 포라들이 만일 사중복음의 신학으로 훈련되어 있다면, 그들은 그들이 살아가는 곳에서 그 누구보다 훌륭한 선교사의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diaspora mission movement and “the Four-fold Gospel,”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Holiness Church. The Korean Diaspora Mission Movement is the most effective and appropriate mission methodology for this era. The Korean Diaspora Mission Movement, which aims to establish Koreans scattered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the second generation, as a resource for world mission, must be the most outstanding mission methodology of this era. The missionary movement needs a theological foundation and grounds to enable it. This paper claims that the Four-fold gospel (regeneration, holiness,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is sufficient to be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Korean Diaspora missionary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