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羅의 東宮制度

        이승현(Lee Seung hyeon)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5

        신라는 중대 이후 지속적으로 당의 관제와 문물을 받아들여 정치운용에 있어서 관료체제로의 변화를 지향했다. 당제의 이념적 바탕인 유학의 수용과 이해는 필수적이었으므로, 중대 왕권은 유학의 사회적 확산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왕은 관료체제의 정점에서 유학적 의미의 王者로 군림하고자 했다. 본고는 王者로 군림한 왕이 자신의 권위를 왕위계승자인 太子에게 승계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적 장치인 東宮制度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신라에서는 眞興王代에 왕위계승제도인 태자제도가 확립되어 동궁 설치의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중대 왕권은 지속적인 관제개혁을 이루었다. 文武王代에 이르러 唐制를 모방한 관제개혁의 일환으로 동궁이 설립되었다. 동궁에는 東宮官이라 하여 태자를 보필하는 관부와 관원이 배속되었다. 景德王代에 東宮衙가 설치되어 東宮官이 정비되었다. 동궁관의 관부와 관원은 태자를 보필하고 각기 고유한 업무를 담당하였다. 특히, 동궁의 御龍省과 洗宅은 국왕 직속 기관에 대응되는 近侍ㆍ文翰기구로, 태자가 왕 다음 가는 제도적 위상을 보장받았음을 보여준다. 태자는 동궁관의 운영을 통해 자신이 왕위에 올랐을 때 국정을 운영하기 위한 경험을 쌓았다. 동궁제도의 성립이후 왕자가 어린 나이에 태자로 책봉되었던 사례가 빈번할 만큼 태자의 지위가 확고해졌다. 태자 책봉은 왕위의 정통성을 표방하는 기제가 되었다. 왕의 考와 母 등의 추존과 함께 이루어진 점에서도 알 수 있다. 태자는 책봉 후 監國을 통해 정권을 보좌하고 국정을 경험하는 한편, 다음 왕위를 이을 존재임을 부각시켰다. 태자로 책봉된 이들은 사망하지 않는 한 모두 왕위를 이었으며, 사망한 경우에도 태자로서 시호를 받았던 사실로 미루어 그들의 위상이 짐작된다. 유학 학습과 유가윤리의 내면화는 太子가 왕위계승자로서 요구되는 부분이었을 것이다. 태자는 태자와 왕족의 자제를 위한 교육기관인 崇文臺에서 經學을 중심으로 교육받았다고 보인다. 태자 교육은 하대에 계속 확대되어 太子侍書學士가 신설되었고 아울러 태자시독도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태자는 높은 유학적 지식을 가진 학사들의 보필을 받아 제왕이 되기 위한 제도적 교육 과정을 거쳤을 것이다. 동궁제도는 다음 왕이 될 태자로 하여금 왕위계승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왕이 될 역량과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태자는 왕위계승자로서의 권위를 확립할 수 있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ong-gung(東宮, the crown prince's palace) system in Silla dynasty. This system includes not only the matter of crown prince's palace, but also that of its own public offices·public officials·confucian etiquette for crown prince. Dong-gung was founded at the reign of King Munmu. It was based on the confidence among people of Silla dynasty which had finished 'the international war of East Asia in 7th century' and the situation which government organization was reformed. Kings of Silla in Jungdae(中代, middle period of Silla dynasty) intended to reign as Confucian king who went on the Confucian king's way over the bureaucracy, which had been introduced from Tang(唐) dynasty. The situation of that period was connected to Hadae(下代, late period of Silla dynasty). The crown prince needed the authority of Confucian king as the successor to the throne, too.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Dong-gung system was the one of the tools which the crown prince could acquire the authority as follows. First, Dong-gung had public offices and their officials for the crown prince. According to the pages of Silla government service written in the Samguksagi, they did their own services. Two of public offices, Eoryong-seong(御龍省) and Setaek(洗宅), were corresponded with King's organizations. They assistanted the crown prince's movement and conveyed his orders. Several public offices such as Woeljiakjeon(月池嶽典), Yongwang-jeon(龍王典) and Seungbang-jeon(僧房典) took charge of religious services. Po-jeon(?典) and Mansu-bang(萬壽房) served food and medical practice(including medicine). The crown prince had administered the organization to be able to experience for his reign. Second, Dong-gung had the systems of an act of the state, confucian etiquette and education for the crown prince. Fully investing the crown prince was one of the mechanisms which meant what king had the justice of his throne. The crown prince used to govern the state in behalf of king when the king went out of the palace. After Dong-gung had been established, confucian etiquette for the crown prince was setup. So, if the crown prince had passed away, he was granted his posthumous epithet which was from Confucianism. the crown prince was educated in Sungmundae(崇文臺). In addition, he was assistanted by Haksa(學士) for crown prince like Sidok(侍讀) who gave lessons in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Siseohaksa(侍書學士) who taught calligraphy. So, the crown prince was trained as a king. In conclusion, the Dong-gung system(東宮制度) could make the crown prince confucian king successfully.

      • KCI등재

        신라 東宮의 변화와 臨海殿의 성격

        전덕재(Jeon Deogjae)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7

        본 논고는 신라 동궁의 성격과 그 변화, 임해전의 설치 시기와 위치, 그 성격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문무왕 19년(679) 이전 『삼국사기』의 기록에서 삼국의 동궁에 관한 정보를 찾을 수 없다. 신라에서 679년에 東宮을 처음으로 건립하였고, 752년(경덕왕 11)에 東宮衙와 東宮官을 설치하였다. 752년 이전까지 동궁은 大宮, 즉 正宮의 동쪽에 위치한 離宮의 하나로 인식되었다. 경덕왕이 태자제도의 안정적인 운영을 통해 강력한 왕권의 확립을 도모하려는 의도에서 752년에 동궁아-어룡성-세택을 중심으로 하는 동궁기구를 새롭게 정비하고, 예전에 內省에서 관리하던 월지전 등의 여러 관청을 동궁관에 소속케 하였다. 이에 따라 동궁은 제도적으로 태자의 공간임을 보장받게 되었고, 9세기 후반 경문왕대에 태자 관련 제도가 한층 더 체계화·조직화되면서 동궁은 태자의 공간이라는 공감대가 널리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이럼에도 불구하고 신라 말기까지 東宮은 思正堂과 隅宮같은 태자가 정무를 보거나 거처하는 공간과 국왕이 연회를 개최한 臨海殿등을 포괄하고 있는 공간이 병존하는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공간이라는 측면이 완전히 불식되지 않았다. 679년(문무왕 19) 무렵에 월지(안압지) 서편에 건립한 臨海殿의 정문이 臨海門이었다는 점, 大明宮麟德殿의 건물구조와 임해전의 건물 배치가 유사한 점 등을 두루 고려하건대, 臨海殿址에 남북으로 배치된 세 개의 건물을 모두 망라하여 臨海殿이라고 불렀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 and its changes of Silla’s East Palace, as well as the construction time, place and the features of Imhaejeon. Among the Samguksagi’s records that describe the period before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eign(679), no information about Three Kingdoms’ East Palace can be found. For the first time, the East Palace was built in Silla in 679. Donggunga and Donggungkwan were installed in the 11th year of King Gyeongdeok’s reign(752). Until 752, the East Palace was recognized as just one of the secondary palaces that were located on the east side of the main palace. In 752, King Gyeongdeok newly established the organizations under East Palace which centered around the Donggunga, Eoryongseong and Setaek offices. He also moved some government offices to Donngungkwan including Woljijeon, which was previously under the management of Naeseong. These measures were implemented to strengthen his royal authority by stabilizing operations of the Crown Prince System. Consequently, the East Palace institutionally became a guaranteed Crown Prince’s space. As the Crown Prince System worked normally in the late 9th century, awareness that East Palace was a Crown Prince’s place spread widely. However, until the closing years of Silla, the East Palace was still regarded as a complex space due to the coexistence of the residence and office of Crown Prince such as Sajeongdang and Ugung, and the spaces that included buildings as Imhaejeon where King’s banquets were held. There are three buildings that are placed on the North and South side of Imhaejeonji. Considering some factors as the fact that name of Imhaejeon’s main gate was ‘Imhaemoon’, which was built on the west side of Wolji, and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building arrangements of Daimyung Palaces Indeokjeon and those of Imhaejeon, it is highly likely that people called those three buildings altogether by name ‘Imhaejeon’ around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eign(679).

      • KCI등재

        ‘경주 동궁과 월지’의 성격을 둘러싼 논의와 쟁점

        이현태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2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about the nature of the historic site known as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and its vicinity. As is well known, the most widely accepted view on the historic site has long been that the artificial reservoir named Anapji was also called Wolji during the Silla period, while Donggung Palace, built in 679, was the official residence of the crown princes of the Silla dynasty. Following the widespread adoption of the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theory, the historic site known as the “Imhaejeon Site in Gyeongju” was renamed as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2011. Ironically, however, divergent opinions to that theory had already begun to emerge by the time the historic site was renamed, in accordance with a new theory established in the 1980s. This latter theory was largely based on the records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amguk Sagi) and the text materials excavated in the area around the Wolji Pond. Unfortunately, the researchers who proposed this theory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remaining archaeological features found at the site in question. Another view, which emerged in 1991, held that the area around Wolji Pond was too large to become Donggung Palace, in other words the official residence of Silla’s crown princes, and particularly so when compared with the crown prince’s palace in the subsequent Goryeo and Joseon periods. This was followed by the still new idea that the term “Donggung” referred, as the name suggests, to the “Eastern Palace,” whose precincts contained the crown prince’s residence (Taejagung Palace). The central part of the site,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is represented by a building complex located to the west of the pond. Discussions aiming to connect the central buildings with the crown prince’s residence only began as recently as 2010. This issue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researchers, although few of them actually undertook a thorough review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se palatial buildings. Recently, however, some of the structural remains of these buildings were re-excavated together with the ‘Ga’ section situated to the east of Wolji Pond. Accordingly, the achievements of the latest studies and archaeological discoveries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fresh discussions about the nature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required in the effort to identify the nature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should b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building that is marked by an absence of inner columns at its center, as well as the background to Wall No. 1, which was discovered due east of Wolji Pond. That is why it has been concluded that Building No. 1 located in the ‘Ga’ section to the east of Wolji Pond, which is characterized by an interior without columns, should be compared with Building ‘A’ located to the west of Wolji Pond, which may well have been related with Silla’s kings. In order to acquire a closer,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researchers will need - in addition to adopting archaeological approaches - to explore text materials connected with Wolji Pond and the buildings in its vicinity, such as the record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k Yusa), according to which the entire fifty rooms forming the palace’s internal quarters were swept away when Dongji Pond overflowed. 사적으로 지정된 ‘경주 동궁과 월지’ 및 그 주변 지역의 성격을 둘러싸고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잘 알려져 있듯이 신라 때 안압지는 月池로 불렸고 그 주변 건물지가 바로 679년에 건립된 東宮, 즉 태자의 居所였다는 견해가 거의 통설처럼 여겨져 왔다. 이는 ‘동궁(태자궁)과 월지’설이라고 개념화할 수 있다. ‘동궁(태자궁)과 월지’설에 힘입어 ‘慶州 臨海殿址’였던 사적 지정명칭은 2011년 ‘慶州 東宮과 月池’로 바뀌었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사적 지정명칭의 변경을 전후해 ‘동궁(태자궁)과 월지’설에 대한 반론이 본격화되었다. ‘동궁(태자궁)과 월지’설은 『삼국사기』의 기록과 월지 일대에서 출토된 문자 자료를 기반으로 1980년대에 성립하였다. 하지만 가장 기본인 ‘경주 동궁과 월지’ 내의 遺構 분석을 소홀히 한 문제가 있다. 특히 월지 일대를 동궁(태자궁)으로 파악하기에는 고려나 조선의 태자궁과 비교해 그 규모가 지나치게 크다는 비판이 1991년에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동궁은 ‘동쪽의 궁궐’을 가리키며, 그 안에 태자궁이 포함되었다는 수정된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 중심 건물은 월지 서편에 자리한 건물군이다. 하지만 월지 서편 건물군을 태자와 연관 지을 수 있느냐는 문제는 2010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논의되기 시작했다. 그 뒤 여러 연구자가 월지 서편 건물군의 성격에 관해 언급했지만, 건물의 특징을 면밀하게 검토한 경우는 많지 않다. 최근 월지 서편 건물군 가운데 일부 유구가 재발굴되었고, 월지 동편의 가지구도 발굴보고서가 모두 발간되었다. 따라서 최신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경주 동궁과 월지’의 성격을 새롭게 논의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셈이다. 이와 관련해 건물의 중앙부에 기둥이 생략된 內陣 減柱가 확인된 건물의 성격과 월지 동편에서 발굴된 1호 담장의 축조 배경을 밝히는 것이 ‘경주 동궁과 월지’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특히 내진 감주가 확인된 월지 동편 가지구의 1호 건물은 국왕의 공간일 가능성이 큰 월지 서편의 A건물과 동등한 차원에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고고학적인 접근과 더불어 東池가 넘쳐 內殿 50여 칸이 떠내려갔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처럼 월지 및 그 주변 건물과 연관 지을 수 있는 사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경주 동궁과 월지’의 실체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高麗前期의 東宮侍衛公子

        金載名(Kim Jae-myoung) 한국사학회 2012 史學硏究 Vol.- No.107

        文宗 8년부터 뽑기 시작한 東宮侍衛公子는 동궁에 소속되어 있기는 하지만 동궁의 관원은 아니었다. 太子와 어울리면서 공부도 도와주고 놀이도 함께하는 학우였다. 그런 면에서 東宮學友나 春坊學友로 부르기도 하였는데, 이 밖에 春坊侍學公子를 비롯하여 春坊公子?春坊侍學?侍學公子등의 다양한 별칭이 있었다. 이러한 동궁시위공자는 할아버지가 3品官이상이거나 아버지가 5品官이상인 文武官의 자제 중에서 선발된 20명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 이들보다 父祖의 官品이 좀 낮은 가문의 자제로 충원되는 10명의 東宮侍衛給使가 따로 있었다. 이들은 대개 7∼8세에 책봉되는 태자의 학우였던 만큼 태자보다 약간 나이가 많지만 비슷한 또래의 어린이 중에서 선발되는 경우가 많았다. 보통 태자 책봉에 앞서 이루어지는 太子府設立무렵에 뽑았는데 결원이 생기면 추가로 충원하였고, 시험보다는 주로 薦擧의 방식으로 선발하였다. 선발 이후의 관리는 태자부 내에서 侍從과 贊相을 맡은 左春坊의 소관이었으며, 관원이 아니므로 田柴科나 祿俸과 같은 경제적 대우는 받지 못하였다. 이 같은 동궁시위공자 제도는 여러 조카를 제치고 왕위에 오른 경험을 거울삼아 어떻게든 자신만은 원자에게 왕위를 계승시켜야겠다고 다짐한 文宗의 확고한 의지가 만들어낸 결과였다. 이를 연결고리로 삼아 태자와 귀족 관료의 유대를 공고히 함으로써 태자의 안정적인 왕위계승을 담보하고자 했던 것이다. 귀족 관료들도 자제가 동궁시위공자로서 미래 권력인 태자와 유대를 맺음으로써 장차 남보다 쉽게 입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다하지 않았다. 그러고 보면 결국 동궁시위공자 또한 왕과 귀족 관료가 정치적인 이익을 공유하기 위해 상호 의기투합하여 만들어낸 또 하나의 산물이었던 셈이다. Donggungsiwigongjas started to be picked at the 8th year of King Munjong(文宗) belonged to the palace of Crown Prince, but they were not officials who took care of its affairs. They were friends that got along well with the Crown Prince, studying and playing. For this reason, they were called Donggunghakwoo(東宮學友) or Chunbanghakwoo(春坊學友), and they also had several different names like Chunbanggongja(春坊公子), Chunbangsihak(春坊侍學), Sihakgongja(侍學公子). They were the group of twenty persons whose father were at the position of the fifth degree of official rank or grandfather at the third. Besides these Donggungsiwigongjas, there were Donggungsiwigeubsas(東宮侍衛給使) that consisted of ten persons, and their fathers and grandfathers had lower ranks than Donggungsiwigongjas’. Donggungsiwigongjas were the selected ones that were a little older than the Crown Prince; He was generally installed to the Crown Prince at the age of seven or eight. They were selected with establishment of the Crown Prince’s office which generally had been made b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Crown Prince. They were picked by the recommendation, not by examination. And when there caused a vacancy, it was filled up afterwards. Jwachunbang(左春坊) which was a part of the Crown Prince’s office and at the same time had roles of chamberlain and counsellor took on managing them. As they were not officials, they didn’t receive an economic benefit in return, such as Gwaj?n(科田) or salary(祿俸). Donggungsiwigongja system was the result of King Munjong’s strong intention that he wanted to succeed his oldest son to the throne; As he had experienced of coming to the throne clearing away his nephews, he worried about the happening of such a same situation. Through the medium of this system, King Munjong intended to ensure the Crown Prince’s stable succession to the throne by reinforcing political ties between Crown Prince and noble officials. Noble officials also agreed to put this system in operation, because they thought their sons could rise in the world rapidly on the basis of relationship with Crown Prince who was going to hold the power in the future. In short, Donggungsiwigongja was another product that the king and noble officials made to share their political benefit with one accord.

      • KCI등재

        新羅 東宮의 位置와 ‘東宮官’機構

        윤선태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6

        This paper examines the location of the crown-prince palace(Donggung東宮), as well as government offices belonging to the crown-prince (Donggungkwan 東宮官) in Silla dynasty. Among the Samguksagi’s records that describe the period before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eign(679), no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crown-prince palace can be found. For the first time, the crown-prince palace was built in Silla in 679. Donggunga and Donggungkwan were installed in the 11th year of King Gyeongdeok’s reign(752). In general, the crown-prince palace was recognized as just the Imhaejeon(臨海殿) that were located on the west side of the Anapji(雁鴨池) which was excavated a lot of relics related to the crown-prince and government offices to Donngungkwan including Donggungah(東宮衙), Setaek(洗宅), Woljijeon(月池典), Woljiackjeon(月池嶽典), Yongwangjeon(龍王典) etc. Anapji was Wolji(月池) in Silla dynasty, so Woljijeon and Woljiackjeon was recognized as a Anapji Administration Department. But Anapji and Imhaejeon is too big for the crown-prince palace of Goryeo and Joseon dynasty. So Anapji and Imhaejeon is not the crown-prince palace of Silla. The archaeological site of the Silla capital on east side of Wolji is where has been excavated since 2007 in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many ruins of buildings built from pre-middle period to the latter period of Silla are concentrated in the area. The location of the site is directly connected with Wolji at west side of the site. large buildings, the palace-wall, and East gate of palace appeared in the site.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crown-prince palace of Silla is not Anapji and Imhaejeon on west side of Wolji but the archaeological site of the Silla capital on east side of Wolji. 현재 학계에서는 안압지와 그 서편의 임해전 건물군 일대를 신라의 동궁으로 보고 있지만, 고려 및 조선시대의 동궁들과 비교해볼 때 신라 동궁의 규모가 너무나도 크다. 또 동궁 관할의 임해전에 와서 왕이 群臣에게 향연을 베푼다는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동궁’을 태자궁이 아니라 ‘동쪽의 궁’으로 보는 수정안이 나왔다. 그러나 애장왕 5년 ‘임해전’과 ‘동궁 만수방’이 병칭되는 기사나 월지 출토 ‘太子’ 및 ‘東宮官’ 관련 문자자료로 볼 때, 신라의 동궁은 임해전 일대의 월지궁과 독립되면서도 월지 인근에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2007년 11월 이후 발굴이 진행되고 있는 월지 동편 유적에서 월지의 동쪽 호안을 따라 남북으로 긴 宮墻이 95미터 이상 노출되었고, 동단 끝으로 발굴이 더욱 확대되면서 남북대로에 맞닿아 있는 ‘동문지’로 추정되는 유구도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 월지 동편의 宮墻에서 동문지까지가 하나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분되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더욱이 이 월지 동편 유적은 궁장의 중간에 가설된 門들을 통해 월지와도 분명히 소통 연결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앞서 신라 동궁의 입지조건들과도 상당히 부합된다. 월지 동편의 발굴 상황은 안압지 출토 門號木簡에 기록된 동궁의 궁문이나 내부구조와도 일치한다. 월지 동편 유적의 ‘동문지’는 문호목간의 ‘東門’이며, 그 서쪽 1호 담장지인 宮墻에 가설된 ‘3호 건물지’는 ‘開義門’으로 추정된다. ‘모퉁이 궁’이라는 뜻의 ‘隅宮’은 1호 담당지의 서편, 즉 1호 건물지가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된다. 그곳의 발굴이 확대되면 우궁의 북쪽과 서쪽에 外垣과 그 각각에 隅宮의 北門과 西門이 노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隅宮은 그 내부 1호 건물지가 동향이라는 점에서, 월지 동북편의 모퉁이 空地를 활용한 동궁의 부속 공간이었다고 생각된다. 월지의 서편 건물지는 ‘임해전’으로 잘 알 수 있듯이, 왕궁의 後苑인 월지에 건설된 남북축선을 고려한 매우 권위적이며 의례적인 건물군이다. 이러한 임해전과 월지의 영역은 왕의 공간이며, 그곳을 궁장(또는 苑墻)으로 차단하고 왕궁의 동단 끝에 다시 태자의 공간으로서 동궁이 별도로 건설되었다. 이때 동궁에는 태자를 위해 작지만 독립된 정원시설까지 기획될 정도로 동궁(태자궁)의 격조와 장엄에 상당한 신경을 썼다. 신라의 ‘東宮官’은 예하 관부의 구성과 기능으로 볼 때, 당에서 태자를 보좌하던 관청들을 묶어 ‘東宮官’이라고 통칭하였던 사례와 정확히 일치한다. 또 당의 동궁관 예하 관부가 동궁 내에 모두 존재하지 않았듯이 신라의 동궁관 관청들도 모두 동궁 내에 있지 않았다. 인왕동 왕경유적의 ‘東宮洗宅’처럼 하대에 들어 태자의 文翰機構가 확대되면서 동궁 밖에도 동궁관 관청이 늘어났다. 한편 月池典과 月池嶽典이 내성이 아니라 동궁관 예하인 것은 龍王典과 관련이 있다. 용왕제가 왕실의 영속을 비는 제사로서, 용왕이 만파식적을 내려준 바다를 표상하는 월지(안압지)에서 태자가 거행하였기 때문에, 월지를 관리했던 관청들과 용왕제를 담당했던 관청이 함께 동궁관 예하에 편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고대 동아시아의 東宮과 신라 東宮

        이재환(LEE, Jae-hwan)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100

        안압지라고 불리던 월성 동북편 연못은 신라 시대 명칭이 月池로서, 그 주변의 건물지는 太子의 居所인 東宮이자 月池宮이었다고 간주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 월지와 월지궁을 국왕의 공간으로 간주하면서, 태자 거소로서의 동궁은 1호 담장지로 분리되어 월지 동편에 별도로 위치해 있었다는 새로운 해석이 제기되었다. 본고는 고대 동아시아에서 ‘동궁’이라는 표현이 사용된 맥락을 점검해 봄으로써 이 문제에 접근해 보았다. 계승예정자가 ‘동궁’으로 지칭된 사례는 先秦 시기부터 종종 나타나지만, 원칙은 아니었다. 西漢代에는 동궁이 皇太后의 居所인 長樂宮을 가리키며 그 代稱으로 사용되었다. 계승예정자의 居所가 동궁이어야 한다는 관념은 東漢代를 거치면서 성립하여, 西晉代에 이르러서야 관념과 실제 居所가 일치하게 된다. 그러나 ‘동쪽에 위치한 宮’을 의미하는 동궁의 용례 또한 지속적으로 확인된다. 신라에도 이러한 다양한 용례가 전달되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월지와 주변 건물들을 조영하는 작업은 기존 궁성 중심 구역의 동북쪽에 새로운 궁성을 만들고 園池를 조영했다는 점에서 唐의 大明宮을 연상시킨다. 대명궁의 완공 당시 명칭은 ‘蓬萊池’에서 따온 ‘蓬萊宮’으로서 ‘月池宮’의 작명 방식과 유사하다. 조영 과정에서 禮制的 典範에 대한 인식 하에 왕위계승자의 거소를 동쪽 宮에 위치시키면서, 월지궁은 동쪽의 궁인 동시에 왕위계승자의 거소 ‘동궁’으로서의 의미를 함께 가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월지에서는 『三國史記』 職官志에 나오는 東宮官 9개 관부 중 8개 관부에 각각 대응되는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太子와의 연관성도 확인된다. 특히 唐이나 日本의 太子·東宮 관부와 달리 신라의 동궁관에는 太子에 대한 보좌·시봉의 성격을 가지는 관서와 宮의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서가 함께 배속되어, 신라 동궁의 복합적 성격을 보여준다. 궁성 중 일부에 계승예정자의 공간을 설정해 주었다고 해서, 그 공간이 왕에 의해 사용될 수 없는 공간이 되는 것은 아니다. 국왕과 왕위계승예정자의 공간이 반드시 분리되어야 했던 것 또한 아니다. 唐에서는 太子가 더 이상 동궁에 머물지 않고 少陽院에 거주하게 되는 변화가 나타나는데, 이는 太子의 통제를 위해 ‘황제 침전의 곁’에 거주하게 하는 의미를 가진다. 결국 국왕과 태자의 공간이 구분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전제로 두고 월지궁과 별도로 동궁을 다른 위치에서 찾아야만 할 당위는 아직 부족하다고 하겠다. The pond located northeast of Wolseong, which was called Anapji since Joseon Dynasty, was originally named Wolji during Silla Dynasty. The buildings around it, also known as Wolji Palace, have been considered as the East Palace of Silla owned by the crown prince. However, a new view was raised that Wolji Pond and Wolji Palace were the king’s residences, and that the prince’s East Palace was on the east side of Wolji Pond separated by a wall. This view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word ‘East Palace’ means only the residence of the crown prince, not the king. Even before the Qin Dynasty of China, there were cases where the crown prince was called ‘East Palace’, but it was not a principle. The East Palace in the Western Han Dynasty was residence of the Queen Mother. The idea that the prince should reside in the East Palace was established at Eastern Han Dynasty, and became real at Western Jin Dynasty. But the word ‘East Palace’, which simply meant ‘a palace located in the east’, was also used at the same time. These two meanings would have been known to Silla as well. The construction of Wolji Pond and the surrounding buildings was to build a new palace and a huge pond in the northeast of the existing palace area, reminding us of the construction of Tang dynasty’s Daming Palace. The original name of Daming Palace was Penglai Palace, which was derived from Penglai Pond, similar to the Wolji Palace named after Wolji Pond. During construction, the idea that the crown prince should live in the East Palace was applied, and the prince was decided to reside in that palace. Eventually, Wolji Palace came to have a complex character of ‘the (king’s) palace in the east’ and ‘the residence of the prince’. Many things thought to have been used in the offices of the East Palace were excavated from Wolji Pond, and some were related to the crown prince. Among the offices of the East Palace recorded in Samguksagi, there were offices dedicated to serve the crown prince, and were also some offices that manage the facilities of the palace, reflecting the complex character of Silla’s East Palace. In the Ancient East Asia, the prince’s residence was not an exclusive space that the king could not use. The space used by the king and the prince did not necessarily have to be separated. In the Tang Dynasty, there was a change in which the crown prince no longer resided in the East Palace, but instead resided in the Shaoyangyuan near the emperor’s bedroom. It is not necessary to search Wolji Palace and the East Palace in different places under the premise that the space of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must have been separated.

      • KCI등재

        신라의 東宮과 月城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동향 - 동궁 관련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

        최상기 한국고대사학회 2022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8

        이 글에서는 경주의 月池 주변에 있었다고 추정되는 신라의 東宮과 관련된 연구 성과를 세 시기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동궁의 성격 및 왕궁과의 관계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경향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1970~1980년대에는 주로 월지 일대를 국왕의 위락을 위한 공간으로 이해하는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동궁은 월지의 서쪽과 남쪽 유적에 있었다고 추정되었으며, 왕궁의 동쪽에 위치한 궁궐이라는 의미와 유희적 성격이 강조되었다. 1990~2000년대에는 月城 안팎의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월성에 위치한 왕궁과 그동쪽에 있었을 동궁의 관계가 주로 검토되었다. 이 시기 대부분의 연구 성과에서는 신라 왕궁의 정비 및 확장과 관련하여 동궁이 왕궁의 늘어난 범위에 포함되었다는 점을 인정하였 다. 아울러 월지에서 출토된 자료를 활용하여 동궁의 내부 구조를 복원하는 연구 성과도 생산되었다. 2010~2020년대에는 월지 동쪽 지역에 대한 발굴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동궁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특히 동궁이 월지의 서쪽과 남쪽에 있었다는 기존의 입장에서 벗어 나, 동궁의 위치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제기된 것이 주목된다. 나아가 이를 토대로 동궁의 개념, 동궁의 운영 원리, 太子制와의 관계 등 동궁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두고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신라의 동궁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한층 심화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후보

        신라 東宮의 역할과 영역 - 임해전 및 안압지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김병곤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20 No.-

        In general, academics understand the Anapji(雁鴨池) and Imhaejeon(臨海殿) which is Time difference of five years to build and have a lot of relics related to Donggung(東宮) to donggung affiliated facilities. In addition, according to Samguksaki(三國史記) Jikgwanji(職官志) Donggung satellite facility has Donggungah(東宮衙), Uhyongsung(御龍省), Setaek(洗宅), Gupjangjeon(給帳典), Walljijeon(月池典), Sungbangjeon(僧房典), Pojeon(庖典), Walljiackjeon(月池嶽典), Yongwangjeon(龍王典) etc and they think Anapji's Silla Dynasty Name is Wallji(月池). Walljijeon and Walljiackjeon as a Anapji Administration Department and gupjangjeon, pojoen, is the departments which support banquet from anapjia and imhaejeon. As a result anapji around one and Inwangdong Wanggyeong ruins(仁旺洞王京遺蹟) around which is setteled 'Sinbundonggungseteck bronze plate(辛番東宮洗宅’銘 靑銅盌)' is estimated as a Donggung area. Donggung was the place to conduct various training to improve the qualifications to become a prince of their own living space provided and reveal the authority of the Crown Prince(太子). Therefore Anapji and Imhaejeon can't be Donggung affiliated facilities and Anapji which represent sea can't be Wallji(月池). Therefore Walljijeon(月池典), Walljiackjeon(月池嶽典) and Gupjangjeon(給帳典), Sungbangjeon(僧房典), Pojeon(庖典) which is the disparate business should be excluded from Donggung part government offices. Meanwhile in and out of Wallsung(月城) has 44 center government offices and 115 inside castle and most of Uhyongsung's(御龍省) government office. On the according to the common view excluded 9places and Disparate departments we can suppose 3places Attached government offices. Then Anapji in areas ranging from Inwangdong Wanggyeong ruins(仁旺洞王京遺蹟) is to wide to see Donggung areas. Donggung relics excavated from Anapji(雁鴨池) is the Dispose of i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bsequent destruction of Silla so we can't sure where it used. But 'Sinbundonggungseteck bronze plate(辛番東宮洗宅’銘 靑銅盌)' which is excavated from Inwangdong Wanggyeong ruins and considered as a Diagnostic District is clear linkages beetween Its buildings. Especially if we accept Letters engraved on the plate, this excavated building should be considered as Donggung attached Seteckji(洗宅址). And Donggungah(東宮衙), uhyongsung(御龍省), seteck(洗宅) which is Donggung part government office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fetuses should be crowded.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Donggung is in southwest wallsung not anapji around.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5년간의 시차를 두고 건립되고 동궁 관련 명문 유물이 다수 출토된 안압지와 임해전을 동궁 부속 시설로 이해한다. 또한 『삼국사기』 직관지에 따르면 동궁 부속 관서로 동궁아‧어룡성‧세택‧급장전‧월지전‧승방전‧포전‧월지악전‧용왕전 등이 있는데 안압지의 신라시대 명칭을 월지로 간주하고 월지전‧월지악전은 안압지 관리 부서로 그리고 급장전‧포전은 안압지와 임해전에서 개최된 연회를 지원하는 부서로 보았다. 그 결과 안압지 주변 일대는 물론 최근 「‘신번동궁세택’명 청동접시」 등이 수습된 인왕동 왕경 유적 일대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동궁 영역으로 추정하기에 이르렀다. 동궁은 태자의 권위를 드러내며 독자적인 주거 공간의 제공과 군왕에 어울리는 자질 향상을 위해 각종 교육을 실시하는 장소였다. 그러므로 왕실 유희처로 사용된 안압지와 임해전은 동궁 부속 시설로 볼 수 없으며 바다를 상징해 조영된 안압지의 명칭도 월지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월지전‧월지악전 그리고 업무가 이질적인 급장전‧승방전‧포전 등은 동궁 부속 관서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한편 월성 안팎에는 44개소의 중앙 관서와 115개소의 내성 및 어룡성 소속 관서들 대부분이 위치했다. 반면 동궁은 통설에 따르면 9개소 또는 이질적 부서를 제외하면 3개소의 부속 관아를 상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안압지에서 인왕동 왕경 유적에 이르는 지역을 동궁 영역으로 추정하기에 지나치게 넓다. 그런데 안압지에서 출토된 동궁 관련 유물은 신라 멸망 이후 자연적 인위적 폐기의 결과에 따른 것이므로 본래 사용처로 단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인왕동 왕경 유적에서 정치된 상태로 출토되어 진단구로 여겨지는 「‘신번동궁세택’명 청동접시」는 동궁 관련 명문 유물 중 해당 건물지와의 연계성이 가장 분명하다. 특히 접시에 새겨진 명문을 인정할 경우, 이것이 출토된 건물지는 동궁 부속 洗宅址로 볼 수밖에 없다. 더불어 동궁 부속 관서가 분명하면서 태자에 대한 행정 지원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동궁아 어룡성 세택은 직능상 밀집되어 있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동궁은 연계성이 떨어지는 안압지와 그 주변이 아닌 월성 동남쪽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隋唐長安城 東宮의 구조와 성격

        최재영(Choi, Jae-Young) 효원사학회 2017 역사와 세계 Vol.- No.51

        본고는 隋唐長安城 東宮의 구조와 성격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먼저 魏晉南北朝時代 각 왕조의 東宮의 의미를 기존 연구 성과를 요약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隋唐長安城 東宮의 구조와 성격을 『長安志』, 『雍錄』 등 문헌 자료의 기록과 그림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東宮이란 말이 처음부터 태자 혹은 태자의 거처만을 지칭한 것은 아니었다. 先秦시대에는 제후 혹은 동쪽 건축물에 대한 범칭이었고 前漢代까지만 해도 태자 이외에 황태후나 황태후의 거처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後漢代부터 동궁이 태자 혹은 그 거처로만 점차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이후 魏晉南北朝時代에 정착하여 唐代까지도 이어졌다. 魏晉南北朝時代의 東宮 구조는 현재 문헌 기록과 고고 발굴 자료의 한계로 확인하기 어렵지만 西晉 洛陽의 東宮, 南朝 建康 東宮은 황제가 거처하는 궁과 떨어져 독립적으로 건설되었다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北魏 平城의 東宮 역시 황제의 궁과 떨어져 건설되었을 가능성은 높으며 北魏 洛陽의 東宮으로 추정하는 곳 역시 궁성과는 떨어져 있다. 반면 隋唐長安城의 東宮 구조는 太極宮의 구조와 기본적으로 같은데 이는 隋唐長安城의 東宮은 차기 황제라는 태자의 위상에 걸맞게 그 구조를 갖추려고 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隋唐長安城의 東宮은 魏晉南北朝時代의 東宮과는 달리 太極宮 옆에 붙어 있다. 이는 황제의 태극궁을 중심으로 중앙 관서만이 아니라 태자 관련 건축물까지도 일원화하여 황제 중심의 도성을 구축한 隋唐長安城의 구조와 관련하여서도 주목할 만 점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Palace in SuiTang Changan. First of all, The facts for the Eastern Palace are summarized briefl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es carried out previously and then through analying the records and maps of Zhanganzhi and Yonglu etc,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Palace in Suitang Changan are presented.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structure of Eastern Palace in Weijinnanbeichao times on account of the lack of the records and archaeological excavations related to it. But it is obvious only that Eastern Palace of Luoyang in Xijin dynasty and Eastern Palace of Jiankang in Nanchao were constructed independently away from the Imperial Palace. And there is high probability that Eastern Palace of Pingcheng in Beiwei dynasty might be constructed as they was. The site assuumed as Eastern Palace of Luoyang in Beiwei dynasty is also away from the Imperial Palace. Eventually, Eastern Palace in Weijinnanbeichao times was located in the east of Imperial Palace, but didn"t adjoin it. The structure of Eastern Palace of Changan in Tang dynasty is confirmed in some degree based on the records and maps related to it. It is a noteworthy fact that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s in Eastern Palace was fundamentally same as that in Taijigong. Obviously the main buildings and public offices affiliated to the Crown Prince was located on the basis of arrangement of buildings in Taijigong. The strcuture of Eastern Palace was constituted suitable for the status of the Crown Prince as the next emperor. In addition, it is distinctive feature that Eastern Palace was located at east of Taijigong adjoining it, that differed from that of Eastern Palace in Weijinnanbeichao. This was archiv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the structure of Changan in Sui dynasty and Tang dynasty should be constituted as the center for emperor"s ruling world.

      • KCI등재

        月池宮 관련 자료 재검토 — 東宮은 太子宮이 아니다 —

        최영성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5

        1975년 3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계속된 안압지 발굴을 통해 안압지 일대가 7세기 이래 동궁(東宮)이었으며, 또 1980년 발굴을 통해 동궁이 월지궁(月池宮)이었음이 밝혀졌다. 안압지의 본래 이름이 ‘월지’라는 사실이 발굴을 통해 증명된 것이다. 학계에서는 이곳이 동궁으로 불렸다는 이유를 들어 태자궁으로 인식하는 학자가 많다. 동궁이 태자궁의 별칭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곳은 ‘독립된 전용 공간’으로서의 태자궁일 수 없다. 7세기 이후 신라에서는 월성(月城)의 정궁(正宮) 이외에도 동궁・남궁・북궁 및 양궁(壤宮) 등 별궁(別宮)이 있었다. ‘동궁’은 ‘동쪽에 있는 궁궐’이다. 그 위치를 가지고 붙인 이름이지 태자궁을 일컫는 말이 아니다. 이 글에서는 월지궁 관련 여러 문헌 자료를 새롭게 분석하여 동궁이 태자궁일 수 없음을 논증하였다. Through excavation on Anapji Pond from March 1975 to December 1976, it was discovered that the whole area around Anapji Pond had been called East Palace (東宮) since 7th century and that the original name of East Palace was Wolji Palace (月池宮) through excavation in 1980. The excavation proved that the original name of Anapji Pond was 'Wolji.' In academic world, there are many scholars who recognize this place as the Crown Prince's palace for being called East Palace. East Palace (which is read Dong Palace with pronunciation in Korean alphabet) actually is another name for Crown Prince's palace. This place, however, cannot have served as Crown Prince's palace as 'independent, exclusive space.' After 7th century, there were detached palaces in Silla including East Palace·South Palace·North Palace and Yang Palace other than Jeong Palace in Wolseong. East Palace is a palace located in the east. The palace's name is based on bearing and it does not indicate Crown Prince's palace. This article proves that East Palace cannot have been Crown Prince's palace through newly analyzing materials related to Wolji Pa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