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로서 범죄예방을 위한 도시환경설계의 비판적 재론

        서준교(徐準敎) 한국지방자치학회 2016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8 No.1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도시개발(sustainable urban Development)에 있어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지속가능한 도시개발(urban sustainability)은 도시의 무질서한 공간개발과 자연녹지의 훼손을 지양하는 한편, 도시의 안정적인 사회경제적 활동과 생활환경의 질 향상을 통해 모든 구성원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은 이러한 도시환경을 위해 다양한 요소들을 필요로 하며, 특히 도시의 안정성과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요소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은 범죄에 취약한 도시의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켜 잠재적 범죄나 범죄에 대한 공포에서 벗어나게 함은 물론이고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여 안전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도시계획이다.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은 다양한 국가의 범죄예방을 위한 도시계획에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영연방은 이러한 환경설계의 기법을 적용한 안전설계(Secured By Design)를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환경설계나 안전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은 여러 형태의 한계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는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에 역행할 수 있음에 따라 도시의 지속가능성 확립에 의문을 갖게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on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e key point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s to create an urban sustainability with stable socioeconomic activities as well as the quality of life, well-being and livability for all members of urban community. For this urban environment, it would be the main priority of securing the safety and stability of urban life over other elements of urban sustainability. CPTED is a concept that considers the capacity of the built environment to reduce both the potential crime and the fear of crime in order to secure stable and safe urban environment. The approaches of CPTED are increasingly popular in various countries to adopt as a urban plan for crime prevention. Particularly, in the United Kingdom, a crime prevention strategy with the application of CPTED’s principles, Secured By Design(SBD) has largely been utilized for the reduction of criminal activities. However, the approaches of CPTED or Secured By Design seem to have certain limitations that lead to a doubt whether or not to create urban sustainability as the limitations could run counter to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 도시회복력 민감요소 선정 및 도시설계분야 BIM 적용방안

        이춘호,심규성,문치국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9

        본 논문에서는 국내 도시 설계 관련지침2건(‘도시 ․ 군 기본계획수립지침’, ‘도시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및 활용에관한 지침’ 등), 국내 ․ 외 도시설계 관련 가이드라인(국내1건, 국외5건) 등을 활용하여 설문용 9개 대분류를 선정하였다. 이를 활용 하여 쇠퇴지역 도시회복력 민감요소 도출을 위한 설문을 도시설계분야 실무자 및 도시계획 연구자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설문결과 9개 분야 대분류 하위요소별 상위 3개 항목을 민감요소로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민감요소의 도시재생사업 및 도시 설계 분야 BIM 설계(기본설계, 실시설계)적용을 위하여 BIM 기본 및 실시설계 사례 분석 및 도시재생사업 우수지역 현장조사 를 실시하였다. 분석 및 현장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선정된 민감요소 9개 대분야 상위 3개 항목을 크게 도시기반시설, 도시환경 분야, 도시 경제 및 공동체 분야로 분류하여 민감요소별 BIM 설계 적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휴먼스케일 인지관점의 도시재생설계 방향 - 오감(五感)기반의 도시재생설계, 김해시 사례를 중심으로

        김민재(Kim, Min-Jae),조준혁(Jo, Joon Hyok),박태원(Park, Tae-w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는 휴먼스케일 인지관점에서 도시재생설계안의 전개 과정과 공간 구상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김해시 도시재생설계안을 분석하여, 설계 대상 지역의 특성과 거주민들의 인지요소가 설계개념과 공간 구상안에 반영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사람들이 쇠퇴한 도심을 걷고 싶은 거리, 가고 싶은 공원과 상점가, 편안한 거리로 인지할 수 있도록, 인간의 오감을 설계의 출발점으로 삼아 사람 중심의 도시재생설계안을 도출하였다. 휴먼스케일의 밑바탕을 이루는 오감과 인지관점을 도시계획과 설계에 활용하는 것은 적용 범위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모여들어 도시에 활기를 형성하는데 도시의 이미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휴먼스케일 인지관점의 시각적 물리적 도시재생설계가 필요한 것은 분명하다. 감각과 감성으로 도시를 이해하지 못하면 기술적 계획과 설계에 그치는 실수를 범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의 시도는 도시재생과 설계에 있어서 시사점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patial program of the urban regeneration design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scale cognition. By analyzing the urban regeneration design plan in Gimhae City, the process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target area and the perceived factors of residents are reflected in the design concept and spatial program was presented. A people-centered urban regeneration design plan was derived that takes the five senses of humans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esign so that people can perceive the declining city as a street that they want to walk, parks and shopping streets they want to go, and comfortable streets. The use of the five senses and cognitive perspectives that form the basis of human-scale in urban planning and design has limitations in that the scope of application is unclear. Nevertheless, it is clear that the image of the city is very important for people to gather and form vitality in the city, and a visual and physical urban regeneration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scale cognition is necessary. Failure to understand the city with sense and emotion can make mistakes that are limited to technical planning and design. In this respect, the attempt of this study gives implications for urban regeneration and design.

      • KCI등재

        도시부 도로의 구조시설·기준 작성 기초 연구 (횡단구성을 중심으로)

        김응철,오주택,최연숙,강진구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지 Vol.22 No.4

        우리 나라의 도시화율은 2003년 현재 90%에 다다르고 있으며, 도로이용자의 요구사항은 나날이 다양해지고 있어, 도시부의 다양한 도로종류 및 기능별 설계기준을 제시하고, 이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도시부 도로의 구조시설기준 작성이 시급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진국의 사례와 국내의 여건을 고려한 도시부 도로의 구조시설기준 작성방향을 횡단면 설계를 중심으로 정립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도시부 도로 설계지침의 필요성과 기본방향, 설계 요소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 도로설계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횡단면(cross-section)을 중심으로 미국, 일본, 독일 등 도로분야 선진국들이 갖고 있는 기준을 국내의 설계기준과 비교ㆍ분석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횡단면 설계기준의 기준안 작성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선진국의 경우, 기본적으로 다양한 횡단면 설계가 가능하도록 설계지침서가 제공되고 있으며, 각 설계 요소별로 최소치, 중간치, 최대치 등을 제공하는 등 설계자가 도시특성에 맞게 도로를 설계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도시부 도로설계시 준용되고 있는 법규 및 기준서는 다양한 도시부 도로의 설계에 적용하기에는 매우 부족하고 경직된 구조임이 파악되었다.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도시부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은 각계 전문가 및 이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감안할 때 어떤 형식으로든 제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사용되어지고 있는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및 그 해설집이 지역간 연결도로(지방부 도로)에 대한 최소치 기준만을 제시하고 있어 이용자의 다양성과 각 도시의 특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에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진단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알제리 부그졸 신도시 프로젝트에서의 도시설계 작업 과정에 대한 연구

        백승만(Baek, Seung-Ma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2

        건축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비해 국내 건축계에선 아직 도시설계에 대한 인식과 디자인 기법이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국내 도시설계 분야의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하여 알제리 부그졸 신도시 프로젝트에서 도시설계 작업의 실제 진행과정에 주목한 연구이다. 계약, 기본설계, 종합배치계획, 계획의 실행 단계 등 각 단계별 업무의 종류와 결과물을 살펴보고, 주요 논의사항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작업과정과 국내 신도시개발의 계획체계를 비교함으로써, 국내도시설계에 대한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도시설계 작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수행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도시설계에 대한 실질적인 전문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해외도시에 대한 다양한 전문연구 및 자료축척이 필요하다. Compared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urban design techniques and awareness of urban design are still insufficient. In order to develop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urban design process conducted for Boughezoul New City in Algeria. Looking at the result and step by step work of every project phases, includings – contracting, basic design, general master planning, and plan execution – it summarize the main issues and discussions. Comparing this course of action and Korea’s new town development planning system, three implications for urban design are suggested. First, there is a need for proper understanding and ability to perform urban design work. Second, there is a need for practical professional training for urban design. Third, there is a need for a variety of specialized research and data on overseas cities.

      • KCI등재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도시설계안에서 나타나는 개념과 전략

        김영민(Kim, Youngmi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는 최근의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적 개념과 전략을 밝히고 그 효용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적 개념을 이론적 틀로 삼아 Knowledge Corridor, Qinhai Water City, Minneapolis Riverfront, Detroit Future City, Longgan Center Masterplan, Shanghai Jiading Masterplan의 여섯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도시설계의 전략은 경관적 매체를 통한 도시 조직의 제안, 생태적인 체계에 기반을 둔 녹지와 기반시설의 결합, 도시와 배후 자연지역과의 통합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었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도시설계안들은 기존의 단일 공간중심의 프로젝트와 개념적 토대를 공유하지만 실천적 전략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다양한 도시설계의 전략은 기존의 도시설계 방식과 개념적, 실천적 차이점을 갖고 있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기존의 도시설계 방식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지니고 있지만 건축적 제안의 결여, 도시 공간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무관심, 행정 및 제도적 장치의 미비, 젓분히 검증되지 않은 실험적 제안이라는 한계점도 지니고 있다. The main goal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concepts and strategies of Landscape Urbanism focused on the field of urban design.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of major concepts in Landscape Urbanism, the research examines six recent urban projects of Landscape Urbanism: Knowledge Corridor, Qinhai Water City, Minneapolis Riverfront, Detroit Future City, Longgan Center Masterplan, and Shanghai Jiading District Redevelopment Masterplan. The research found distinguishable characteristics of urban design strategies in Landscape Urbanism, such as using landscape media in reorganizing urban structures, suggesting multipurpose infrastructural green spaces, and integrating an urban core with peripheral urban edges and hinterlands. Urban design practices of Landscape Urbanism share common values and concepts with other types of Landscape Urbanism projects.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tailed design strategies. In addition, there are disparities in the primary direction of city making between Landscape Urbanism and New Urbanism, the traditional urban design methodology that Landscape Urbanism has criticized. Although Landscape Urbanism has great potential to suggest a new direction in urban design, it also has several limitations to be solved.

      • KCI등재

        스마트녹색도시 구현을 위한 소셜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도시설계 프로세스 방법론 연구

        최윤(Choe, Yoon),김성아(Kim, Sung-Ah) 한국도시설계학회 201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2 No.5

        센서 네트워크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다양한 데이터는 현대 도시의 복잡한 물리적ㆍ사회적 현상을 분석함에 있어 필수적인 수단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모바일 센서 기술과 결합된 스마트폰의 보편화와 소셜미디어서비스의 확산으로 소셜센서네트워크의 가능성이 주목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일차적으로 소셜센서네트워킹을 이용한 기존 연구사례를 고찰하여 SSN의 기본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SSN의 적용이 가능한 방법론을 도출한다. 이에 대한 도시설계에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설계스튜디오 디자인 프로젝트에 한정하여 소규모 테스트를 진행한다. 설계스튜디오의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기존 설계조건과는 차별화된 USN 정보 및 SSN 정보를 제공하여 설계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이를 통해 도시계획 및 유지관리에 SSN의 활용성을 확인하고 향후 도시 설계에 적용 가능한 설계 방법론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가 도시설계에 적용되면 스마트 녹색 도시 구축을 위한 사회적 요구 및 이슈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을 확인하고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use of the Social Sensor Network (SSN) to facilitate the cultivation of novel design ideas during the early design process of urban facilities. The basic assumption is that, by introducing the social sensor, the output of the design project could better reflect design ideas that could not be easily captured through the conventional design collaboration or typical sensor data. This paper, at first, investigates recent advances in the SSN research to identify the basic concepts,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SSN into the design process of urban facilities. An experimental design project was conducted to formulate the meaning of social sensor compared with existing design methods. A prototype of social sensor tool was proposed and a theoretical framework was proposed for the application of SSN in urban design. The research concludes that the proposed design process integrating social sensors will be of significant help in implementing smart green city when applied in massive scale with dedicated software tools and devices in the future.

      • KCI등재

        고양 실리콘밸리 통합 도시설계 연구- 하천 및 녹지자원 네트워크 조성을 중심으로

        김준우(Kim, Joonwoo),이석정(Lee, Seog-Je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고양 실리콘밸리를 대상지로 하천자원 및 녹지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통합 도시설계를 진행한 연구이다. 고양 실리콘밸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신도시와 한강 사이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6개의 개별 개발사업(고양관광문화단지, 일산테크노밸리, 고양장항공공주택지구, 방송영상밸리, CJ라이브시티, 킨텍스 제3전시장)을 포괄하는 프로젝트이다. 개별 프로젝트는 다른 사업 주체 및 개발 목적으로 토지이용의 정합성 및 연계성에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개별 사업 구역 및 주변 지역과 연계된 도시 조성을 위하여 하천자원 및 녹지자원을 활용한 통합 도시설계 연구를 진행한다. 통합 도시설계 계획 방향에 기반한 대상지 분석과 사례연구, 대안검토를 통해 하천 · 녹지 중심의 통합 마스터플랜과 세부 계획을 포함한 입체 도시설계안을 구체화하여, 새로운 도시설계 통합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개별 사업의 통합 도시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스튜디오 연계형 설계연구의 가능성 및 프로세스를 정리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the new integrated urban design of the Goyang Silicon Valley, that focuses more on water system, green network, and street connectivity, unlikely the previous master plan which is focused on land use and traffic. There are substantial difficulties to cooperate among different developers and stakeholders, but the research would propose new possibilities to unite several projects and improve a quality of urban space through water and green networks. First of all, it improve water quality of water networks and specialize waterfront space to make a new city identity. The waterfront space also helps to intensify the linkage among projects and improve vitality of new city with waterfront activities and programs. Secondly, the network of green space would support to integrate urban space of site and improve connectivity with important green resources surrounding area. The research would propose new strategies of urban design with the water and green networks to integrate urban projects. The integrated urban design stresses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urban projects, and shows new possibility of studio-based urban design process.

      • KCI등재

        지속 가능한(Sustainable) 도시발전을 위한 방범환경설계(CPTED)의 전략과 향후 과제

        박현호,김영제 한국경호경비학회 2008 시큐리티연구 Vol.- No.17

        본 논문에서는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과 범죄예방전략과의 상호 연관성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건강․안전도시에 따른 지속 가능한 도시발전에는 규제라는 이미지, 혹은 개인의 건강과 지역사회 안전에 실질적인 위협이 되는 범죄 및 범죄 두려움에 대한 합법적 통제라는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다.도시설계자들은 도시 환경에 대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발전에 대한 개념을 인식하고 이를 실제 범죄예방전략으로 적용하려는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많은 도시설계자들은 도시 환경의 개선을 통해 범죄 발생 및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여 왔으며, 이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들은 방범환경설계(CPTED)의 적용을 통한 범죄 및 범죄 두려움 저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도시관리 측면에서 적용되고 있는 범죄예방전략의 하나인 CPTED가 보다 더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사회를 만드는데 유용한 전략이 되기 위하여 필요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strategies for crime prevention are interrelated to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for healthy and safe cities implies regulations or legal, lawful control to reduce fear of crime and prevent substantial threats to health and safety of individual persons as well as of the community.City planners attempt to apply to the strategies for crime prevention their perception of what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should be with respect to urban environment. Many planners have studied on the possibility of reduction in fear of crime and actual crimes through environmental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eir preliminary studies provide specific suggestions to reduce crimes and fear of crime by application of CPTED. This study proposes alternatives in policy necessary for CPTED, which is one of the strategies for crime prevention, to take its place as a useful strategy for making the urban societies safe and sustainable.

      • KCI등재

        안산신길2지구 도시건축통합 마스터플랜 - 설계공모 당선작을 중심으로

        신수진(Shin, Sujin),이제선(Lee, Jeasun),황경호(Hwang, Kyungho)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1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018년에 기존 도시계획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고자 가로공간 중심의 ‘도시건축통합계획’을 3기 신도시 및 신규 공공주택지구에 적용하기로 하였다. 이 설계기법은 초기 기획 단계부터 도시 · 건축 · 시설물을 아우르는 입체적 도시 마스터플랜을 통해 도시계획과 건축계획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안산신길2지구는 과천지구에 이어 두 번째로 이 방식을 적용한 대상지로, 현상설계공모 후 2020년 9월 심사를 통해 ‘Interactive Flow: 다층적 흐름의 공간구조 제안’이 당선작으로 선정되었다. 당선작은 물과 녹지를 따라 경험하는 도시의 ‘흐름’, 자유로운 도시의 흐름을 따르는 ‘리듬’, 발걸음을 따라 마주하는 곳곳의 ‘장면’ 등 다양성을 기반으로 걷고 싶은 도시, 다층적 흐름의 공간구조를 제안하였으며, 가로공간 중심의 커뮤니티 활성화 계획과 인근 시흥거모지구와의 교통 · 녹지 체계 연계성, 역세권 및 제기천변과 주요 도로를 아우르는 활성화 계획의 창의성이 공모취지에 부합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본 설계공모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시계획가 및 건축가들이 과거와는 다른 협력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H) invented an “integrated urban and architecture masterplan” strategy in an attempt to overcom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existing city planning system, and applied this approach to the third-generation new town and new public housing projects. This new design approach aimed to create an intergraed plan with urban and architecture design based on a three-dimensional city master plan that covers urban structures, buildings, and facilities together from the initial planning stage. The Ansan Singil 2 district was the second design competition in September 2020 to apply this approach, The prize winner, “Interactive Flow: Proposal of spatial structure of multi-layered flow”, attempted to create pedestrian friendly urban structure based on diversity, such as the “flow” of urban experiences along the water and greenery, the “rhythm” following the free flow of the city, and the “scenes” with diverse landscape along pedestrian walkways. The winning project proposed the horizontal space and a transportation green area system cooperation with the neighboring Siheung Gomo district, and a comprehensive plan that covers the area around the station, riverside and the main roads. This paper pointed that needs to collaborate between architects and urban planners in a different way than before through analysis of the competit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