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채권양도에 있어서 채무자의 이의무보류승낙에 의한 대항불능효의 물적 범위

        오수원 사법발전재단 2019 사법 Vol.1 No.48

        채무자가 이의를 보류하지 아니하고 채권양도를 승낙한 경우의 대항불능효에 관하여, 민법 제451조 제1항은 “채무자가 이의를 보류하지 아니하고 전조의 승낙을 한 때에는 양도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 사유로써 양수인에게 대항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민법 제451조 제1항은 대항불능효의 구체적인 범위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 이론적으로 조문에서 규정한, 대항불능의 범위는 인적 범위와 물적 범위로 나눌 수 있다. 민법 제451조 제1항에 따라 채무자는 양도인에 대한 일체의 항변으로 양수인에게 대항할 수 없는 것은 아니고, 대항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 점에서 민법 제451조 제2항의 양도인이 단순통지를 하거나 채무자가 이의를 보류하고 채권양도를 승낙한 경우에 양도인에게 생긴 일체의 항변으로써 양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 것과는 다르다. 원래 채권이 유효하게 존재하고, 다만 그 채권에 항변이 붙어 있는 채권의 양도에 있어서는 채권은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이전되는 것이 원칙이며, 양도채권에 부착된 항변은 그 채권에 속하는 것이고, 채권을 한정하는 것으로서 채권과 일체화된 것이며, 이때 채무자가 채권양도를 승낙하는 것은 항변이 붙은 채권 그 자체의 양도를 승낙하는 것이므로, 이를 민법 제451조 제1항의 이의를 보류하지 않은 승낙이라고 할 수 없다. 그에 따라 채권양도에 있어서 채무자의 이의무보류승낙의 대항불능효의 물적 범위는 양도채권이 부존재 또는 무효임에도 이를 존재 또는 유효한 것처럼 이의보류 없이 승낙한 경우로 한정된다. 또 이 경우에도 채무가 존재하지 아니함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승낙하는 것이므로 주로 법률행위의 내용의 중요 부분에 착오(민법 제109조)가 있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채권의 중복양도항변의 경우에 선행양도가 대항요건까지 갖추고 있음에도 후행양도에 관하여 채무자가 그 양도를 이의보류 없이 승낙한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은 채권의 양도를 승낙한 것이므로 채무자가 항변할 수 없다. 강행법규위반행위를 바탕으로 한 채권의 경우에, 강행법규 위반으로 무효인 법률행위는 추인하여도 그 효력이 생기지 아니하며, 강행법규 위반으로 인한 무효는 절대적이므로 채무자가 이의를 보류하지 아니하고 그 양도를 승낙한 경우에도 채무자는 항변할 수 있다. 채무자가 이의를 보류하지 아니하고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의 양도를 승낙하는 것은 소멸된 채권의 양도를 승낙하는 것이므로 채무자는 항변할 수 없다. 저당권의 경우 부종성에 의해서 일단 피담보채권의 소멸로 담보권은 소멸하며, 다만 주된 권리인 채권소멸을 항변할 수 없으므로 종된 권리인 저당권의 소멸로써도 그 소멸을 항변할 수 없다. 형성권의 경우에는 형성권행사에 의하여 채권이 소멸하였음에도 존재하는 것처럼 이의보류 없이 승낙한 경우에 한하여 채무자는 대항할 수 없다.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non-opposability in a case where a debtor gave his consent to the assignment of a claim without reservation of objection, Article 451(1) of the Korean Civil Act (hereinafter “instant clause”) prescribes, “if an obligor has given his consent as mentioned in the preceding Article without reservation, he cannot set up against the assignee any defense that he could have set up against the assignor.” The instant clause does not specify the specific scope of the effect of non-opposability. The scope of the effect of non-opposability prescribed under the relevant law can be categorized into personal and material scope. Under the instant clause, it is not always that the obligor cannot set up against the assignee any defense that he could have set up against the assignor. In fact, there are cases where the obligor can set up a defense against the assignee. These cases are different from a case concerning the assignor under Article 451(2) of the Civil Act, who can set up any defense against the assignee where the assigner merely gave a simple notice, or where the obligor accepted the assignment of claim with reservation. The assignment of a claim that validly exists with defense attached thereto, in principle, must be made with its substance remain unchanged. The defense attached to the assigned claim is deemed to belong to that particular claim, and is integrated into the claim by qualifying it. The debtor’s consent to the assignment of claim in such an instance is equal to giving a consent to the assignment of that specific claim with defense attached thereto. Hence, the assignment in this case may not be considered as the assignment of a claim without reservation of objection as prescribed in Article 451(1) of the Civil Act. Accordingly, the material scope of the effect of non-opposability of a debtor’s consent to the assignment of a claim without reservation is limited to the cases in which the obligor has given his consent without reservation to the assignment of non-existent or nullified claim as if the assigned claim were existent or remained valid. The obligor’s consent in such an instance can be deemed as a voidable declaration of intention made under a mistake in regard to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juristic act (Article 108(1) of the Civil Act), because the consent was given despite the non-existence of obligation. In cases of a double assignment of claim, where an obligor gave consent to the succeeding assignment of a claim, even though the preceding assignment with requisites remained effective, the obligor cannot set up a defense against the assignment, as such consent was given to the assignment of a non-existent claim. With regard to a claim arising from a violation of jus cogens, considering that a juristic act violating jus cogens is a null juristic act, which shall not become effective by ratification (Article 139 of the Civil Act), and the annulment attributable to a violation of jus cogens is definitive, the obligor can set up a defense against the assignment even if the obligor gave consent to the assignment without reservation of objection. In a case where an obligor consents to the assignment of a claim that is extinguished by the complet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without reservation, the obligor cannot set up a defense, as the assignment is made based on the extinguished claim. When the claim secured by a mortgage becomes extinguished by any reason, the mortgage shall also lapse with it due to its appendant nature. As the obligor cannot set up a defense against the extinguishment of the principal claim, he cannot set up a defense against the extinguishment of the mortgage, the subordinate claim. The obligor cannot set up a defense against the assignment if he gave his consent, without reservation of objection, to the assignment of a claim that had been extinguished by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establish a legal relationship.

      • KCI등재

        프랑스 민법상 대항 그리고 대항불능에 관한 이론

        김가을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8 No.2

        What does it mean to “can't oppose” that is written in Korea Civil Code? It's not clear how we can legally understand that “can’t oppose” or “can oppose”, because the concept of opposition is legally ambagious. This expression, it is widely known, comes from French Civil Law. So, I studied the general theory of “opposabilité” and “inopposabilité” in French Civil Law. There are two types of Opposition(opposabilité in french) : one ist the opposition as Norms and the other one is it as a Fact. Which can be separated or sometimes be overlapped. Obviously, the opposition is close to a fact that, rather than has a substantive legal effect.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legally expression that one of the parties to the contract can oppose the third party is that the contracting party can assert his legally interests or damages by proving the contract as a fact in the court. On the other hand, the words “can’t oppose”(inopposabilité in french) in law ist not simply a contrary concept of “can oppose”. Because the concept of ‘Opposabilité’, as it different from relative effect of the contract, is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indirect effect of the contract extends to a third party, whereas the concept of ‘Inopposabilité’ assumes that the effect of the contract affects directly it. Therefore the concept of ‘Inopposabilité’ has essential the character of santion. i. e. the third party can break the effect(valid or invalid) from the contract that he didn’t give consent to. This right is called ‘Droit critique’ in French Civil Law. 우리 민법전에 기록된 “대항할 수 없다”는 무슨 의미일까? 대항의 개념이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그것을 ‘할 수 있다’와 그것을 ‘할 수 없다’를 법적으로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역시 분명하지 않다. 이 표현은 프랑스 민법으로부터 온 것이다. 그래서 프랑스 민법학에서 논의된 대항과 대항불능에 관한 일반이론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대항은 규범적인 대항과 사실로서의 대항이 있다. 이것들은 구분되기도 하고 중첩되기도 한다. 분명한 것은 대항은 실체법적 효과를 갖고 있기보다는 하나의 사실로서 입증을 통하여 계약 외 상대방에게 주장할 수 있는 기능이 더 크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대항불능은 단순한 대항의 반대개념이 아니다. 왜냐하면 대항의 개념은 계약의 상대효와 구분되어 계약의 효력이 제3자에게 간접적으로 미친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반면에, 대항불능의 개념에서는 계약의 효력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항불능은 어느 계약의 효력에 대해 제3자가 그것을 제재하는 내용을 갖는다. 무효이면 유효로, 유효이면 무효로써 제재한다. 즉 상대방측이 주장하는 법적 효력의 부인이다. 특히 대항불능은 규범적 효력을 갖는 것으로 파악된다. 단순히 어떤 사실의 증명을 통해 대항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 KCI등재

        대항불능이론에 대한 고찰

        정진명 한국민사법학회 2007 民事法學 Vol.35 No.-

        Such expressions as “can not oppose", “can not hurt the right", or “can not hurt profits" habe been used in Korean Civil Code, and these have been called ‘opposition factor', ‘protecting regulation of third-party' in each article. But in the case of opposition factor, it is taken with legal position which the person who doesn't register should bear burden although it is not limited to the opposition matter for the change of a real right. So these regulations which limit the possibility of opposition for the right are not supposed to exclude opposition matter of public notification and, then the problem of how they are comprehended comes to be raised. The expression as “can not oppose" being used in Korean Civil Code functions to make limit legal effects which have occurred from protection of third-party. Of this, there is no other theory because it has the meaning of protecting third-party and enough exchanging of profits between both parties for interests. But because each article in Korean Civil Code differs its nuance, it has caused the problem of whether the basis and structure of judging profit are based on the same meaning and principles. A the general theory of ‘l'inopposabilité’ relatively takes nullity, rescission of legal behaviors to protect third-party's trust and divides effects into both parties' and third-party's. So it limits occurrence of effect into internal thing and constructs not to affect on acquiring right of third-party in the case of shortage of external recognition. This kind of difference of approaching method suggests the meaning, factor, and effect theory to protect of third-party and a certain direction of appliable range. In this paper, the issue of ‘whether the expression as “can not oppose" being used generally in civil law is possible for the theoric basis to deal with opposition matter which has been discussed' and ‘what meaning it has in each article' were researched.

      • KCI등재

        가등기담보등에 관한 법률 제11조 단서 후단의 ‘소유권 취득’의 의미와 효과 ― 대법원 2021. 10. 28. 선고 2016다248325 판결[공2021하,2229]의 평석 ―

        정병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법학 Vol.30 No.2

        The case is as follows. After the provisional registration of the ownership transfer in the name of A for the real estate, A has completed the registration without going through the liquidation procedure, and then mortgage has been registered in the name of the defendant. In a case where the real estate was acquired by a third party through an compulsory auction, a dispute over the attribution of dividends between the plaintiff who acquired the liquidation claim of the debtor and the defendant who received dividends based on the mortgage registration.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the registration of the ownership would be retroactively effective due to the acquisition of ownership by a third party, so that the right of A to the provisional registration for security has lapsed and mortgage registration of the defendant has become retroactively effective, the amount to be distributed to the plaintiff may have been extinguished at least partially. It is difficult to simply agree on ‘retroactive validity of the registration’, i.e. ‘retroactive acquisition of ownership’. ‘The Acquisition of ownership by a third party’ in the Article 11 of Provisional Registration Security is incompatible with the Civil Code, which does not recognize public credibility in real estate registration. It can be understood well in the sense that ‘the debtor cannot compete with a third party’ that registered ownership transfer based on this registration. So the validity of the registration of the ownership transfer, i.e. the acquisition of ownership, cannot be considered in this case. Even if we would accept the phrase literally, the view that the holder of the provisional registration of the ownership transfer acquires the ownership ‘retroactively’ cannot be in harmony with the legal doctrine of changes in property rights under the Civil Code. It would be better to recognize the defendant's right to the provisional registration based on A’s provisional registration, as in the original trial. 대상판결은 부동산에 소외 1 명의의 담보가등기가 이루어진 후 적법한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본등기가 경료되고 그 뒤 피고 명의로 근저당권둥기가 경료되었고, 그 부동산을 경매에 의해 제3자가 취득한 사건에서 채무자의 청산금채권을 취득한 원고와 근저당권등기에 기초하여 배당을 받은 피고 사이에 배당금 귀속을 둘러싼 다툼에 관한 것이다. 원심은 청산금 지급없이 이루어져 무효인 본등기에 기초한 피고의 근저당권등기도 무효이지만, 담보가등기의 피담보채권에 대한 불가분채권자인 피고를 담보가등기권리자로 볼 수 있다고 하여, 그 피담보채권이 원고의 채권보다 우선한다고 본 반면, 대법원은 본등기가 제3자의 소유권취득에 의해 소급적으로 유효하므로 (피고가 아니라) 소외1 명의의 가등기담보권은 소멸했고 피고의 근저당권이 소급적으로 유효하게 되었다고 보면서도,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이 적어도 일부 소멸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원고에게 배당될 금액이 있는지 다시 판단할 것을 주문하였다. 대상판결이 그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본등기의 소급적 유효, 즉 소유권의 소급적 취득이라는 이례적인 법리를 동원하는 것에 쉽게 동의하기 어렵다. 등기의 공신력을 인정하지 않는 우리 부동산법제와 충돌하는 가등기담보법 제11조의 ‘제3자의 소유권 취득’을 무효인 본등기에 기초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한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소외1의 본등기의 유효, 즉 소유권 취득도 생각할 수 없으며, 설령 문언대로 ‘제3자의 소유권 취득’으로 보더라도 그로 인해 담보가등기권리자가 소유권을 ‘소급적으로’ 취득한다는 것은 도저히 민법의 물권변동의 법리와 조화될 수 없다. 오히려 법리적 측면에서는 원심처럼 소외1 명의의 가등기에 기초하여 피고의 담보가등기권리를 인정하는 것이 더 낫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