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안전한 캠퍼스 구현을 위한 생활안전 위기관리 서비스 체계 구축방안 : 미국 주요 대학의 위기관리 서비스 체계를 중심으로

        배대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09 Crisisonomy Vol.5 No.1

        오늘날 대학은 변화와 개방, 경쟁의 소용돌이속에서 사회의 축소판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대학캠퍼스에는 사회적 자원의 보고라 할 수 있는 두뇌집단인 인적자원과 사회발전의 동력을 일으키는 지식정보.기술자원, 그리고 첨단장비를 비롯한 물적자원이 밀집되어 있다. 대학캠퍼스는 첨단화, 복잡화, 사이버화, 글로벌화, 다문화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대학의 제 자원의 이면에 잠재되어있는 위협요소를 제거하거나, 균형을 이루도록 위험성을 통제함으로써 대학이 지속적이고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비가시적인 위험,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unexperienced) 위험, 그리고 알려지지 않은(unknown) 신종 위험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연구와 지속적인 대비가 요구된다. 우리나라 대학 생활안전 위기관리체계의 문제점을 보면, 안전관리 정책 추진에 있어서 기준이 되어야 할 통합안전관리 법규의 부재와 안전관리 실행체계로서 갖추어야 할 전담조직 및 전문인력, 전문화된 서비스 제도의 부재현상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안전이 위협받게 되며, 결국 불만족의 근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서비스의 소비자인 학생과 교직원의 안전 확보에 중점을 두고, 쾌적한 환경에서 교육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소비자 중심의 대학 생활안전 위기관리 체계 구축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대학의 모든 자원(인적자원, 물적자원, 지식정보자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위기관리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대학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교육성과를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 KCI등재

        지방대학 위기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고찰

        이길재(Lee, Glee Jae),조성은(Cho, Sung Eun),김지선(Kim, Ji Sun),박태양(Park, Tae Ya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4

        본 연구는 지방대학이 맞닥뜨리고 있는 위기현상과 원인을 분석하여, 지방대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지방대학은 학령인구의 급감과 심화되는 입학정원 미달 현상에 따른 존립의 위기와 대입 및 취업으로 인한 청년인구의 수도권 집중에 따른 경쟁력 약화 현상을 동시에 겪고 있다. 이러한 위기에 대비한 정부의 대학구조개혁과 지방대학육성 정책은 수도권 대학과 비수도권 대학 간의 격차를 더욱 고조시킴으로써 지방대학의 위기를 한층 강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대학의 위기 극복 방안으로 1) 정부 주도의 획일적 정책이 아닌 지역 특성에 기반한 지자체-대학 연계의 지역대학 거버넌스 구축, 2) 지역별 균형 있는 대학 정원 감축을 위한 권역별 대입정원 쿼터제 도입과 지역대학의 기능 분화, 3)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의 수직적 통합 방안으로 지역 특성화고와 연계한 전문대학 무시험진학제도, 지역 일반고와 대학 진학 연계의 학점인정제도, 지역인재 등록금지원제도 도입, 4) 지역대학-산업체 연계 강화 방안으로 지역 특화 산업 중심 대학-산업체 자원 공유 플랫폼 구축, 지역산업 중심의 학사구조 및 교육과정 개편, 대학과 산업계 간에 공동 고등교육체제 구축을 제안하였다. 지역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고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일은 학령인구의 감소와 지방대학의 위기 속에 지극히 절실하고 중요한 일로 여겨진다. 지방대학을 살리기 위한 노력은 비단 지방대학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지역발전, 나아가 국가균형발전이라는 대과업의 해결을 위한 단초이자 중핵이라고 볼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crises that local universities are facing and to find alternatives to overcome them. Regional universities are experiencing a sharp decline in the population of high school graduates, a shortage of enrollment quota, and an outflow to the metropolitan area due to the university admission and employment opportunity. In addition, the government’s policies trying to reform higher education and promote local university are further intensifying th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by heightening the gap between metropolitan and regional universities. Drawing on the analysis on the extant literature and various national level policies, the study suggested policy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crisis as follows : First, establishing local university governance in connec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government-led uniform policies, second, introducing regional admissions quota to reduce the university quota nationally and differentiate the functions of regional universities, third, integrating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system by introducing a system for entering a local junior college without an exam after graduating from a regional specialized high school, a credit recognition system through linking the curriculum between a local high school and a local university, and a scholarship system, fourth, building a platform for sharing resources between universities and industries focusing on regional specialized industries, restructuring the academic structure and curriculum centered on local industries, and establishing a joint higher education system between universities and industries. It is considered an important policy action to revitalize local universities with the goal of increasing the competency of regional universities to help them play the appropriate roles expected by the society.

      • KCI등재

        위기 대학의 특성 및 추이 분석 : 중도탈락률을 중심으로

        정제영(Chung Jae Young),선미숙(Sun, Mi Suk),김현주(Kim, Hyun Ju)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간 위기 대학의 교육여건, 교육의 질, 교육성과가 다른 대학들에 비해 어떠한 특성을 보이며 그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위기 대학의 특성 및 추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위기 대학은 중도탈락률을 기준으로 A, B, C 세 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 으며, 중도탈락률이 높은 순으로 정렬했을 때 상위 25% 이내에 속하는 C등급 대학을 위기 대학으로 정의하였다. 국·공립대학 및 사립대학을 포함한 전체 대학과 사립대학만을 분리하여 각각의 추이를 분 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정원내 신입생 경쟁률,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전임교원 1인당 논문실 적,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와 같이 학교평판도 및 교육여건과 관련된 긍정적 측면의 지표에 서 C등급 대학이 A등급과 B등급 대학에 비해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립대학의 경우, A등급 대학이 C등급 대학에 비해 정부의 재정지원사업 수혜액 이 약 10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년간의 증가액 역시 A등급, B등급, C등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중도탈락률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대학과 사립대 학 모두 대학소재지가 비수도권일수록, 전임교원확보율이 낮을수록, 전임교원 1인당 논문실적 이 낮을수록,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될수록 중도탈락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위기 대학이 악순환의 구조에 빠져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학 구조개혁 평가와 정부재정지원사업이 정책 목표와 다르게 위기 대학의 악순환을 심화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기 대학이 처해 있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정부의 재정지원 수혜를 통해 모든 대학이 대학별 특성을 살려 교육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 도록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risis universities in terms of educational qualities, quality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of crisis universities over the past three years. Crisis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A, B, and C based on the dropout rate. Crisis universities belonging to the top 25 percent were ranked as crisis univers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national,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separately, the positive aspects associated with educational conditions, school reputation such as freshmen competition rate, number of freshmen, the achivement of thesis per full teacher, C grade colleges are consistently lower than grade A and B in three-year perio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ies that negative affect the dropout rate were university location is non-metropolitan area, lower rate of full time teacher, lower achievement of theses per full teacher, to be selected as a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restriction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risis university is in the vicious cycle structur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and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can be a factor to deepen the vicious circle of crisis university differently from the policy goal. Efforts should be made to build a virtuous circle structure so that all universities can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to strengthen their educational competitiveness by cutting off the vicious circle of crisis universities and benefiting from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 KCI등재

        대학의 위기 극복을 위한 대학재정 확충 방안

        반상진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2 No.1

        현재 새로운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교육재정 정책 방향은 교육계의 입장에서 크게 두 가지 쟁점 사항이 지적될 수 있다. 첫째, 학령인구 감소가 교육재정 감축의 결정요인일 정도로 우리의 교육재정 규모가 충분한가 하는 쟁점과 둘째,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중 국세분 교육세 규모를 고등교육에 투자하겠다는 정부의 전략이 적절한 고등교육재정 규모를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인지에 대한 쟁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실증적 자료에 근거하여 문제 제기를 하였고, 대학의 위기 극복을 위한 대학재정 확충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이 연구에서는 학생 수가 감소하더라도 교육재정을 감축할 수 없는 10개의 이유와 근거를 국가의 교육관과 철학, 의지의 부재와 관련된 3개 이유, 취약한 교육재정의 구조적인 문제 5개의 이유, 그리고 미래 교육을 위한 추가 소요예산 2개 이유 등을 실증적 자료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재 취약한 대학재정과 관련된 우리 대학의 위기 상황을 첫째, 대학교육 수요공급의 불일치에 따른 지방 소재 대학 공동화 현상 심화, 취약한 대학재정구조에서 나타난 위기적 상황, 학생, 학부모의 대학등록금 부담 증가로 대학교육의 양극화 위기, 규모의 경제에 크게 못 미치는 대학예산 규모를 제시하였고, 둘째, 국가 경제 규모와 OECD 평균에 근거한 최소 대학재정 수요 규모를 추정한 결과 현재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고등교육에 추가 지원 규모로는 매우 부족한 수준임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고등교육재정 확보방안으로 첫째, OECD 평균인 GDP의 1% 확보를 목표치로 설정하고, 지방교육재정교부금 현행 유지 및 대학재정 추가재원 확보를 위한 법적 장치(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대학균형발전특별회계법, 고등·직업평생교육지원특별법 등) 마련, 둘째, GDP 성장률과 연동하여 재정 확보하는 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 셋째, 중장기 방안으로 고등교육세 신설(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회복 방안: 기독교인 교수의 책임과 역할을 중심으로

        허도화 한국대학선교학회 2015 대학과 선교 Vol.28 No.-

        The study is an attempt to examine Christian professors’ role and responsibility in the Christian university to recover its Christian identity. For much of this century, the waning influence of religion in Korean universities was viewed as a natural concomitant of modernization, and it was generally seen as a necessary or even a good thing. In recent years most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have been secularized, loosing their identity and a robust relation to their sponsoring religious heritages. Although administrators may define the mission, it is the faculty that gives the university its identity. At this sense, this study of ways to recover the Christian identity in the Korean universities offer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hristian professors’ responsibility and role for their mission there, arguing that the marginalization of religion in higher education has been lamentable and assigning the blame to institutional leaders, not to the inexorable forces of modernization. The study maintains that a clear declaration of the mission statement of the institution as an important first step is not sufficient, for Christian identity is more of a continuing challenge. A college will not become Christian by issuing a statement to that effect, but by steadily working on letting Christian penetrate all its operations. Christian university is always become in the process of becoming fully Christian. The study provides some measure of the progress toward this challenge. Christian professors are in the forefront as a dynamic driving force for the Christian identity in their university, and regarded as a potent force for a better community and for the development of fuller Christian faith and service in the university. Christian university, therefore, must be at least a core of faculty members who are well versed with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ity religious denomination and must be willing to accept and respect its mission statement.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의 정체성이 점차 약해지는 위기 현상들에 대한 주요 원인들을 규명하고 그 회복 방안을 대학 내 기독교인 교수들의 책임과역할을 중심으로 제시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오늘날 기독교대학들의 정체성이 약화되는 근본적인 원인은 대내외적으로 의도적이며 지속적인 도전들과 유혹들에 직면할 때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정체성의위기 현상을 초래한 요인들 중심에 누구보다 먼저 기독교대학의 기독교인교수들이 책임을 느끼고 제 역할을 하지 못한 때문이라는 것을 전제한다. 아울러 기독교대학들의 정체성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까지도 그 대학의 중심적 구성원들인 기독교인 교수들로부터 시작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독교인 교수들의 책임과 역할을 중심으로 기독교대학의 정체성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한다. 첫째로, 기독교인 교수들이 자신이 속한 대학들의 정체성이 약화되고 있다거나 위기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는 평가와 그 원인들을 대학의 설립정신이나 교육이념을 제시하는 사명선언문의 취지를 얼마나 실천하고 있는지에 근거하여 제시한다. 둘째로, 정체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교를 과소평가하는 현대화의 과정에서 약화되는경향을 보이며 또한 약화되고 상실되기 시작하면 다시 회복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고통스런 과정을 밟아야 하기 때문에, 기독교인 교수들이 대학의 정체성을 약화시키는 다양한 도전들에 대해 얼마나 적극적으로 대응하였으며 항상 분명하게 정체성을 표현했는지를 다룬다. 셋째로, 기독교대학에는스스로 정체성이 약화되고 있거나 표류되고 있는지 점검하고 의도적으로회복하려고 노력하는데 필요한 상당수의 기독교인 교수들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을 논증한다.

      • 대학생 실연 심리의 위기 분석 및 개입의 연구

        이건신 ( Li Jianxin ),황해신 ( Huang Haixin ) 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구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9 현대교육연구 Vol.31 No.2

        대학생은 국가의 중견 역량이고, 전 민족의 미래와 희망에 관계되어, 몸과 마음의 건전한 발전은 매우 중요한 단계에 처해 있다. 또한 이 때가 그들의 예민한 심리가 강하게 나타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 중에서도 실연으로 인한 이별은 대학생들의 주요한 스트레스 요인의 하나이기도 하다. 이러한 상황이 나타나는 원인은 대학생들이 남녀 관계에 대한 전반 이해가 부족하며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치유 방법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대학생의 미숙한 심리(예를 들어 대중심리, 허영심리, 공리심리, 민감 다의성)도 주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남녀 간의 연애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나 태도는 오해와 갈등을 불러 결국 실연을 초래하여, 대학생의 심신건강을 심각하게 침해하게 된다. 이에 대한 적극적 대처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부 대학생들은 실연을 당했을 때, 소극적인 대응 조치를 함으로써 쉽게 자기 의심(사랑받을 자격이 있는지 의심),불안과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 적대 심리와 불평 심리, 복수의 심리를 가지게 되며 심지어 범죄의 주체가 될 가능성도 있게 된다. 장문기에 의하면 실연 후 대학생들은 보통 10가지 행동 유형; 히스테리형, 답답한 형, 자해형, 자살형, 보복형, 변태형, 왜곡형, 정신분열형, 신경질형, 정상형이 있다고 하였다. 그 외에도 다른 연구자들에 의하면 공격, 탐닉, 전의, 정서 유출, 인지 재건과 도피도 대학생들이 실연에 대처하는 주요 방식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부정적인 대응 방식은 엄중한 심리 위기를 조성하여 대학생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치기 쉽다. 여러 연구자들은 이에 대해 이미지 대화 기술, 체육 요법, 합리적인 정서 요법, 단체 지도 등과 같은 적극적 개입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문은 저자가 오랜 대학교 심리지도의 실무와 결합한 것으로서 어떻게 대학생 실연심리의 위기를 지도하여 좋은 결과를 가져 올 것인지 및 그 과정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그래서 논문의 취지는 이 과정의 개입 조치 및 구체적 절차를 탐구하여 대학교 심리지도 업무에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기를 기대하며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우선은 대학교 심리 지도자는 실연 심리의 위기에 처해 있는 대학생을 지도함에 있어서 주동적으로 ‘기회’를 찾아 개입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심리 위기 이후의 성장에도 시선을 돌려야 한다고 지적하고 싶다. 실연으로 하여 대학생들은 현실에 맞지 않는 연애를 경험하게 되는데, 성숙한 마음으로 장래 연애를 맞이하도록 인도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내적 동력을 충분히 일깨워 주관의 적극적 요소로 부정적 영향을 극복하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셋째, 대학에 대학생 실련의 위기 개입 시스템을 세워서 위기 개입의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끝으로 대학의 여러 부서와 기존 사회의 지원 시스템을 동원하여 대학생 간의 유대관계, 학교와 가정 간의 소통, 학교와 사회의 상호 작용 등을 잘 처리하는 것도 자못 중요하다. College students are the backbone of the country and are related to the future and hope of the entire nation. Whether it is physical development or psychological development, college students are in a special and important stage. This is the high incidence of psychological crisis. Among them, the loss of love is one of the main stress events of the college students. The reason for this situation is mainly because the college students themselves lack a correct understanding of love,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active and effective guidance. The immature psychology of college students (such as herd mentality, vanity psychology, utilitarian psychology, sensitive and suspicious) is the main reason. This incorrect attitude towards love can easily lead to misunderstandings and contradictions, leading to the result of loss of love, seriously jeopardizing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health. It is precisely because of the lack of a correct understanding of love, and no active and effective guidance, some college students have taken negative countermeasures in the face of the incident of lovelorn, easy to generate self-doubt (suspicion of whether they are worthy of being loved), anxiety, depression, even suicide, creating hostile psychology and complaints, forming revenge, and even going to the criminal path. Zhang Wen ji pointed out that college students after the loss of love generally have 10 kinds of behaviors: hysteria,stuffed gourd, self-mutilation, suicide, retaliation, metamorphosis, distortion, schizophrenia, neuroticism, normal. other researchers pointed out that Attack, indulging, seeking transfer, emotional catharsis, cognitive reconstruction and escape are the main ways for college students to deal with the stressful event of lovelorn. Negative coping styles will easily lead to serious psychological crisis, which will have serious negative impacts on college students. Many scholars have also proposed corresponding intervention measures, such as image dialogue technology, physical therapy, reasonable emotional therapy, group counseling, etc. The intervention method is mainly reflected in the reactive intervention system, and each method has its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ith certain limitations. As a college counselor, how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intervention and counseling of the psychological crisis of lovelorn is the author's concern. The article aims to summarize the relevant interventions and specific steps to provide a theoretical reference for college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author points out that, first of all, college psychological counselors should see the "opportunity" in the psychological crisis of lovelornism, pay attention to the growth after the psychological crisis: the loss of love can make college students change some unrealistic love motives, and urge college students to sum up experience to be more reasonable. Mature psychology to meet the next relationship, at the same time, experience of loss of love will also enhance their psychological endurance and frustration. Secondly, fully mobilize the internal motivation of the individual and overcome the negative influence with the subjective positive factors of the individual. Third,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a crisis intervention system, improve crisis intervention methods, and prevent micro-duration. Finally, universities must coordinate multiple forces and build a social support system, including mutual assistance among peer groups, home-school intercommunication, and school-society interaction.

      • KCI등재

        대학의 위기와 학술생태계 : 대학과 연구(자)의 상생을 위하여

        박치현 법과사회이론학회 2022 법과 사회 Vol.- No.69

        This study focuses on the employment and life of researchers who work at universities and produce sciences, unlike current discussions that see th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due to the recent decline in population as a crisis of the universities. The university crisis will cause the employment crisis of researchers in the future, which will eventually lead to the crisis of the academic production system. Researchers are the ones who make the academic production system. Researchers need a research safety net that makes research sustainable, which is essential for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academic production systems, not just for the treatment of researchers. According to this standpoint, this study aims to suggest future changes in university structure and ways to maintain academic production system. It shows that the pursuit of the current university system is distorted by the idea of ​​elite-oriented excellence. In order to pursue proper academic excellence,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research-oriented universities and education-oriented universities by referring to various forms of American universities and to reform the current polarization of professor employment structure. In addition, as a preemptive plan to preserve academic production systems outside the university in case the change in university structure further worsens professor employment situations,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the National Doctorate’ and ‘Basic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stitute’ for the academic successors, and ‘the National Honorary Professor’ and ‘the Korean version of College de France’ for senior researchers. 이 연구는 최근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지방대학 위기를 대학이라는 조직체의 위기로만 보는 현재의 논의들과는 달리, 대학에서 일하면서 학문을 생산하는 연구자들의 고용과 삶에 초점을 맞추어 성찰한다. 대학의 위기는 향후 대학 내 연구자들의 고용위기를 야기할 것이며 그것은 결국 학술생태계의 위기를 초래할 것이다. 연구자들이야말로 학술생태계를 만들어가는 장본인이다. 연구자들에게는 연구를 지속가능하게 하는 연구안전망이 필요하며, 이는 연구자의 처우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학술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고는 앞으로의 대학구조변화 방향과 학술생태계 유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현재 대학체제의 연구중심대학 추구가 엘리트주의적 수월성 관념으로 인해 왜곡되었다는 점을 보여주고, 제대로 된 학문적 수월성 추구를 위해서는 미국 대학의 다양한 형태를 참조하여 연구중심대학과 교육중심대학을 분화시키고, 현재의 양극화된 교원고용구조를 그에 연동하여 개선할 것을 주문하였다. 또한 대학구조변화가 교원고용을 더욱 악화시킬 경우에 대비한 선제적인 학술생태계 보존 방안으로, 대학 외부에 학문후속세대 연구자들을 위한 국가박사제와 기초 인문사회과학원을, 시니어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국가명예교수제와 한국판 콜레주 드 프랑스를 국가 주도로 설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독교대학의 현실적 위기와 대책 찾기

        정종훈 한국대학선교학회 2014 대학과 선교 Vol.26 No.-

        There are a lot of Christian institutions, including junior high schools andcolleges here in Korea. Some of the Christian colleges remain hardlyChristian, though representing Christian foundation, while other colleges becomeless strong in keeping Christian spirit or risk the loss of Christian identitiesdue to the environment changes. This essay is intended to describe thepresent crises Korean Christian universities face and provide the solutions tothe problems as such. Further, this essay presents how Korean Christian universitiesaccomplish their missions as the Salt and Light for the world, whilestanding in the midst of the secular world. Christian institutions have to taketheir responsibilities for the local society, churches, and world-community. The current issues Christian universities face can be another opportunity forthem. The office of Chaplaincy in Christian institution should work togetherwith the board of trustees, faculties and staff members and serve as liaisonthat encourages cooperation among the inner groups within the school totackle those crises that arise today. 현재 우리나라에는 기독교학교는 물론이고 기독교대학 역시 적지 않다. 그러나 그 가운데 기독교를 표방할 뿐 실질적으로 기독교대학이라 말하기어려운 대학들도 있고, 대내외적인 환경의 변화로 인해서 기독교성이 약화되거나 상실될 위기에 직면한 대학들도 있다. 이제 우리는 기독교대학의현실적 위기가 무엇인지, 그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책이 무엇인지를 논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세상 한 가운데서 기독교대학이 어떻게 하면 빛과 소금의 사명을 잘 감당해낼 수 있을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기독교대학은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 지역교회에 대한 책임, 세계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동시에감당해야 한다. 특히 기독교대학의 교목실은 기독교대학 운영의 주체라 말할 수 있는 이사들과 교직원들이 기독교대학의 위기를 제대로 인식하도록도와야 하고, 서로 머리를 맞대어 위기 극복의 힘을 모으도록 중재의 모든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학원복음화 위기 극복을 위한 기독교대학 선교의 신학과 효율적 방안: 한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최영근 한국대학선교학회 2014 대학과 선교 Vol.26 No.-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growth andcampus evangelization, and examined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fromthe perspective of campus mission. It aimed at suggesting theology and strategyfor an effective campus ministry of the Christian university by presentinga case of Hannam University. The Korean Church rapidly grew in number between the 1960s and the1980s. The campus evangelization led by campus missionary groups was the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church growth. The church growth,however, came to decelerate sharply in the 1990s, and the Korean churchbegan to decrease in number in the 2010s. Accordingly, campus evangelizationcame into crisis. It was the same situation in the Christian universityfacing identity crisis after secularization. Christian universities as well as theKorean churches failed to respond efficiently to the shift in society and culturewhile holding fast to old paradigms. They stuck to dogmatism, proselytism,and cultural exclusivism, and therefore became isolated and marginalizedfrom Korean society and university culture in particular. The collapse ofcampus mission would endanger the church's spiritual integrity and institutionalsoundness, and dim hopes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Thus for theology of an effective campus ministry of the Christian university, this paper suggested holistic mission and incarnational theology. TheChristian worldview and morality should shape and inspire all the spheres ofthe life and culture in the university. For this regard, Christian universityshould reestablish Christian educational goals, foster Christian worldviewwithin the community, and integrate faith and knowledge to build upChristian scholarship, morality, and spirituality. For successful evangelization,furthermore, Christian university should focus on training ofChristian students into leaders of campus ministry and utilize all the possibilitiesas missionary opportunities. 이 논문은 한국교회 성장과 대학선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당면한 캠퍼스 선교의 위기와 한국교회 위기를 상호검토한 후에, 한남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기독교대학 선교의 신학과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960년대와 1980년대에 이르는 한국교회 급성장의 중심에는 대학선교단체들의 활발한 학원복음화가 있었다. 한국교회 부흥의 시대에 학원복음화가한국교회 부흥과 성장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고 한국교회의 성장은 대학선교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성장감소와 2010년대의 교세감소에 직면한 한국교회의 위기상황은 대학선교의 위기를 동반하고 있다. 진리와 도덕적 가치가 상대화되고 다양한 문화와 개성이 공존하는 변화된포스트모던의 사회 환경 속에서, 특히 학문과 지성의 전당인 대학에서, 위기에 직면한 대학선교는 새로운 신학과 전략을 요구받고 있다. 이는 설립정신의 쇠퇴로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하며 효율적인 대학선교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독교대학도 예외가 아니다. 일방적 교리전달과 문화적 배타주의, 하나님나라를 교회로 환원하는 개종과 이식 유형의 선교방법은 이미 한계를 노출시키며 복음을 대학사회에서 고립시키고 대학문화의 주변부로 내몰고 있다. 효율적인 기독교대학 선교의 신학으로서 이 논문은 하나님 나라의 가치와 삶을 대학의 학문과 삶과 문화 속에 이루어가는 통전적 선교를 제시하였다. 곧 기독교의 진리가 구성원들과 학생들의 신앙과 지성과 인격을 형성하는 성육신적 선교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신학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선교의효율적 방안으로서, 구성원들 가운데 창학이념과 교육목적을 분명하게 확립하고,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신앙과 학문을 통섭하고, 전공교육과 학교활동을 통해, 특별히 채플과 기독교 교과목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기독교정신에기초한 인성과 도덕적 탁월성과 봉사정신을 겸비한 인재를 길러내는 전인격적, 통전적 기독교 교육을 지향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기독교대학은 교목실을 중심으로 구성원들의 비전과 소명의식을 회복시키고, 기독학생들을 양육하고 훈련하여, 이들을 대학 선교의 자원과 주체로 양성하면서, 기독교대학이 가진 다양한 기회와 여건들을 충분히 활용하여 종합적인 대학선교를 추진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

        대학 상담기관 24시간 위기전화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정민(Lee, Jung Min),김경은(Kim, Kyung-Eun),조은이(Cho, Eun Yi),조수연(Jo, Su-Yeon)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3

        본 연구는 대학 내 학생상담센터에서 근무하는 24시간 위기전화 상담자의 경험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탐색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학상담기관에서 위기전화상담 경험이 있는 3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위기사례 경험, 위기전화상담의 어려움, 위기전화상담의 보람과 소명, 위기전화 상담자가 인식한 개선사항 등의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인 사례연구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전화 상담자들은 위기사례 경험으로 인한 불안과 긴장을 느끼고, 이차외상 및 대리 외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4시간 근무의 특성이 본인 수면의 양과 질에 영향을 미치며, 자신의 주변인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화상담이라는 매체적 특성과 관련하여 일방향이고 일회적이라는 점, 그리고 익명이라는 점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넷째, 위기전화 상담자들은 위기사례에 있어서 일차적이고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학내의 자살사건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는 보람과 소명을 경험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기전화 상담자들은 위기전화상담 서비스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위기상담 및 전화상담에 대한 체계적 교육과 처우 개선, 심리적 소진 관련 지원 등을 꼽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상담기관의 위기전화상담 서비스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the experience of 24/7 Hotline Crisis Telephone Counselors working at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in university. To that end,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counselors who had experience in crisis telephone counseling in the university counseling institution and divided the data into subjects of work in general, crisis case experience, difficulty in crisis counseling, value and calling, and areas of improvement the counsellors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risis phone counselors said they felt anxiety and tension from experience of crisis cases, experiencing secondary trauma and vicarious traumatization. Second, 24 work hours a day affect the amount and quality of the counsellors’ sleep and negatively affect their acquaintances. Third, crisis phone counselors experienced stress as the counselling is one-way, one timeand anonymou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 of the phone counseling. Fourth, crisis phone counselors found it rewarding and felt the sense of calling of being able to provide primary and direct help in crisis cases and playing a role in preventing suicide attempts at the school. Fifth, for the area of improvement, they called for systematic education, better treatment of crisis counseling and telephone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exhaustion-related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efin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risis telephone counseling services of university counseling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