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구성우,김병주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반대학교 대학생 9,453명이며,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하고 있는 2019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8GOMS)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변인은 독립변인으로 개인특성(입학전형, 취업목표 설정, 전공 재선택시 동일전공 선택)과 대학재정(학생 1인당 교육비,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매개변인으로 전공만족도, 종속변인으로 대학생활만족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는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른 변인들의 영향력 중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개인특성은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취업 목표를 설정하고 동일 전공을 재선택하려는 대학생은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를 통해서만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개인특성 중 학생부 종합 및 교과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은 정시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학재정 중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자료구입비는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자료구입비가 많을수록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와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은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에는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이 많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만족도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기관변인이 BK21+사업에 따라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구성우(Gu Seong woo),김병주(Kim Byoung 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대학기관 차원에서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변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제공하는 대학정보공시 자료이다. 이 자료 중 2013년~2015년 자료가 모두 공개되어 있는 일반대학교 185개교를 대상으로 독립변인을 대학재정 및 연구환경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변량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대학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정된 모든 교육재정변인(학생 1인당 교육비, 학생 1인당 등록금, 교육비 환원율,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 학생 1인당 재정지원사업 수혜 금액)은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환경변인은 전임교원 1인당 강의 학점과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그리고 연구소 전임인력 수가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 BK21+사업 선정 유무에 따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교육재정과 관련해서 BK21+사업 선정 대학은 등록금을 제외한 모든 교육재정변인이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BK21+사업 미선정 대학은 모든 교육재정변인이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환경은 BK21+사업 선정 대학이 전임교원 1인당 대학원생 수와 전임교원 1인당 강의학점이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BK21+사업 미선정 대학은 전임교원 확보율이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BK21+사업은 대학의 다양한 지원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연구성과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교육재정은 사업 선정 여부를 막론하고 대부분의 변인들이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stitutional factors affecting research outcom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rions with the data(2013-2015) from the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The data of 185 colleg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the independent variables, institutional finance and research environment of an institution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with the AMO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institutional finance factors, educational expenses per student, tuition per student, educational restitution rate, institutional scholarship per student, and the fund received per student had an impact on the research outcomes. Among the research environment factors of institutions, the teaching credit per full-time faculty, research fund per full-time faculty, the number of researchers employed had an impact on the research outcomes. With regard to the factor of the BK21+ program, the institutions that received the BK21+ program fund showed that the institutional finance factors except tuition per student had an impact on the research outcomes, while the institutions that did not receive the fund showed that all the institutional finance factors had an impact on the research outcomes. Moreover, with the research environment factors of an institution, the institutions that received the BK21+ program fund showed that the Graduate Student-Faculty ratio and the teaching credit per full-time faculty had an impact on the research outcomes, while the institutions that did not receive the fund showed that the full-time faculty rate had an impact on the research outcomes.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he BK21+ program had an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research outcomes through helping institutions support and initiate various institutional programs. Especially, regardless of the BK21+ program fund, most of the institutional finance factors are important on the research outcomes.

      • KCI등재

        사립 전문대학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변인 분석

        구성우,서화정,김병주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stitutional variables that affect the drop-out of private junior college students. College finance, educational conditions and educational activities were selected as institutional variables of junior colleges, while the drop-out rate were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subjects are 128 private junior colleges whose data are all disclosed between 2015 and 2017, and a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among the education finance variable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drop-out of students in common among all the analysis results. Second, upon the junior colleges in the capital metropolitan area, it was analyzed that the initial value of full-time faculty acquisition rate among educational condition variabl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the drop-out rate of students, and that the initial value of number of students per full-time faculty member among the educational activity variable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the drop-out rate of students. Finally, upon all and non-capital area junior colleg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competition rate of admission among education activity variables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rate of drop out of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all junior colleges in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were discussed respectively. 본 연구는 사립 전문대학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변인을 분석하였다. 전문대학 기관변인은 대학재정 및 교육여건, 그리고 신입생 경쟁률로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인은 중도탈락률로 선정하였다. 분석대상은 2015년~2017년 자료가 모두 공개되어 있는 사립 전문대학 128개교이며, 연구방법은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분석 결과에서 공통적으로 교육재정변인 중 학생 1인당 교육비는 중도탈락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도권 전문대학은 교육여건변인 중 전임교원 확보율 초기값은 중도탈락률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초기값은 중도탈락률 변화율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체 전문대학과 비수도권 전문대학은 공통적으로 신입생 경쟁률은 중도탈락률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화정탕으로 전체 전문대학과 수도권 및 비수도권 전문대학의 특성에 대해 각각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 변인 분석

        구성우(Gu Sung woo),문명현(Moon Myung hyun),김병주(Kim Byoung 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대학기관 차원에서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 변인을 분석하고 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에듀데이터 서비스 시스템(EDSS: Edu Data Service System)’을 활용하여 추출하였다. 이 자료 중 2012년~2014년 자료가 모두 공개되어 있는 4년제 대학교 150개교를 대상으로 대학재정, 교육여건, 교육 및 연구 변인을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모형에 있어서 각 변인별 변화모형을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무변화모형보다 선형모형의 적합도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전체 대학의 경우는 학생 1인당 교육비 및 기숙사 수용률, 전임교원 1인당 논문 수와 전임교원 1인당 교외 연구비 높을수록 중도탈락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재지를 구분했을 경우, 수도권 대학은 학생 1인당 교육비, 학생 1인당 등록금, 전임교원 1인당 논문수와 전임교원 1인당 교외 연구비 높을수록 중도탈락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임교원 1인당 교외 연구비가 높을수록 중도탈락률의 시간적 변화에 있어서는 중도탈락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수도권의 경우는 학생 1인당 교육비, 기숙사 수용률, 전임교원 1인당 논문 수가 높을수록 중도탈락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대학생의 중도탈락을 낮추기 위한 대학의 노력에 있어서는 대학별로 특성에 맞는 재정 투자 및 여건 개선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stitutional variables which affect dropout of college students in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in the basis of AMOS program was used. It was appeared that the suitability of linear model was more outstanding than that of no-change model after analysing change model of each factor. The data utilized in this analysis was collected from EDSS, Edu Data Service System. This analysis was conducted on one hundred and fifty universities with reference to their data from 2012 to 2014 with university fiance, educational condition, and education/research factors sele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n case of all the universities the more and higher educational expenses and receptive capacity of dormitory per student, and the number of theses and research expenses used in extramural activity per faculty in full service were, the lower dropout rate was. When locate of universities was separated, in case of the universities in capital region, it was shown that the more and higher educational expenses and registration fee per student, and the number of theses and research expenses used in extramural activity per faculty in full service were, the lower dropout rate was. However, it is also appeared that the higher research expenses used in extramural activity per faculty in full service were, the higher dropout rate was in process of time. Lastly, in case of universities located in non-capital region, the more and higher educational expenses and receptive capacity of dormitory per student, and the number of theses per faculty in full service, the lower dropout rate is.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for each university to focus on financial investment and condition improvement suitable for its own characteristic so as to lower dropout rate of college student.

      • KCI등재

        랜덤포레스트 기법 활용 대학 중도탈락 기관변인 탐색: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델 비교를 중심으로

        박원혁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미래교육학연구 Vol.36 No.4

        This study analyzed institutional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 retention rates using a machine learning predictive model. The data of 2022, 2021, and 2022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data consisting of all four-year universities, capital region, and non-capital region were analyzed with the randomForest algorithm in R. First,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the randomForest model demonstrated an accuracy rate of approximately 70%. Second, 10 key variables were identified in the overall university data set and 9 key variables in the capital region and non-capital region university data sets.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and ranking of the key factors in the data sets. Third, the partial dependence plots reveal the value ranges of the variables where the retention rate either decreased or remained stable. Institutions may apply these results by utilizing randomForest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data-driven decision-making in formulating university retention policies.

      • KCI등재

        교원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한국어 교원의 요구와 관련 변인 연구-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장미라,조현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어 교육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teachers’ needs in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variables related to their nee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eachers from Korean language centers in Korean universitie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1) What are the teachers’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2) What are the teachers’ needs and expectations for the content and components of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Are there any disparity between teachers’ needs and institutional needs? (3) What are the variables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an effectiv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university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institutions and teachers a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need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a more teacher-centered, bottom-up approach should be implemented for successful outcome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offers a summary of the need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variables (both individual teacher variabl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the content and components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