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관광마을에서 갈등이 마을 운영성과와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주민간 갈등을 중심으로

        김보미,이응진 동북아관광학회 2010 동북아관광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운영에서 농촌관광사업의 성패를 좌우하고, 농촌의 지속적인 발전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농촌 사회가 붕괴될 우려까지 내재하고 있는 주민간 갈등문제를 파악하였다. 주민간 갈등문제의 발생 대비와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나아가 농촌관광마을의 지속적인 운영과 농촌관광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분석결과, 농촌관광마을의 주민간 갈등 중 공동체의식 요인은 마을운영성과와 마을분위기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농촌관광마을의 주민간 갈등 중 상호의존성 요인은 마을운영성과와 마을분위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을운영성과는 마을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갈등요인 중 공동체의식은 마을운영성과와 마을분위기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갈등요인으로 작용하여, 높은 공동체의식을 지닌 마을주민들은 성공적인 마을운영성과를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이 크고 이러한 현상은 마을분위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를 위해 주민간 갈등유형, 갈등변수 등과의 추가적인 관계분석이 필요하고, 농촌관광마을에서의 주민간 갈등원인에 대한 명확하고 다양한 척도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더욱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연구 결과가 필요하다는 과제가 남아있다

      • KCI등재후보

        소도읍 지역의 자원기반 관광활성화 방안 :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허중욱 동북아관광학회 2011 동북아관광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소도읍 지역인 농산촌 지역의 자원기반 관광마을인 농촌전통테마마을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마을과 정부는 정주인구가 한정된 지역에 재원을 투입하여 농촌 전통테마마을과 같은 농촌관광마을을 형성하는 이유는 환경변화에 따른 농촌의 생존력을 확보하고 도시와 농촌간의 교류를 촉진하는데 있다. 농촌전통테마마을을 통한 소도읍 지역의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경주되어야 한다. 첫째, 농촌전통테마마을의 관광활성화를 위해서는 마을의 핵심 주제에 대하여 명확한 정체성을 부여하는 노력이 경주되어야 한다. 둘째, 농촌전통테마마을의 관광활성화를 위해서는 마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및 가격에 대한 인증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농촌관광이 지향하는 바는 1차, 2차, 3차 산업이 공존하는 것으로 농촌전통테마마을 방문객이 구매할 수 있는 마을의 유형재 명품을 생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농촌전통테마마을의 성공적 육성을 위해서는 마을 내부 인력을 육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농촌전통테마마을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내부 구성원의 소통과 이해를 통한 내부 동력을 확보하는 것과 지역의 정체성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지역은 지역의 가치, 지역의 정체성, 지역의 미래와 행복을 가져올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해야만 한다.

      • KCI등재후보

        지리산권 농촌문화관광마을의 발전 전략 : 곡성 상한마을과 구례 오미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이기웅 동북아관광학회 2011 동북아관광연구 Vol.7 No.4

        이 논문은 지리산권 농촌문화관광마을 중 전남지역에 소재되어 있는 곡성군 죽곡면 상한마을과 구례군 토지면 오미마을을 중심으로 발전전략을 모색한다. 첫째, 지리산권은 자연 · 생태적으로 천혜의 수려한 자연환경과 전통예술문화와 생활문화가 살아있는 문화 콘텐츠의 보고이다. 둘째, 지리산권 농촌문화관광마을은 지리산권의 보전 중심적 관리체계 구축 등을 통해 관광개발의 친환경성에 중점을 두고 전략을 강구하여야 한다. 셋째, 지리산권 농촌문화관광마을들은 전략적 제휴로 지역별로 다양한 체험활동가능성을 강점으로 부각하기 위하여 통합이미지 구축 및 공동홍보 등 광역진흥사업을 적극 발굴하여야 한다. 넷째, 역사문화 유산의 체계적 정비를 통하여 역사경관을 보전하고 현대 · 미래 지향적 재생산을 통하여 지역의 문화적 지속성을 창출하여야 한다. 다섯째, 지리산권 농촌문화관광마을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마을의 개성을 살린 소비자 욕구의 맞춤과 차별화 전략, 변화와 희망이 있는 창조적 전략, 관광 상품 및 체험프로그램은 세상에서 하나뿐인 유일한 것을 만들어 내는 상품화 성공전략 등을 강구하여야 한다.

      • KCI등재

        농촌관광마을 운영자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김지효,손호기,김상범 동북아관광학회 2018 동북아관광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위해서 농촌관광마을 운영자 실태조사를통해서 운영자의 역량강화 및 운영방안은 물론, 체계적인 관리와 정책제안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농촌관광마을 운영 관계자 72개소의 운영자 및 대표를 대상으로 전자우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정부·지자체의농촌관광관련 정책과 제도 및 지원(예산, 교육 관련 등)의 개선이 필요하며, 마을 운영 부문에서 농촌관광개발사업을 시작하게 된 동기에 대해 ‘농촌관광의 미래 성장 가능성’과 ‘농외소득을 추구’로 나타났다. 또한 농촌관광마을의 활성화를 위해 운영자가가장 주력하는 분야로 ‘체험프로그램 운영’과 ‘농촌경관’이었다. 그리고 운영자의 향후농촌관광사업 및 마을 운영 의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 운영상의 비용 및 수익창출의 경제적 문제, 정부지원의 정책 미흡(일회성 개발), 운영자 및 인적자원(노동력) 부족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 및 제도 개선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농촌관광산업을 한층 더 발전시키고 지속가능하게 할 수 있는 농촌관광 운영 활성화에 유용한 정책 및 제도적 개선을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management staff and manage the operation through rural tourism village operator actual situation survey which is important for sustainable rural tourism but also to utilize it as a basis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rural tourism and policy proposal Therefo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mail survey of 72 operators and representatives of rural tourism vill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olicies and systems and support (budget, education, etc.) related to rural tourism i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nd 'seeking out-of-farm income'. In order to revitalize the rural tourism villages, the operators were the most focused areas of 'experience program operation' and 'rural landscape'. And despite the operator's future rural tourism and village management willingness, the economic problems of cost and revenue on town management, inadequate government support policy(one time development), leader (representative) And the lack of human resources(labor force). Polici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will be urg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hope to further develop the rural tourism industry and use it as a basic material for improvement of policies and institutions useful for revitalizing rural tourism management which can make it sustainable.

      • KCI등재

        농촌 체험마을 성공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친환경 관광 창업 현황과 성공요인 분석

        심상오(Shim, Sang-Oh),박경배(Park, Kyung-Bae),신동선(Shin, Dong-Seon)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3 No.1

        주 5일제 정착과 교통의 발달, 도시민들의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갈망 등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한 농촌관광은 정부의 많은 지원에 비해 체계적이지 않은 사업추진으로 인해 마을에 갈등을 유발 시키고 농촌마을에 혼란만 가중되었으며 실질적으로 투입된 시간과 노력, 자금에 비해 그 성공사 례는 드물게 나타났다. 따라서 철저한 계획이 수반되지 않는 지역 경쟁적인 농촌체험마을의 난립으로 효과적인 농촌관광 창업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농촌관광의 동향과 적절한 농촌체험 마을 성공모델 제시를 통해 농촌관광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려 하였으며 그세부 내용으로는 농촌체험마을 분야에서 성공사례로 분류할 수 있는 7곳을 선정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성공할 수 있었던 공통적인 요인을 도출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된 공통적 시간 단계별 성공요인은 첫째, 혁신적 마을리더의 존재, 둘째,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한 체험 인프라 구축, 셋째, 리더의 봉사와 청렴, 그리고 주민을 대상으로 한교육과 화합, 넷째, 차별화된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다섯째, 친환경적인 어메니티의 활용, 여섯째, 마케팅과 컴퓨터의 활용, 그리고 마지막으로 농촌체험마을 경영체의 조직전환 등이다. 이러한 7가 지의 성공요인 외에도 농촌마을을 성공시킬 수 있는 촉매제 역할을 하는 2가지 외부적 환경적인 요소를 발굴하였는데, 그것은 도시지역과의 접근성과 마을 주변의 관광자원의 유무이다. 이를 통해 확인된 내외부적인 요인들을 토대로 농촌체험마을 성공모델을 수립하였다. Green tourism is growing drastically since the five-day work week has become common, a better transportation is developed and people are interested in healthy food. Therefore, a lot of fund for green villages are supported strategically b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to develop green tourism. However, most of these green villages are considered as premature so far due to the lack of preparation or conflict caused in the villages. Recently, to mature green tourism, studies on effective green tourism are addressed. This study also figures out the trend of green tourism and finds a way of the appropriate success model for green villages. The seven common factors on the successful green villages are derived from the research on several village cases, i.e., seven successful cases. These factors suggested in this research might be seven important steps to make green villages successful, i.e. i)innovative leader of the rural village ii)building infra for rural experiences by public funding iii)devotion and integrity of the leader and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mmunity about green tourism iv)the differentiated experience program v)utilizing eco-amenities vi)marketing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vii)establishing corporate body for green tourism. In addition to those seven factors, two external environment variables are found to influence the success green villages, that is, distance to metropolitan area and tourist attraction. Therefore, with thes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success model for the green village is devised.

      • KCI등재

        지역주민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인식이 농촌관광개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창규 ( Chang Kyu Park ),김혜영 ( Hye Young Kim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4 No.3

        우리나라 농촌의 현실인 저소득 문제와 공동화 문제 등이 서로 맞물려 상승작용을 하면서 문제가 더욱 심화되어가는 악순환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농촌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1990년대 이후부터 농어촌지역의 생활환경, 산업기반 및 편익 · 복지시설 등을 정비 · 확충하기 위해 정주권 개발과 문화마을조성사업, 신 활력사업,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등을 추진되고 있다. 기존 연구동항을 살펴보면,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평가지표, 문제점 및 개선사항, 투자우선순위 등의 연구가 시행되어졌지만, 실제적으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이 지역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와 관광개발에 대한 영향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통해 농촌지역 관광개발이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측면의 변화가 지역주민의 개발 태도와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중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농촌지역 개발에 따른 영향지각이 지역주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추진단계, 계획수립단계에서부터 실행단계까지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농촌마을종합개발을 위한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관광과 농촌관광개발에 대한 인식 제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테마가 농촌관광개발의 경우에는 관광에 대한 지역주민 교육 및 인식이 명확하게 제고되어야 사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업추진을 통한 경제적 수익 등의 경제적 영향, 기반시설 및 복지시설 확충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느낄 수 있는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부각시키고, 부정적 인식과 태도에 대해서는 교육과 홍보를 통해 긍정적인 인식을 높여 사업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높여 효과적인 사업 추진을 이룰 수 있어야 할 것이다. Korean farm villages are locked in vicious circle, as lots of their problems related to low income and hollow matters are geared and multiply. To get over those problems, various plans to develop Korean farm villages are being pushed ahead. In addition, since the early of 1990s, Korea has been projects to develop settlement zones and culture villages. It has been also preceeding with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and a new vitalizations project, etc. All of these projects aim to reorganize and expand life environments, industrial bases, and convenience and welfare facilities. The existing studies on a comprehensive project to develop farm villages have been focusing on evaluation indexes, problems, investment priorities, etc. l3ut in fact, studies on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are not thoroughgoing enough in aspects of residents` attitude and their recognition on the influence on tourist development. Thus, this study aims to present strategic schemes to allow resi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 stage of promoting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a stage of making the plan, and a stage of the implementation. For this, this study analyzes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and attempts to figure out which influence the tourist development in farm villages has on residents` attitude and recognition resulting from changes in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Especially, this study previously examines what influential factors there exists are and what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farm villages has on resident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bove analysis, schemes to enable residents to actively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our recognition on tourism and tourism development of farm villages, If the main theme of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intends farm village development, it is required to educate residents and let them clearly raise their recognition on tourism, and the effect of the project is guaranteed. Second, it is highly required to make a plan so that we can feel economic effects of revenues through project promotion and positive effects including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s and welfare facilities, etc. Third, it is necessary to bring into relief the positiv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As for the negative recognition and attitude, it is very important to change negative residents` recognition to the positive direction and to allow them to participate in and to take an interest in the project, so that the project can be effectively promoted.

      • KCI등재

        코로나 19 대응형 농촌관광 유형 특성 및 콘텐츠 개발 연구

        최찬원 ( Choi Chanwon ),최재문 ( Choi Jaem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 19 이후 해외여행이 불가능한 시점이라 국내여행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농촌체험휴양마을의 시설 노후화, 양적 성장 대비 질적 서비스의 낙후, 관광객이 만족할 만한 콘텐츠의 부족 등 농촌체험휴양마을의 수용태세는 고객의 니즈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렇게 변화된 시기에 해외여행 수요를 농촌관광으로 유입하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 개발뿐 아니라 코로나 19 이후 변화되는 여행패턴에 대응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사례 수집, 분석을 통해 코로나 이후 농촌체험휴양마을에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굴하고 적용 가능한 방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코로나 19 이전의 농촌관광 이론과 문헌을 고찰하여 농촌관광의 개념 정의 및 유형 분류를 통해 연구의 방향성을 설정한다. 둘째, 코로나 19 이전 농촌관광의 상황과 국내관광 환경 변화를 분석하고, 농촌관광에서 기회와 위기요소를 도출한다. 셋째, 코로나 19 이후 변화되는 환경에 대한 사례분석을 토대로 농촌관광 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시범지구 선정으로 농촌체험휴양마을에 적용 가능한 콘텐츠를 유형별로 종합분석 및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 19 이전과 이후 농촌체험휴양마을의 농촌관광 운영 상황 파악, 국내관광 트렌트 변화에 따른 콘텐츠 유형 변화, 농촌관광 위기와 기회요소에 따른 농촌관광의 방향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힐링·치유, 자연·가족친화, 숙박형, 동물형, 트레킹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농촌관광 콘텐츠의 유형을 제시하였고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여 관광객들에게 농촌만이 느낄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농촌체험휴양마을에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굴하고 시범운영을 통해 앞으로 더 많은 농촌체험휴양마을에 적용 가능성을 실증 조사 및 검증하였다. (결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관광객들에게 깨끗한 우리 농촌을 각인시키기 위해서는 농촌 공동체의 공공 방역에 대한 의식 수준 상향이 이루어져야 한다. 농촌체험장, 음식업소, 숙박업소 등의 집합시설에 철저한 방역과 공동체원들의 방역 교육으로 농촌을 찾은 많은 관광객들이 안심할 수 있는 농촌환경을 만들어 나가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t is predicted that domestic travel demand will increase as it has become difficult to travel abroad after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rural experience resort villages lack aging facilities, qualitative services that are inferior to quantitative growth, and content that will satisfy customers. It is difficult to fully reflect the needs of customers in the acceptance posture of rural experience and recreational villages. To introduce overseas travel demand into rural tourism after the pandemic, a study is needed not onl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but also to respond to new travel patterns. This study aims to discover contents and find ways to apply them to rural experiential and recreational villages after the pandemic through collection and analysis of successfully operating cases. (Method) First, after examining the theories and literature of rural tourism as well as defining its concept and classifying the types, the research direction was established. Second, it analyzes the situation of rural tourism before the pandemic and changes in the domestic tourism environment, deriving opportunities and risk factors. Third, it classifies the types of rural tourism based on the case analysis of the changing environment after the pandemic. In addi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ontents applicable to the experiential recreational village by type and implications is drawn. (Resul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eration of rural tourism in rural experience resort village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rural tourism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ntent type based on the changing domestic tourism trend, the crisis of rural tourism, and the opportunity factor. Then, rural tourism was presented as a healing, nature-family friendly, accommodating, animal experience, and trekking type of tourism. By applying it to the field, an experience program was developed by presenting types of content that only rural areas could provide to tourists. Despite the pandemic, contents that could be applied to rural experience resort villages were discovered. Through the pilot operation,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uch contents to the actual rural experience and recreation village was empirically investigated and verified. (Conclusions) In the post-COVID-19 pandemic era, to create a clean rural village for tourists, the level of awareness of public quarantine in rural communities must be raised. It is hoped that many tourists visiting rural areas will create a safe rural environment through thorough safety management in collective facilities such as rural experience centers, food establishments, and accommodation.

      • KCI등재후보

        농촌관광마을 갈등구조에 관한 이론적 탐색

        권중섭,장우환 동북아관광학회 2011 동북아관광연구 Vol.7 No.1

        이 논문은 농촌관광마을의 갈등구조에 관한 이론적 탐색을 통해 최근 부각되고 있는 농촌관광마을의 갈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내외 갈등관련 문헌자료 및 연구논문의 이론적 탐색을 통해서 갈등이론에 근거한 농촌마을의 갈등개념과 유형, 갈등원인, 갈등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농촌관광마을의 갈등구조와 갈등 당사자, 갈등 원인과 갈등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농촌관광마을 갈등구조는 갈등당사자 유형별로 갈등의 상존성, 농촌관광마을 공동사업의 태생적 한계, 농촌사회의 특수성 등 다양한 갈등원인에 의해 갈등단계별로 복합적이고 내재적인 특성의 갈등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농촌관광마을 공동사업 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양상은 사업추진단계와 운영단계로 나누어서 살펴보는 것이 효과적이며, 갈등의 역기능을 최소화하고 순기능을 최대화하여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갈등관리전략이 필요하다. 향후 농촌관광마을 조성사업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갈등 발생원인과 당사자를 명확하게 규명하고, 갈등당사자간의 단계별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사전적 예방조치의 갈등관리방안 연구가 시급한 과제이다.

      • KCI등재후보

        퍼지이론을 활용한 농촌관광마을 조성계획의 퍼지이론을 활용한 농촌관광마을 조성계획의 - 충남 농촌관광마을을 대상으로 -

        김재환(Kim Jae Hwan) 한국부동산학회 2018 不動産學報 Vol.73 No.-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에 대한 개발과 관리를 위한 조성계획의 타당성 평가를 중심으로 평가영역을 마을운영, 관광상품, 마을매력성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3개 평가영역 중 마을운영 영역은 수지분석 평가분야가 가장 중요하였는데 이는 농가의 부가소득 증진이 큰 목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관광상품 영역에서는 서비스 평가분야가 마케팅보다 높았다. 이는 현재의 농촌관광이 체험과 체류위주로 방문객에 대한 대응의 정도가 실질적인 구전효과로 이어짐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 마을 매력성 영역은 매력물 평가분야가 마을유지관리보다 중요시되었는데, 이는 농촌관광마을의 한정된 체험과 이벤트 외에 주변관광마을과의 연계를 통해 보다 다양한 볼거리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응용 가능한 평가방법을 제안하였고, 이에 대한 맞춤식 평가가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지리산권 농촌관광마을의 마을회관 활용사례에 관한 연구

        서정호(Chung Ho Seo) 한국농촌사회학회 2008 農村社會 Vol.18 No.2

        우리나라의 농촌관광은 농촌주민 또는 마을공동체가 도시민에게 체험과 휴양의 장소 및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득을 증대시키며, 부가적으로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자의 문헌연구결과를 분석하고 지리산권역 5개 시·군 10개 농촌관광마을의 마을회관 활용사례를 조사하여 농촌마을회관의 생산적 활용이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조사결과, 대부분의 마을회관이 회의, 마을행사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겨울철을 제외하고는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어 마을소득증대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관광마을들이 정부의 지원으로 방문자센터, 각종 체험장과 시설물 설치에 치중한 결과이다. 따라서 농촌주민들은 마을회관을 농작업, 농특산물 유통가공 작업, 농산물판매장 등 생산적으로 활용하여야 하며, 특히 자연생태의 보전이 필요한 지리산권역 등 산촌관광마을에서는 환경파괴를 동반하는 건물을 신축하기보다는 기존의 마을회관을 숙박, 식당, 체험장 등으로 리모델링하여 산림휴양지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머물고 즐길 수 있는 도농교류의 장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The rural tourism can be defined as that rural villagers or communities provide urban tourists with sojourn places for rural life experience or services for refreshment in South Korea. It helps them increase their income; additionally seek a sustainable development in rural countries at comprehensive viewpoint. I suggest a productive use paradigm of community hall at rural green tourism village through analyzing previous studies of these parts and researching the ten use cases of community hall at rural green tourism village at five counties in Jiri-Mt. Area. I found out the facts that most of community halls are using as mere meeting or event place in the village, leaving almost vacant except winter season, eventually little contributing to increasing substantial income. It is due to allocating government subsidy into less productive parts like a grocery sales shop, show-up building visitor center, less important formal facilities. Therefore, I suggest as follows that These rural villagers or communities should use community halls at rural village as a working place for agriculture, a post for processing work and distribution. And These rural villagers or community members, living at urgently needed environment-conservation place in Jiri-Mt. Area, should renovate the old community halls instead of new concrete building, then make better use of it into place which urban tourists stay, enjoy, contact to residents and exchange good information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