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력 모형을 이용한 국제항공 네트워크와 GaWC 세계도시 분류 체계 간 연관성 탐색

        박용하 ( Yongha Park ) 한국지리학회 2021 한국지리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 주요 도시 간 국제항공 공급 양상과 GaWC(Global and World Cities Research Network)의 세계도시 분류 체계 간 연관성 탐색을 통해 국제항공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현된 세계도시 네트워크의 주요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2010~2018년 두 초국가적 도시 네트워크 사례를 구성하는 주요 도시들의 분포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중력 모형을 이용하여 도시 간 국제항공 공급 양상에 인구, 1인당 GDP, 거리 요인과 함께 GaWC 세계도시 분류로부터 도출된 비즈니스 연결성과 도시 더미가 미친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항공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주요 도시들은 GaWC 도시 그룹에 비해 서유럽 분포 편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최상위 도시 그룹 내 중동·아시아 지역의 국제항공 거점 도시들과 기존 서유럽·북미의 중심 도시들 간 공급 규모 측면에서의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비즈니스 연결성은 인구, 1인당 GDP에 비해 국제항공 공급 양상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시간에 따라 그 우위가 더욱 강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GaWC 주요 도시들의 국제항공시장 내 공급 우위 수준과 GaWC 도시 계층 간에는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항공시장의 다극화 추세에 따라 소수의 최상위 도시들이 지녔던 공급 우위가 시간에 따라 점차 약화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항공과 GaWC를 통해 구현된 세계도시 네트워크 사례 간 비교분석을 통해 세계도시 네트워크의 다각성과 역동성을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world city network (WCN) through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air transport networks (IATN) and GaWC (Global and World Cities Research Network) world city classification. We explore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major cities constituting those trans-national city networks from 2010 to 2018, in order to fi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WCN represented by IATN. Then, we employ the gravity model, adapted for air transport,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city-pair interactions through IATN, including not only city population, GDP per capita, distance but also business connectivity and city dummies derived from the GaWC world city groups. The main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major cities in IATN are more highly concentrated on Western Europe than the GaWC cities caused by varying aviation market structures across regions. Within the first-tier city group in IATN, there is also a hierarchy shift between cities in developed- and emerging-regions. Second, business connectivity has a greater impact on international interaction patterns than population and GDP per capita, and its impact has been even stronger over time. Lastly, we observe the weakening dominant position of top-tier cities, in terms of international market supply. Also there are differences in city hierarchy system between IATN and GaWC, partly affected by the multipolarization trend in the global aviation market. This study confirms the dynamics and diversity of the world city network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empirical transnational city network cases.

      • 중국의 도시체계의 종주성과 도시체계의 지향점에 관한 연구

        최유섭,김창경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4 No.10

        본 연구는 현재 중국의 도시체계를 인구수를 기준으로 살펴보고 그 종주성을 파악하여 향후 바람직한 국가도시체계의 방향과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한 도시체계의 지향점을 제시하려고 한다. 중국의 도시인구는 1980년대 개혁개방정책 이후 동부연안지역을 중심으로 인구가 집중하기 시작했으며, 2001년 WTO가입,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이후로 도시와 농촌인구의 비율이 역전되었다. Zipf의 도시순위규모법칙에 의해 인구수를 기준으로 한 중국의 도시체계는 상위도시군에서 종주도시분포를 보였으며, 하위도시군에서는 지역적 연계가 약화된 도시분포를 보였다. 이러한 도시체계는 자원의 비효율적 이용과 외국에의 경제의존도를 높여 중소도시 및 농어촌지역의 불균형을 야기하여 국토의 균형적 발전을 저해한다. 균형있는 국토발전을 위해 도시체계의 지향점이 수정되어야 하는데 그 방안이 바로 네트워크 도시체계이다. 중국의 도시체계가 안정화와 수평적 네트워크형 다핵구조로 전환하는 것이 중국도시의 지향점이라고 하겠다. 대도시권은 지역도시내의 중소도시의 중추기능을 수행하고, 중소도시들은 유기적인 연계를 이루어 지역적 특화를 통해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urban system based on the population present days and to try to present a place where orientation of the urban system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 and the direction of the urban system in China. The urban population of China, reforming and opening policy since the 1980s, the population began to concentrate mainly in the eastern coastal areas. Accession to the WTO in 2001, the Beijing Olympic Games in 2008,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in urban and rural areas has been reversed. Urban system in China According to Zipf"s city-rank size rule based on the population indicates top cites show primate distribution and lower cities show weakened the regional association distribution. That urban systems show increasing economic dependence on foreign and inefficient use of resources. That undermines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causing an imbalance in the small towns and rural areas. Orientation of urban system is modified in order to develop a balanced national land, that plan is network urban system. The orientation of China"s cities will be converted into stable and horizontal network type polynuclear structure of Chinese urban system. The metropolitan areas perform the function of a central, small cities will have to find way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region through regional specialization.

      • KCI등재

        공간 구성 차원에서 살펴 본 우리나라 신도시 공원 녹지체계의 변화

        김주일(Kim, Ju-Il),최성지(Choi, Seong-Ji)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3

        한국은 90년대 이후에 지속적으로 신도시를 계획해왔으며 그 결과 1기, 2기로 구분되는 십여개의 신도시들을 건설해왔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신도시 계획경향의 변화를 파악하되 특히 쾌적성 및 지속가능성과 관련이 높은 계획요소인 공원녹지체계 계획 차원에서 그 경향과 변화를 진단해보았으며, 특히 공간구성, 가로체계와 공원녹지체계의 관계 측면에서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공원녹지체계가 도시구조 속에서 가지는 네트워크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합치성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또한 공간구문론상의 지표를 활용하여 공원녹지 네트워크가 도시가로체계와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가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계획목표상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1기 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는 도시 주요부와 잘 결합되어 있지 못하고 녹지가 주로 면적요소에 배분되어 있는 반면, 2기 신도시의 경우에는 선형녹지에 대한 면적 배분이 높고 이들이 도시 주요가로와 결합하는 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orea has developed new towns continuously since 1990, and now there are more than 10 towns in two groups-first and second gener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on the planning tendencies of the new towns especially focused on spatial configuration of green network system, which is related to amen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cities. To analyze the network configuration, this study used the Space Syntax-related indicators to measure the degree of coupling between urban structure and green network. As a resul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generations though their overall planning goals were similar. The first generation had considerable green areas but their connectivity was low and the networks were not estimated to be well combined with urban gray structure. But the second generation’s green networks had more linear elements which were contiguous to important urban functions, thus they seemed to have formed more efficient skeletal structure together with gray network.

      • KCI등재

        고양 실리콘밸리 통합 도시설계 연구- 하천 및 녹지자원 네트워크 조성을 중심으로

        김준우(Kim, Joonwoo),이석정(Lee, Seog-Je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고양 실리콘밸리를 대상지로 하천자원 및 녹지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통합 도시설계를 진행한 연구이다. 고양 실리콘밸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신도시와 한강 사이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6개의 개별 개발사업(고양관광문화단지, 일산테크노밸리, 고양장항공공주택지구, 방송영상밸리, CJ라이브시티, 킨텍스 제3전시장)을 포괄하는 프로젝트이다. 개별 프로젝트는 다른 사업 주체 및 개발 목적으로 토지이용의 정합성 및 연계성에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개별 사업 구역 및 주변 지역과 연계된 도시 조성을 위하여 하천자원 및 녹지자원을 활용한 통합 도시설계 연구를 진행한다. 통합 도시설계 계획 방향에 기반한 대상지 분석과 사례연구, 대안검토를 통해 하천 · 녹지 중심의 통합 마스터플랜과 세부 계획을 포함한 입체 도시설계안을 구체화하여, 새로운 도시설계 통합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개별 사업의 통합 도시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스튜디오 연계형 설계연구의 가능성 및 프로세스를 정리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the new integrated urban design of the Goyang Silicon Valley, that focuses more on water system, green network, and street connectivity, unlikely the previous master plan which is focused on land use and traffic. There are substantial difficulties to cooperate among different developers and stakeholders, but the research would propose new possibilities to unite several projects and improve a quality of urban space through water and green networks. First of all, it improve water quality of water networks and specialize waterfront space to make a new city identity. The waterfront space also helps to intensify the linkage among projects and improve vitality of new city with waterfront activities and programs. Secondly, the network of green space would support to integrate urban space of site and improve connectivity with important green resources surrounding area. The research would propose new strategies of urban design with the water and green networks to integrate urban projects. The integrated urban design stresses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urban projects, and shows new possibility of studio-based urban design process.

      • KCI등재

        상호작용 지수를 이용한 수도권 도시 네트워크 분석

        이봉조(Bong Jo Lee),임석회(Seok Hoi Y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도시 간 상호작용 지수(지배력 지수, 상대적 강도 지수, 엔트로피 지수)를 활용하여 출근 흐름과 업무 흐름, 화물 흐름에 있어서 수도권 도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수도권의 도시 네트워크가 흔히 네트워크형 도시체계론에서 말하는 수평적이고 상호보완적이며 양방향과 규모 중립적이기 보다는 매우 규모 의존적이고, 수직적이고 최고차 중심도시에 의존적하는 지배ㆍ종속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근ㆍ업무 흐름에 비해 화물 흐름의 네트워크가 다소 균형적이기는 하지만, 상호작용의 계층 구조, 흐름의 상대적 강도, 균형 성 등 모든 면에서 출근ㆍ업무 흐름이든, 화물 흐름이든 서울과의 상호작용이 결정적이다. Relying on the interaction indices - dominance index, relative strength index and entropy index,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al features of urban network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ith the flows of commuting, business, and freight.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 Seoul metropolitan urban system is vertical, size-dependent, one-way, and the highest city-dominant network rather than horizontal, size-neutral, two-way, complementary one. The network of freight flow is a little bit more symmetrical than the networks of commuting and business. However, the interaction with Seoul is still determinant in all aspects of hierarchical structure, relative strength, and symmetry of flow.

      • KCI등재

        일일 인구이동으로 본 국토공간의 도시체계 변화

        손승호(Seungho Son)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2

        본 연구는 일일 인구이동에 의한 네트워크와 유동패턴을 통해 한국의 도시체계 변화를 고찰하였다. 일일 인구이동이 일상적인 통행패턴을 반영하므로, 도시간 연결관계에 의한 도시체계는 생활권의 관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2012년 들어 도시간 인구이동이 증가하면서, 도시 네트워크의 연결체계를 비롯하여 출발지와 도착지로 구성되는 통행권의 수가 모두 증가하였다. 통행량의 분산에도 불구하고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수도권과 부산을 중심으로 하는 부산권의 공간범위는 확대되었다. 서울지향형 고속교통망이 구축된 강원도에서는 춘천을 중심으로 하는 소양강문화권과 영동지방의 생활권 분리가 심화되었다. 교통망의 접근성이 양호한 대전과 그 주변지역을 아우르는 생활권은 경기남부까지 확대되었다. 전남에 형성된 기존의 생활권은 광주의 중심성이 약화되면서 목포와 순천을 중심으로 서부와 동부에서 분절되었다. 생활권은 거시적으로 광역 행정경계와 대체로 일치하였지만, 도 경계를 넘어 다른 광역단체의 시군과 통합되는 사례가 증가하였다. 서울과 그 주변 도시간의 상호작용이 강화된 것은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세계도시-지역의 발전 가능성을 높여준다. This paper examined the changes of urban system through the network and the flow pattern reected in daily movement in Korea. Because daily movement reects trip pattern, urban system formed by inter-city linkages can be recognized in terms of living sphere. While population movements between cities have the number of linkage systems of city network and the number of traffic regions composed of the origin and destination has increased respectively. Nevertheless, spatial extent of Capital region and Busan region has been expanded. In Gangwon-do in which Seoul-oriented high-speed transportation network has developed, separation of living sphere between Yeongdong area and the Soyanggang cultural region formed around Chuncheon was intensified. Living sphere that includes Daejeon and the surrounding cities has been expanded to the southern Gyeonggi-do. e existing living sphere formed in Jeollanam-do was fragmented into the east and west around Mokpo and Suncheon due to the weakened centrality of Gwangju. Living spheres formed by spatial interaction were consistent with regional administrative boundary. Considering the increased interaction between Seoul and its surrounding cities, the development of global city-region centered on Seoul is expected.

      • KCI등재

        2012여수세계박람회의 도시발전효과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과 평가

        이정록(Jeong-Rock Lee),김영기(Young-Khee Kim),이민석(Min-Seok Lee),장문현(Mun-Hyun Ja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2

        이 연구는 2012여수세계박람회의 도시발전효과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과 평가를 분석한 것이다. 전문가 집단은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로 인해 나타난 교통체계 및 접근성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관광시설 확충과 활성화, 도시 미관 및 도시재생, 도시이미지 및 국제화 등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하였다. 특히 수도권과 접근성 향상, 여수와 주변지역 간 접근성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도시이미지 향상, 관광객 증가, 관광숙박시설 및 관광관련 인프라 확충 등에 대해 매우 우호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전문가 집단은 광역교통망 확충에 의한 도시발전이 약 9.5년, 도시주거환경 개선으로 인해 도시발전이 약 9.4년 정도 앞당겨졌다고 평가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여수세계박람회 개 최로 ‘해양관광도시’라는 여수의 도시 이미지가 강화되었다고 평가하였고, 이런 도시 이미지를 고려해 도시의 미래상을 해양관광도시로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ialist groups’ perception and assessment on the urban development impacts by the EXPO 2012 Yeosu Korea, hosted from May 15 to August 15, 2012. In general, the specialist group positively evaluate about the urban development impacts of the 2012 Yeosu EXPO. They assess considerably positively, in particular on the enhancement of accessibility toward the capital region from Yeosu city, the 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the improvement of the city image, the invigoration of tourism resulted from the expansion of tourists accommodation facilities. In addition, they appraise that the urban development of Yeosu city would be advanced about 9.5 years in the wider transportation network and about 9.4 years the improvement of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hosting of the EXPO. They agree with that the image of Yeosu city as a site of marine tourism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EXPO.

      • KCI등재

        논문 : 세계 항공 유동공간의 연계 구조

        최재헌 ( Jae Heon Choi ),강승호 ( Seung Ho Ka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1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4 No.2

        본 논문의 목적은 2008년도 80개 공항간의 항공여객과 73개 도시간의 화물운송에 대한 OD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세계도시체계의 계층적인 연계 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항공여객운송과 화물운송의 흐름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은 아시아지역 도시들의 상승 추세와 유럽 도시들의 지속세, 북미 도시들의 하락세로 정리된다. 이는 아시아 도시들이 세계경제에서 생산거점이 되고 유럽과 북미 선진국 도시간에 밀접한 서비스네트워크가 형성됨을 시사한다. GNI 지수 분석 결과 여객운송에 있어 노선망에서 우월한 유럽의 도시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를 보여 중요한 허브공항의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화물운송에서는 제조업이 발달한 동아시아 도시들의 순위가 높으며 말레이시아, 인도, 중앙아시아의 거점 도시들이 뚜렷한 결절지가 되고 있다. 여객운송과 화물운송의 연결구조를 보면 여객운송은 허브 앤 스포크 형태의 지역적인 유동 패턴이 현저한 반면 항공화물 운송에서는 세계적인 규모에서 대륙을 가로지르는 포인트 투 포인트 패턴이 우세하다. 파리, 두바이, 싱가포르, 도쿄, 마드리드, 뉴욕, 베이징, 상하이, 인천, 비엔나, 뮌헨, 델리, 모스코바, 오클랜드 등이 항공유동망의 주요 결절지로 나타났고, 인천은 여객운송에서 10위, 화물운송에서 2위로 비교적 높은 결절성을 나타냈다.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hierarchical structure of connectivity in the space of world airline flows within world urban system by examining OD matrix among both 80 airports in air passenger flows and 73 cities in air cargo flows in the year of 2008. The ranks of Asian cities have taken upward and those of European cities have kept their strong positions, while American cities have declined in their ranks since the 1990s, which means significant role of Asian cities as major production sites in global production chains as well as strong development of producer service networks in the advanced economy of Europe and North America. Global Network Index(GNI) shows that European cities play significant roles as intra-continental hubs in air passenger flows. In contrast, East Asian cities and cities in Malaysia, India and central Asia, where are developing strong manufacturing sector, become important nodal points in air cargo flows. The air passenger network shows strong hub-and-spoke regionalized pattern while air cargo network reveals less regionalized inter-continental point-to-point pattern worldwide. Such cities as Paris, Dubai, Singapore, Tokyo, Madrid, New York, Beijing, Shanghai, Incheon, Vienna, Munich, Delhi, Moscow, and Auckland become major nodal points in the space of airline flows. Incheon shows relatively high nodality by taking 2nd rank in air cargo flows and 10th rank in air passenger flows in 2008.

      • KCI등재

        도시공원 서비스의 형평성 평가를 고려한 도시공원 확충방안: 충북 청주시를 대상으로

        배민기,김유리 국토연구원 2013 국토연구 Vol.77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pose expanding strategies of urban park based on the equity evaluation of urban park service (UPS) at Cheongju city. To do that, this research found out urban park service area (UPSA) using GIS network analysis and evaluated UPS equity viewed on standard of living-space- other servic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 Citizen’ income level and land price in UPSA was higher than those of non-UPSA. 2) There was district difference in UPSA among administrative boundaries. 3) The degree of UPS level lower than degree of public service level such as transportation, education, convenience, and child care service, also citizen in UPSA got higher public service than that of non-UPSA.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deduced expandable area minimizing UPS disparity considering existing urban park construction pla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making the decision of priority ranking of urban park and green space expanding policy. 본 논문의 목적은 청주시를 대상으로 도시공원 서비스의 형평성 평가를 통한 도시공원 확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GIS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도시공원 서비스 권역을 도출한 후, 생활수준 간, 공간 간, 여타 서비스 간의 세 가지 관점에서 형평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1) 도시공원 서비스 권역 내 거주민의 소득수준이 서비스 권역 외 거주민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권역 내 토지 지가도 권역 외 토지지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행정구역별로 공원 서비스 면적에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통, 교육, 생활편의, 보육 서비스와 같은 공공 서비스에 비해서 도시공원 서비스의 수준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원 서비스 권역 내 거주민들은 여타 공공 서비스 또한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미조성 공원계획을 추가로 고려하여 향후 도시공원 확충 시 도시공원 서비스 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확충 지역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사회경제적 약자가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환경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도시공원 확충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990년대 한국도시체계의 차원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재헌 ( Jae Heon Choi ) 한국도시지리학회 2002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5 No.2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hidden dimensions of the Korean urban system in the 1990s by using factor analysis on 37 variables from 1990 to 2000. The urban population size is the most important dimension in explaining the urban system in the 1990s, followed by contrasted features between new urban places and old urban places, urban service functions, urban infrastructure, and urban environment as new emerging urban dimensions. It is hard to clearly mention the establishment of urban network system in Korea because of the high concentration toward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weak horizontal connection between major provincial centers, concerning hihgway network, airtraffic network and internet infra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