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퉁구스어 색채어의 인지 의미 분석 : 나나이어를 중심으로

        엄순천(Eom, Sooncheo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9 No.2

        본 논문에서는 나나이어 기본 색채어 chā-(희다), paka-(검다), saharin(검다), sɛ̄-(붉다), sō-(노랗다), nȫ-(푸르다, 파랗다)의 어원, 체험적 근거 및 의미 그리고 복합 색채어의 유형과 의미를 규명하였는데 나나이어 기본 색채어는 다양한 접미사를 사용하여 명도와 채도의 변화뿐만 아니라 주관적 감정까지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나나이어에서 기본 색채어의 조어에 참여하는 접미사는 -ǯan/ǯon/ǯɛn, -i(j)gan/gj(i)an, -ra/rɛ, -rak, -ria/riɛ, -m/mǯi의 6개인데 -ǯan(ǯon/ ǯɛn)이 접미된 색채어는 수식어의 기능을 주로 하며, -i(j)gan/gj(i)an이 접미된 색채어는 수식어와 술어의 기능을 동시에 하고, -ra/rɛ, -rak, -ria/riɛ, -m/mǯi가 접미된 색채어는 술어의 기능을 주로 하는데 접미사에 따라 색채어의 의미와 뉘앙스가 달라졌다. 나나이어 chā(희다)는 몽골어 zhagaan(희다)에서 기원하고 광선감각일 때는 ‘태양광선’, 색채감각일 때는 ‘눈(雪)’에서 체험적 근거를 찾을 수 있다. ‘검다’를 의미하는 단어에는 paka-와 saharin이 있는데 paka-의 체험적 근거는 ‘밤’에서, saharin의 체험적 근거는 ‘물의 색’ 특히 ‘깊은 물의 색’에서 찾을 수 있다. ‘붉다’를 의미하는 sɛ̄의 체험적 근거는 sɛ̄ksɛ(피)에서 찾을 수 있고, ‘노랗다’를 의미하는 sō의 sō-체험적 근거는 siun(태양)에서 찾을 수 있으며 ‘푸른, 파란, 하늘색 을 의미하는 nȫ의 체험적 근거는 nengie(봄), njaǯha(풀)에서 찾을 수 있다 나나이어 복합 색채어는 구성요소가 의미에 참여하는 양상에 따라 X(색채어)+a(채도, 명도 표지 접미사)→Xa, X(색채어)+Y(색채어)→xY, X(색채어)+Y(색채어)→XY(=Z)의 3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X+a→Xa 구조가 가장 많이 발견된다. In this paper, the basic color words of Nanaj are chā-(heeda), paka-(black), saharin(black), sɛ̄-(red), sō-(yellow), nȫ-(blue) etymology, empirical grounds, and The meaning and the type and meaning of complex color words were identified. The color words of Nanaj used various suffixes to express changes in brightness and saturation and even subjective emotions, the color marker suffixes that participate in the basic color wording in Nanaj are six of -ǯan/ǯon/ǯɛn, -i(j)gan/gj(i)an, -ra/rɛ, -rak, -ria/riɛ, -m/mǯi, the color words suffixed with ǯan (ǯon/ǯɛn) function as a modifier, color words suffixed with -i(j)gan/gj(i)an simultaneously function as a modifier and a predicate, color words suffixed with -ra/rɛ, -rak, -ria/riɛ, and -m/mǯi usually function as predicates, the meaning and nuance of the color word changed according to the suffix. The word meaning ‘white’ in Nanaj is the structure of ‘chā-(root)+-color marker suffix’, chā- comes from the Mongolian zhagaan(white), we can find empirical grounds in ‘sunlight for light perception and ‘snow for color perception. There are paka-derived words and saharin in the word meaning black, the experiential rationale for paka(black) can be found in ‘night , and the saharin s empirical rationale can be found in ‘water color , especially ‘deep water color . The word that means ‘red’ is the structure of ‘sɛ̄- (root) + color marker suffix’, and the empirical basis can be found in sɛ̄ksɛ (blood). ‘Yellow is the structure of ‘sō- (root) + color marker suffix , and the sō-experiential basis can be found in ‘sun . The word meaning blue, sky blue is the structure of ‘nȫ- (root)+color marker suffix , and the empirical basis can be found in nengie (spring) and njaǯha (grass).

      • KCI등재

        시베리아 나나이족의 창조신화에 대한 연구

        곽진석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3

        A Study on the Creation Myths of the Nanais in SiberiaKwak, Jin Seok(Pukyong National University)This paper aims to study on the creation myth of Nanays who lives in Siberia.First, I would study the creation myth of Nanays in the dimensions of mytheme which are related to 'creating earth', 'creating human being' and 'regulating sun-moon.'Secondly, I would analyze the mythemes of creation myth in Nanays comparing them with the those of Korean. Finally, I would examine their views of cosmos which are reflected in the Nanays' creation myth in connection with Nanay's shamanism. The lower Amur River and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which Nanays inhabit are an old territory of Buyeo, Kokurea and Balhae. These have been related to ancient Korean Peninsula. These remains which have been found can prove these relations between them. Therefore, examining the myth of Nanays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origin of our myth. Furthermore that would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origin of our cul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시베리아에 거주하는 나나이족 창조신화를 살피는 데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살폈다. 첫째, 나나이족의 창조신화의 양상을 ‘땅의 창조’, ‘인간의 창조’, ‘일월의 조정’ 등의 신화소를 통해 살폈다.둘째, 나나이족 창조신화의 신화소를 우리의 그것들과 비교, 분석했다.셋째, 나나이족 창조신화에 반영된 그들의 우주관을 샤머니즘의 이념과 관련하여 살폈다.나나이족이 거주하는 아무르강 하류와 연해주는 부여, 고구려, 발해의 고토로 상고대의 한반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지역이다. 이런 사실은 현재 발굴되고 있는 유적과 유물로서도 입증되고 있다. 따라서, 나나이족의 신화를 살펴보는 일은 우리 신화의 원류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우리 문화의 원천을 살펴보는 일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극동 지역 나나이족의 죽음 관련 의례, 의식에 나타난 영혼관

        엄순천 ( Eom Soon-cheo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62

        본 논문의 목적은 죽음 관련 의례, 의식 중 장례식, 초혼식, 송혼식을 통해 나나이족의 영혼관 분석하는 것이다. 나나이족의 장례식은 3일장으로 세부 의식은 망자(亡者)의 사회적 지위, 죽음의 원인과 장소, 나이에 따라 달라진다. 장례식의 주요 의식으로는 3일 동안 계속되는 조문, 헤리우리(hεriuri) 의식, 점등 의식, 난타라 의식이 있다. 장례식 첫째 날의 주요 의식에는 속굉(屬紘)과 역복(易服) 의식, 지르켄지(ǯirkεnǯi) 의식과 상식 올리기, 난타라 콜리니(nantara kolini) 의식, 에리우리(εriuri) 의식, 흉복 에립툰(εriptun)과 로차코(lochako) 만드는 의식이 있다. 둘째 날은 특별한 의식은 없으며 셋째 날 주요 의식에는 수의 입히기, 입관식, 시신 내가기와 자제르잔니야(ǯaǯεrǯanija) 의식, 운구(運柩), 급묘(及墓) 절차, 귀가의식이 있다. 초혼식은 장례식 날을 제외한 사망 7일째 거행되며 초혼식을 의미하는 나나이어 중 가장 널리 전파된 것이 나나이어 나단(7)에서 기원하는 나단지이다. 초혼식의 목적은 샤먼의식을 통해 망자의 영혼을 영혼의 거처 파뇨에 안치시켜 조상령으로 승격시키기 위한 것이다. 송혼식은 나나이어로 카사라고 하는데 어원은 알 수 없지만 망자의 영혼을 하계 씨족마을로 전송하는 의식으로 보통 3일 동안 진행되며 하계 씨족마을로 가는 길을 아는 대샤먼 만이 수행할 수 있다. 송혼식은 경제적, 물질적, 정신적으로 가족들에게 과도한 부담이 되기 때문에 거행 시기는 가족의 경제 상황에 따라 사후 1-3년으로 일률적이지 않다. 송혼식을 거행하는 이유는 사후 1-3년 후에도 저승으로 가지 못한 영혼은 악령으로 변하여 가족과 친인척들에게 해를 입힌다는 관념 때문이지만 궁극적으로는 망자의 영혼을 하계에 완전히 통합시켜 조상령으로의 승격 절차를 마무리하기 위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nanaj’s view of the soul through funeral, soul-calling ritual, ritual of transmission to the underworld of the soul. Funerals for the nanaj are three days long, and the detailed ceremonies vary depending on the social status of the deceased, the cause and place of death, and age. The main ceremonies in a three-day long of the funeral, a hεriuri ceremony, a lighting ceremony, and a nantara ceremony. The main ceremonies on the first day of the funeral included the ceremonies to confirm death and changing clothes, ǯirkεnǯi ceremony, nantara kolini ceremony, εriuri ceremony, and ceremonies to make εriptun and lochako. On the second day, there is no special ceremony. The main ceremonies on the third day include the dressing of the shroud, the inauguration ceremony, the ceremony of taking the body out of the house and the ǯaǯεrǯanija ceremony, ceremony of carrying the coffin to the grave, ceremony of the burial of the conffin, the homecoming ceremony, and the purification ceremony. The soul-calling ritual is held on the 7th day of death, excluding the day of the funeral, and the term nadanji was widely used. The purpose of soul-calling ritual is to enshrin the soul of the deceased in panjo, the dwelling place of the soul, through shamanic rituals, that is, to elevate the soul of the deceased to an ancestor spirit. The ritual of transmission to the underworld of the soul is called casa in Nanai, and although the etymology is unknown, it is a ceremony of transferring the souls of the dead to the under world, usually for 3 days but sometimes for 9 days. The reason for the the ritual of transmission to the underworld of the soul is the idea that souls that do not go to the underworld 1-3 years after death turn into evil spirits and harm their relatives. After the ritual of transmission to the underworld of the soul is he souls of the deceased are completely integrated into the underworld and promoted to ancestor spirits.

      • KCI등재

        나나이어(허저어)의 문법・형태적 특징 분석

        엄순천(Eom, Soon-Cheon)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7 러시아학 Vol.- No.15

        Nanai language is the language spoken by Nanai people and belongs to the Southeastern Nanai Group of the Southern Faction of the Tungusic Group of the Altaic Family. Nanai language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other languages of the Southern Faction of Tungusic Group and its importance stands out in the genealogical study of Korean language as it is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Nivkh language which belongs to Evenki, Manchurian, and ancient Asian languag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anai language in terms of its external experience, it is closer to Mongol Faction than Turkic Faction and to Manchu language than Evenki among Tungusic languages. Nanai language has six vowels: a, e, o, i, ⲓ, and u, and the nasalization and diphthongization of the final vowels and the rhythm of vowels act as semantic discriminator. There are 18 consonants in Nanai language: b, v, g, d, d , j, k, l, m, n, n , ɳ, p, r, s, t, h, ch, and the double and triple consonants are not possible in the anlaut and auslaut while any consonant and vowel can come in the anlaut except “r.” Different researchers hav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part of speech in Nanai language. However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ent word, auxiliary word, and interjection, and nine sub parts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meaning. Nanai language has both short and long sentences, but the short sentences have been developed prominently, and long sentences are used very rarely. The word order in Nanai language is S-O-V,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ungusic control.

      • KCI등재

        고구려어 홀(忽)계 지명과 퉁구스계 에벤키어, 우데게어, 나나이어 비교 분석

        엄순천(Eom, Sooncheo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4

        본 논문에서는 『삼국사기』권35·37에 기록된 고구려 지명 중 홀(忽)계 지명 42개에서 고구려 단어 57개를 추출한 뒤 중국상고음과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고구려 한자음을 재구한 뒤 퉁구스어파 중 북부 분파를 대표하는 에벤키어, 동남 나나이 분파를 대표하는 나나이어, 나나이어와 에벤키어의 중간 지점에 있는 우데게어 단어들과 비교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퉁구스어와 고구려어는 유사성이 높은 언어로 나타났는데 특히 에벤키어와의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 다른 언어와의 접촉에 의해서 쉽게 변하지 않는 동사, 형용사에서 유사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다른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접사, 복합 품사 등에서는 유사성이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고구려가 퉁구스어와 무관하지 않음을 말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Tungusic words of Altaic Language Family with Goguryeo words and to identify similarity between languages. This study extracted 54 words from 42 place names in hol(忽) system of the Goguryeo Dynasty and compared them with words of Evenki, Udege, Nanai language. As a result of comparing of tungus word, especially for evenki similarity words 33 and non-similarity words 21, so similarity: non-similarity the ratio of is 61:39(%), the ratio of words with similarity was about 1.5 times higher. From the abov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similarity between Koguryo language and Tungus language is very high. However, whether it is borrowed or based on the same language system, it should be clarifi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 KCI등재

        나나이족의 상례(喪禮)와 사자(死者) 숭배 연구 - 한국의 상례와 비교하여

        곽진석(Kwak, Jin-Seo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64

        In order to examine the various ideas reflected in the ceremonies of mourning of the siberian Nanays and the ceremonies of mourning of Korea, first I looked at the view of soul, life and death, the otherworld, fear and respect of soul of the dead. Next, I in depth looked at the worship of soul of the dead or ancestors revealed on the surface of the ceremonies of mourning in relation to the shamanistic idea. Their worldview is reflected in the ceremonies of mourning of the Nanays and the ceremonies of mourning of Korea, which show similar procedures. First, in the view of the soul, person has the soul of multiplicity, the soul of the dead does not immediately leave the otherworld, but stays in this worl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soul of the dead is identified with a living person. Second, in the view of life and death, a person’s life and death depend on the existence of a soul. When the soul stays in a person’s body, that person is considered alive, and when the soul leaves the body, that person is considered dead. Third, in the view of otherworld, material things in this world exist in the same way in otherworld. In otherworld, the soul of the dead lives the same life as in this world. Fourth, in the fear and respect of soul of the dead, the living person fears the soul of the dead. Because of this fear, the living person respects the soul of the dead. The fear of soul of the dead is one of the shamanistic ideas. The fear of soul of the dead leads to the idea of worship of soul of the dead, and that worship of soul of the dead naturally leads to ancestor worship. These shamanistic ideas were reflected in procedures of the ceremonies of mourning in Nanays and Korea.

      • KCI등재

        PARALLELS BETWEEN KOREAN, NANAI AND JAPANESE LANGUAGES ON LEXICAL AND MORPHOLOGICAL LEVELS

        ( Andrii G. Ryzhkov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6 No.-

        한국어는 계통이 분명히 밝혀져 있지 않은 언어이며 지금까지 주로 알타이어파와의 가설적인 관련성이 있다고 여러 학자에 의해 주장되어 왔다. 비교언어학에서 한 언어의 위치를 증명하는 것은 해당 어파에 확실이 속하다고 믿어지는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그것의 입증 효력이 높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가 있다. 이 논문은 그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국어의 어휘를 퉁구스-만주어파에 속한 나나이어, 그리고 일본어 두 가지 언어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 예비적인 고찰을 시도한 것이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계통이 밝혀져 있지 않는 만큼 일정한 어휘가 유사하다 하더라도 그저 우연한 일치에 불과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입증 효력을 높이기 위해 나나이어 뿐만 아니라 알타이 언어에 속하는 다른 퉁구스-만주어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본 논문에서 어휘와 어휘적인 의미를 지닌 형태소를 포함하여 35가지를 중심으로 연구를 하였다. 한국어 어휘의 일치를 밝히려는 노력은 앞으로도 여러 각도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only hypothetically belong to the Altaic language family. The Nanai language is one of the Tunguso-Manchurian languages, which in their turn are viewed by majority of scholars as Altaic ones. From the very time when the languages were classified into language families there exists a hot debate in linguistics about Korean language origin and the nearest relatives. We assert that it is important to start with thorough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with the Tunguso-Manchurian language group in order to prove the origin of the two mentioned languages. The comparison of Korean language with the Japanese one may undoubtedly reveal plenty of common traits. However such common features can not be perfectly used as a convincing argument of two language’s interconnection. On the other hand, if data of some third language of doubtless Altaic origin appears to support coincid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e shall get more reasons to render such coincidences not only as contacts, but obviously as the lexical layer of common Altaic origin. The proposed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ree languages has shown that they have 35 lexical coincidences (including lexemes that belong to the same semantic field in all contrasted languages within M.Swadesh`s list). This analysis is only the first step, and therefore the further investigation of three language material seems to be very promising.

      • KCI등재후보

        아르셰니예프(В. К. Арсеньев)의『데르수 우잘라』연구 - 1900년대 초의 극동지방의 상황과 원주민들의 정신문화 -

        정태언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3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7 No.1

        아르세니예프(В.К.Арсеньев)의 『데르수 우잘라』(Дерсу Узала)는 독특한 장르의 문학작품으로서 일반적으로 ‘학술적-문학 작품’(научно-художественная литература)로 분류한다. 왜냐하면 이 작품에는 탐사지역의 지형과 그 특징, 광석, 동식물대 등이 자세하게 소개되고 있기 때문에 ‘학술적’이란 수식어를 붙이는 까닭이다. 그러나 아르세니예프가 ‘학술적’이라는 수식어를 넘어 ‘예술적’ 작품으로 승화시킨 데에는 극동지방, 특히 연해주의 원초적 자연에 대한 뛰어난 묘사와 나나이족(골디)인 데르수를 주인공으로 설정하고 그의 영혼을 주되게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 구성에 있어서도 작품 초반부터 결말까지 데르수가 그 중심에 놓인다. 이 작품의 또 다른 특징으로 사료적 성격을 지닌 보고문학의 형태라는 점이다. 탐사 여정 속에서 아르세니예프는 러시아 극동의 현실을 여러 자료들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게 독자들에게 전하는데 이는 당시 극동의 사회를 알게 하는 중요한 자료로 남는다. 그 속에서 극동지방의 원주민들과 그들에게 당면한 현실적 문제, 그리고 그들의 정신문화를 전하고 있다. 극동의 연해주에 살던 만주-퉁구족의 지류인 나나이족(골디), 우데게족 그리고 에벤키족의 솔론, 여러 민족과 혼혈관계를 이루며 정체성을 부여받은 따즈 등 작품 속에 등장하는 소수민족들의 기원과 특징 등이 세밀하게 나온다. 동시에 오랫동안 타이가 속에 보존되어 왔던 그들의 삶의 터전이 파괴되어가는 원인과 실태 등을 함께 다루고 있다. 아울러 주인공 데르수와 탐사 과정 중 만난 원주민들의 정신문화, 특히 애니미즘적, 토테미즘적, 샤머니즘적 세계관이 그것이다. 주로 데르수를 통해 전달되는 만주-퉁구스족의 우주관은 이제는 거의 사라진 그들의 정신적 유산의 의미를 갖는다. 다시 『데르수 우잘라』의 구조를 분석하면, 작품 서두에서 데르수의 등장과 그가 외지인들에게 사기를 당한 사연, 그리고 말미에 데르수의 죽음을 배치한 아르세니예프의 의도가 무엇인지 명확해진다. 이 같은 구조는 단순히 시간적 순서에 의한 스토리 전개가 아닌, 극동지방 원주민들의 세계가 파괴되는 과정을 데르수와 그의 맑은 영혼에 빗대어 독자 앞에 제시해주는 상징의 의미를 갖는다. 그렇기에 이 작품은 당시 원주민들의 삶과 그들의 세계관을 성실하게 기록한 예술작품인 것이다.

      • KCI등재

        고구려어와 퉁구스어 비교분석: 고구려 달(達)계 지명을 중심으로

        엄순천,김연수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Tungusic words of Altaic Language Family with Goguryeo words and to identify similarity between languages. This study extracted 15 words from 14 place names in ‘tal(達)’ system of the Goguryeo Dynasty and compared them with words of Nanai, Udege, Evenki language. As a result, similarity: non-similarity the ratio of is 78.5: 21.5(%), the ratio of words with similarity was about 3.6 times highe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imilarity between Goguryeo language and Tungus language is very high. 본 논문의 목적은 알타이어계 퉁구스어파의 단어들과 고구려 단어들을 비교하여 언어 간 유사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삼국사기』 권35, 37에 기록된 고구려 지명 중 달(達)계 지명 14개에서 고구려 단어 15개를 추출하여 퉁구스어파의 나나이어, 우데게어, 에벤키어 단어들과 비교하였다. 고구려 달(達)계 지명 중 전부지명소 달(達)은 ‘높다(高)’에, 후부지명소 달(達)은 ‘산’에 대응되었는데 이는 이미 고구려 시대에 달(達)의 은유적 의미 확장 과정이 거의 완료되었음을 의미한다. 고구려 단어 15개와 퉁구스어의 단어들을 비교한 결과, 유사성: 비(非)유사성의 비율이 78.5: 21.5(%)로 유사성이 있는 단어의 비율이 3.6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고구려어와 퉁구스어는 유사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이것이 차용에 의한 것인지 동일 언어 계통에 의한 것인지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규명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