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발굴 秋史 金正喜 燕行資料 三種의 의미

        박철상(Park, Chul-sang) 대동한문학회 2020 大東漢文學 Vol.62 No.-

        김정희는 燕行을 통해 北學의 기반을 닦았지만, 그의 연행에 관한 자료는 많지 않다. 자신이 연행록을 남기지 않은 탓도 있지만, 당시 만난 청나라 문사들의 기록 속에서도 김정희 관련 정보가 거의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행히 김정희가 귀국 당시에 남긴 시를 통해 그의 연경 생활을 짐작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전 연구에서는 시 속에 담긴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못했다. 필자는 이중에서 阮元과 朱寉年에 대해 언급한 김정희의 詩句에 주목하였다. 이 시구의 이미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김정희의 筆談 자료를 통해 김정희가 연행 당시에 완원의 초상화에 제지를 남겼다는 사실과 그 내용을 처음 소개하였다. 김정희가 題識를 쓴 완원 초상화의 실체는 확인 할 수 없지만, 김정희 연경 활동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주학년이 그린 <祭硯圖>에 남긴 김정희의 拜觀記를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김정희가 연행 이전에 이미 서울에서 결성한 勾竹會 모임에서 주학년의 <勾竹圖>를 감상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김정희는 이와 관련하여 ‘勾菴’이란 호를 사용하기도 하였고, 그의 서재를 ‘勾竹室’이라 부르기도 한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Kim Jeonghui(金正喜) has laid the foundation for Qing Dynasty Studies and Art through his travel to Yanjing(燕京), but there is not much data on his travel. It is partly because he did not leave a travel record, but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Kim Jeonghui in the records of the Qing(淸) Dynasty writers he met at the time. Fortunately, the poem Kim Jeonghui left on his way back to Joseon gave a clue to his life in Yanjing. I noted the phrase that Kim Jeonghui mentioned in the poem about Ruan Yuan(阮元) and Zhu Henian(朱寉年).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is poem, I first reviewed the written conversation left by Kim Jeonghui and the writers of the Qing Dynasty. As a result, I found out for the first time that Kim Jeonghui left a record in Ruan Yuan s portrait during the travel, and I introduced the contents as well.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see the actual images of the Ruan Yuan portrait that Kim Jeonghui left a record, we were able to see some of Kim Jeonghui s Yanjing activities. Next, I introduced appreciation record(拜觀記) left by Kim Jeonghui on <Jiyantu(祭硯圖)>, which was painted by Zhu Henian. It was confirmed that Kim Jeonghui appreciated the “Gouzhutu(勾竹圖)” of Zhu Henian at an association meeting already formed in Seoul before his travel to Yanjing. I also newly discovered that Kim Jeonghui used the nickname ‘GuAm(勾菴)’ and called his study ‘GuJukSil(勾竹室)’ in this connection.

      • KCI등재

        추사 김정희의 ‘소식蘇軾 동일시’ 양상 고찰 ―제주 유배 시기를 중심으로

        전가람(GA RAM JEON) 한국중국문화학회 2024 中國學論叢 Vol.0 No.81

        This paper focuses on the commonalities in the lives of Su Shi and Chusa Kim Jeong-hee, who both intensely explored their scholarly and artistic paths through adversity and frustration, becoming exemplars for later generations of scholars. Kim Jeong-hee's tendency to identify himself with Su Shi become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poems and writings from his period of exile in Jeju Island, a practice closely related to his recognition as the 'Dongpo of Korea.' This study analyzes why Kim persistently identified himself with Su Shi and how he set Su Shi as his scholarly path. It also sheds light on Kim’s self-perception and the formation of his idealized image through letters he sent, examining how he coped with his marginalization following the Yunsangdo incident.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aims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Kim Jeong-hee's identification with Su Shi as a process of self-healing and how Su Shi served as an ideal ego for him. 추사 김정희의 인생 궤적은 소식과 상당히 유사하다. 소식이 필화로 오대시안을 쓰고 황주로 유배된 뒤, 혜주와 담주로 2차 유배되는 경험을 한 것처럼, 김정희도 윤상도 옥사로 인해 제주도로 1차 유배를 당한 후 북청으로 2차 유배를 경험한다. 이 과정에서 김정희는 “혜주의 밥을 먹는다”, “원우 죄인의 신세가 되어” 등의 표현을 통해 자신을 소식과 동일시하며, 소식의 초상을 호신부로 여기고 이상적 자아와 의존적 관계를 형성한다. 또한 김정희는 ‘해동의 동파’로 인정받음으로써 소식과 동일시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시선을 의식했고, 이를 통해 목표를 달성했다는 증거가 된다. 김정희의 소식에 대한 동일시는 그의 편지에서도 드러난다. 편지는 자신의 상황과 감정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수단으로, 김정희에게 소식은 이상적 자아로서 자기 만족을 충족시켰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연유를 탐구하면, 김정희는 윤상도 옥사 이후 제주도로 유배되어 변방의 삶을 감내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는 소식과의 동일시를 통해 내면적 갈등을 수용하고 치유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를 통해 볼 때, 김정희의 소식과의 동일시는 자기 치유의 과정이며, 그에게 소식은 이상적인 자아상으로 여겨질 수 있다.

      • KCI등재후보

        秋史 金正喜의 繪畵觀 형성과 변화 - 詩論과의 관계와 淸代 畵論의 수용을 중심으로

        김현권(Kim Hyun-kwon)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5 No.-

          秋史 金正喜(1786~1856)는 19세기의 사상과 학문, 그리고 문학과 서화계에 새로운 지표를 제시했던 문인이다. 그는 1809년의 燕行을 시점으로 1856년의 서거까지 자신의 예술론을 살펴볼 수 있는 기록을 남겼다. 그 기록을 시기별로 구분한다면 김정희의 예술론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알 수 있다. 필자는 김정희의 시론을 비롯해 화론과 서론 등, 제 예술론이 담겨 있는 기록의 편년을 설정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김정희의 행적 및 교류관계와 현전하는 그의 묵적과 비교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편년을 근거로 김정희의 시론을 검토해 본 결과, 性靈, 格調, 神韻 등이 서로 조합되어 어느 정도 시기별로 나타나고 있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BR>  김정희는 연행을 계기로 翁方綱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조선에 蘇軾像의 제작과 崇蘇 열풍을 일으켰으며, 회화 경향 역시 당시 燕京의 문인들이 애용하였던 소슬한 小景圖류를 선호하였다.<BR>  김정희의 제주 유배시기와 江上(서울) 시기는 이전 시기의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翁方綱의 시론에 기초하면서도 王士禎의 神韻說에 대한 효용성을 인정하였다. 그 결과 朱彛尊의 詩法을 위주로 하고 王士禎의 詩法을 참작한다는 논리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翁方綱의 詩論과 차이를 보이는 측면이다. 이 시론은 김정희의 畵論에서 黃公望을 위주로 하고 倪瓚의 神韻을 참작한다는 산수화론과 연결된다. 그리고 김정희는 淸代 화론을 수용하여 四王畵派에서 黃公望에 이르는 學畵 계보를 성립하였다. 이 같은 화론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작품에 적용되었다. 다만 黃公望과 倪瓚의 작품을 열람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기에 김정희는 董其昌을 기본으로 하고 四王畵派의 筆墨法을 가미하는 방식을 현실적 대안으로 택하였다. 이때의 필묵법은 神韻의 표현과 연결된다. 그리고 김정희의 필묵이론 역시 화풍에서와 마찬가지로 淸代의 이론에 영향을 받았다.<BR>  북청 유배와 과천 은거시기에는 性靈·格調구비론이 성립된다. 김정희는 성령과 격조의 조화를 주장하면서도, 특히 성령이 격조로 제정되지 않았을 때를 심히 우려하였다. 이후 과천시기를 중심으로 王士禎의 신운설이 김정희 시론의 전면에 등장하게 되는데, 이는 그의 禪家的 삶 속에서 택한 예술론이기 때문이다. 이 시론 역시 화론에 적용된다. 김정희는 禪境의 회화 세계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때 나타나는 필력을 金剛杵에 비유하였는데, 기존의 법에 구애받지 않는 順筆이다. 그리고 四王에서 黃公望에 이르는 계보와 병립되는 부류로, 王維와 巨然, 그리고 貫休라는 화가부류를 새롭게 상정하였다. 이러한 화론을 설명할 수 있는 작품으로 <不二禪蘭>을 꼽을 만하다. 그러나 실제의 조형적 특징은 신운설에서 말하는 平淡과는 거리가 멀며 오히려 禪宗畵에서나 볼 수 있는 禪美에 닿아 있다.<BR>  김정희는 이처럼 시론과 淸代 화론을 기초로 화론을 정립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론들은 서로 충돌되지 않고 있다. 이 여러 이론을 시간 개념에 구애받지 않고 언급한다는 것은 무리가 따르나,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김정희는 개인마다 다른 性靈을 인정하였으며, 이를 예술 창작의 동기이자 일차적 단계로 보았다. 그리고 실제 창작시에는 성령을 격조로서 제정을 해야 하는데, 그 格調는 한 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學畵의 계보를 차츰 차츰 밟아 올라가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학습이 요구된다. 이렇게 해서 나타난 결과는 구천구백구십구분에 해당된다. 나머지 일분마저 이루게 되면 바로 神韻이 구현되는데, 왕사정의 신운과 자신의 禪家적 삶이 어우러진 것이다. 이는 추사 김정희 회화관의 窮極이다.   Chusa Kim Jeong-hee(1786~1856) is a scholar who suggested new directions in philosophy, science, literature, painting and calligraphy in the 19th century. He left records showing his art theories from his trip to Beijing as an envoy in 1809 to his death in 1856. By examining the records by period, we can see how Kim Jeong-hee"s art theories had been formed. The present author attempted to set the chronicle of his records containing Kim Jeong-hee"s art theories including theories on poetry, on paintings, and on calligraphy, and compared it with Kim Jeong-hee" doings through his life, his exchanges with others, and his works extant. When Kim Jeong-hee"s theories of poetry were examined based on the set chronicle, Emotional sensibility, Figuration and Transcendental elegance appeared intermingled by period. The details are as follows.<BR>  With his trip to Beijing as an envoy, Kim Jeong-hee was strongly influenced by We?ng Fa?ng?ga?ng and initiated the trend of drawing the image of Su??shi? and adoring him, and the trend of paintings in those days also preferred the bleak style of Hwanghansogyeongdo, which was popular among literary men in Beijing at that time.<BR>  During the period of exile to Jeju and the period in Gangsang (Seoul), under the continuous influence of the previous periods, Kim Jeong-hee acknowledged the usefulness of Wa?ng Shi??zhe?n theory of Transcendental elegance based on We?ng Fa?ng-ga?ng"s theory of poetry. As a result, he presented the theory that adopted Zhu? Y?-?zu?n"s poetic method as the base and referred to Wa?ng Shi?-zhe?n"s poetic method, which showed the difference from We?ng Fa?ng?ga?ng"s poetic theory. The theory on poetry is linked to his theory on landscape paintings that adopted Hua?ng Go?ng-wa?ng"s style as the base and referred to Ni? Za?n"s Transcendental elegance. In addition, Kim Jeong-hee followed the painting theories of the Qing Dynasty, learning first from the School of Four Wangs and ultimately from Hua?ng Go?ng-wa?ng. The painting theory was not definite but was applied to his works. However,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view the works of Hua?ng Go?ng-wa?ng and Ni? Za?n, Kim Jeong-hee chose a practical alternative, adopting Do?ng Qi??cha?ng as the base and adding the technique of brush-and-ink works from the School of Four Wangs. The (Indian ink paintings) brush-and-ink work technique was connected to the expression of Transcendental elegance. In addition, Kim Jeong-hee"s theory on brush-and-ink works was affected also by that of the Four Wangs.<BR>  During the period of exile to Bukcheong and the period of retirement in Gwacheon, Kim Jeong-hee"s theory on Emotional sensibility and Figuration was established. Kim Jeong-hee insisted on harmony between Emotional sensibility and Figuration but he was very concerned about cases that Emotional sensibility was not controlled by Figuration. Mainly during the period in Gwacheon, Wa?ng Shi?-zhe?n"s theory on Transcendental elegance came to the fore of Kim Jeonghee"s theory on poetry. It was because the theory was adopted in his Zen-style life. The theory on poetry was also applied to the theory on paintings. Kim Jeonghee formulated the world of paintings of an enchanted land, and his style of stroke at that time was compared with Vajra staff. It was a fluent style free from any existing technique. In addition, though not as definite as the theory on poetry, he introduced a new group of painters including Wa?ng We?i, Ju? Ra?n and Gua?n Xiu? who stood together with the line from Four Wangs to Hua?ng Go?ng-wa?ng. A work that explains the theory on painting is Bulyiseonran. However, the actual formative characteristics are far from comments in the Transcendental elegance theory and, rather, are linked to the beauty of lines observed in Zen-style paintings.<BR>  In this way, Kim Jeong-hee showed the attitude of est

      • KCI등재

        근대기 김정희 서풍(書風) 확장의 한 예, 석재 서병오

        이인숙(Lee, Insuk) 한국서예학회 2017 서예학연구 Vol.31 No.-

        석재(石齋) 서병오(1862〜1936)는 대구를 중심으로 활동한 시서화 삼절의 서화 가로 1922년 ‘교남 시서화 연구회(嶠南詩書畫硏究會)’를 설립하여 영남 서화의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을 여러 차례 지내며 전국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서병오는 안진경체에 바탕 한 행서를 잘 썼으며 추사(秋 史) 김정희(1786~1856) 서풍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행서, 예서 작품을 남기기도 했다. 이 연구는 서병오의 서예 중 김정희 행서, 예서의 영향을 받았음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작품을 김정희의 작품과 상호 비교하여 김정희 서풍이 근대기에 서병오의 개성을 통해 확장되었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서병오는 18세 무렵 서울에 머물 때 김정희의 제자인 석파(石坡) 이하응 (1820~1898)의 지우를 받아 운현궁을 드나들게 되었고 이무렵 김정희 서풍을 열심히 배웠다. 그러나 이후 과거 공부에 매진하여 진사과에 급제하였고 잠시 관직을 지내기도 했다. 한학지식인 출신 서병오는 다양한 사회 활동을 하며 시서화를 향유 하였고, 중년에 중국을 여행하며 운미(芸楣) 민영익(1860~1914), 포화(1830〜 1911) 등과 교유하며 그들의 서화에 영향을 받기도 했다. 서병오는 50대 말경부터 서화가로 본격적으로 활동하게 되는데, 이 때 다시 새롭게 김정희의 다양한 필적을 연구하며 학습하였다. 서병오는 ‘문자향(文字香)’, ‘서권기(書卷氣)’라는 핵심어로 대변되는 김정희의 서화론과 우연적 의지를 중시하는 ‘우연욕서(偶然欲書)’의 창작론을 수용하였으며, 김정희가 주장한 서예 학습 방법론을 따라 서한 예서인 고예(古隸) 임서 작품을 남기 기도 했다. 1920년대 중반 이후 서병오는 안진경체의 바탕 위에 김정희의 금석기 있는 강건한 획법과 참치한 결구법을 소화한 김정희풍 행서 작품을 다수 남겼다. 예서에 있어서도 이체자(異體字)의 활용, 곡직(曲直)의 운용이 자유로운 필획, 졸박한 결구, 상투를 벗어나는 파격적인 장법 등 김정희 예서의 조형성을 자신의 필성(筆 性)으로 소화한 예서 작품을 남겼다. 서병오는 근대기 서예가로는 거의 유일하게 김정희 서풍을 계승하여 김정희 서풍이 갖는 조형성을 자신의 개성으로 재창조하였다. 그가 만년에 김정희 서풍을 다시 배운 이유는 한중일을 두루 여행한 풍부한 견문을 통해 김정희가 이룬 탁월한 조형적 성취를 확신했기 때문일 것이다. 아울러 김정희의 제자인 이하응의 문하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김정희 서풍을 접했던 개인적 연고와 서병오가 태어나고 활동한 대구지역의 김정희 서예 애호 분위기도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서병오가 외국의 대가가 아니라 조선시대 김정희를 학습한 사실은 중국이나 일본의 당대 유행서풍에더 많은 영향을 받은 근대기 서단에서 주목되는 사실이다. 서병오는 국제화의 시기 였던 근대기 서단에서 성숙한 자기화를 통해 김정희 서풍의 확장을 이룸으로서 조선 서예의 전통을 계승했다. This study is to reveal the fact that Seokjae Seo Byeong-oh in modern times inherited the calligraphic writing style of Kim Jeong-hui, by looking at the works of Seo Byeong-oh which were influenced by Kim Jeong-hui. In 1922, Seo Byeong-oh founded the first art organization in Daegu, Kyonam Association for research on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he had a great influence on it. He was very active in various areas and participated in Joseon art exhibition as a panel of judges five times in a row from the beginning. Seo Byeong-oh, in his 20s, learnt Kim Jeong-hui’s calligraphic writing style by coming in and out as a pupil of Seokpa Lee Ha-eung, and he was also influenced by the theory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the theory of writing opportunity in ‘spontaneous urge for writing’ of Kim Jeong-hui which are represented by ‘character fragrance’, ‘book of spirit’. Seo Byeong-oh followed the theory of learning calligraphy asserted by Kim Jeong-hui and left some copied works which were written in Ye-seo that were commonly used in correspondences. After stopping in the middle, Seo Byeong-oh re-learnt Kim Jeong-hui’s calligraphic writing style after his 60s by studying various documents including signboards in Buddhist temples. As a result of this kind of learning, Seo Byeong-oh’s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combined the un-fancy beauty of Kim Jeong-hui’s Haeng-seo on the basis of Anjingyeongche. In his Ye-seo, Seo Byeong-oh showed his matured personalization combined his own style with the formativeness of Kim Jeong-hui’s Ye-seo and the un-fancy beauty of Ye-seo. It is considered that the reasons why Seo Byeong-oh, as a modern calligrapher, became almost the only successor of Kim Jeong-hui’s calligraphic style. Seo Byeong-oh inherited the calligraphic tradition from Joseon dynasty by learning and making use of Kim Jeong-hui’s calligraphic writing style in modern times when the calligraphic styles from China and Japan were flowing in.

      • KCI등재

        북학파의 『주역』 해석 방법론 연구(Ⅱ)-秋史 金正喜와 근기남인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서근식 한국고전번역원 2019 民族文化 Vol.53 No.-

        This thesis aims at proving that Kim Jeong-hee(金正喜)'s Yixue(易學) was based on the moral science of Yixue(易學), and examines in what aspects his Yixue(易學) ideology was different from that of Jinjinanren(近畿南人). Kim Jeong-hee(金正喜) divided Yixue(易學) into Dongyi(動易), Han Dynasty's Xiangshuixue(象數易學) and Yanyi(言易), and Song Dynasty's Yiliyixue(義理易學). Among these, Kim Jeong-hee pursued Yiliyixue(義理易學) of Song Dynasty. Further, he followed Cheng Yi(程頤)'s Chengshiyichuan( 程氏易傳 ) among different interpretations. The differences between Kim Jeong-hee(金正喜) and Jinjinanren(近畿南人) can be main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irst, Jinjinanren(近畿南人) pursued Xiangshuixue(象數易學) while Kim Jeong-hee(金正喜) sought Cheng Yi(程頤)'s Yiliyixue(義理易學). Second, Jinjinanren(近畿南人) criticized “Shiyi(筮儀)” suggested by Zhu Xi(朱子) and tried to develop a new Zhanfa(占法) in diverse ways. On the other hand, Kim Jeong-hee(金正喜) had a negative view on the Zhanfa(占法) of the Chunqiu(春秋) Period, and even though he acknowledged Jiushi(九筮)'s divination method in Zhouli( 周禮 ), he didn't examine a specific Zhanfa(占法). The argument that Park Je-ga(朴齊家) and Kim Jeong-hee(金正喜) were not in the relationship of a teacher and a pupil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heir relation had a social nature. However, when their relationship is expanded to the study on the whole, Park Je-ga(朴齊家) and Kim Jeong-hee(金正喜), and Kim Jeong-hee(金正喜) and Yi Shi-ying(李昰應), all interacted within the scope of a teacher-pupil relationship. 이 논문은 金正喜 역학이 의리역학임을 밝히고 그러한 역학사상이 近畿南人과는 어떤 측면에서 다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김정희는 한나라 象數易學인 動易과 송나라 義理易學인 言易으로 나누고 이 가운데 송나라 의리역학을 추구하였다. 김정희는 여러 해석들 가운데 程頤의 程氏易傳 을 추종하고 있다. 김정희와 근기남인 사이의 대비점은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다. 하나는 근기남인은 상수역학을 추구한데 반하여 김정희는 정이의 의리역학을 추구하였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근기남인은 朱熹가 제시했던 「筮儀」를 비판하고 다양하게 새로운 占法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이고, 김정희는 춘추시대 점법에 대해 부정적이었고 周禮 에 나오는 九筮의 점법에 대해 긍정하였지만 구체적인 점법을 고찰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朴齊家와 김정희가 스승과 제자 사이가 아니라는 주장은 이들의 관계를 사회적 관계로 본 것이다. 그러나 이들 사이의 관계를 학문전반으로 넓혀 본다면 박제가와 김정희, 김정희와 李昰應이 모두 스승과 제자 사이가 된다.

      •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와 황지우의 <유리끼운 세한도(歲寒圖)>의 비교 연구

        여지선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논집 Vol.22 No.-

        본 연구는 19세기에 그려진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세한도(歲寒圖)>가 당대와 현대를 가로지르면서 시대적, 문화적 차이를 통해 수용된 다층성을 밝히고자 한다. 김정희는 조선후기의 뛰어나 서화가(書畵家)이자 금석학자(金石學者)이자 실학자(實學者)이다. 그는 1844년, 그의 나이 58세 때에 제주도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그때 김정희를 기억해준 유일한 제자, 역관 ‘李尙迪’을 기리는 마음으로 <세한도>를 그렸다. 이 <세한도>는 네 종류의 글로 오늘날까지 기억되고 있다. 그 첫 번째는 김정희가 이상적을 기리기 위한 발문이다. 두 번째는 이상적이 김정희의 의사와 무관하게 정치적인 이유로 청나라 명사 16인에게 보여주고 받은 찬문찬시이다. 세 번째는 광복 후 김석준, 오세창, 이시영이 더한 찬문찬시이다. 네 번째는 황지우를 비롯한 여러 시인이 남긴 현대시이다. 롤랑 바르트가 제기한 것처럼, 하나의 기호는 2차 의미체계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해낸다. 그런 측면에서 바라볼 때,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는 오늘날 황지우의 <유리끼운 세한도>에 영향을 미쳤다.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를 통해 자신에게 의리를 지킨 이상적을 기억하며 19세기의 ‘의’를 밝혔다면, 황지우는 추사 <세한도>를 20세기에 불러내어 현 시대의 문제와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거대담론이 사라진 것처럼 인식된 현실세계에서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를 다시금 불러 세워, 아직은 사회적 문제, 거대담론의 문제로 행동해야할 때임을 드러냈던 것이다.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는 당대 개별적 작품성뿐만 아니라 시대를 넘나드는 시대사적 의의를 지닌다. 이를 드러낸 현대 시인이 바로 황지우이다. A highway stretches out between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Thus the fact that only readers can spread the highway determines whether the highway is comprised of only one road or many forks according to the extent of the reader's interest.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are scholars and artists of the century who first walked the same path then went on their separate ways. Most of all, I will focus on four aspects of the path they walked together.Firstly,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are regarded as pioneers who led a change in a transitional period. Hwang Ji-u witnessed the miserable lives of his father and uncle who had suffered during the Japanese Ruling and Korean War. Therefore he has developed his revolutionary esprit from the Japanese Ruling, even though he was born in 1952. Secondly, both Kim Jeong-hui and Hwang Ji-u were exiled for political reasons. Thirdly,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wished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Lastly,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Ji-u led religious lives after they returned from exile. As Hegel said that all beautiful arts flow into religion or philosophy, Kim was converted to Buddhism in his later years, even though he was a privileged elite in the Confucian society. He became a monk after receiving Buddhist code of conduct in Bong-eun Temple. Hwang also revealed that he is interested in oriental spirit, buddhism, and Taoism.In short, Chu Sa Kim Jeong-hui and Hwang walked the same path. This junction not only resulted in similarities between Kim's Sehando and Hwang's Midwinter Picture Seen Through Glass, but also created contrast. In order to look into their differences.

      • KCI등재

        김정희 서화 미학에 대한 동기창의 영향 -이서입화(以書入畵)를 중심으로-

        서희연 ( Sur¸ Heui Ye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2 No.-

        본 연구는 조선 말기 화단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김정희의 서화 미학에 끼친 동기창의 서화 사상의 영향력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다. 남아 있는 자료의 부족으로 정확히 영향력을 파악한 시점은 알 수 없지만, 김정희의 서화론은 동기창의 서화론에 상당 부분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김정희의 서화론이 문인 서화가의 조건으로 문자향과 서권기를 제시한 점 그리고 서예의 필법으로 그림을 그린다는 서화 동필론을 주장한 점은 동기창의 문인화론을 수용했음을 보여준다. 김정희는 동기창의 화론에 기반해 정통 유가 사대부 예술의 정체성 확보를 위해 노력했다. 비록 김정희의 화론이 동기창의 서화론에 비해 창신의 측면은 위축되었지만, 김정희는 동기창을 위시하는 정통파 화풍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조선 후기 회화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그러나 김정희는 동기창이 강조하지 않았던 학문과 같이 도를 엄격하게 준수 할 것을 강조했다. 김정희 서화론과 동기창의 서화론의 차이점은 김정희는 예술 창작행위를 유가[聖門]의 격물치지 학문과 같은 선상에 놓았다는 것이다. 17세기부터 오파 화풍의 수용과 함께 조선에 알려지기 시작한 동기창의 명성은 18세기에는 오파 혹은 동기창의 영향을 받은 서화작품과 함께 이전 시대에 비해 다량의 서화 필적이 전래되며 조선 후기 대표적인 문인 서풍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19세기에는 동기창의 화론이 그대로 화제로 이용되거나 혹은 방작임을 분명히 밝힌 작품들이 대거 등장해 동기창의 영향력이 저변화 되었으며, 계층을 불문하고 동기창의 서풍은 확산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김정희의 영향력이 컸다. 그는 청 문물을 수용해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동기창의 서화론을 조선의 실정에 맞게 변용한 남종문인화의 기초를 닦았으며, 그 연원은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또한, 김정희의 예술론은 회화와 서예에서 모두 고도의 정신미를 요구하며 문자향과 서권기를 주장하며 개성적인 ‘괴’를 추구했다. 그가 주장한 고도의 정신미와 개성적인 문인화풍은 상류층 문인뿐 아니라 중인층에 이르기까지 신분 질서의 차이를 뛰어넘어 많은 화가가 동참했다. 이런 점에서 조선 서화사에서 그가 차지하는 위상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의 고도의 정신미의 추구와 함께 그 속에 독특한 개성을 추구하는 예술론은 한편으로는 전통 회화의 발전을 차단한 것이라고 평가되기도 하지만, 이것은 차단이 아닌 새로운 독창적 세계가 열리도록 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Tung Ch’i-Ch’ang that influenced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Kim Jeong-hee who had the greatest effect on pain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 can't find the period of influence exactly due to the lack of remaining data, but we could confirm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Kim Jeong-he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Tung Ch’i-Ch’ang.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Kim Jeong-hee presented scent of characters and sprit of books as a condition of Literati Calligraphic Painters and the claims of homology of book and painting that Kim Jeong-hee painted with brush stroke support the acceptance of Literarti painting art theory. Kim Jeong-hee tried to secure identity of orthodox Confucianism literati officials based on artheory of Tung Ch’i-Ch’ang. Although artheory of Kim Jeong-hee had less creativity compared to the one of Tung Ch’i-Ch’ang, Kim Jeong-hee actively accepted the orthodox painting style that emulated Tung Ch’i-Ch’ang, greatl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Kim Jeong-hee emphasized to strictly follow dao, a study which wasn't emphasized by Tung Ch’i-Ch’ang. Difference between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Kim Jeong-hee and Tung Ch’i-Ch’ang is that Kim Jeong-hee put artistic creative action on the same line with the Gewuzhizhi study of Confucianism. The reputation of Tung Ch’i-Ch’ang which began to be known in Jeseon along with the acceptance of Wu school painting style since the 17th century has been settled as representative literati calligraphy style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s many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ere passed down compared to the previous era along with calligraphy works that were influenced by Wu school or Tung Ch’i-Ch’ang in the 18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the influence of Tung Ch’i-Ch’ang went on the expansion of the base as works that clearly showed that they used painting style of Tung Ch’i-Ch’ang as it is or they were Bangjak of it were appeared a lot. So, the calligraphy style of Tung Ch’i-Ch’ang was spread regardless of the classes. In this background, the influence of Kim Jeong-hee was great. He adopted Qing Dynasty civilization and strengthened the basics of the southern school painting that fit to the circumstances of Joseon Dynasty in the process of systematizing it. Its origin are still being passed down to this day. In addition, an art theory of Kim Jeong-hee demanded high-degree of spirit of beauty in both painting and calligraphy and claimed a scent of characters and spirit of books, pursuing unique 'grotesque'. Many painters who transcended the differences in social orders from high class literary men to middle class participated in the high-degree of the spirit of beauty and unique literati painting style. In this sense, his status in Joseon calligraphy history was very high. An art theory which pursued unique characteristics along with his pursuit for high-degree of the spirit of beauty is evaluated to block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painting in certain aspect, but we found that this opened up a new creative world rather than blocking it.

      • KCI등재

        김정희 예술론 - 그 지적 기원과 체계에 관하여

        정예린(Jung Herin)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5 No.-

          20세기 이전 중국과 조선의 문인들에게는 자연으로부터 학문과 윤리, 예술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세계관이 존재했다. 그리고 그들의 예술론은 시, 서, 화가 공유하는 미 이념과 창작론 그리고 이 공유 영역과 학문, 자연의 관계 속에서 성립된다. 물론 그들 모두가 문예론, 서예론, 화론 각 분야에서 우주의 총체성을 이론적으로 드러내지는 않았다. 조선 19세기에서 활동한 金正喜의 예술론은 적어도 20세기 이전 중국과 조선의 최신의 학문 방법과 이론을 절충하여 문예와 회화, 서예 각 장르의 이론에 동일한 이념과 체계를 부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BR>  김정희는 예술과 도는 상호 필수적인 관계(文道相須)에 있어야한다고 주장한다. 이 때 그가 말하는 도는 송대 성리학의 관념성을 극복한 선진의도를 내용으로 한다. 그는 당시 청대 고증학 중 揚州學派와 常州學派를 중심으로 한 漢宋折衷論에 관심을 집중하고 先秦 사상에 내재한 義를 예학, 역사학, 지리학, 역학 등의 분야에서 최신의 고증학적 방법론을 통해 탐색하고자 했다. 송대 성리학적 사유방식을 한송절충론을 통해 극복하는 방법론은 예술론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BR>  문장론에서 그는 청대 동성파의 방포와 요내가 작가의 인격수양과 학문이라는 창작의 전제조건, 유가적 문풍(風雅)과 교화의 기능 그리고 이러한도를 중심으로 한 언표가능한 영역과 그 너머 도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언표불가능한 영역 간의 조화를 제시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BR>  김정희의 시론은 신운설과 성령설을 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신운은 언표 가능한 지적 감각적 영역 너머에(言外之意, 味外之味) 있는 시의 중요한 요소로서 명대 王士禎에 의해 부각되었다. 김정희는 신운은 언표가능한 理와 實의 영역과 조화되어야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學詩의 측면에서 명대 왕사정의 신운시와 언표가능한 영역이 명료한 주이존의 시를 보완하여 학습할 것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이들 양자를 포함해 왕유와 두보 이하 송, 원, 명의 모범적인 시인들로 구성된 정통시인의 계보를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학습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상의 특징은 청대 시론 중 그가 높이 평가한 翁方剛의 肌理說만이 공유한다. 그런데 실제 시인들에 대한 평가에서 명료히 드러나듯이 김정희는 옹방강보다 언표불가능한 영역을 강력히 옹호했다. 그는 옹방강과 왕사정의 견해를 절충하여 언표불가능한 영역을 지나치게 주목하는 조선의 신운시풍을 보완하고자 한 것이다.<BR>  한편 신운설이 작품의 미에 관한 논의라면 성령설은 예술 고유의 영역과 윤리를 아우르는 작가의 창조력에 관한 논의이다. 김정희는 청대 袁枚의 性靈 개념을 수용하지만 그 윤리적 방만함을 비판하면서 격조로써 성령을 규제할 것을 주장했다. 방만하게 돌출된 개성(鬼怪)은 격조를 통해 미적으로도 세련되고(工) 윤리적으로도 올바르게(正) 순화되야 한다는 것이다. 김정희는 원매의 예술적 재능을 인정하면서도 그 도덕적 방만함 때문에 그를 정통시인의 계보에서 제외했다. 이는 인간의 욕망을 인정하되 禮로써 규제하는 것을 도의 실현으로 파악하는 그의 경학관을 염두에 둘 때 당연한 평가라고 보인다.<BR>  화론에서 김정희는 명대 후기 董其昌의 화론에 기반하여 역시 정통 유가 사대부 예술의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양자는 자신의 시대의 회화가 통속화되는 경향을 저지하고 士人 문화의 정통성을 확립한다는 목표 아래 神 혹은 氣韻과 같은 언표불가능한 영역을 표현하는 寫意, 사의의 필묵법상의 표현방법으로서 서화동필론, 사의를 획득하기까지 학문적 토대 위에 과거의 그림들로부터 법을 획득하고 자연에 대한 체험을 통해 창신을 달성하는 후천적인 학습, 마지막으로 후천적 학습의 축적을 통해 획득한 깨달음(悟) 즉, 사회, 문화, 자연, 예술사에 대한 전면적 통찰력을 공유한다. 그러나 김정희는 동기창의 화론을 그대로 조선 화단에 이식하지 않았다. 동기창은 문인화의 전통이 존재하는 명말 화단에 대해 전통만큼이나 창신에 무게를 두었고, 따라서 창신을 위해 자연 산수를 직접 체험해야한다는 점을 역시 거듭 강조했다. 반면 김정희는 애초 문인화론의 전통이 성립되지 못한 조선의 화단에 대해 창신보다 전통을, 자연에 대한 개인적 체험보다는 전통에 대한 점진적 앎의 노력(格物致知)을 강조했다. 그는 그외 학습의 문제에서 동기창의 이론 위에 후대로부터 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학습법을 더했고, 청대 고증학을 배경으로 동기창보다 작품 감식을 중시했고, 동기창 이후 여러 청대 화가의 그림을 동기창의 관점을 통해 평가하여 동기창의 화론을 시대에 맞추어 부활시켰다.<BR>  서예론에서 그는 조선 후기 첩학과 금석학의   This essay deals with Gim Jeong-hui"s art theory, whose influence was overwhelming on both the practice and theory of art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century Joseon. He gave a common idea and theoretical system to the literary, painting and calligraphy theories on the traditional thinking that all the natural and cultural phenomena including art are from the One, Dao 道. So I investigated all the three genres of his art theory instead of choosing a certain one as previous studies did.<BR>  Gim insists the art and Dao are interdependent on each other. Here "Dao" means that of pre-Qin 先秦, not of Song"s idealism. He investigated pre- Qin"s yi 義 following the latest trend in Qing"s academy, i.e. so-called eclecticism between Han and Song, combining bibliographical method of Han"s academy and idealistic moralism of Song"s one. Especially he was much concerned about two schools, Yangzhou (揚州) and Changzhou (常州), which were representative of the 19th-century Chinese scholarship. Of course, he also overcame Song"s idealism in art theory.<BR>  Gim Jeong-hui"s poetics can be divided into shenyun and xingling theories. The former means the unmentionable beauty. He thought that xingling should keep harmony with the mentionable such as morality or scholarship, and appraised the Ming poet Wang Shi-zhen 王士禎 to achieve the harmony of the two kinds or areas of beauty above. Gim suggested orthodox lineage of poets consisting of those who distinguished themselves in at least one of the two areas of beauty. Kinds of theses composing Gim"s poetics also exist only in poetics of Weng Fang-kang 翁方剛. However, Gim thought more of the unmentionable area of beauty than Weng did. The end of Gim"s poetics seems to combine Wang and Weng"s theories.<BR>  Xingling, the other important concept of Kim"s poetics, suggested by Yuan Mei 袁枚 of Qing, means the poet"s innate ability which can be acquired thorough the artistic and scholastic training. Gim accepted the significances of xingling, rectifying its moral recklessness through restricting it by gediao 格調, i.e. the style.<BR>  In painting theory, Gim is much influenced by Dong Qi-chang 董其昌 of late Ming. Dong as well as Gim pursued to reinsure the identity of literary painting against the mundane painting. Dong suggested that gaining unmentionable shen 神 (or, chiyun 氣韻) be the purpose of painting, and describing mentionable forms be the method to acquire shen or chiyun, applying the principles of calligraphic techniques to painting techniques, learning the tradition of painting and creating a new one, and reaching enlightenment though efforts. While accepting Dong"s theory, Gim more emphasized the learning tradition than Dong did, and assumed an indifferent attitude on creation which was of great importance to Dong. This difference can be explained by that of the situations of the two: Gim spoke to the painting"s world without a firm literary painting tradition, while Dong did to the one with a firm tradition. Gim applied more theories of Dong to Qing painting world, and enforced bibliographical research on works for painters to learn.<BR>  Gim Jeong-hui also presented the theory of calligraphy, which was more developed than ever in Joseon, His was one of the most systematic theories on principles of calligraphy techniques written on silk or paper. He trusted in the traditional rules of writing in silk or paper, and studied Peiwenzai shuhuapu 佩文齋書畵譜 as well as Ruan Yuan"s 阮元 achievements. Wang Xi-zhi was regarded as Sage of calligraphy by him, regardless of Ruan"s doubt on status of Wang as overestimated. In short, he pursued eclecticism of both tradition unlike Ruan. In actuality, the aesthetic idea he tried to realize is one by artists with refined personality and scholarship who are liberal as in the history of

      • KCI등재

        추사 김정희의 『국조화징록 』 수용에 대하여

        朴徹庠(Park, Chul-sang)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0 No.-

        朝・淸 문인들의 교유가 확대 및 심화되는 19세기에 있어 그림은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는다. 교유의 수단이 ‘詩書’에서 ‘詩書畵’로 확대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그림과 관련된 서적들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고, 이는 관련서적의 수입으로 이어졌다. 그 중심에는 秋史 金正喜(1786~1856)가 있다. 김정희는 명청대에 간행된 여러 畵論書들을 수입하여 연구하였다. 그 중에서도 張庚의 국조화징록 은 김정희 화론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국조화징록 은 정조 연간에 수입되어 북학파 지식인을 중심으로 널리 읽혔는데, 그들은 이 책을 통해 청나라 화가 및 畵論에 관한 정보를 얻었다. 그러나 국조화징록 을 본격적으로 수용한 것은 김정희를 통해서였다. 19세기 초에 조선으로 수입된 국조화징록 판본은 그 전본이 별로 없는데, 다행히도 김정희 관련 판본은 2종이나 남아 있다. 특히 그중에는 圖畵精意識 가 포함된 아주 희귀한 판본도 있다. 김정희는 이 책들을 통해 원말의 四家에서부터 명나라 동기창을 거쳐 청나라 太倉派에 이르는 자신의 산수 화 문경론을 확립하였다. 또한 用墨法과 用筆法은 물론 書卷氣에 관한 이론도 이 책들을 통해 수용하였다. 그림의 감상과 감정에 이르기까지도 이책의 도움을 받았다. 김정희 화론의 중요한 부분들이 이 책을 통해 형성되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김정희는 장경의 화론을 그대로 수용한 것은 아니었다. 장경이 墨法에서 乾濕의 호용을 주장한데 반해, 끝까지 乾筆을 고집하 였다. The friendship between Joseon and Qing literati was Intensified and expanded in 19th century, in which the painting was given a whole new meaning. Because the way of making friendship was expanded from the poetry, epistolary correspondence to the painting. Accordingly the interest on the painting and the books on the painting was increased, and that draw the import of related books. Kim Jeonghui was on the center of the mainstream. He imported many Ming-Qing painting theory books and researched the painting theory. Jang Gyeong’s Gugjohuajinglog was the most influenced book to his building up the painting theory. That book was imported in King Jeongjo’s reign and widely read in the Bughag(北學) literati. They got the imformation of Qing’s painter and painting theory through this book. But the genuine acceptance of Gugjohuajinglog was started through Kim Jeonghui. In early 19th century, there are almost no version of the book which was imported in Joseon, but two version related to Kim were remained. Especially one version was contained very rare Dohuajeonguiji. Kim established the way to landscape painting theory which started from the late Yuan Four Masters, Ming’s Dong Gi Chang(董其昌), to Qing’s Taechang(太倉) group. Also, he accepted the way of using carbon ink stick, brush, and book spirit theory. Appreciation and valuation of painting was influenced by this book. The important painting theory of Kim was built through this book. Nevertheless, Kim did not received Jang Gyeong’s painting theory exactly same way. For example, Jang insisted on using both dry and wet in the way of using carbon ink stick, but Kim fnsisted on using dry brush throughly.

      • KCI등재

        선물: 김정희(金正喜)와 연경(燕京) 문우(文友)의 화상(畵像) 교유(交遊) 및 그와 관련된 문제

        모문방 근역한문학회 2015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2 No.-

        金正喜는 24세의 나이에 부친 金魯敬의 수행원으로 연경에 들어가서 乾嘉學者에게 학문을 배우고 가르침을 청함으로써 이후 평생 동안 청대 학계 동향에 대해 밀접하게 파악할 수 있었고, 직접 翁方綱에게 배우며 石墨書樓의 풍부한 소장품을 감상할 수 있었다. 후지츠카 지카시 박사 이후부터 여러 학자, 전문가들이 김정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이에 대한 착실하고 알찬 성과를 쌓았다. 이를 바탕으로 필자는 옹방강과 김정희 사이의 화상과 글로 맺은 인연에 초점을 맞춰 秋史와 <東坡笠.圖>의 인연으로부터 논제에 들어가고자 한다. 선물이라는 시각에서 김정희와 연경 문인들 간의 화상 교유 및 관련 문제에 대해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시도해보고자 한다. 첫째, 만나거나 이름을 들 때의 선물과 생일 선물로 화상을 주고받는 情誼, 둘째, 연경 교유를 통해 추사가 확립한 화상 시각, 셋째, 명청 화상문화와 조선 화상문화의 서로 대응하는 긴밀한 관계, 넷째, 조선 후기 화상문화의 새로운 변화 등이다. ‘화상 텍스트’가 근세 동아한문화권을 공동으로 구축하는 데 指標와도 같은 요소이므로 본고는 필자가 오래 전부터 주목해 온 명청 화상문화를 참조 기준으로 삼아 조선 화상문화의 변천 맥락을 고찰하고, 김정희와 연경 문우 간의 화상 교유의 구체적 단서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조선과 명청 문인들의 개인 의식과 심미적 품위의 실질적 내용, 이동점, 추세 및 영향 관계를 밝히고, 조선 중후기 화상문화의 개황 및 변화 추세를 탐구하고, 명청 시야와 조선 화상 간의 대응 관계에 대해 깊이 연구하고자 한다. 이로 보아 김정희가 연경 文人圈에서 본 여러 가지 소중한 선물(화상)의 문화 효과는 나라와 지역이 다른 곳에서의 인연의 한 면일 뿐만 아니라 한중 교류, 더 나아가 동아한문화권 교류의 시각으로도 쓰기에 충분하다. 金正喜24歲隨父金魯敬出使入燕透過向乾嘉學者問學請益持續壹生對淸代學壇動向的密切掌握因嗜書畵而親炙翁方綱得以賞鑑石墨書樓的豊富收藏。自藤塚隣博士以降學者專家對於金正喜的硏究已積累紮實豊碩的成果。立基於此筆者著眼於翁金畵像墨緣由秋史的東坡笠극圖因緣切入本論題以禮物爲視角考察金正喜與燕京文人畵像交遊的事蹟及相涉問題展開以下諸面向的探討秋史見聞贈禮與壽禮互相授受的畵像情誼秋史燕京交遊建立的畵像視野明淸與朝鮮畵像文化彼此對應的絲縷關系朝鮮後期畵像文化的新變。畵像文本爲共同締造近世東亞漢文化圈的指標性元素本文以筆者長期關註的明淸畵像文化作爲慘照基礎衡諸朝鮮的演變脈酪把握金正喜與燕京文友畵像交誼的具體線索抉發朝鮮、明淸文士個人意識與審美品味的實質內容、異同趨向與影響련結觸探朝鮮中後期畵像文化的槪貌與轉變趨勢尋繹明淸視野與朝鮮畵像文化之間的對應關系。由此看來金正喜於燕京文人圈見證多種畵像的珍貴禮物其文化效應不僅止於異域跨國情緣之壹端而已亦足作韓中甚至是東亞漢文化圈交流影響的壹個有利視角。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