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아교정치료 서비스 만족 영향요인 연구: 의료소비자 기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미예 ( Kim Miyea ),옥경영 ( Ohk Kyungy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치아교정치료를 받는 의료소비자들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치아교정치료 서비스의 속성과 의료소비자 기대로 나누어 살펴보고, 특히 소비자 기대의 매개효과를 중점적으로 연구한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치아교정치료 서비스의 속성을 의료진 전문성, 의료기관 서비스, 평판, 가격으로 세분화하고, 의료소비자 기대 측면을 기능적 기대와 심미적 기대로 구분하여 의료소비자 기대를 매개로 치아교정치료 서비스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치아교정치료 서비스 경험이 있는 20-50대 의료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21.0과 SPSS PROCE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집단간 차이 분석(t-test), 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아교정치료에 대해 의료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속성을 의료진 전문성, 의료기관 서비스, 평판, 가격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각 속성 값의 인구사회학적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치아교정치료 서비스는 일반 의료서비스와 다르게 치료의 2가지 목적(치아 기능 향상과 심미적 손상 향상)이 있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소비자들은 치아교정치료 대한 2가지 기대(기능적 기대와 심미적 기대)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치아교정치료 서비스 만족은 의료소비자 기대를 매개로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료진 전문성, 의료기관 서비스는 소비자 기대를 매개로 의료소비자의 만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미적 기대 경로에서 평판 속성이 심미적 기대를 통해 만족으로 가는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치아교정치료 서비스의 속성과 의료소비자 기대를 통해 치아교정치료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일반 의료서비스와 구별되는 치아교정치료 서비스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s and consumer expectations on the satisfaction of customers using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s. For this purpose, we divided the attributes of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s into medical expertise, service, reputation, and price, and divided consumer expectation into functional expectation and aesthetic expectation and examined the effect of consumer expectation on satisfaction of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20-50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d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s. SPSS 19.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frequency, description, and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tributes of orthodontic treatment that consumers perceived importantly about orthodontic treatment are classified into expert, service, reputation, and price. However, the perception of each attribute in gender is different, and it is in line with the result of the sociocultural difference in the medical service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Second, satisfaction of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enhanced through consumer expectations. The effect of orthodontic treatment attributes and satisfaction on the mechanism of consumer expectation was confirmed.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differentiated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dental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 and customer expectation on dental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 satisfaction.

      • KCI등재

        역기능적 태도, 음주기대, 음주촉진신념과 알코올의존 재발가능성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채숙희,오수성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6 인지행동치료 Vol.6 No.2

        본 연구는 알코올의존의 재발가능성과 심리적 위험요소들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해서, 알코올의존의 재발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으로 역기능적 태도, 음주 기대, 음주촉진 신념 및 우울을 측정하였고, 종속변인은 재발경고 척도를 이용하였다. 먼저, 역기능적 태도, 음주 기대, 음주촉진 신념, 우울 및 재발가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역기능적 태도, 음주 기대, 음주촉진 신념 및 우울이 재발가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음주관련 신념들과 재발가능성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입원치료중인 알코올의 존 환자 147명이었다. 연구 결과, 알코올의존의 재발가능성을 유의하게 예측해 주는 심리적 요인은 우울, 음주촉진 신념, 그리고 역기능적 태도였다. 음주에 대한 긍정적 기대는 재발가능성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는 못했다. 우울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역기능적 태도와 재발가능성의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 역할을 하였고, 음주촉진 신념과 재발가능성의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 역할을 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sibility of relapse into alcohol dependence and the psychological risk fact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measured dysfunctional attitude, alcohol expectancy, alcohol facilitating belief, depression as psychological risk factors and relapse possibility scale as dependent variable. First,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dysfunctional attitude, alcohol expectancy, alcohol facilitating belief depression and relapse possibility. Relative effects of the dysfunctional attitude, alcohol expectancy, alcohol facilitating belief, and depression in the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on relapse possibility were examin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related belief and relapse possibility were also examined. The subjects were 147 inpatients in alcohol hospitals. The result was that the reliable predictors for relapse possibility of the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were depression, alcohol facilitating belief and dysfunctional attitude. The positive alcohol expectancy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for relapse possibility. Depression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dysfunctional attitudes and relapse possibility and between alcohol facilitating belief and relapse possibility.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여중생의 역기능적인 섭식태도와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조절 기대의 매개효과

        박미란(朴美蘭),이지연(李之連),장진이(張眞伊)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아시아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역기능적인 섭식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 변인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소재 중학교에 재학중인 여중생 20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부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조절 기대 등 관련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구조모형 검증 결과, 연구모형이 아닌 경쟁모형 2가 최종모형으로 검증되었다. 경쟁모형 2는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간의 직접적인 경로와 부정적 정서와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간의 직접적인 경로를 설정하지 않은 모형으로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 행동과 부정적 정서 자체는 직접적으로 역기능적인 섭식태도와 관련성이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한편, 부정적 정서 조절 기대는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간의 관계와 부정적 정서와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반면, 부정적 정서는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부정적 정서 조절 기대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역기능적인 섭식태도에 미치는 정서 관련 변인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올바른 섭식태도 형성을 위한 예방적 개입에서 정서조절 능력 향상과 부정적 정서 조절에 대한 기대 등에 대해 초점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n important variables related with dysfunctionl eating attitude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rvey included 204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Metropolitan area. Results of testing the model showed that perceived parent control directly influenced on negative emotion and expectancie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But perceived parent control and negative emotion didn"t directly influence on dysfunctionl eating attitude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testing of mediating effects indicated that expectancie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fully mediated between perceived parent control and dysfunctionl eating attitude and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dysfunctionl eating attitude. But negative emo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perceived parent control and expectancie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This results implicated that the ability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and expectancie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o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improved to prevent the dysfunctional eating attitud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negative emotion regulation in guidance and counseling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소셜 미디어의 특징과 기능 인지에 따른 트위터와 페이스북 대체의도

        이현지(Hyun Ji Lee),정동훈(Dong Hun Chu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5 No.4

        본 연구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대체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타 소셜 미디어의 기능적 유사성과 기대가치 등의 긍정적 요인과 정보 과부하,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 등의 부정적 요인이 현재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를 대체하고자 하는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트위터에서는 사회이슈 참여 기능, 타인 관계 형성 기능, 사적 정보 과부화 그리고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이 높을수록 트위터를 대신해 다른 소셜 미디어로 대체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은 반면, 페이스북에서는 사회이슈 참여 기능, 정체성 표현기능 그리고 기대가치 등이 높을수록 페이스북을 대신해 다른 소셜 미디어로 대체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에서 다른 소셜 미디어로 대체할 때 영향을 주는 변인이 다르며, 이러한 차이를 잘 활용한다면 새로운 소셜 미디어의 개발 또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내용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replacement intention to use other social media to Twitter users and Facebook users. This research focused on positive factors such as functional similarity and expectancy value, and negative factors such as information overload and information privacy risk. Controlling demographic factors, results show that social issue participation function, building new relationships function, private information overload and information privacy risk were statistically influential to Twitter users while social issue participation function, narrative identities function and expectancy value were statistically influential to Facebook users. The results imply that the replacement intention of the Twitter users and Facebook users are different, and thos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may play important roles to revise the present social media or create new social media.

      • KCI등재
      • KCI등재

        조사 '-마저'의 의미

        김수진(Kim Su-jin) 우리말글학회 2007 우리말 글 Vol.40 N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unctional meaning of a Korean particle majeo by investigating the entailment of the context in corpus. Majeo is well known as one of the auxiliary particles which is called 'limitative particle' like jocha and kkaji. Among these articles majeo has been said it's functional meaning is 'the last'. Analyzing the corpus examples, We focused 'the entailment of the sister members at the sentence' containing majeo. The former researchers mentioned the sentence containing majeo can be interpreted as only two types of entailment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shown that this particle can imply more than two varieties of entailments in a sentence unlike the former studies. In the previous studies, the number of researchers pointed out the functional meaning of majeo is related to the expectation of speaker, but it is proven not to be so by the research for the examples in corpus. Furthermore, when majeo is used in sentences, it can add not only negative meanings but also positive meanings to the sentences. This doesn't correspond to a couple of previous studies which have argued the functional meaning of majeo is 'negative directivity'. Although majeo mainly expresses an extreme 'negative directivity' in the sentences, it can also add an extreme 'positive directivity' in the sentences. In other words, we can say majeo is able to emphasize the situational meaning of sentences by representing the functional meaning of 'extremeness', and it can create 'the negative directivity' or 'the positive directivity' of the sent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