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 · 조 국경의 다층적 의미

        강주원(Kang, Ju-w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3 역사문화연구 Vol.45 No.-

        “등안(登岸)은 했지만 월경(越境)은 하지 않았다”라는 내용은 압록강에서 사람들이 할 수 있는 행위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다. 그들의 삶의 영역이 국경으로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고, 국경 너머와 공유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압록강에는 국경이 없다”라는 표현대로 살고 있다. 이는 압록강은 비록 국경이지만, 교류를 방해하는 국경의 의미가 없음을 말한다. 압록강은 양 국가를 이어주는 통로이자 공유지역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2000년대 접어들면서, 압록강은 공유(共有)지역에서 이제 경계(단절 혹은 분리)와 관련된 현상이 점점 짙어지는 국경으로 변화되고 있다. 그들의 공유의 삶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지만, 경계 즉 국경을 구분하는 요소와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살고 있는 단동사람은 국경 만들기가 강화되는 현상을 목격한다. 동시에 경계의 국경을 그들의 삶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전자는 전국 애국주의 교육 시범기지와 관련되어 있다. 후자는 또 다른 국경의 모습에서 볼 수 있다. 요약을 한다면, 압록강은 장벽이 아닌 공유로서의 국경의 성격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국경 만들기 강화(전쟁 역사 기념과 국경의 결합, 변경이자 국경의 상징물)와 또 다른 국경의 역할을 하는 요소(철조망, 압록강대로, 국경 관광지 경험)들이 결부되면서 중•조 국경은 공유와 단절이라는 다층적 의미로 해석된다. 경계의 성격도 계속 추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단동에서 국경의 상징물로 자리잡고 있는 만리장성을 형상화한 비석이 압록강대로의 철조망을 따라 곳곳에 세워졌다. 즉 중•조 국경 경계 팻말과 함께 역사적 경계가 현재의 중•조 국경의 상징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처럼 2010년대 단동의 국경지역과 중•조 국경은 애국주의 교육의 장이자 중국의 역사 속의 변경(국경) 확대와 현재의 국경 인식 강화의 장을 확인하는 곳으로 활용된다. 단동에서는 과거와 현재의 국경 만들기가 진행되고 있다. “You can go ashore but can’t cross the border.” This statement implies what people are allowed to do at the Yalu River. Their domains of life are not limited by the national boundary but rather extend into the areas across the border. Moreover, they live by the expression that “There is no national boundary at the Yalu River.” While the Yalu River is a national border, this signifies that there is no meaningful boundary that restricts exchange. This is because the Yalu River is a path that connects the two nations and generally characterized as a shared space. Since the 2000s, however, the Yalu River has been transforming from a shared space into a space characteristic of a national boundary that disconnects and separates. Although this is not affecting their shared lives, there are increasing elements and phenomena that categorize the border as a national boundary. The people of Dandong who live in such conditions witness the strengthening of the making of a national boundary. At the same time, they utilize the national boundary that divides as their means of life. The former is related to the nation wide patriotic educational demonstration. The latter can be viewed as another side of a national boundary. To summarize, although the Yalu River is not a wall and shows characteristics of a shared national border space, the combination of China’s fortifying national boundary making (war memorials, joining of national boundaries, border and symbols of national boundary) and other elements that act as a national boundary (barbed-wire fence, the Yalu road, experience of border tour sites) leads to multiple interpretations of the Sino-Korean border as a shared and disconnected space. In addition, there are increasing attributes as a boundary. For example, in 2012 stone tablets in the shape of the Great Wall, symbolic of China’s national boundary, have been erected near the barbed-wire fence by the Yalu road. These historical boundary objects together with the Sino-Korean border bulletin boards are utilized as current boundary symbols. As such, the border region of Dandong and the Sino-Korean border in the 2010s are at once a domain of patriotic education and a domain for fortifying the consciousness of China’s national boundary and confirming the expansion of its historical national border. In Dandong, national boundary making of the past and the present is ongoing.

      • KCI등재

        공유된 역사, 엇갈린 국경 -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경계 논쟁

        최아영 숭실사학회 2021 숭실사학 Vol.- No.47

        1920~1930년대 소련 정부가 중앙아시아에서 소비에트 공화국을 수립하기 위해 국경을 획정한 결과 5개의 국가가 만들어졌다. 그 결과 부하라, 사마르칸트와 같은 타지크인 최초의 왕조라 일 컬어지는 사만조가 번성했던 곳, 그리고 타지크인들의 문화유산이 집중되어 있는 문화 중심지가 모두 타지키스탄이 아닌 우즈베키스탄의 영토에 위치하게 되었다. 이 글은 소련 정부의 국경 획정 결과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사이에 존재하는 물리적 국경 과 역사 및 문화유산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 양국의 역사 교과서에 어떠한 내러티브로 기록 되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 이것이 독립 후 양국의 국가건설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살 펴본다. 타지키스탄의 역사 교과서는 중앙아시아 국경 획정 과정에서 타지크인이지만 범투르크주의자 였던 자디드들이 타지크인들의 이해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우즈베키스탄에 유리하게 국경을 획정 했다고 비난한다. 그러나 사만조 이후 타지크인들이 민족국가를 가지게 된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 인 입장을 보인다. 타지키스탄 역사 교과서는 현재 타지키스탄 영토의 지리적 경계를 넘어서 예전부 터 지금까지 타지크인들이 거주했던 모든 지역을 타지크인들의 역사 공간으로 포함한다. 한편 우 즈베키스탄의 역사서술은 우즈베키스탄의 영토에서 형성되었던 모든 왕조를 자신들의 역사로 편입 시키는 원칙을 가지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교과서는 타지크인을 ‘페르시아어를 말하는 투르크인’ 이라고 규정한다. 타지키스탄 교과서는 이를 반박하기 위해서 타지크인의 인종과 언어는 우즈베크 인과는 다른 인도유럽 계통에 속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양국 교과서는 타지키스탄과 우즈 베키스탄이 독립 이후 국가건설 과정에서 트란스옥시아나에 활동했던 중세 이슬람 학자들을 모두 자신의 조상으로 소환하여 대대적으로 기념하면서 각기 민족정체성 형성을 도모하고 있음을 기록 한다. 이러한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논쟁은 2000년대 양국의 국경통과 문제, 수자원문 제 등의 분쟁 이슈를 배경으로 공격적으로 진행되었지만, 2010년대 후반 중앙아시아 정상들의 지 역협력 의지가 강화되면서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소비에트 정부의 정교하지 못한 국경 획정으로 발생한 우즈베키스탄의 타지크인 집중 거주 지역, 접경지대에는 민족 간 충돌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이것은 또다른 역사 논쟁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As a result of the national-territorial delimitation of Central Asia by the Soviet regime in the 1920s and 1930s. 5 independent states appeared in this region. However, the region where the Samanid dynasty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Tajik state prospered,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enters of Tajiks, such as Bukhara and Samarkand, found themselves outside the ter ritory of Tajikistan. This work aims to analyze how such discrepancy between the state border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order is described in history textbooks of Tajikistan and Uzbekistan. The Tajik history textbook negatively describes the Jadids for the fact that they ignored the national interests of Tajik people in the process of national-territorial delimita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y themselves are Tajiks. However, the Tajik textbook has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fact that Tajiks now have their own national state. The textbook of Tajikistan includes in the pages of its history all the regions where the Tajiks have lived. In turn, the textbook of Uzbekistan shows that all the dynasty that existed in the territory of present-day Uzbekistan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history of Uzbekistan. Uzbek textbooks describe Tajiks as Persian-speaking Turks. In turn, the Tajik textbook emphasizes the Indo-European root of the language and race of the Tajiks. Also, both textbooks describe how Tajikistan and Uzbekistan have been trying to consolidate national identity by commemorating famous medieval Islamic scholars of Transoxiana as their own ancestors in the process of nationbuilding of newly independent states. Historical debate between Tajikistan and Uzbekistan escalated amid conflicts over border crossings and water resources in the 2000s. However, in the late 2010s, the leaders of Central Asian countries have shown their desire for regional cooperation and such a historical dispute has been suspended. But the risk of inter-ethnic conflict still exists in the regions of Uzbekistan, where ethnic Tajiks make up the majority of population or in the border region and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rising another historical debates between two countries cannot be excluded.

      • KCI등재

        전지구화시대, 여성이주 서사와 장소 만들기- 『리나』, 『바리데기』, 『찔레꽃』을 중심으로

        엄미옥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6

        Through this study, an aspect of women migrants in 『Rina』 which is a story of a North Korean female refugee written by Yeong-sook Kang, 『Baridegi』 written by Seok-yeong Hwang, and 『jille-ggot』 written by Do-sang Jeong was examined by place and reconstruction of identity. To this a complex aspect of women migrants that mechanism of rank, gender, race, and capital are operated in the globalized capitalism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viewpoint that place is composed socially.First of all in 『Rina』, Rina successfully escapes by passing the border but she cannot arrive in the destination, a country called P right away. And she gets exposed to sexual harassment and human trafficking. She gets suffered by sexual and labor exploitation but she cannot get protected by anyone. But by moving from place to place, Rina becomes a multi-layered subject which transforms identity by having the place. Furthermore, she wanders around the border area to profess to be a drift space. The drift space is reappeared as making a new place like performance art in the tent of the city of drug and tourism, performance stage in a square of free trade organization, and the occupation of club puzzle. It works as a space of resistant practice which collapses globalized capitalism and patriarchal order. In 『Baridegi』, the new sense of place is formed in Bari’s body that is in unity with Mrs. Emily, in a home through combination with Ali and in a townhouse which includes supranational marriage. The sense of place, which is plural and progressive, is created through such a multi-layered scale and it aims to be the place of combination and meeting, not separation and isolation. Such a sense of place extends the identity of Bari but it makes readers to consider that the incidents like 9.11 terror and U.S. and UK-led invasion of Afghanistan in the conclusion are very difficult to realize progressive sense of place. In 『jille-ggot』, through chain migration of a North Korean woman who replaces a Chinese Korean woman moved to South Korea,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of reproduction labor that is realized in the global economy system is revealed. The main character, Chung-sim is a victim of human trafficking by a Chinese Korean man. She escapes and moves around China as a refugee. Then she arrives in Korea. Although, Chung-sim becomes otherized in another boundary, she shows herself as an agency of a migrant woman who is negotiating with South Korea by keeping transnational relationship with her family in North Korea and by extension of making place. In summary, these three literatures show that identity is not formed unilaterally in the globalized capitalism and patriarchal order while a women migrant is crossing the border. But identity is reconstructed through exclusive possession of the place that she moves to and negotiation with the place. And by making new place, aspect that is realizing imagination of place is shown. 이 논문은 탈북 이주여성을 그린 강영숙의 『리나』와 황석영의 『바리데기』 그리고 정도상의 『찔레꽃』에 나타난 여성이주 양상을 장소와 정체성의 재구성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장소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관점을 토대로, 전지구화된 자본주의 속에서 계급, 젠더, 인종, 자본의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여성이주의 복합적인 양상을 규명하고자 했다. 먼저 『리나』에서 리나는 국경을 넘어 탈출에 성공하지만 곧장 P국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성폭력과 인신매매에 노출된 채 성노동과 노동착취에 시달리면서 아무런 보호도 받을 수 없는 예외상태가 된다. 그러나 리나는 이동하는 장소마다 그 장소를 전유하면서 정체성을 변형시키는 다중적 주체가 된다. 나아가 국경지대를 떠돌면서 표류공간을 자처하는데, 표류공간은 마약과 관광의 도시에서의 천막 공연, 자유무역기구 광장의 공연무대 그리고 클럽퍼즐의 점유와 같은 새로운 장소 만들기로 재현된다. 이는 전지구화된 자본주의와 가부장적인 질서를 와해시키는 저항적 실천으로서의 공간으로 기능한다. 『바리데기』에서 새로운 장소성은 에밀리 부인 등과 연대하는 바리의 몸, 알리와의 결합을 통한 가정 그리고 초국가적 결혼경관을 포함한 연립주택이라는 공동체 안에서 형성된다. 이처럼 다층적인 스케일을 통해 생성되는 복수적이고 진보적 장소감은 분리와 격리가 아닌 통합과 만남의 장소를 지향한다. 이러한 장소감을 통해 바리의 정체성은 확장되지만, 결말의 9.11테러와 미국과 영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등의 사건은 진보적 장소감의 구현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를 성찰하게 만든다. 『찔레꽃』은 남한으로 이주한 조선족 여성의 자리를 메우는 북한여성의 연쇄이주를 통해 글로벌 경제 시스템 속에서 이루어지는 재생산 노동의 국제분업의 양상을 드러낸다. 조선족 남성에게 인신매매로 팔려간 충심은 탈출하여 중국에서 비법월경자로 떠돌다가 남한에 정착한다. 충심은 비록 또 다른 경계 속에서 타자화 되지만, 북한에 있는 가족과 초국적 관계를 유지하고 확장하는 장소 만들기를 통해 남한이라는 장소와 협상하는 이주여성의 행위자성을 보여준다. 요컨대 세 작품은 이주여성이 국경을 넘어 이주하면서 전지구화된 자본주의와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일방적으로 정체성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이주한 곳에서 장소의 전유와 협상을 통해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장소 만들기를 통해 상상의 장소를 실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KCI우수등재

        다문화사회에서의 국경만들기와 갈등의 극단화 - 대구 북구 이슬람사원 건립 갈등을 중심으로

        육주원 비판사회학회 2023 경제와 사회 Vol.- No.139

        For the past 20 years in South Korea, multicultural discourse has flourished while Korea has rapidly chang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public discourse regarding immigration has shifted from interest in the migration development nexus, towards anti-multicultural discourses of putting Korean nationals first, that link migration with security concerns. Through the lens of ‘bordering’,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the hate and exclusion towards immigrants that have recently been on the rise, since the Yemeni refugee crisis. By examining the Mosque construction conflict, that has been ongoing since 2021 in Daegu, it investigates the nature of social conflicts surrounding immigration and racial, cultural, and religious differences in South Korea. The bordering practices of the anti-mosque residents are analysed as occupying space and exhibiting multi-sensory territorial behaviour, closely linked with the politics of racial belonging. Furthermore while recognizing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s migration control mechanisms and the residents’ politics of belonging as mutual determination, this paper highlights that the inaction of the state, in effect, also plays an active role in bordering practice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such bordering practices, employing the notion of hierarchical distribution of rights between ‘Korean nationals’ and non-nationals, have strengthened the link between the bordering practices of ‘Korean nationals’ and the state, leading to the exclusionary nature of the nation state becoming more prominent. At the same time, the hierarchical and exclusionary practices of nationalism are not perceived as discrimination or racism, allowing hate to grow and social conflicts to escalate, in a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다문화예술교육의 운영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국경 없는 문화 도시 천안만들기를 중심으로

        정지은(Ji-Eun Jung),윤소민(So-Min Yoon)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1

        현재 우리나라는 다인종, 다문화사회로 빠른 변화를 겪으면서 다문화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과 한국가정의 아이들이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교류하는 사례로 ‘국경 없는 문화 도시 천안만들기’를 선정하여, 다문화예술교육의 기획·실행·평가 단계의 특징들을 분석하고, 향후 다문화예술교육의 운영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기획 단계는 다양한 기관과의 협업관계가 구축되어 있으며, 충남문화예술협동조합 주관 및 천안시 도시재생센터, 천안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협력 아래 진행되었다. 둘째, 실행 단계는 다문화가정과 한국가정 자녀들을 따로 모집하여 1학기에는 각 분리 수업으로, 2학기에는 통합교육으로 진행하였다. 이는 각 나라별 문화 체험 및 이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합동 공연을 선보이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는데, 다문화와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교육과정이 되었다. 셋째, 본 연구 사례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효과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보면,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공감’, ‘공동체 의식 함양 및 협동심 형성’,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증가’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Multiple cultures is attracting attention today as the nation is going through rapid changes by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making a cultural city, Cheonan, without borders’ as an advanced cas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Korean family exchanging cultural arts activity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planning·implementation·evaluation stage of multi-cultural arts educ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regarding the operation strategy of multi-cutural arts education of the future. Also, this study conducted and analyzed in-depth inter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em comprehensivel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various agencies was constructed for planning stage and was conducted with support of Chungnam Culture & Art Cooperative, Cheonansi Urban Restoration Center, and Cheonansi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Secondly, the implementation stage was conducted through separated class in 1st semester by recruit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Korean family separately and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in 2nd semester. This was completed by presenting a joint performance to increase cultural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by country, and became an educational process that expanded understanding of multiple cultures and Korean culture. Thirdly, the integrated positive effects appeared in the case of this study included ‘understanding and compassion for multiple cultures,’ ‘cultivation of community spirit and formation of cooperative spirit,’ and ‘increased interest in cultural art.’ Lastly, this study proposed implications through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a follow-up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