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 웨슬리의 구원론 탐구 ― 그의 인간론의 관점에서

        최승태 ( Choi¸ Seungtae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4 No.-

        구원론은 초대교회부터 지금까지 기독교 신학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다루어진 분야이다. 그래서 기독교의 구원론은 여타의 교리들, 신론, 창조론, 인간론, 기독론, 성령론, 교회론, 종말론 등을 수렴하는 핵심적인 교리가 된다. 인간이 죄를 지은 이래로, 성서의 초점이 인간의 구원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원을 뺀다면, 기독교의 다른 교리들은 의미를 상실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데 성서는 구원의 현재뿐 아니라, 미래의 완성에 대한 비전까지 제시하고 있다. 성서적 구원관이 현재뿐 아니라, 미래적인 의미를 갖는다면, 구원은 하나의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구원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지점에서 종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거기에서 시작되어 살아있는 동안 계속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성서가 제시하는 구원의 특징이고, 웨슬리는 구원의 이런 특징을 가장 잘 이해한 신학자이다. 그래서 그는 어느 신학자보다도 “구원의 질서”라는 이름으로 구원의 전 과정을 세밀하게 전개한다. 웨슬리가 구원론을 세밀하게 전개하는 토대는 인간의 죄 성에 있다. 이것은 그가 인간에 대한 성서의 가르침을 그대로 따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그는 성서의 가르침대로 인간이 원죄를 지닌 죄인으로 태어난다는 점을 확실하게 선포했다. 인간은 죄를 지어서 죄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죄인이기에 죄를 짓는 존재라는 것이다. 말하자면, 웨슬리는 모든 사람이 죄 안에 있으므로 구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한 것이다. 그러므로 웨슬리의 구원론은 천로역정의 주인공처럼, 죄의 심연에 빠진 인간이 거기에서 헤어나와 구원의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한 편의 드라마를 연상시킨다. 특히 웨슬리는 죄를 죄의 형벌, 죄의 세력, 죄 자체로 분석하여 구분하면서, 칭의와 중생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 있는 죄 자체에 대한 처리까지를 구원으로 봄으로써, 성화에 무게중심을 둔 구원론을 전개한다. 이처럼 성화에 초점을 맞춘 웨슬리의 구원론은 인간의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한국교회는 칭의에 초점을 둠으로써, 믿음과 행위를 배치되는 것으로만 여겼고, 이로 인해 칭의 이후의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이 부족하였다. 이것이 오늘 한국교회를 불신의 대상으로 만든 원인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이런 점에서, 인간의 삶 전체와 구원의 과정을 연결시키는 웨슬리의 구원론은 한국교회의 구원론을 수정 혹은 보완해 주어, 한국교회로 신앙적 삶의 차원을 회복하도록 도와주는 좋은 틀이 되리라 생각된다. If the gospel is the heart of Christianity, and if the gospel sums up the whole of the Bible, we can say that it refers to the doctrine of salvation. For the Bible was made and still exists for salvation. Thus the gospel and salvation are inseparable from each other. For Wesley, salvation is the greatest important concept of Christianity because he think that the Bible proclaims salvation as the most precious value of all. In this context, salvation about which he speaks is not one sided, but wholistic. For he says that salvation should contain the whole of salvation from prevenient grace through justification and new birth to perfect sanctification. And he develops it in the name of the order of salvation. It is paralleled with the whole process of human life because it should be realized throughout human life. In fact, it is not easy to see theologians who speak about the order of salvation in a great detail like Wesley. Furthermore, his doctrine of salvation maintains the balance between Christology and Pneumatology by emphasizing both the crucified Christ for us, and the Christ indwelling in us, that is, the Holy Spirit. Therefore, Wesley’s doctrine of salvation exactly tells us what the gospel is. Thus it is helpful and useful for today's Korean Church which tends to concentrate on Justification and to overlook the whole process of human life. So I believe that Wesley’s doctrine of salvation can correct and supplement the wrong salvation theory of Korean church. For Wesley’s doctrine of salvation harmonizes biblical salvation with life as a whole.

      • KCI등재

        호세아서에 나타난 구원신탁 연구

        김래용(Kim, Rae-Yo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70

        이 논문은 호세아서에서 심판신탁과 짝을 이루어 나타나는 5개의 구원신탁(호 1:10-2:1; 2:14-23; 6:1-3; 11:8-11; 14:4-8)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의 위치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이들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 번째 구원신탁은 그 내용과 위치를 고려할 때 호세아서의 서론 역할보다는 12소예언서의 전체적인 서론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달리 나머지 4개의 구원신탁은 하나의 연결된 스토리를 구성하는 것처럼 보인다. 다시 말해 두 번째 구원신탁은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통해 구원 받을 자의 자격을 논하고 있으며, 세 번째 구원신탁은 이러한 자격을 입은 자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고, 네 번째 구원신탁은 앞의 두 개의 단계를 거친 자들에게 임하는 실질적인 축복이 제시된다. 그리고 마지막 구원신탁은 이러한 과정을 통과한 자들에게 아주 큰 번영이 임할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4개의 구원신탁은 구원의 단계를 점층적으로 전개하는 완벽한 스토리라고 볼 수 있다. 게다가 마지막 구원신탁에 언급된 “내가 다시 우상과 무슨 상관이 있으리요”라는 백성들의 고백은 바알의 문제로 시작된 호세아서가 바알의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호세아서에 나타나는 5개의 구원신탁은 호세아와 그 이후 시대의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구원이 어떻게 시작되며 진행되어 가는지를 제시하는 교훈서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5개의 구원신탁은 현대교회의 신앙 교육을 위한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he five oracles of salvation(Hosea 1:10-2:1; 2:14-23; 6:1-3; 11:8-11; 14:4-8) which are composed of a pair with the five oracles of judgment in the book of Hosea. For this, I will analyse their languages, syntax, contents, and structures and compare them with each other. In the last part, I will compare the oracles related to Judah with the five oracles for checking their functions. The five oracles of salvation have their characteristics and roles. The first oracle has the subjects such as reunion between Judah and Israel, one leader for the two kingdoms and the return of exile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Hosea's historical situations. Furthermore, the book of Hosea is placed in the first place of the Book of the Twelve. Accordingly, the first oracle seems to serve as an example of salvation messages for the later prophets in the Book. The oracles from the second to the fifth seem to make a continuous story. The second oracle mentions the people who make a new covenant with God. They become the object of salvation. The third oracle mentions the instructions that the people who make a covenant with God should keep for the life as God's covenant people. The fourth oracle mentions the blessing for God's covenant people. And the fifth oracle mentions the prosperity for God's covenant people. Further, there is a people's confession, “What more have I to do with idols?”(Hosea 14:8). Th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book of Hosea. That is, this shows a fact that the book of Hosea begins with the problems of Baal, and the problems are solved by the people's confession like this. In this regard, the five oracles show the steps of God's salvation to the people of Hosea period or the later prophets' period. Accordingly, they might serve as a good guideline for faith education of modern churches.

      • KCI등재

        구원 실재에 참여로서의 세례의 회복 문제

        한재동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1

        본고는 세례의 초기교회적 의미를 현대교회의 맥락에서 회복하는 문제를 다룬다. 본고는 이 주제가 고대교회 의 구원론과 현대교회의 구원론 사이의 괴리와 연결된 문제임을 보여 준다. 즉 세례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의 문 제는 현대교회가 가벼이 여기는 한갓 의례관련 문제만이 아니라 기독교 신학의 대들보에 해당하는 주제에 불 가피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라는 것이다. 신약성경과 초기교회 전통은 구원을 세례와 분리시켜 생각하지 않았 다는 것이 명백하며 이 전통은 중세는 물론 종교개혁에도 이어졌다. 구원과 세례의 고대적 연결이란 구원을 세 례를 통해 주어지는 것, 다시 말해 세례가 드러내는 특별한 조건에 의해 참여되는 것으로 이해했다는 것을 의 미한다. 필자는 세례가 드러내는 특별한 구원의 조건을 자연성과 초자연성의 만남과 연합으로 본다. 즉 구원은 자연적인 것(물질과 몸)과 초자연적인 것(영적 및 신적인 것)이 실재적으로 연합에 참여하는 것이란 것이다. 세례는 이 같은 구원의 조건과 실재를 단순한 말보다 더 포괄적이고 실질적으로 드러내며 그렇기 때문에 또한 구원의 실재에 말보다 더 전인적이고 실질적으로 참여케 하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세례는 사실상 구원과 무관한 전통적 의례로 전락하였다. 자유주의 진영에서는 구원의 초자연적 실재를 인정하지 않는 신학적 맥락에서 그렇고, 복음주의 진영에서는 구원의 초자연적 실재를 인정 하지만 그 실현의 현실적 맥락으로서의 자연성의 역할을 무시하기 때문에 그렇다. 즉 양쪽 모두에서 세례가 구 원의 실재에 참여하는 수단으로서 인정되지 못하는 것은 단지 세례 예식의 이해 문제만이 아니라 보다 심각한 구원의 이해에 대한 현대적 이해의 오류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 같은 현대적 오류의 배후에 근대주의 적 발상과 영향이 있음을 본다. 즉 초자연성을 거부하는 자연주의적 발상과 교회의 우주적이고 실재적인 차원 을 무시하는 주관적 개인주의의 경향이다. 이에 대한 치유책은 세례를 구원의 실재에 참여하는 수단으로 보는 고대교회의 이해와 실천을 회복하는 데서 찾을 수 있음을 필자는 주장한다. 신학적 오류에 의해 본래의 의미와 역할을 상실한 의례적 형식이지만 왜곡된 신학을 바로 잡기 위해 의례적 형식의 본래적 의도의 이해와 실천을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고대적 세례교육과정의 회복과 세례식에서 침수례(immersion)와 거절(apotaxis)-귀속(syntaxis)의 의례를 회복시킬 것을 필자는 권장한다. 요컨대 기도의 법(lex orandi)을 무 시한 믿음의 법(lex credendi)의 왜곡을 기도의 법의 회복을 통해 바로 잡을 필요를 본고는 제안하는 것이다. The article treats the matter of restoring the early church’s baptismal meaning in our contemporary contexts. It shows that this subject is related to the estrangement between the ancient church’s soteriology and the modern one. That is, the matter of how to understand baptism is not a mere ritualistic problem, of which the modern church does not make much, but a more significant one to inevitably influence a mainstay-level subject of Christian theology. It is apparent that the New Testament and the early church tradition did not consider salvation and baptism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the tradition continued not only in the middle age but also in the Reformation period. The ancient connection of salvation and baptism meant that salvation is given through baptism, in other words, taken part in by meeting the special conditions revealed through baptism. The author views that the special condition revealed through baptism is the encounter and union between the natural and the supernatural. That is, salvation is to participate in the realistic dimension of the union between the natural (matter and body) and the supernatural (the spiritual and the divine). Baptism is a means to disclose the salvific condition and reality in more comprehensive and substantial mode than mere verbal words and so to help participate in the salvific reality in more wholesome and substantial mode than mere words. But baptism has fallen into an insignificant traditional ritual, in fact, unrelated to salvation in the modern era. On the one hand, the liberal camps receive and interpret baptism into the non-traditional theological views, which do not acknowledge the supernatural reality of salvation, and on the other, the evangelical camps, while acknowledging the supernatural reality of salvation, ignore the role of the natural as the actual context. That baptism is not accepted as means to participate in the salvific reality does not imply a mere ritualistic problem of baptismal ceremony but a more serious problem of a modern distorted understanding of salvation. The author observes a modernistic view and influence in the background of that contemporary fallacy. This is the naturalistic view, which denies the supernatural, and subjective individualism, which ignores the universal and realistic dimension of the church. The curing method for it is, the author claims, found in restoring the ancient understanding and practice that regards baptism as means to participate in the reality of salvation. While theological fallacies distort the original meaning and role of the ritual form, the repair of distorted theology is possible by restoring the proper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at ritual form. Especially, the restoration of the ancient catechetical process and the practice of immersion and renunciation-submission (apotaxis-syntaxis) is recommended. In sum,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distortion of the law of faith (lex credendi) through ignoring the law of prayer (lex orandi) should be repaired by the restoration of the law of prayer in terms of the latter’s legitimate understanding and practising.

      • “오직 그리스도만이”

        김균진(Kim Kyuun Jin) 혜암신학연구소 2017 신학과교회 Vol.8 No.-

        중세기 스콜라 신학을 충실히 공부하였던 수도사 루터는 그에게 영향을 준 옥캄의 유명론의 세미펠라기아니즘의 구원론을 거부하고, 바울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구원론에 눈을 뜨게 된다. “탑 속의 체험”에 얻은 그의 확신에 따르면 비록 세례를 받고 죄 용서를 얻었다 할지라도 인간의 마음 깊은 곳에는 죄의 욕망(concuspicentia)이 숨어 있다. 그러므로 비록 성인이라 할지라도 자신의 업적을 통하여 인간은 구원에 이를 수 없다. 구원의 길은 “하나님의 지혜”이신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 안에 있다. 그리스도만이 우리의 구원자다. 이 같은 통찰을 통해 루터의 구원론은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 곧 칭의론으로 전개된다.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은 그 속에 사회 정치적 함의를 가진다. 오직 그리스도만이 우리의 구원자요, 그의 구원을 얻을 수 있는 길은 신자들의 믿음에 있다면, 구원의 중재자인 성직자 계급과 교황체제가 무너지게 된다. 그 당시 유럽 사회에서 가장 강력한 사회 정치적 세력이 무너진다. 바로 여기에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의 사회 정치적 의미가 있다. Martin Luther, who studied in his time as a young monk the scholastic theology of the Middle Age very throughly, was influenced by semipelagianistic soteriology of the nominalism of Occam. But through his very concentrated study in Bible as Bible Professor he accepted the theological insights of the Apostel Paul and Augustinus into justification “sola gratia,” “sola fide” and “solo Christo.” He turned from the soteriology of Semipelagianism to the soteriology on Jesus Christ grounded. For Luther Jesus Christ crucified only (Solus Christus) was the Saviour and the head of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When the Christians get their salvation only through their faith from Jesus Christ personally, the special class of the clericals as the mediators of salvation between God and men is abolished. In the Middle Age it was the greatest revolution as well in religious dimension as in the social, political dimension. Here is the social and political meaning of Luther’s soteriology on the crucified Christ grounded.

      • 구원상담

        서영희 성결심리상담연구소 2010 성결심리상담 Vol.2 No.-

        본 연구에서 ‘구원’이란 하나님께로부터 시작되어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루어진 인간의 죄로 인한 질병과 고통뿐만 아니라 영혼에 대한 전인격적 구원을 의미한다. 결국 구원상담(soul wining counseling)이란 구원의 좀 더 좁은 의미에서, 개인적으로 구원에 대하여 갈등을 느끼고 있거나 또는 말씀을 듣고 구원을 받기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복음을 소개함으로써 내담자가 예수 그리스도를 자신의 구세주로 영접하여 하나님의 선물인 영생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상담으로 정의한다. 구원상담의 내용으로는 개인의 구원을 이루기 위한 믿음, 회개, 입으로 시인하는 구원의 3요소 과정을 포함해야 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하기로 결단하는 신앙고백으로 인도해 가는 과정과 함께 회개를 통해 인간의 심각한 죄성, 죄책, 무력함에 대하여 깨닫게 하여 하나님께 죄의 뉘우침과 방향을, 행위 뿐 아니라 내적으로 전환하도록 돕는 전 과정이 포함된다. 구원상담을 위한 실제적인 방법은 먼저는 내담자의 영혼 상태를 진단하고,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통해 죄인임을 깨닫게 함과 동시에 상담자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복음의 메시지를 선포할 수 있어야 하고, 이것에 대해 내담자가 개인적 결단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원상담의 실제적인 방법을 위한 사례 연구를 제시하였다. Salvation in this study means that is from God and only through Jesus Christ to save whole person from not only disease and pain due to the sin including Spirit. Salvation has been attained already and also it is explained as a process of being attained. Ultimately, Soul wining counseling is defined in a narrow viewpoint to introduce the gospel of Christ through the scriptures to the one who struggles for salvation personally as well as to the one who wants to be saved through the scriptures and in results the counselee accepts Christ Jesus as their savior to receive the eternal life as the gift from God. Content of Soul winning counseling contains three components for salvation are the faith for personal salvation, repent and confess through the mouth. That is, through the faith in Christ Jesus, leading the person to welcome Christ as the Savior in the process, together with in repentance to realize the seriousness of sinfulness, guilt, powerlessness and so one can repent of sin in order to help one to be changed from inside out. That is the whole process of Soul winning counseling in this paper. Practicality for Soul winning counseling is a) diagnosis the condition of counselee’s spirit & soul b) to help counselee to realize that they are sinners through their problem as well as the counselor proclaims the gospel of salvation through Christ Jesus c) in response, help counselee to welcome Christ as their savior. This study presents examples for practical methods of Soul winning counseling at the last session.

      • KCI등재

        다종교 사회를 위한 신약성서의 구원론 -반-인식론적(semi-epistemic) 구원론을 중심으로

        김충연 한국신약학회 2019 신약논단 Vol.26 No.1

        Die Welt bzw. koreanische Geselschaft ist schon in die kulturelle und religiöse Vielfalt eingegangen. Aber das koreanische Christentum halten noch exklusive Züge fest, obwohl die Gesellschat die Hamonie miteinander fordert. Das Christentum muss nun mit anderen Religionen ohne die Dissonanz koexistieren. Dafür wird die biblische Auflösung gebrauchen, die anderen Leute respektieren und miteinander zusammenleben können. Was ich per diese Forschung vorschlagen würde, ist die halbepistemische Soteriologie, die die Menschen den Plan bzw. den Wille des Gottes usw. nicht perpekt sondern nur teilweise erkennen können. D.h. die Menschen müssen anerkennen, die absolute Wahrheit und die Rettung Gottes usw. nur teilweise zu erkennen. Ich habe unter dieser Methode (Halb-epistemische Soteriologie) 3 Thesen subordiniert. Erstens ist die Unerwartung der Rettung, die die Rettung unerwartet eingegangen wird, als man denkt. z.B. Lk. 10:25-37; 16:19-31; 18:18-30; 19:1-10. Zweitens, ist die Zugehörigkeit der Rettung, die die Rettung nur dem Gott gehört und der einzige Bereich des Gottes. z.B. Die Offb. 7:10; 19:1 und Jak. 4:11-13. Drittens ist das Unverständnis der Rettung, die Menschen der Plan der Rettung Gottes unerkennen können. z.B. 1.Kor 13:9-13; Apg. 17:16-34. Mit diesen Texten können wir ausser der absoluten Soteriologie die andere Variante der Rettung in der Bibel finden. Wir müssen einerseits das eigene christliche Identität nicht verlieren aber zugleich anderseits die Variante des Soteriologie Gottes in den anderen Kulturen und Religionen nicht beschränken. 세계가 이미 국제화/다문화로 가고 있는 흐름을 따라 한국 사회도 다종교/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행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변화의 요구 속에서도 기독교는 기존의 배타적 성향이 강한 구원론으로 인해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맞는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 기독교는 더 이상 한국 사회의 또 다른 일원인 이웃종교인들과 불협화음을일으키며 사회적 불화의 근원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러한 다종교/다문화 사회 속에서 서로 융합되어 상생할 수 있고, 서로 존중할 수 있는 새로운 성서적 대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성서적 대안은 반 인식론적 구원론이다. 이 개념은 ‘반’(半)의 의미를 갖은 semi와 ‘지식’과 ‘인식’의 의미를 갖은 epistemic의합성어이다. 반-인식론(半認識論)은 인식론(Epistemology)의 한 부분으로 우리가 절대자, 신에 대하여 전부 알 수 없음을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의미론적으로 해석하면, 인간은 신 또는 절대적 가치(본 연구에서는‘구원’으로 그 범위를 제한하려한다)의 지식에 대하여(전부가 아닌 일부 혹서 시작한다. 이것은 다시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 구원이 일반인의 생각과 다르게 전개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구원의 의외성(意外性)’이다. 여기에는 누가복음의 구원에 관한 다섯 가지 에피소드가 속한다. 둘째는 구원은 하나님만이 하실 수 있는 고유 영역임을 말하는 구원의 귀속성(歸屬性)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본문들은 요한계시록의 본문들(7:10; 19:1) 그리고 야고보서 4:11-13절의 본문들이 속한다. 마지막 세 번째는 한계를지닌 인간의 이성으로는 하나님의 구원계획을 다 이해할 수 없음을 말하는 구원의 몰이해성(沒理解性)이다. 이에 해당되는 본문으로는 고린도전서13:9-13; 사도행전 17:16-34이다. 이러한 본문들은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우리는 지금껏 신약성서에 나타난 배타적인 구원론만을 강조하였지만 신약성서는 다양한 구원에 관한시각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본문들을 통해 한편으로는 기독교인으로서 정체성을 잃어서는 안 되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가 기존의 구원론 안에 하나님과 우리 자신을 가두고 있지 않은지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 구·신약에 나타난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관점으로 본 아브라함의 구원 (성령운동의 관점: 여호와의 이름의 인용과 마음의 할례 중심으로)

        한상현 ( Han Sang Hyu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7 생명과 말씀 Vol.19 No.-

        베드로는 오순절 성령강림을 체험 한 이후에“천하 사람 중에 구원을 받을 만한 다른 이름을 우리에게 주신 일이 없음이라 하였더라(행 4:12)”고 설교 한다. 그는 예수님의 제자가 되기 전에 보통 이스라엘 백성들과 같이 유일신 하나님을 믿고 있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와 3년 4개월 정도를 함께 동행 하면서 예수 그리스도가 구약으로부터 예언 된 메시아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오순절 성령강림 이 후에 예수 그리스도 만이 구원자이시며, 구약의 백성들도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 받았음을 선언한다. 그 예로 베드로는“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받으리라”고 선언한다(행 2:21). 이는 요엘 선지자가 선언한“누구든지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니라”를 인용한 것이다(욜 2:32). 그리고 이어서 베드로는 시편 16:8을 인용하여“다윗이 항상 내 앞에 계신 주를 뵈었다”라고 선언한다(행 2:25). 구약에서는 주를 여호와로 기록하고 있다. 즉, 베드로는 구약의“여호와”가 신약에서는“주”로 해석되었음을 선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베드로는“다윗이 주의 이름을 부르며 구원 받았음”을 선언하는 것이다. 이를 확증할 수 있는 본문은 예수님께서 하셨던“다윗이 성령에 감동되어 어찌 그리스도를 주라 칭하여 말하되”이다(마 22:43). 다윗이 그리스도를 주라 고백할 수 있었던 것은 성령님의 임재 때문이다. 왜냐하면 요한은“보혜사 곧 아버지께로부터 나오시는 진리의 성령이 오실 때에 그가 나(예수님)를 증언 한다”고 기록한다. 요엘 선지자의 선언과 마찬가지로 다윗은 성령님을 통하여“주(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며 구원 받은 것”이다(욜 2:32). 이와 마찬가지로 구약의 대표적인 인물, 아브라함도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 받았다. 바울은“성경이 미리 알고 먼저 아브라함에게 복음을 전하되”(갈 3:8)라고 선언 한다. 이는 아브라함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의 복음을 먼저 받은 자임을 소개한다. 그 복음이 창세기 12:1-3에서 시작된다. 여호와는 정하신 자 아브라함을 부르시고, 땅의 모든 족속이 그를 통하여 복이 주어질 것을 선언하신다(창 12:1-3). 아브라함이 받은 복에 대하여 사도 바울은“성령”(님)이라고 증언한다(갈 3:14). 그리고 아브라함은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을 건넘으로 구원의 이후의 첫 여정의 시작과 함께, 제단을 쌓고 제사를 드리며, 여호와의 이름을 부른다(창 12:8; 13:4; 21:33). 아브라함도 요엘 선지자가 선언한 것과 같이 여호와(주)의 이름을 부르며 구원을 받았다(욜 2:32). 또한 요엘 선지자는 만민에게 내 영(성령님)을 부어주실 때에“장래의 일과 꿈과 환상(이상)이 일어 날 것”을 선언한다. 결국 예언과 꿈 그리고 환상은 영이 임하셨을 때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아브라함에게 영이 부어졌다는 말씀을 생략되어 있지만, 여호와의 말씀이 아브라함을 찾아오실 때에 환상을 경험한다(창 15:1). 환상과 동시에 그는 먼저 만민에게 부어질 영을 경험한 것이며, 영의 임하심을 경험한 아브라함에게 새 영을 통한 마음의 할례와‘여호와의 말씀’을 통한 구원을 베푸시는 주님을 환상(???????) 중에 경험한 것이다.”태초에 주님께서 말씀으로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며, 그 말씀이 육신이 되어 이 땅에 오신 것처럼(요 1:1,14), 구약에서 예수님은 말씀으로 계셨다. 그 말씀이 바로 아브라함을 찾아오신 히브리어 연계형의“여호와의 말씀”(??????????? ??)이다. 아브라함은 구약에서 말씀으로 계셨던,“여호와의 말씀”인“주님을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는다(창 15:6).”아브라함에게 의롭다 하심이 일어 날 수 있었던 것은 그에게 복음이 먼저 증거 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바울이 환상가운데 하나님의 우편에 앉아 계신 주님을 만난 것과 비슷하다(창 15:1; 행 18:9). 사도 바울과 스데반이 하나님의 우편에 앉아 계신 주님을 환상가운데 보았다면, 아직 주님의 초림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 있는 아브라함도 성령님의 감동을 받아 그리스도를 주라 고백하였던, 다윗처럼 환상가운데 주님을“여호와의 말씀”으로 만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를 더욱 뒷받침 해 주는 본문은 요한복음 8:56이다. 이는 아브라함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 받았음을 확인시켜주는 본문이 된다. 예수님은“아브라함이 나의 때를 즐거워하다가 보고 기뻐하였다”라고 말씀하신다(요 8:56). 아브라함은 이미 예수님의 때(십자가와 부활)를 즐거워하였고, 그리고 예수님을 구약 당시에 이미 보고 기뻐하였음을 선언하는 것이다. 이는 아브라함이“여호와의 말씀”으로 오신 주님을 만났으며, 칼빈이 선언한“그리스도의 선재”의 모습으로 아브라함에게 찾아오신 세 사람 중, 여호와로 불려진,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를 만났음을 의미한다(창 18:1-3, 22). 아브라함은 창세기 12:1-3에서 부르심을 경험한 이후에도 여호와가 지속적으로 찾아오심을 경험한 것이다. 이는 마치 신약 백성이 오순절 성령 강림 이후에“항상 옆에서 상담자가 되어주시는 보혜사 성령님을 연상케 한다(요 14:16; 시 16:8). 신약에서 오순절 성령 강림을 체험한 이 후에 항상 옆에 계신 보혜사 성령님과 동행 하듯이, 구약에서는 아담과 에녹, 아브라함, 모세, 다윗 등은 여호와의 영(성령님)과 대화를 나누며 동행함을 볼 수 있다. 이는 아담이 에덴동산에서 하나님과 함께 거닐면서 대화를 나눴던 원복음의 회복이라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아브라함은 이삭을 대신하여 어린양을 준비하시는 과정을 통하여, 앞으로 오실 메시아가 어린양과 같이 희생의 모습으로 오실 예수 그리스도이심을 깨달았을 것이다(창 22:8). 오늘날까지 사람들은 그 메시아가 여호와의 산에서 준비 될 분이심을 깨닫게 된다(창 22:14). 그리고 아브라함이 이삭을 번제로 드리고 종들에게 돌아 올 것을 선언한 구절은“하나님께서 이삭을 죽여도 다시 살리실 것”을 믿는 아브라함의 부활의 신앙을 제시 해준다. 그는“메시아가 죽어도 다시 살아날 분”임을 깨달았을 것이며, 아브라함의 씨가“대적의 성문을 차지할 메시아로써”(창 22:17-18), 대적의 성문을 십자가와 부활하심으로 차지하실 것도 깨달았을 것이다(요 8:56). 이와 마찬가지로 아브라함은 죄악 된 세상에서 복음을 먼저 듣고(창 12:1-3; 갈 3:8), 여호와께 제단을 쌓고 주님의 이름을 불렀으며(창 12:8; 13:4; 21:33), 여호와의 말씀으로 찾아오신 주님을 믿음으로 의롭다 칭하심을 받는다(창 15:1; 6). 그리고 이삭 대신하여 드려지는 어린양을 통하여, 앞으로 대적의 성문을 차지할 메시아를 믿고 구원 받은 것이다(창 22:5, 8, 17). Based on“compositional strategy”and insights regarding “Theology of the Holy Spirit in the Old Testament,”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at the Old Testament talks about Salvation and whether Salvation can be understood as the“starting point”for the“Movement of the Holy Spirit”in Reformed Life Theology. Intertextuality was chosen as the methodology for this dissertation as a way to suggest that the texts on Salvation in the New Testament are connected with those in the Old Testament. This dissertation determines the definition of salvation in the New Testament as well as the relevant texts regarding regenerated characters, and applied the results to research on salvation in the Old Testament. Intertextuality has three subcategories: quotation, allusion (implication), and echo. First, there is continuity between the Old and New Testament Messianic ideas.“Salvation is found in no one else, for there is no other name under heaven given to mankind by which we must be saved”(Acts 4:12). This testimony serves as the basis for asserting in both the Old and New Testament that“without Jesus Christ, there can be no salvation.”(1)“Abraham was rejoiced that he would see my (Jesus Christ) day”(John 8:56; cf. Genesis 22:13, 17; Hebrews 11:19). (2)“David, speaking by the Spirit, calls him Lord”(Matthew 22:43; Ps. 110:1). (3) The declaration of Jesus Christ,“No one can enter the kingdom of God unless they are born of water and the Spirit”(John 3:3, 5) is the allusion to the Old Testament Ezekiel 36:26-37.“I will sprinkle clean water on you, and you will be clean”(Ezekiel 36:26).“I will give you a new heart and put a new spirit in you; I will remove from you your heart of stone and give you a heart of flesh”(Ezekiel 36:26). The circumcision of the heart takes place through water and the Holy Spirit. Water removes a heart of stone and gives a heart of flesh. And touched by the Holy Spirit, we call Christ Lord (Matthew 22:43). Second, The Old Testament has six expressions that refer to the Salvation. (1) Two of them represent the present aspect of salvation:“Circumcise your hearts”① Deuteronomy 10:16; ② Jeremiah 4:4. What is characteristic of those receiving the circumcision of the heart is that they fear the Lord and please him.(Deuteronomy 10:12-13). So, even in the Old Testament times, there were those who pleased God by being regenerated (faithful men mentioned in Deuteronomy 10:15; Hebrews 11). Abraham (Gen. 22:11) and David (1 Samuel 13:14; Acts 13:22) are the best known of these persons. ③ Salvation refers to the practice of giving a person an“another heart”(1 Sam 10:9). (2) The following six passages represent the future aspect of salvation: ① The circumcision of the heart will take place in the future(Deut. 30:6). ② The Sprit of Lord will come upon on you and you will be changed into a different person (1 Sam 10: 9). ③ Through the circumcision of the heart, God will remove a heart of stone and give a heart of flesh (Ezekiel 11:19; 36:26). The reason why Jahweh’s“sayings”to Abraham are important is related to the Tower of Babel mankind built in depravity and pride as described in Genesis 11: 1-9. In the corrupt Babylonian culture and religion, God first chose Abraham to be called. Salvation is preceded by God's calling. So, God is the subject that called Abraham to be regenerated in the Old Testament. Abraham experiences the rebirth and sanctification of water and the Holy Spirit in his journey of obedience according to the words God says. (A) In Genesis 1: 1,“In the beginning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A’)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which was with God, and the Word was God (John 1:1). The Word became flesh and made his dwelling among us. We have seen his glory, the glory of the one and only Son, who came from the Father, full of grace and truth. (John 1:14). After this,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Abraham in a vision:“Do not be afraid, Abram.”(Genesis 15:1a). Like Abraham, the apostle Paul meets the Lord in a vision. One night the Lord spoke to Paul in a vision:“Do not be afraid; keep on speaking, do not be silent”(Acts 18:9). (A) The Word of the Lord was in a vision (Genesis 15:1a). (A’) One night the Lord was in a vision (Acts 18:9a). (B) The Lord spoke to Abraham in a vision(Genesis 15:1b), (B’) The Lord spoke to Paul (Acts 18:9b). (C) “Abram, do not be afraid”(Genesis 15:1c). (C’) “Paul ... do not be afraid”(Acts 18:9c). Jesus who came to Paul in a vision was the one who was seated at the right hand of God after having already ascended into heaven. This is similar to the case of David who, speaking by the Spirit, called Christ, who was at God’s right hand, the Lord(Matthew 22:43; Acts 2:35). David, speaking by the Spirit, said he saw the Lord always before him (Acts 2:25). Just as Jesus was the one who spoke to Paul in a vision,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Abraham in a vision. In the Old Testament, Jesus was with God in“the Word of the Lord”(John 1:1). For the sake of believing Jesus who visited him in a vision as the“Word of the Lord,”Abraham was accounted righteous before God(Genesis 15:6; Romans 4:23-24). Lastly,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d“Salvation in the Old Testament,”with respect to the“prayer-Holy Spirit Movement”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which isnot only the last 7th Movement but also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to make possible the previous 1-6 Movements. This laid the foundation for consistently studying the Old Testament with regard to the“prayer-Holy Spirit Movement”for practicing Reformed Life Theology. This researcher now has a sense of solemn mission to engage in continuous researches on the Seven Practical Movements to revitalize Reformed Life Theology in connection with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in the Old Testament.

      • KCI등재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에 대한 고찰

        이찬석 ( Chan Seok Lee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9 No.-

        예수의 복음은 철저히 종말론적이었지만, 현대신학은 계몽주의 이후에 종말론을 신학의 부록으로 취급하여 왔다. 그러나 몰트만에 의하여 종말론은 회복되면서 신학적으로 현세와 내세의 조화를 도모하고 있다. 몰트만의 종말론 중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주제는 만유구원론’이다. 만유구원론은 최후의 심판이후에 영원한 천국와 영원한 지옥이 존재한다는 기독교의 전통적인 고백을 거부하면서, 지옥의 영원성을 부정한다. 만유구원론에 따르면, 하나님은 만물의 회복을 원하시며, 최종적으로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들이 구원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에 대하여 한국 신학자 중에서 김영한과 김도훈은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으며, 김명용은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본 논문은 김명용의 관점을 확대 해석함으로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이 지니고 있는 긍정적인 측면을 찾아보려고 한다. 본 논문은 우선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이 출현하기 이전에 만유구원의 역사를 간단하게 살펴본다. 김명용이 지적하듯이, 몰트만의 종말론과 만유구원론은 바르트의 종말론과 만유화해론의 발전적 해석이고 완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바르트의 만유화해론을 고찰한 후에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을 살펴보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이 지니고 있는 긍정적인 측면을 두 가지로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첫째로, 종교신학의 올바른 방향은 배타주의가지니고 있는 기독교의 정체성과 실재중심적 다원주의가 지니고 있는 수용성을 발전적으로 끌어안아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이 던져주고 있는 긍정적인 의미를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두번째로,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은 위로의 기쁨을 주고 있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 위로의 측면을 비기독교인들에게로 제한하고 있다. 본 논문은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이 기독교인들에게도 위로의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결론적으로 몰트만의 만유 구원론은 이 시대에 적합하게 새롭게 해석되어짐으로 보편적이고 통전적인 구원의 지평을 만들어야 함을 본 논문은 제시하려고 한다. Although Jesus emphasized the aspect of the Kingdom of God, modern theology regarded eschatology as a supplement of theology after the Enlightenment. However, modern theology is trying to harmonize the dimension of this world and the next by Jurgen Moltmann. It is his universal salvation that many theologians are focusing on among Moltmann’s theology. The universal salvation denies the eternal aspect of Hell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octrine in Christian tradition. According to the universal salvation of Moltmann, God want to save all creatures, all lives will be saved finally. This subject is becoming as one of theological issues with which Korean theologians deals. Kim Younghan and Kim Dohoon are negatively criticize the universal salvation. However, this article will try to interpret the positive aspect of the universal salvation like Kim Myeongyoung. Firstly,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the aspect of religious theology of Moltmann’s notion of the universal salvation. Secondly,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the comforting aspect of it for Christians as well as non-Christians. After all, this article will imply that Moltmann’s notion of the universal salvation should be positively interpreted for the wholistic salvation.

      • KCI등재

        믿음, 인간의 행위인가 하나님의 선물인가?

        김충연(Kim, Chung Yeon) 한국신약학회 2016 신약논단 Vol.23 No.4

        바울은 당시 유대교에서 알려진바 율법의 행위로 구원받는다는 사상에 반대하여 하나님의 ‘은혜로’ 그리고 ‘믿음으로’ 구원받음을 역설하였다. 이러한 바울의 사상은 후에 종교개혁가인 루터에 크게 영향을 주어 인간의 행위로 인한 구원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와 믿음으로 구원받음을 역설하였으며 지금까지도 기독교의 중요한 구원론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원론은 인간의지의 전적인 타락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오로지 하나님의, 하나님에 의한 구원론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인간의 의지와 역할은 설 곳이 없었다. 그리고 종종 이것을 주장하는 근거로 제시된 본문이 엡 2:1-10이었다. 이 중에서도 특히 8-9절은 오로지 선물로서 값없이 주어진 하나님에 의한 구원을 소개하는 본문으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에베소서 저자는 여기서 하나님을 구원의 출처와 출발점(“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으로 제시하면서 동시에 인간의 믿음을(“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이루는 도구로서 제시한다. 전통적으로는 이러한 인간은 믿음 또한 하나님이 주신 선물로 이해하였으나, 이것을 지칭하는 지시대명사 τουτο(8b)는 믿음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앞 문장 전체, 즉 “너희는 그 은혜를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를 지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을 ‘믿음’으로 해석하여 하나님의 선물로 보려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 그리고 9절의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니”라는 본문 또한 에베소서 저자가 바울 신학에 근거하여 ‘율법의 행위’를 말하는 것이므로 구원을 받아들이려는 인간의 의지로서의 믿음을 이 ‘행위’로 간주하는 것은 본문 이해에 있어 큰 오해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구원의 제공자요 출발점(starting point)이라면, 인간은 믿음이라는 도구를 통하여 그 선물인 구원을 받아들일 때 비로소 그 구원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삼국유사』에 나타난 구원 의식

        나희라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3

        This article aim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Samhuk Yusa from the perspective of ‘salvation’ and to understand the intention and meaning of the compilation of Samguk Yusa through the results. Samguk Yusa talked about the meaning and value of human beings, society and history based on the Buddhist worldview. Buddhism, like most religions, is said to complete human beings, society, and history through salvation. Therefore, Samguk Yusa contains many tales dealing with salvation. Most of the stories of salvation in Samguk Yusa tell of salvation through the divine existence of Buddhism, ascetic practices, offerings. Ultimately, Samguk Yusa teaches that humans should use the methods suggested by Buddhism to realize salvation personally and socially. Offerings were essential things that supported the temple economy of Buddhism. Although the Buddhist world faced new challenges ideologically and economically during the Yuan[元] Intervention period, it had a conservative attitude that focused more on defensive defense. Salvation story in Samguk Yusa, there are many stories of offering and giving to the three treasures[三寶] and the king rewarding Buddhist salvation for having already been achieved. It implicitly revealed the position of the Buddhist world at the time this book was compiled. 이 글은 ‘구원’의 관점에서 『삼국유사』의 내용을 정리해보고 그 결과를 통해 『삼국유사』 편찬과 관련한 의미를 이해해보려는 것이다. 『삼국유사』는 불교적 세계관에 입각해서 인간과 사회와 역사의 의미와 가치를 이야기하였다. 대부분의 종교가 그렇듯이 불교 역시 인간과 사회와 역사의 완성은 구원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한다. 따라서 『삼국유사』에는 구원을 다룬 설화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구원은 무엇으로부터의 구원인가, 누가 구원을 요청하는가, 구원은 누가하고 어떻게 하는가, 구원은 어디서 실현되는가 등의 범주로 나누어서 그 성격과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 『삼국유사』의 구원담에서는 이러한 범주에서 파악할 수 있는 이야기 요소들을 모두 찾아볼 수 있다. 『삼국유사』 구원담 대부분은 불교의 신성한 존재와 수행법과 공양과 보시를 통해 구원이 이루어졌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결국 『삼국유사』는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인간이 구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불교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고 가르쳐주고 있는 것이다. 공양과 보시는 불교의 사원경제를 지탱하는 중요한 것 중의 하나였다. 원 간섭기 불교계는 사상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었지만, 수세적 방어에 보다 집중하는 보수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불교 교단은 기존 사원경제의 규모를 유지하거나 확대하려고 했지만, 이러저러한 사정으로 사원 토지를 빼앗기는 일도 발생하고 사원 경영을 위해 최고권력의 힘에 의지해야 하는 상황이 전개되기도 했다. 『삼국유사』 구원담에서 사찰에 재물을 시주하는 등 삼보를 향한 공양과 보시가 구원을 위한 방법이라는 이야기와 이미 불교적 구원이 이루어진 것에 대해서 국왕이 보상을 하는 이야기가 많은 것은 『삼국유사』 편찬 당시 불교계의 입장을 은연중에 드러낸 것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