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구원의 서정과 성경적 상담의 통합에 대한 이론적 고찰

        강병문(Kang, Byung-Moon) 한국개혁신학회 2010 개혁논총 Vol.16 No.-

        성도들의 삶이 예수그리스도의 구속의 완성 즉 죽으심과 부활의 역사적 구속적 사실을 삶 가운데 적용하는 구원의 적용이라면, 성경적 상담은 당연히 구원의 적용을 도와 성도로 하여금 하나님의 총체적 은혜가 무엇이며, 그리스도 중심의 하나님과 함께 하는 삶이 어떤 순서와 내용으로 진행되며, 그것에 대해서 우리가 어떤 분명한 이해를 가지고 주님을 닮는 성숙한 삶을 살아갈 것인가를 알게 하는 통로가 되어야할 것이다. 그런고로 먼저 개혁주의 입장에서의 공통성이 있지만 다양한 구원의 서정을 여러 측면에서 파악하고 구원의 서정과 연결되는 다양한 성경적 파라다임을 가진 성경적 상담의 제이론들을 총체적으로 연결 시켜 살펴보아 신학적 측면에서의 신앙 성숙에 따른 원리와 내용을 상세히 알뿐아니라 그것에 따른 인간적 성숙내지는 예수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성화의 이론과의 상관 관계를 밝혀 전인적 인간의 구원에 따른 성도의 그리스도 안에서의 전인적 발달 과정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려 시도하였다. As the Biblical counseling theories actually are application of salvation which applies the accomplished work of redemption, that is, the redemptive historical acts of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o everyday lives of the saints, they need to know clearly what the total grace God provided in Christ is, and what the order and contents of lives living together with God are in following the order of salvation applied for the mature Christian living. Following results are found through this article. First of all, there are several ways to explain the way of salvation(ordosalutis) even in the reformed tradition, which has to be sought and studied, even though they have the common ground as a reformed tradition. Secondly, In Christ the whole person development, the person which is made in the image of God is tried to be understood in a whole manner according to the way of salvation.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do salutis and the Biblical counseling are searched and discussed. In the light of the ordo salutis in reformed theological tradition, Biblical counselings are analyzed and reinterpreted.

      • KCI등재

        신앙고백서의 구원론 - 구원의 서정을 중심으로

        이은선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WCF), many theologians debated over the imputation of Christ's active obedience in the justification. In the final statement, it is expressed in eclectic manner. This expression is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draw an agreement among the theologians with different opinions and to avoid excluding any of them. The themes of historia salutis and ordo salutis are interconnected and developed in a supplementary manner. These themes were already established by Calvin and well received by the westminster theologians. However, WCF does not include union with the Christ while the Larger Catechism expresses it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At least, the elements expressing union with the Christ are reflected in Chapter 10 and 11 of WCF. It is the same appearance with that regeneration is not treated independently but is handled within the effectual calling. Ordo salutis in WCF is arranged in a way that God's monergism covers effectual calling, justification, and adoption while sanctification, saving faith, and repentance can occur with the coexistance of human being's obedience and God-driven work. The deep interest in sanctification can be viewed 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threat of antinominianism. They tried to reveal God's glory through sanctification which is a fruit of good work, and tried to get over antinominianism. One of the most heated debate in this period was about imputation of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Scholars even differ in interpretation on whether this issue is fully included or not. This issue draws more attention among scholars nowadays because the scholars in New Perspective on Paul and Federal Vision camps denies the imputation of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Though WCF relaxed on the expression about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considering the opponents' stance at that time, it is better to view that the expression is reflected with phrases like complete obedience and entire satisfaction.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칼 바르트와 토랜스(T. F. Torrance)에 의해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를 반영하지 않는다고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웨스트민스터 대소요리문답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를 분명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신앙고백서는 구속사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있으나,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의 내용이 유효한 소명과 칭의를 비롯한 여러 항목에 녹아들어가 있어 간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구속사와 구원의 서정이 대립적이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구원의 서정을 다루나 구속사를 반영하지 않는다는 그들의 주장은 근거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칭의와 성화의 동시성을 주장하는 칼빈과 달리 신앙고백서는 칭의와 성화의 논리적인 순서를 인정하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의 서정은 신앙고백서 10장 -18항에 걸쳐 칼빈의 순서와도 다르고 개혁파가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순서와도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10항은 유효한 소명 11항은 칭의, 12항은 양자, 13항은 성화, 14항은 구원 얻는 믿음 15항은 생명 얻는 회개 16항은 선행, 17항은 성도의 견인 18항은 구원의 확신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의 원칙은 10-12항은 하나님께서 단독적으로 역사하는 것들이고, 나머지는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역사하실 때 인간의 순종의 요소가 들어가 있는 것들이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론은 성공회의 39개 신조의 칭의를 개정하는 과정에서 “온전한 순종과 만족”이란 표현이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과 수동적 순종을 나타내는 의미로 제시되었다. 많은 찬반논란을 거친 후에 최종본에는 “온전한”이란 용어가 삭제되었다. 그래서 능동적 순종이 빠진 것으로 해석되나, 고백서 8장 5절에 그리스도의 “완전한(perfect) 순종과 희생”을 비롯한 여러 표현들이 능동적 순종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신앙고백서가 반대파들의 의견을 고려하여 간접적으로 표현하였지만, 능동적 순종의 전가를 포함하고 있다.

      • KCI등재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론: 구원의 서정을 중심으로

        이은선 ( Eun Seon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칼 바르트와 토랜스(T. F. Torrance)에 의해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를 반영하지 않는다고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웨스트민스터 대소요리문답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를 분명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신앙고백서는 구속사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있으나,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의 내용이 유효한 소명과 칭의를 비롯한 여러 항목에 녹아들어가 있어 간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구속사와 구원의 서정이 대립적이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구원의 서정을 다루나 구속사를 반영하지 않는다는 그들의 주장은 근거가없는 것이다. 그리고 칭의와 성화의 동시성을 주장하는 칼빈과 달리 신앙고백서는 칭의와 성화의 논리적인 순서를 인정하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의 서정은 신앙고백서 10장 -18항에 걸쳐칼빈의 순서와도 다르고 개혁파가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순서와도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10항은 유효한 소명 11항은 칭의, 12항은 양자, 13항은 성화, 14항은 구원 얻는 믿음 15항은 생명 얻는 회개 16항은 선행, 17항은 성도의견인 18항은 구원의 확신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의 원칙은 10-12항은 하나님께서 단독적으로 역사하는 것들이고, 나머지는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역사하실 때 인간의 순종의 요소가 들어가 있는 것들이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론은 성공회의 39개 신조의 칭의를 개정하는 과정에서 “온전한 순종과 만족”이란 표현이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과 수동적 순종을 나타내는 의미로 제시되었다. 많은 찬반논란을 거친후에 최종본에는 “온전한”이란 용어가 삭제되었다. 그래서 능동적 순종이 빠진 것으로 해석되나, 고백서 8장 5절에 그리스도의 “완전한(perfect) 순종과 희생”을 비롯한 여러 표현들이 능동적 순종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신앙고백서가 반대파들의 의견을 고려하여 간접적으로 표현하였지만, 능동적 순종의 전가를 포함하고 있다.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WCF), many theologians debated over the imputation of Christ`s active obedience in the justification. In the final statement, it is expressed in eclectic manner. This expression is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draw an agreement among the theologians with different opinions and to avoid excluding any of them. The themes of historia salutis and ordo salutis are interconnected and developed in a supplementary manner. These themes were already established by Calvin and well received by the westminster theologians. However, WCF does not include union with the Christ while the Larger Catechism expresses it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At least, the elements expressing union with the Christ are reflected in Chapter 10 and 11 of WCF. It is the same appearance with that regeneration is not treated independently but is handled within the effectual calling. Ordo salutis in WCF is arranged in a way that God`s monergism covers effectual calling, justification, and adoption while sanctification, saving faith, and repentance can occur with the coexistance of human being`s obedience and God-driven work. The deep interest in sanctification can be viewed 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threat of antinominianism. They tried to reveal God`s glory through sanctification which is a fruit of good work, and tried to get over antinominianism. One of the most heated debate in this period was about imputation of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Scholars even differ in interpretation on whether this issue is fully included or not. This issue draws more attention among scholars nowadays because the scholars in New Perspective on Paul and Federal Vision camps denies the imputation of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Though WCF relaxed on the expression about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considering the opponents` stance at that time, it is better to view that the expression is reflected with phrases like complete obedience and entire satisfaction.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의 비교: 회심과 성화 용어를 중심으로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와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교회사 속에서 개혁신학에 근거한 대표적인 교리교육서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는 종교 개혁의 제 3세대의 작품이며,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청교도운동 가운데 작성된 것이다. 따라서 두 문서 모두 교회 개혁 가운데 작성된 문서들이다. 그래서 작성하였던 목적과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 그래서 두 문서 모두 진정한 구원의 은혜와 그 효과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다. 왜냐하면 두 문서 모두 잘못된 가르침과 그것으로 인한 거짓 경건에 대해개혁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 문서 구원의 은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 88번은 구원의 은혜의 증거로서 회심을 말하였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 35번에서는 구원의 은혜의 실제적 효과인 성화를 말하고 있다. 같은 내용이지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에서는 회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에서는 성화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차이는 종교 개혁운동이 영국으로 넘어가고, 그 당시 영국교회에 알미니안주의 운동이 일어나서 구원의 은혜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그리고 구원의 서정의 형식을 취함으로 인한 것이다. 물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에서도 구원의 서정의 틀이 있지만, 영국 교회의 상황 속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서술함으로 인하여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용어의 차이가 일어난 것이다.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에서는 그리스 도와의 연합의 은덕에 참여하는 것으로 일어나는 성화라고 더욱 구체적으로 서술하여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보다 더욱 분명하여 졌다. 이렇게 16, 17세기의 개혁신학에 있어 중요한 요리문답서는 20세기에 이르러서 오히려 피상적으로 가르쳐졌다. 성화 (회심)의 두 부분 (요소)에 대한 강조가 누락되기도 하였으며, 그리스도와의 연합교리 없이 구원의 서정만강조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구원의 은혜의 증거가 강조될 필요가 있는데, 이렇게 왜곡된 가르침을 바로 잡아야 한다. 그리고 이 시대에 두 요리문답서가 다시 가르쳐져서 구원의 은혜의 진정성이 강조되고 증거되어야 한다. In church history, the Heidelberg Catechism and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have been received as standard Reformed catechisms. The Heidelberg Catechism was composed by Ursinus and Olevianus, third generation of Reformers.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was composed by the Divines of the Westminster Assembly in the puritan movement. Both catechisms were made for enlightening the ignorance while pursuing church reformation in Heidelberg and England. Both catechisms not only taught the way of salvation but also defined true faith. In particular, Heidelberg Catechism`s question 88 deals with the true evidences of repentance. This doctrine of conversion is also explained in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question 35 under sanctification. Moreover, as background of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question 35, questions 30, 31 are explained in light of union with Christ. The differences between how the catechisms approach this issue come from the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in which they were drafted. When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was composed, the England church was defending Reformed theology against Arminianism. Thus, the divinities of the Assembly explained the order of salvation in more detail than the writers of the Heidelberg catechism. However, in the 20th century, the Reformed church could not trace these points in either catechism. They ignored the importance of sanctification and neglected the doctrine of union with Christ. Therefore, the Reformed church today must rediscover the teachings of both catechisms regarding conversion and sanctification.

      • 이청준의 생애와 작품으로 본 구원의 서정

        장정심 국어교과교육학회 2017 국어교과교육연구 Vol.30 No.-

        이청준 소설은 인간 존재의 내면을 잘 드러내며 생각의 환기를 통해 인 생에서 홀로 자아를 대면하는 존재로서 그 실존의 면모를 가장 잘 표현해 내고 있다. 본고에서 작가의 작품을 통한 자아 정체성의 치열한 구원의 서 정을 열어가는 것을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작가의식과 창작 기법(중층구 조의 구현의 독특한 장치)에 따른 다음의 네 단계로 나누어 작품을 다루고자 한다. 첫째, 인간실존과 사유로서, 세 편의 작품인 「병신과 머저리」, 「잔인 한 도시」, 「살아있는 늪」, 둘째, 그의 삶에서 섬, 낙원, 말의 꿈, 원망(願望) 으로서 작품인 「이어도」, 「당신들의 천국」 그리고 셋째, 존재와 언어, 삶과 말로서 「날개의 집」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신화와 구원의 역사로 「신화를 삼킨 섬」등이 있다. 그의 작품 속에서 단독자로서 인간존재의 근원을 표출하기 위한 강한 집 착을 보이며, 역사의 거센 물줄기 속에 남도 서민의 관념의 세계 속에서 내 면을 성찰하며, 끊임없는 근원적인 물음과 해답을 향해 지적 여행을 떠나는 것이다. 이 지상에서의 작가 자신만의 글을 통해서 독특하게 삶의 방식으로 문학적 출발도 바로 언어가 겪는 시대적 고통, 삶의 고통의 중심에서 일어 났다. 그의 삶과 시대를 근본적으로 ‘초월적 고통’으로 인식하는 세계관을 통하여 작가적 생애에서 펼쳐지는 존재론적 욕망과 같은 온전한 합일과 화 해를 향한 구원의 서정으로서 한 편의 신화(神話)가 되었다. Lee Cheong-joon, the author of the novel, reveals the essence of the existence of the human being in his life, expressing his inner presence in life through his works. I want to confirm that open up the passionate devotion of the himself of self identity through the author's works. Thus, according to the author's awareness and creative techniques, a Unique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of Multi-Layered Structures, his works to divide into the following four steps. First of all, there are three works of art : Human Existence and Reasons, “A fool, a moron”, “ A cruel city”, “Alive Swamps”, “Life Alive” the Second, “Islands”, “Paradise”, “Wish of Words”, and “Wishes”, “Ieodo”, “Your Heaven”, and the third, Existence, Language, Life and Words, “House of Wings”, the last, History of myths and redemption, “An island that swallows myths”. In his works, he exhibits a strong obsession with the origins of human beings, reflecting his inner thoughts and answers in the midst of a fierce stream of people’s thoughts and responses to the inner workings of the peoples history of South Korea. The author’s own writing on the surface of the life that has given rise to literary struggles in the midst of language, suffering from language struggles, and the pain of life suffering from the language of his life. Through the realization of his life as a “transcendental agony”, the author of the novel, “The Legend of Man”, has become a myth for a hero, as a deity of integrity and reconciliation who seeks to save himself as a whole life of completion.

      • KCI등재

        박두진 신앙시에 나타난 구원의 서정: 『나 여기에 있나이다 주여』를 중심으로

        남금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7 문학과종교 Vol.22 No.4

        This thesis surveys the Ordo Salutis in Park du-jin’s christian poetry. The doctrine of salvation is very important to us in Reformism and Calvinism. It is different with contention of Arminianism. Du-jin Park wanted to describe his belief and his religious experiences in point of the Bible’s precepts through his whole life. He appreciated and praised to respond God’s effective Calling. He recognized the God is a Creator. Also he understood the Redemption, and expressed the C​rucifixion in accents of terrible grief. Then he sang the Resurrection with “the song of Calvary.” He described the Justification that we already gained, which meant not only God’s righteousness but also Grace. He confessed that the Jesus Christ took the victory as a man of God. So he wrote “the Acts of the Apostles” series to raise the present dark age up. He aroused the sinner who repented and encouraged to go with him in Christ. That was the way of Sanctification and Perseverance accompanied by solitary. But he had a clear consciousness of the union with Christ as one body. Glorification emerged with the poems which showed the affection of eternity including an earnest prayer. 박두진 시인의 신앙시집 『나 여기에 있나이다 주여』는 시인의 시력 후반기에 선별한 신앙고백 시편인 동시에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 입각한 구원의 서정을 잘 드러낸 시집이다. 개혁주의 관점에서 구원의 서정이 중요한 이유는 하나님의 구속사역이 인간의 태도와 행위에 부수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구원의 서정’은 박두진의 시에서는 크게 ‘소명’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찬양, ‘칭의’에 대한 구속사적 이해를 드러내는 시편들, ‘성화’와 ‘견인’으로서의 사도의식에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뜻하는 한몸 의식이 강조된 시편들, ‘영화’에 대한 소망을 노래한 시편들로 분류할 수 있었다. 박두진 시인은 구원의 주체가 천지만물의 창조주라는 명확한 인식을 갖고 그 태초의 부르심에 대한 경탄을 시로 승화시켰다. 특히 「갈보리의 노래」는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이 십자가로 완성됨을 보여주었고 예수의 죽음의 고통과 육체적 부활의 환희를 묘사해 내었다. 「사도행전」 연작에서는 신앙생활에 따른 고독감과 단독자의식을 개인적 차원에서 공동체적 차원의 사도의식과 행군 의지로 끌어올렸다. ‘영화’는 미래완료형 개념이어서 시적 화자의 영원을 향한 소망을 담은 기도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조지 휫필드의 구원론에 관한 연구

        고명석,남호현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지평 Vol.35 No.-

        본 연구는 조지 휫필드의 구원론을 살펴보고, 오늘 우리 신앙인들에게 영향을 주는 바른 지침은 무엇인지 연구하는 것이었다. 그는 칼빈 (Calvin)의 신학체계를 따랐고,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주고 있다. 첫째, 휫필드의 기본적인 신학체계는 칼빈의 ‘제한적 속죄론’을 이어 받 았으며, 전적으로 하나님의 주권으로 구원받는다고 하였고,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이성적 판단과 도덕적 행위, 자신의 진실함과 인간적 의지를 믿지 않도록 날마다 조심하고 전적으로 값없이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만을 의 지해야한다고 그는 설교했다. 둘째, 휫필드는 하나님의 선택과 예정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고백 하고, 선택받은 백성과 시민은 하나님께서 성령으로 거듭나게 하신다고 하였다. 즉 우리 개인의 신앙적인 행위와 노력 및 성화의 대가로 주어지 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셋째, 휫필드는 우리의 신앙생활의 현실에서는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 의 의지로 되는 것이며, 그분의 선택과 예정으로 이루어진다고 말했다. 다만 구하지 않는 자에게 주어지는 것도 아니므로 성경을 통해서 신앙을 바르게 할 것을 주문하였다. 또한 하나님의 불가항력적인 은혜와 사랑이 곧 그리스도의 십자가 은혜라고 하였다. 예수님도 우리에게 말씀하시길 ‘구하라’고 분명히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soteriology of George Whitefield, and studies what the right guidelines are that affect us believers. He followed Calvin's theological system and teaches us many lessons. First, Whitefield's basic theological system inherited Calvin's ‘Limited Atonement Theory’. He said that he was saved entirely by the sovereignty of God. Second, Whitefield confessed that he had no choice but to acknowledge God's choice and predestination. It was said that the chosen people and citizens are regenerated by God through the Holy Spirit. In other words, it is not given as a reward for our personal religious actions, efforts, and sanctification. Third, Whitefield said that salvation in our life of faith is only through the will of God. He said that salvation comes through God's election and predestination. Therefore, he asked us to correct our faith through the Bible. He said that the grace of God is the cross of Christ. The only necessity of salvation is God alone.

      • KCI등재

        양자의 교리: 성경신학적-조직신학적 접근

        강웅산 ( Woong San K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5 성경과신학 Vol.74 No.-

        양자 교리는 개혁주의 구원론 논의 가운데 그다지 활발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21세기에 이르러서도 양자 교리는 구원론 논의에서 종종 생략되거나 아니면 칭의 논의에 포함되기도 한다. 양자 개념은 사실상 성경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가 이 땅에 오신 의미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신약성경은 우리의 구원이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로 아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강조한다. 그런 정황에서 볼 때, 양자 교리의 활발한 논의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 논문은 양자 교리의 논의를 성경신학적-조직신학적 방법론으로 한다는 점에서 이제까지 독자들에게 익숙했던 논의와 차별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성경신학적-조직신학적 방법이란 계시의 역사성을 반영하는 논리적 논의 방식을 말한다. 구속사적(historia salutis) 성취에 기반을 둔 구원서정(ordo salutis)의 논의이다. 이 방법론의 특징은 형식(방법론)이 포함될 논의의 내용을 수반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조직신학이 보다 더 성경의 소리를 담는 논의가 가능해진다. 우선 성경신학적 측면에서 양자 개념이 어떻게 점진적 진행을 하는지 살펴볼 것이고, 다음 그리스도가 아들 되심에 성도의 양자 권리의 기독론적 근거가 됨을 드러낼 것이다. 그리고 좀 더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양자 교리의 신학적 특징을 논하며 특별히 중생과의 연관성을 다룰 것이고, 신학과 삶의 유기적 일체를 강조하는 의미로, 실천적 의미(implications)를 언급하며 논문을 마칠 것이다. The doctrine of adoption is one of the least discussed areas within the tradition of Reformed Soteriology. Even in the 21st century it is often omitted from the discussion or at best treated together within the scope of justification. However, the adoption concept is indeed one of the central themes in the Bible and deeply connected with Christ`s earthly manifestation: the New Testament puts emphasis on knowing that Christ is the Son of the living God with regard to our salvation. From such point of view the discussion on the doctrine of adoption needs to be revitalized if not vitalized at all. It may be stressed here that this paper may b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discussions with which the readers have been familiar in the sense that this paper treats the doctrine through the biblical-theological and systematic-theological method. What is meant by that method is a logical approach (systematic-theological) incorporating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biblical-theological) of the biblical revelation. It is ordo salutis based on historia salutis. A characteristic of this approach is that the form (methodology) determines what is to be covered for the content. As result, Systematic Theology may sound more like the Bible. This paper, first of all, will cover how the adoption theme progressively runs through the Bible from the biblical-theological perspective and, secondly, how Christ`s sonship may be the christological ground for our sonship. For the systematic-theological urge this paper will unpack the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p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regeneration, in particular. Lastly,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doctrine will be suggested under the spirit that theology and life should be organically one.

      • KCI등재

        부써의 예정론

        황대우 ( Hwang Dae Woo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ACTS 신학저널 Vol.31 No.-

        이 논문은 부써의 예정론을 성부, 성자, 성령의 각 위격에 따른 주요 신학 주제와 연결하여 분석한 것이다. 그런 다음 이 연구는 부써의 예정론 속의 주요 용어들을 분석하고 그가 이중 예정론의 관점을 견지한다는 것을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예정이 부써의 교회론 뿐만 아니라, 그의 다른 신학 주제들을 위해서도 신학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다. 재세례파와 신령파 사상과 반대로 부써는 하나님의 예정을 시간적이고 논리적으로 구원서정의 첫 번 자리에 둔다. 부써에게 있어서 예정의 기초가 그리스도의 공로에 의지하는 하나님의 선의 이외의 다른 무엇이 아니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나님의 예정을 위해 인간의 공로나 반응이 차지할 수 있는 자리는 전혀 없다. 하나님의 예지를 논하는 곳 어디에서나 부써는 결코 인간의 반응을 예정의 조건으로 고려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의 생각에는 만물과 만사가 항상 현존하시는 하나님 앞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부써는 이중예정론을 주장한 최초의 종교개혁자다. 하나님의 예정은 하나님의 의지와 결정에 의해 형성된 선험적 사건이다. 선택은 하나님의 사랑에서 발생하고 그리스도께서 그 기초이고 성령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선택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역이다. 하나님은 자신의 백성을 자신의 말씀과 성령을 통해 그리스도의 한 몸으로 불러 모으신다. 이 몸이 교회다. 부써는 하나님 앞에 있는 불가시적 교회와 사람 앞에 있는 가시적 교회를 구분한다. 이것은 인식론적인 구분이며, 결코 플라톤의 이원론에 근거한 존재론적 구분이 아니다. This article analyzes Bucer`s doctrine of predestination in relation to the key theological themes according to each person of the Trinity. This study then analyzes the key terms in Bucer`s doctrine of predestination and argues that he holds the view of double predestination. Finally it is argued that Bucer underlines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God`s predestination not only for his ecclesiology but also for the other themes in his theology. Contrary to the Anabaptists or spiritualists` ideas, Bucer places God`s predestination chronologically and logically in the first place in `ordo salutis.` For Bucer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 foundation of predestination is nothing but God`s benevolence by virtue of Christ`s merit. There is no place for human merit or response for predestination. Whenever Bucer speaks of `praescientia Dei`, he never thinks of human reaction as a condition of predestination, because all things and events are always in the present of God. Bucer is the first Reformer to assert the doctrine of double predestination. The predestination of God is an event a priori made by God`s will and decision. Election springs from the love of God, is founded upon Christ, and is realized by the Holy Spirit. Therefore it is of the Trinity. God calls his people together into the one body of Christ through his Word and Spirit. This body is the Church. Bucer distinguishes the invisible Church `coram Deo` from the visible `coram hominibus`. This is an epistemological distinction, but is not based upon Platonic du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