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 수요 기반 교양교육 개선 방안 연구

        이동욱(Donguk Lee),전종희(Jonghee J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생 수요 및 의견 분석 기구로서 K대학교의 ‘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및 결과 분석을 통해 학습자 중심 교양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교육의 주체이자 수요자인 학생의 눈높이에 맞추어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실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방법 K대학교 교양대학은 2020년 2학기에 ‘학생 모니터링단’을 구성하고, 교양교육(심화교양) 영역을 중심으로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 모니터링단’ 학생들은 다양한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 의견 조사 설문 문항(안)을 도출하였다. 이 조사 설문 문항은 모니터링단 지도교수 등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문항으로 완성되었다. 설문조사는 2020년 11월 30일(월)~2020년 12월 4일(금)까지 온라인 설문 폼을 활용하여 진행되었고, 총 285명의 학생이 응답하였다. 문항은 5점 척도이고 이외에 인적 정보(학년, 소속, 단과대학, 성별) 관련 기본 문항, 주관식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학생들은 교양교육 영역에서 듣고 싶은 교과목의 개설과 영역별 고른 분포에 있어 보다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강좌별 정원 수와 수업 선택의 기회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많았다. 또한 성적 평가에 있어 다변화된 문제 출제 등을 요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었다. 교양교육 영역의 개선점(주관식)으로 ‘인기 강좌 클래스의 증설’이, 개설 희망 주제로는 ‘예체능/미술/영화/매체’가 가장 많았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요구와 향후 과제를 파악하였다. 결론 이러한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교양교육 영역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의 방법과 과정, 주요 결과, 문제점과 해결 방안 등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생 수요 및 의견 분석 기구로서 K대학교의 ‘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및 결과 분석을 통해 학습자 중심 교양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교육의 주체이자 수요자인 학생의 눈높이에 맞추어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실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방법 K대학교 교양대학은 2020년 2학기에 ‘학생 모니터링단’을 구성하고, 교양교육(심화교양) 영역을 중심으로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 모니터링단’ 학생들은 다양한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 의견 조사 설문 문항(안)을 도출하였다. 이 조사 설문 문항은 모니터링단 지도교수 등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문항으로 완성되었다. 설문조사는 2020년 11월 30일(월)~2020년 12월 4일(금)까지 온라인 설문 폼을 활용하여 진행되었고, 총 285명의 학생이 응답하였다. 문항은 5점 척도이고 이외에 인적 정보(학년, 소속, 단과대학, 성별) 관련 기본 문항, 주관식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학생들은 교양교육 영역에서 듣고 싶은 교과목의 개설과 영역별 고른 분포에 있어 보다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강좌별 정원 수와 수업 선택의 기회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많았다. 또한 성적 평가에 있어 다변화된 문제 출제 등을 요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었다. 교양교육 영역의 개선점(주관식)으로 ‘인기 강좌 클래스의 증설’이, 개설 희망 주제로는 ‘예체능/미술/영화/매체’가 가장 많았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요구와 향후 과제를 파악하였다. 결론 이러한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교양교육 영역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의 방법과 과정, 주요 결과, 문제점과 해결 방안 등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In this study, focusing on the case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Student Monitoring Group’ of K University, which is a ‘student demand and opinion analysis organization,’ we propose a learner-centered liberal arts curriculum structure and operation plan through a student opinion survey and result analysis on liberal arts education.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the eye level of students, who are the principal and consumer of education, and draws realistic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Method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 College of Liberal Arts of K University formed the “Student Monitoring Group” and conducted a student opinion survey o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cusing on the liberal arts education (advanced liberal arts). The students of the “Student Monitoring Group” conducted a basic survey on liberal arts education for students from various departments and drew up student opinion survey questionnaires(draft). This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as the final question after expert review by the supervisor of the monitoring team.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online survey form from November 30, 2020 (Mon) to December 4, 2020 (Fri), and a total of 285 students responded. The questions were basically a 5-point scale, and in addition, they consisted of basic question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grade, affiliation, college, gender), subjective questions, etc.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more improvement was needed in th

      • KCI등재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발전 전략

        방기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2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by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and to suggest development strategies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 this end, the organizational charts, related tasks, and major business plans of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that operat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analyzed.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city·gun·gu education support offices were promoting tasks such as organizing and operating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ity·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and city·gu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were operating programs other than the curriculum, such as rural experience, 4-H, and daily horticulture. However, the curriculum operation by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lacked the contents in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ere was insufficient linkage with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Based on these analysis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as divided into a short-term strategy linking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newly established department in charge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and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a medium-term strategy linked by the newly established education organization and a long-term strategy connected by the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 and the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 based on the relevant laws so that it could be implemented in stages. Such a step-by-step development strategy needs to be pursued in parallel with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member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 review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 formation and continuous discussion of the expert T/F team, and the continuous publicity for the public. 이 연구는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의 운영 현황과 문제를 파악하고,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발전 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운영하는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의 조직도, 관련 업무, 주요 업무 계획 등이 분석되었다.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해서는 교육 관련 조직인 교육부, 시·도 교육청, 시·군·구 교육지원청에서 초·중등 교육과정 편성·운영 등의 업무를 추진하고, 농업 관련 조직인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시·도 농업기술(원)센터,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에서 농촌 체험, 4-H회, 생활 원예 등과 같은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 관련 조직에 의한 교육과정 운영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에 교양농업교육 내용이 부족하고, 비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농업 관련 조직의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에서는 교양농업교육 전담 기구의 부재, 교양농업교육 운영 기관 및 단체 간 관련 사업의 중복, 교양농업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국가 수준과 지역 수준의 플랫폼 운영 미흡 등으로 교육 관련 조직과의 연계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분석 및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발전 전략은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의 교양농업교육 담당 신설 부서가 연계하는 단기 전략,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의 교양농업교육 전담 신설 기구가 연계하는 중기 전략, 교육 관련 조직과 관련 법에 근거한 농업 관련 조직의 교양농업교육 전담 신설 기구가 연계하는 장기 전략으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단계별 발전 전략은 교양농업교육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인식,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검토, 전문가 T/F 팀의 구성 및 지속적인 논의, 국민 대상의 지속적인 홍보 등과 병행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교양과목 수강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백상현(Baek Sangh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교양과목 수강현황 분석과 교양교육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9차년도(2014)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 재학중인 1,66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교양과목은 기초교육, 심화교양교육, 비학술적 체험교육, 도구적 실용지식교육의 4대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과목의 일반적인 수강 현황을 살펴본 결과 비학술적 체험교육, 도구적 실용지식교육 영역의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의 비율이 기초교육영역과 심화교양교육영역의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의 비율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교육영역의 경우 한국어 및 영어 등의 주요국가 의사소통교육 관련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의 비율이 높은 반면, 기타외국어 의사소통 교육 관련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학년, 전공형태, 전공계열, 대학소재지, 대학 설립유형에 따라 교양과목 수강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교육은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교양지식 발달에는 기초교육, 심화교양교육, 도구적 실용지식교육이, 고차적 사고능력발달에는 도구적 실용지식 교육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대인관계능력 발달에 비학술적 체험교육, 도구적 실용지식교육이, 융복합능력 발달에는 심화교양교육, 비학술적 체험교육, 도구적 실용지식교육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liberal education improves learning outcomes of university students. To that end, this study used the 9th year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This study applied a taxonomy that divides universities curriculum of liberal and general education into following four areas; basic general education, in-depth general education, non-academic experiential education, and instrumental/practical knowledge education.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rate of non-academic experiential education, and instrumental/practical knowledge education was lower than that of basic general education and in-depth general education. In basic general educ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experience rate of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was high while that of other foreign languages communication skills.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s of liberal educ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s, grade, major, major type, location of university, type of university. Third, the four variables of liberal edu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learning outcomes of universitystudents. Instrumental/practical knowledge edu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learning outcomes. Basic general edu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knowledge of liberal education, high levels of critical thinking, and in-depth general edu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knowledge of liberal education, creative and integrated competencies. Non-academic experiential edu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ies, creative and integrated competencies.

      • KCI등재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수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2

        This study presents a model through the case of D-college for how to develop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ourses in colleges. Since 2014, many colleges have developed and operated an NCS-based curriculum. However, although NCS-based education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s, it also resulted in the weaken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ose colleges. For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relatively low, due to short lectures and a major-oriented education system. At a time when the curriculum of colleges is being transformed into a competency-based one, it is very urgent to change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colleges. The process of developing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s at D-college is based on the ADDIE model, but the development process at each stage focused on capacity centers. This article looked at the specific progress of the ‘Analysis-Design -Development’ phase. In the analysis phase, the external environment, internal capacity, and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were analyzed, while the core competency of the colleges in question was checked. In the design phase, Liberal Arts education goals and policies were established, and Liberal Arts education areas were set. In the development phas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subjects were derived and a curriculum profile was developed. As a result, D-college has been able to derive a variety of competency-based subjects, with several tasks remaining for the education to operate effectively. If organizations, human resources, Liberal Arts and math are secured, th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process can be operated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 D대학의 사례를 통해 하나의모형을 제시하는 글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사회에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크다. 그러나 전문대학의 경우 짧은 수업연한, 전공 중심의 교육운영체계 등 교양교육의 중요성에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전문대학은 지난 2014년부터 NCS기반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해왔다. NCS기반 교육은 전문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었지만, 한편으로 교양교육을 약화시키는 결과를초래하기도 하였다. 전문대학의 교육과정이 역량기반으로 전환되고 있는 지금 전문대학 교양교육의변화는 매우 절실하다. D대학의 교양교육과정 개발 절차는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하되, 각 단계에 따른 개발 과정은역량 중심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글에서는 ‘분석-설계-개발’ 단계의 구체적인 진행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 단계에서는 교양교육을 둘러싼 외부환경 및 내부역량을 분석하여 교양교육과정 개발전략을 도출하였다. 산업체와 학생들 대상으로 수요자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대학의 핵심역량 및 하위역량, 행동지표를 점검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목표 및 교양교육정책을 수립하였다. 교양교육목표는 대학의 인재상, 교육목표, 핵심역량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였으며, 교양교육정책은 직업기초능력 및 기초학습능력 교육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수립하였다. 또한 교양교육목표 및 대학 특성을반영한 교양교육영역을 설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역량기반 교양교과목을 도출하였다. 교과목 도출시 수요자 요구분석 결과를 반영하였으며, 최종 교과목 도출 후 역량 중심의 교과목 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D대학은 교양교육영역별로 다양한 역량기반 교과목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역량기반 교양교육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남아 있다. 무엇보다 교양교육을 전담하는 기구와 인력을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 교양교육 전담기구와 인력, 교양이수학점 등이 확보된다면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은 체계적인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은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앞으로 전문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이 실현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NCS 직업기초능력과 산업체 교양교육 수요를 반영한 교양교육과정 개편 연구 -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양영근,정원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2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reorganization method and direction of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professional basic abilit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developed by the industrial world. The present NCS is associated with the government's hands-on talent training direction, and colleges, which are higher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operate in connection with job training, based on each department. In order to implement NCS-based major education in collage, support the professional basic ability and strengthen this ability in liberal arts education, “D University” developed a demander-centered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professional basic ability. The developed curriculum reflected the conditions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D University”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demand of "D University"-affiliated industries and departments for liberal arts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nable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of colleges to meet the level of professional basic ability required by the industrial world and solve a mismatch in manpower supply and demand in industrial sites, and analyzed the case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which was reformed, based on the professional basic ability, to see if the curriculum suited the fundamental educational goal of higher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liberal arts education and mak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recognized by improving satisfaction of demanders for liberal arts education, internally and externally.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계 주도로 개발된 NCS 직업기초능력을 반영한 교양교육과정의 개편방향과 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 현재 제시되고 있는 NCS는 정부의 실무적 인재 육성방향과 맞물려 있으며, 고등직업교육기관인 전문대학의 경우 학과별 기반으로 직무교육과 연계하여 운영하도록 요구되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교육 중 NCS 기반의 전공교육을 실시하며, 이와 함께 직업기초능력을 지원하고 교양교육으로서의 직업기초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NCS 직업기초능력을 반영한 수요자 중심의 교양교육과정을 “D대학”에서 개발하였다. 개발에 있어서 “D대학”의 교양교육여건과 “D대학”과 연계된 산업체 및 대학 소속 학과의 교양교육에 대한 수요조사의 결과를 반영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문대학의 교양교육품질이 산업계가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수준에 부합하고 산업현장에서의 인력수급에 미스매치(mismatch)가 해소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며, 또한 직업기초능력 기반으로 개편된 교양교육과정이 고등직업교육기관의 교양교육에 대한 본질적인 교육목표에 부합하고 대내외 교양교육 수요자의 만족도를 제고하여 교양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도록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KCI등재

        학생 관점의 교양교육 인식, 요구와 만족, 그리고 선택요인 분석

        곽은주,정지언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6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ption, needs, satisfaction, and course selection factors of general education from the students’point of view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re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o this end, basic statistical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to identify student characteristics, and IPA analysis and Borich analysis to identify needs, were conducted on the response results of 1,454 students at a private university in Bus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ole and meaning of general education, students responded that general education plays a role in enhancing interest among students in subjects other than those of their major, nurturing human beings with character, and promoting a new understanding of their major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respon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class.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main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which is univers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the instrumental role of general education, which is a supplement to major education. Second, students' needs for the domain of general education were high in those practical domain field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employment, like career exploration and certification courses, and the associated domains for employment, like foreign languages and IT utilization fields.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ere was a high demand for subject development reflecting the changing of the times and the latest trends, the expansion of student choice through the opening of various subjects, and appropriate class difficulty. Third, overall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as above averag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y gender, grade, and field. In terms of general education operations, it has been shown that expanding the range of student selection through the opening of subjects in various areas, opening subjects reflecting the changing of the times and the latest trends, using appropriate textbooks and learning materials, and the instructors' expertis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students consider the convenience and learning expectations first when choosing liberal arts subjects. Among the convenience factors, priority is given to classes that require no team projects, and subjects with little or no assignments are preferred. When it comes to learning expectations, subjects of interest and interesting subject names are given priority. There were differences in subject sele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the college itself.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four implications were derived and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ganization, operation,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본 연구는 교양교육과정 개편과 운영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위해 학생 관점의 교양교육 인식, 요구와 만족, 그리고 선택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A 사립대학 재학생 1,454명의 설문 응답 결과에 대해 기초통계 분석, 학생 특성별 특징 확인을 위한 차이 분석, 요구도 파악을 위한 IPA 분석과 Borich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교육의 역할과 의미와 관련해 학생들은 교양교육은 전공 분야 외 다른 분야에 관한 관심을 제고하고, 인격을 갖춘 인간을 양성하며, 전공과목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고 응답했으며, 이 응답의 결과는 성별과 계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이하다고 할 만한 점은 보편적 지성 교육이라는 교양교육의 본령과 전공교육의 보완이라는 교양교육의 도구적 역할에 대한인식에서 차이가 거의 없었다는 점이다. 둘째, 교양교육의 영역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확인한 결과, 교양교육 영역의 경우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교양교육 고유 영역보다 취업과 직접 관련된 실용 분야, 외국어나 IT 활용 영역과 같이 취업을 위해 필요한 능력과 관련된 영역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는 시대적 변화와 최신 경향을 반영한 교과 개발, 다양한 교과 개설을 통한 학생 선택의 폭 확대, 적절한 수업 난이도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교양교육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보통 이상으로 만족도는 성별, 학년, 계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여학생, 1학년, 미래융합대학 학생들의 교양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교양교육 운영의 측면에서는 다양한 영역의 교과 개설을 통한 학생 선택의 폭 확대, 시대적 변화 및 최신 경향을 반영한교과 개설, 적절한 교재와 학습자료의 사용, 교수자의 수업 전문성 확보 등이 교양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교과 선택 시 학생들은 편의성과 학습 기대를 먼저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성 중에서도 팀 프로젝트가 없고 과제가 없거나 적은 과목을 선호하며, 학습 기대는 평소 관심 있는 주제와 흥미로운 교과목명을 우선 고려한다. 교과 선택의 경향성에도 성별, 학년, 단과대학별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그리고 수업운영의 관점에서 네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했다.

      • KCI등재후보

        교양 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육

        최주희(Choi, Juhee)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20 교양학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교양 과정으로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실제를 고찰함으로써 교양 한국어의 위상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양 교육의 개념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교양 교육의 목적은 인간을 자율적이고 창의적이 비판적인 인재로 양성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대학 교양 교육 과정은 공통점을 갖는다. 대학에서의 교양 교육의 목적으로 교양 한국어교육 과정의 교과목을 보았을 때, 개설된 한국어 교과목이 교양 교육의 목적을 이루는 데 기여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대학의 교양 교육 과정의 교과목 명칭을 고찰해 보았다. 일반 의사소통 목적의 한국어교육 과정이 여전히 상당한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교양 교육의 관점에서 교양으로서의 한국어교육 과정 내용이 교양인으로서의 인재 배양에 초점을 두고 있는지를 의심하게 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으로 인해 여러 대학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교양 교육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교양 교육 과정에서 한국어교육을 학문 목적의 성격으로 규정하고 이를 실제로 구현한 한국어 교양 교육 과정에 주목하였다. 대학의 교양 교육의 목적을 한국어교육 속에서 녹여낸 교양으로서의 한국어교육 과정의 교과목을 고찰하고 한국어교육의 나아가는 방향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tatus and direction of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re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liberal arts cours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cept of liberal arts education was investigated.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that humans must be nurtured as autonomous, creative and critical talents. When looking at the subjects of the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it was considered that the established Korean language subjects were difficult to contribute to achieving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subject names of the university s liberal arts curriculum were considered.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general communication purposes still occupied a considerable amount. From the perspective of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questioned whether the cont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liberal arts focuses on cultivating human resources as liberal arts people. However, some schools accep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cademic purposes as a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this problem consciousnes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liberal arts education can contribute to cultivating human resources as liberal arts people when the purpose is clarified.

      • KCI등재

        영국대학의 교양교육 현황과 함의점

        김향숙,최진실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atus and practice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UK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less discussed than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and to investigate the aspects that can be referred to domestic liberal arts education. Due to the recent rapid change in the domestic educational environment, the Korean University of Liberal Arts is reorganizing the organization more flexibly to meet the needs of learners and to reduce the need for curriculum reforms to broaden the potential of learners.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s a British education model as a reference point that can be applied to domestic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ogram demands and a program interview and a staff interview. If liberal arts education in Korea is concentrated in freshman to improve basic skills for major education,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UK universities shows the difference of curriculum for each university, and it is linked to the integrated creative education and master's education through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The type education is aimed in common. Convergence majors in science, natural sciences, social sciences, such as humanities and engineering, arts and humanities and sociology, provide a variety of perspectives on a subject, rather than a single point of view, to induce convergent thinking for learners. In particular, the UK's liberal arts education is a very innovative model in that learners can choose their own programs by selecting a variety of subjects and interdisciplinary subjects, and freely choose their majors accordingly. In terms of enabling flexible curriculum, it is meaningful to cultivate learners' ability to cope flexibly in the rapidly changing Fourth Revolution. The results of the successful case study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UK universities through the homepage and field survey by university provide another point of view for finding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current domestic liberal arts educ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cus on “Liberal Arts College,” which has emerged as a template for recent liberal arts innovation, and can contribute to presenting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이제까지 국내에서 미국, 일본,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논의가 적었던 영국대학의 교양교육의 실행여부 및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교양교육에 참조할 수 있는 측면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다. 최근 국내 교육 환경이 급변하는 이유로 국내 교양교육 대학은 보다 유연하게 조직을 개편하여 학습자의 요구에 들어맞고, 학습자의 잠재력을 넓힐 수 있는 교육과정개편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영국의 학습자 수요 중심 교양교육 커리쿨럼과 프로그램 분석 및 담당자 인터뷰를 통해서 국내 교양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참조 점으로 영국의 교양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우리나라의 교양교육이 전공교육을 위한 기초능력 제고로 1학년과정에 집중되어 있다면, 영국대학들의 교양교육은 대학마다 교육과정의 차이를 보이면서 다양한 학습 경험을 통한 융 복합형의 창의적 교육과 학 석사 연계 형 교육을 공통적으로 지향하고 있다. 인문과 공학, 예술과 인문사회 등 과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등과 융합전공으로 어떠한 주제에 관하여 단 한 개의 관점만이 아닌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여 학습자들에게 융합적인 사고를 유도한다. 특히 영국의 교양교육은 학습자가 여러 과목 및 학제 간 과목을 직접 선택하여 자신에 맞는 프로그램을 짜고, 전공도 그에 맞게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혁신적인 모델이며, 추후 학습자가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결정하는데 유연한 커리큘럼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급변하는 4차 혁명시대에 학습자 스스로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함양시킨다는 의의가 있다. 대학별 홈페이지 및 현지조사를 통해 진행한 본 연구의 영국대학의 교양교육의 성공 사례 조사 결과는 현 국내 교양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또 다른 관점을 제공하므로 하나의 참조점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최근의 교양교육 혁신을 담을 수 있는 탬플릿으로 부상하는 ‘학부대학(Liberal Arts College)’에 초점을 맞추어 제고해 볼 수 있으며 또한 앞으로 교양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ACE 사업 참여 대학의 교양교육 운영 특성 연구

        강명희(Kang My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ACE 사업을 통하여 추진되어 온 대학의 교양교육 운영 현황을 운영체제와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대학 교양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2010년부터 2018년까지 ACE 사업에 선정된 적이 있는 4년제 일반대학 57개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1.4%의 대학은 졸업학점 대비 교양 최소이수 비율을 21% 이상으로 운영하였고, 29.8%의 대학은 16%∼20% 범위에 있었다. 둘째, 대학 직속의 교양전담기관을 설치하고, 교양교육목표체계를 수립하고, 교양전담 전임 교수제를 두고 있는 대학이 각각 75.4%, 73.7%, 68.4%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68.4%의 대학이 단과대학 수준의 교양전담기관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설립유형별로 보면 국공립대 중 18.2%, 사립대 중 80.5%로 사립대가 단과대학 수준의 교양전담기관 운영에 더 적극적이었다. 교양학 전공의 학사학위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이 8.8%였다. 많은 대학이 교양전담기관명으로 대학의 비전, 인재상, 특정 인물의 이름, 또는 외국어 복합어 등의 고유명사를 사용함으로써 선명성과 개혁적 이미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넷째, 교육과정의 특징을 보면 필수교양만 운영하는 대학이 57.9%, 필수교양과 일반교양의 형태가 42.1%였다. 필수교양 형태는 대학에 따라 세 가지 유형의 교육과정 구조가 발견되었으며, 필수교양과 일반교양 형태를 운영하는 대학의 경우 세 가지 유형의 교육과정 구조가 운영되고 있었다. 다섯째, 모든 대학이 기초교육을 이수 필수로 지정하고 있었으며, 소양교육을 이수 필수로 운영하는 대학은 87.7%에 달했다.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changes in Korean general education through ACE funds at the undergraduate level. We studied 57 universities that were selected for ACE funding from 2010 to 2018. The main observations are as follows. First, 61.4% of universities had a proportion of 21 general education credit requirements or higher(in comparison to total graduation credit requirements) and 29.8% of universities had a proportion of 16∼20%. Second, in terms of organizational structures, universities that created a general education organization were 75.4%, universities that created a goal system for general education were 73.7%, and universities that had faculty solely dedicated to general education classes were 68.4%. Third, 68.4% of universities had a general education organization at the size comparable to an individual college. Further breakdown by public/private institutions, demonstrating that private institutions were much more proactive in establishing a general education organization at the size an individual college. Rather than describing the disciplinary nature of the organization, the general education organization name often used a non-Korean term to represent to the university’s vision, a specific historic individual to indicate the distinctiveness of the university and its progressive nature. Fourth, 57.9% of universities only had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s, while 42.1% had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s as well as non-required general classes. Fifth, all universities in the study designated certain required classes to provide academic skills and 87.7% of universities included morality and ethics in the regular curriculum as a requirement.

      • KCI등재

        미국 주요 3개 대학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체제의 특징과 국내 사례 연구

        강명희(Kang My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자유교육을 지향하는 하버드대, 프린스턴대, 예일대의 현행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특징을 분석하고, 덕성여대의 새 교양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통하여 국내 교양교육 개혁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미국 3개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은 지식영역과 도구의 구조로 되어있으며, 지식영역은 학문계열에 기초한 배분영역 모델이다. 둘째, 배분영역 교육과정은 교양교육의 핵심이며, 전공에 관계없이 학생들은 모든 배분영역을 이수해야 한다. 셋째, 각 배분영역에 개설된 과목들은 전공과목으로, 학생들은 수강과목을 필요에 따라 전공 또는 교양 이수로 교차하여 선택할 수 있다. 다만 하버드대의 경우 각 배분영역에서 전공과목 이외에도 교양교육 코드가 부여되는 과목들이 일부 개설되어 있다. 넷째, 교양 교육과정은 전공교육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과목의 개설∙운영을 각 전공학과가 주관하고, 교양대학과 같은 별도의 학제적 기관이 없다. 다섯째, 덕성여대의 새 교양교육 프로그램은 위 3개 대학이 운영하는 학문계열 영역배분 모델을 국내 대학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적용한 것으로 몇 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교양교육과정의 질적 관리와 운영체제의 효율성 등은 최근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양교육개혁의 다양성 측면에서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 of Harvard University, Princeton University, and Yale University that pursue the liberal arts mission for their undergraduate education and to introduce Duksung Women’s University as a case study in Kore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s of the three universities have a structure of area of knowledge and skills and the area of knowledge is characterized as a distribution model. Second, all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concentrations must fulfill distributions across all academic areas to achieve a truly liberal education. Third, courses are opened by relevant departments in each distribution area. Students can select the courses they have taken to fulfill either major requirements or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s. Courses in both majors and general education are opened in each distribution area in Harvard University. General classes are managed by the General Education Office. Fourth, because courses in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s are run by each relevant department, these three universities do not have an academic division such as a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Fifth, the new general education program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has adapted the distribution model with some adjustments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in Korea. The new general education program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has some notable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findings will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the nationwide general education reform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