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 평가와 교사 전문적 자본의 관계 분석 :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이승호,김근진,김민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평가와 교사 전문성 신장과의 관계를 전문적 자본의 틀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개인, 집단으로 각각 분석하였던 것에 반해, 전문적 자본이라는 틀을 사용하여 교사의 전문성을 경력에 따라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으로 분석한 특징이 있다. 연구 방법은 학교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였는데, 독립변수인 교사 평가의 경우 교사 평가 전체, 평가 주체와 방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에 대한 평가는 교사의 경력에 관계없이 전문적 자본의 전 영역과 유의미하게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 주체의 경우, 대체적으로 교사의 전문적 자본 증진과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정적이었다. 그러나 학교 외부의 평가와 교사의 인적, 사회적 자본 증진과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못했다. 셋째, 평가 방법의 경우, 교과지식 및 포트폴리오에 의한 교사 평가는 전문적 자본 증진에 긍정적인 반면, 학생 서베이 및 학업성취도에 의한 교사 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을 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센티브에 대한 기대가 있는 교사의 경우, 전문적 자본 증진에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 evaluation and teacher's professional capital. While previous studies are analyzing teacher's professional improvement distinguishing a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this study is analyzing teacher's professionalism based on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As a research method, school fixed effects model is used and independent variable (feedback) is analyzed in two ways (subjects of evaluation, types of evaluat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evaluations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professional capital, which is irrespective of professional capital areas and teacher's experiences. Second, concerning subjects of evaluation, they mostly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professional capital. However, feedback from external schools doesn'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ocial capital. Third, concerning types of evaluation, feedback about the self-assessment of work (teacher's portfolio) and the subject's knowledge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ofessional capital. On the other hand, evaluation from a review of students' test scores doesn'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ofessional capital at all. Last, expectation of incentives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evaluation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 capital.

      • KCI등재

        단위학교의 교육책무성과 교사의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 관계 분석

        이호준(Lee Ho-Jun),양민석(Yang Min-Seok),이성은(Lee Sung-eun),이현국(Lee, Hyun-Kook),정승환(Jung, Seung-Hwan),유지은(Yoo, Ji-Eun),정설미(Jeong Seol-Mi),정지혜(Jeong, Ji-Hye),조태원(Cho Tae-Won),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일반고등학교에서 단위학교의 교육책무성 이행과 Hargreaves & Fullan(2012)이 제시한 전문적 자본의 구성요소인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 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의 일반고 4개년도(2003, 2006, 2009, 2012) 패널 자료를 대상으로 이원고정효과모형(Two-way Fixed Effect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결측으로 인한 탈락편의(Attrition Bias)를 해결하기 위해 다중대체(Multiple Imputation, MI)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단위학교의 교육책무성 이행 정도는 교사 개인의 인적자본 축적에는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자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 경제적 수준이 낮은 학교들에서 단위학교의 교육책무성이 사회적 자본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니터링, 유인설계 중심의 교육책무성 정책이 학교조직 내에서 교사의 전문적 자본을 함양하는데 제한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책무성 정책이 교사 개인의 인적자본을 축적시켜 교사 의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 및 집행되어야 하고, 또한, 단위학교 내에서 정책 불응을 최소화하고 전문적 자본의 축적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책무성 정책의 과정에 대한 구 성원들의 이해와 참여가 필요함을 정책적인 시사점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chool accountability in the school system on teachers'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which comprise professional capital suggested by Hargreaves & Fullan (2012). We construct a panel dataset from the four waves of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Its Actual Condition' spanning 2003-2012, consisting of over one hundred high schools in Korea. Implementing two-way fixed effect model, our results show that, in general, the extent of accountability in the school system does not affect human capital, but social capital. Particularly, in school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the extent of accountabil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ccountability policy has limited effect on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is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 that it is imperative that teachers' perception of the accountability and the implementation of accountability policies need to be investigated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and the efficiency of the policy.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fine-tune the accountability policy in order to strengthen teachers' human capital as well as social capital.

      • KCI등재

        전문적 자본 관점에 기초한 교원능력개발평가 고찰

        문지영(Moon, Jiyoung),노길명(Roh Gil Myoung),김갑성(Kim, Kaps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목적으로 하는 현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를 전문적 자본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시론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argreaves & Fullan(2012)이 제시한 경영 자본과 전문적 자본의 세 가지 차원(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의사결정적 자본)이 무엇이며 현재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 문항 및 시행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전문적 자본의 관점에서 교원의 전문성을 평가한다고 보기 어렵다 둘째, 인적 자본의 관점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 문항은 개별 교사의 역량 및 배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문항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는 교사들의 협력과 집단지성을 유도하기 위해 평가 문항을 개선하고 무엇보다 단위 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평가의 조직루틴(organizational routine)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의사결정적 자본의 관점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을 바탕으로 개인 집단의 반성적 성찰이 이루어지도록 단위 학교의 자율과 창의성을 유도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 거리를 제시한다 첫째, 교직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원평가의 자율적 주체인 교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교원능력개발평가가 단위 학교의 조직루틴이 되어 교원들 스스로 평가의 주체가 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의사결정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은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 문항을 통해서 측정하고 판단하기 어려운 요소들이고 단기간에 축적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고민과 고찰은 다양한 관점의 후속 연구를 통해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heoretical improvement plan by critically examining the current teacher capacity development evaluation system aimed at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capital. For this purpose, the three dimensions of management capital and professional capital proposed by Hargreaves & Fullan (2012) were examined, and the evaluation questions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current teacher capacity development evaluat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current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evaluates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capital. Second, in terms of human capital,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need to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teachers competence and background. Third, in terms of social capital, the evaluation of teacher ability development should improve the evaluation questions to induce teachers cooperation an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bove all,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the unit school should be established as an organizational routine of evaluation. Fourth, in terms of decision-making capital, the evaluation of teacher ability development should induce the autonomy and creativity of the unit school so that reflection of individuals and groups can be done based on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discussion distances are presented: First, a new paradigm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should be recognized and continuous discussions should be made.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are autonomous subjects of teacher evaluation. Third, teachers should go to the direction of becoming the subject of evaluation by themselves as the organizational routine of the unit school.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ecision-making capital and social capital are difficult to measure and judge through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eacher ability development evaluation and do not accumulate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consideration and consideration of this should be supplemented through follow-up stud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