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풍자 잡지 「펀치」 속 과학 풍자 : 자연 과학과 수리 과학에 관한 풍자 비교를 중심으로

        조수남 한국미학예술학회 2019 美學·藝術學硏究 Vol.56 No.-

        Punch, a British magazine of humour and satire, has been considered as a sort of window on thought and culture of the Victorian English by historians. But the historians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sciences in Punch despite popularization and rapid developments of sciences during the era.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that paid attention on sciences in Punch, while the sciences were confined to technological inventions, medical themes or Darwin's evolutionary theory. This tendency of overly weighted toward specific fields is due to difficult problems tha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depict theoretical sciences and to search for the articles treating sciences in the massive material of Punch. However, Punch had treated various scientific issues besides evolutionary theory. This paper will show obvious differences between humour on experimental sciences or natural history and ridicule on mathematics or mathematical sciences. Then we may be able to understand the evide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ttitudes toward natural sciences and mathematical sciences. 풍자 잡지 「펀치」는 빅토리아 시기 영국 사회의 사상과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다. 그런데 19세기 동안 영국에서 과학이 폭넓게 대중화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펀치」의 과학적인 기사들에 대해서는 많이 연구되지 않았다. 그리고 연구되었던 경우에도 주로 기술이나 의학, 혹은 진화론과 관련된 부분만이 주목받았을 뿐, 그 외의 실험 과학이나 자연사, 수학 및 수리 과학과 관련된 내용은 제대로 다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뉴턴의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의 성취 이후 영국에서 과학이 폭넓게 대중화되었던 만큼 「펀치」에는 다양한 과학적 논의들이 풍자되었다. 여기에는 다양한 실험 과학 및 자연사, 수학 및 수리 과학의 내용들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그런데 연구 과정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자연사나 실험 과학에 관한 풍자와 수학 및 수리 과학에 대한 풍자가 그 방식이나 논조 등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는 점이다. 쉽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과학을 접했던 지식 대중에게 실험 과학이나 자연사의 연구들은 접근 가능하고 익숙한, 그래서 더욱 흥미로운 분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이에 반해 19세기 초부터 복잡하고 난이해지기 시작한 수학 및 수리 과학의 분야들은 대중은 물론이고 과학 단체의 회원들에게까지 어렵고 복잡해서 골치 아픈 분야가 되고 있었다. 결국 수학 및 수리과학에 소외된 「펀치」는 이 분야들을 긍정적으로 묘사하지 않았다. 「펀치」의 과학 풍자 기사를 실험 과학 및 자연사 분야와 수학 및 수리 과학의 분야로 서로 나누어 비교 분석해볼 때, 당시 대중들에게 과학이란 어떤 것이었고, 그들에게 과학의 내용들은 얼마나 익숙한 것이었으며, 그러한 과학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문윤성의 『완전사회』(1967) 연구 : 과학소설로서의 면모와 지배이데올로기 투영 양상을 중심으로

        이숙(Lee Suk) 국어문학회 2012 국어문학 Vol.52 No.-

        This study discusses Mun Yun Seong's 『Complete Society』(1967) which is known as the first genuine science fiction (SF) in Korea. Its pioneering aspects were emphasized many times, but studies have been hardly conducted for it. Thereupon,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k focusing on its features as a science fiction, popularity, political aspects, and also satire. Author Mun Yun Seong used "extrapolation", one of the meta-methods for science fiction to be equipped with genuine features as a science fiction. In the field of literature during the 1960's, 『Complete Society』 is not only related with the other works but differentiated from them as well. First of all, the author chose the genre of science fiction and showed that he had internalized anti-Communist ideology, the ruling ideology of that time. As a selection in the competition of a weekly magazine, 『Complete Society』 also reflects the limitations of media and also patriarchal ideology mingled in it. However, what the author really wanted to say that was to give hope and encouragement to the readers and public dreaming of Utopia and to recognize the absurdity of reality. Concretely speaking, the work deals with the criticism about technopia (science civilization), criticism on politicians and the totalitarian system, and criticism on sexual issues. Therefore, the satire shown in 『Complete Society』 leads to critical meditation on the uniform and violent structure of that time through the view of Yu Sun Gu, the main character, who is the deputy of the real author and also implied author. 본고에서 살펴본 문윤성의 『완전사회』(1967)는 한국 최초의 본격 과학소설(SF)로 알려져 있다. 작품의 선도성에 대한 강조는 누차 이루어졌지만, 본격적인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작품이 지닌 과학소설적 성격과 대중성, 정치성, 풍자의 양상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작가 문윤성은 과학소설의 메타 기법인 외삽법을 활용하여 본격 과학소설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1960년대 문학의 자장 안에서, 『완전사회』는 여타 작품들과 연계성뿐 아니라 차별성도 갖는다. 우선 작가는 과학소설이라는 장르를 선택함으로써 당대의 지배 이데올로기인 반공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한 모습을 보인다. 주간지 공모 당선작으로서 『완전사회』는 매체에 의한 한계와 맞물린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또한 투영되어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유토피아에 꿈꾸는 일반 독자, 대중을 향한 희망과 격려이며, 현실의 부조리에 대한 인식이다. 구체적으로 작품 속에서는 테크노피아(과학문명)에 대한 비판, 위정자 및 전체주의적제도에 대한 비판, 성문제에 대한 비판적 언급을 하고 있다. 결국 『완전사회』가 보여주는 풍자는 실제작가의 대리인이자 내포작가인 주인공 우선구의 시선을 통해 당대 현실의 획일적이고 폭압적 구조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이끈다.

      • KCI등재

        풍자소설과 세계문학: 식민지 시기 올더스 헉슬리의 수용 양상

        김미연 한국비교문학회 2023 比較文學 Vol.- No.90

        This paper analyzes the pattern of Alders Huxley’s acceptance in colonial Joseon in the 1930s. Although Huxley is now known as a ‘scientific novelist’, the discussion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it would have been the same way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To analyze this, the following contents were reviewed. First, this paper confirmed that Huxley’s discourse occurred in the academy. The first people to introduce Huxley were English literature majors. Among them, Choi Jae-seo and Kim Young-seok were particularly prominent. The two presented academic reviews beyond introduction. Many contemporary studies were reflected in the two’s reviews, and in-depth analysis was attempted than in the previous era. The interest of English literature majors was similar in Japan. This meant that Huxley’s literature was immediately approved as ‘world literature.’ Secondly, this study scrutinizes the contextual circumstances in which Huxley was designated as a ‘satirical novelist.’ The introduction of Huxley’s literary works accentuated the post-World War I epoch, wherein cynicism and skepticism, characteristic of post-war literature, were prominently discernible in Huxley’s writings. Choi Jae-seo interprets these features as manifestations of Huxley’s ‘self-satire.’ Thirdly, the research analyzes Point Counter Point and Brave New World from the vantage point of ‘satirical novels.’ The former actively introduces a character archetype embroiled in a conflict between ‘reason’ and ‘instinct.’ Choi Jae-seo perceives the portrayal of the wandering intellectual type as reflective of ‘crippled humanity’, thereby broadening the scope of understanding English literature during the 1920s. The latter work is classified as both ‘science fiction’ and ‘satirical fiction.’ Operating on the premise that scientific progress does not guarantee human happiness, it is regarded as a cautionary tale against homogeneity and the erosion of individuality. Consequently, this study holds the significance of reconstructing the discourse that took shape within the colonial shipbuilding milieu, capturing Huxley’s arrival to critique the prevailing zeitgeist through the technique of ‘satire.’ 이 논문은 올더스 헉슬리가 1930년대 식민지 조선에 수용된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헉슬리는 현재 『멋진 신세계』의 ‘과학소설가’로 각인되어 있지만, 처음부터 과연 동일한 호명 방식이었을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이를 분석하기위해 다음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첫째, 헉슬리의 수용은 아카데미의 자장에서 발생하였다. 수용 초기의 주축은 영문학자였다. 그 가운데 특히 두드러진 인물은 최재서와 김영석이다. 두 사람은 소개 차원을 넘어 학술적인 평론을 발표하였다. 두 사람의 평론에는 동시대 영미문학 연구서가 다수 반영되어 있었으며 앞선 시대보다 심층적인 분석이 수행되었다. 일본의 영문학자들 역시 상당한 관심을 가졌고, 번역과 평론이 다수 발표되었다. 결과적으로 아카데미의 조명을 바탕으로헉슬리의 문학이 곧장 ‘세계문학’으로 승인되었다. 둘째, ‘풍자소설가’로 호명된 맥락을 분석하였다. 헉슬리의 문학이 유입되며 강조된 것은 1차대전 이후의 시대적 상황이다. 헉슬리의 초기 문학에는 1차대전 후의 냉소와 회의가 점철되어있었고, 자신이 속한 지식인 계급의 무력감과 퇴폐를 집중적으로 비판하였다. 최재서는 이러한 헉슬리의 ‘자기 풍자’를 각별히 주목하였다. 셋째, 『연애대위법』과『멋진 신세계』를 ‘풍자소설’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전자의 경우 ‘이성’과 ‘본능’ 사이에서 갈등하는 인물 유형이 적극적으로 소개되었다. 최재서는 방황하는 지식인 유형을 ‘불구의 인간성’으로 해석하여 1차대전 이후에 창작된 영국 문학의 이해를 넓혔다. 후자의 경우 ‘과학소설’과 ‘풍자소설’로 명명되었다. 과학의 진보가 인간의 행복을 보장해 주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획일화된 사회와 개성의 절멸을 경고하는 소설로 독해된 것이 핵심이다. 이 연구는 ‘풍자’의 기법으로 시대를 비판한 헉슬리가 도착한 장면을 포착하여 식민지 조선에서 형성된 학술적인 담론을 재구성해 보았다.

      • KCI등재후보

        문윤성의 『완전사회』(1967) 연구 -과학소설로서의 면모와 지배이데올로기 투영 양상을 중심으로

        이숙 국어문학회 2012 국어문학 Vol.52 No.-

        This study discusses Mun Yun Seong’s Complete Society (1967) which is known as the first genuine science fiction (SF) in Korea. Its pioneering aspects were emphasized many times, but studies have been hardly conducted for it. Thereupon,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k focusing on its features as a science fiction, popularity, political aspects, and also satire. Author Mun Yun Seong used “extrapolation”, one of the meta-methods for science fiction to be equipped with genuine features as a science fiction. In the field of literature during the 1960’s, Complete Society is not only related with the other works but differentiated from them as well. First of all,the author chose the genre of science fiction and showed that he had internalized anti-Communist ideology, the ruling ideology of that time. As a selection in the competition of a weekly magazine, Complete Society also reflects the limitations of media and also patriarchal ideology mingled in it. However, what the author really wanted to say that was to give hope and encouragement to the readers and public dreaming of Utopia and to recognize the absurdity of reality. Concretely speaking, the work deals with the criticism about technopia (science civilization), criticism on politicians and the totalitarian system, and criticism on sexual issues. Therefore, the satire shown in 『Complete Society』 leads to critical meditation on the uniform and violent structure of that time through the view of Yu Sun Gu, the main character, who is the deputy of the real author and also implied author. 본고에서 살펴본 문윤성의 『완전사회』 (1967)는 한국 최초의 본격 과학소설(SF)로 알려져 있다. 작품의 선도성에 대한 강조는 누차 이루어졌지만,본격적인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작품이 지닌 과학소설적성격과 대중성, 정치성, 풍자의 양상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작가 문윤성은 과학소설의 메타 기법인 외삽법을 활용하여 본격 과학소설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1960년대 문학의 자장 안에서, 『완전사회』 는여타 작품들과 연계성뿐 아니라 차별성도 갖는다. 우선 작가는 과학소설이라는 장르를 선택함으로써 당대의 지배 이데올로기인 반공 이데올로기를내면화한 모습을 보인다. 주간지 공모 당선작으로서 『완전사회』 는 매체에의한 한계와 맞물린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또한 투영되어 있다. 그러나궁극적으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유토피아에 꿈꾸는 일반 독자, 대중을 향한 희망과 격려이며, 현실의 부조리에 대한 인식이다. 구체적으로작품 속에서는 테크노피아(과학문명)에 대한 비판, 위정자 및 전체주의적제도에 대한 비판, 성문제에 대한 비판적 언급을 하고 있다. 결국 『완전사회』 보여주는 풍자는 실제작가의 대리인이자 내포작가인 주인공 우선구의 시선을 통해 당대 현실의 획일적이고 폭압적 구조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이끈다.

      • KCI등재

        불가코프의 「개의 심장」(1925/1987): 환상, 과학, 풍자

        김연경(Kim, Yeonky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4

        불가코프의 「개의 심장」(1925/1987)은 『거장과 마르가리타』와 더불어 그의 산문저작 중 최고작으로 평가된다. 이 논문은 이 소설을 환상, 과학, 풍자의 맥락에서 읽어내려는 소박한 시도이다. 그 전제로서 ‘생명 창조’ 테마의 고전적 전범인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혹은, 현대의 프로메테우스』를 살펴본다. 논문의 3장은 「개의 심장」분석이다. 먼저 유기견(프롤레타리아)에서 애완견(부르주아)으로, 개(샤릭)에서 인간(샤리코프)으로의 변신 과정을 살펴본다. 명명 작업에서 이미 보이듯, 소설의 플롯은 사회적인 계급 갈등을 풍자와 알레고리의 어조로 담아낸다. 빈번한 시점전환과 환상 기법 역시 이 주제의 미학적인 전개를 돕는다. 그다음에는 프레오브라젠스키 교수의 성격 및 자기모순(속물성, 이기주의, 심지어 폭력성 등)을 짚어본다. 그의 과학적 원칙과 실현, 그 사이의 결렬, 마지막 해법 등에 주목한다. 결론에서는 이 소설을 불가코프의 창작뿐만 아니라 SF문학사의 맥락에서 읽어볼 가능성도 함께 제시한다. M. Bulgakov"s 〈Heart of a Dog〉(1925/1987) has been evaluated as one of the best prose work written by him with 『Master and Margarita』. This article is a humble try to read the novella in the aspect of the fantastic, Science Fiction and satire. As a premise we survey M. Shelly"s 『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 for, it is a classic example of the theme of "creating a life". Third paragraph is dedicated to the analysis of 〈Heart of a Dog〉. At first, we examine the process of metamorphosis from a stray dog(Proletariat) to a pet(Bourgeois), and from a dog(Sharik) to a human being(Sharikov). As naming already shows, the plot contains the social class conflict in satire and allegory. The fantastic and frequent transition of point of view also help to develop this theme aesthetically. And then our attention is paid to Prof. Preobrazhensky"s self-contradictions, his scientific principle and its realization, his last solution etc. In conclusion is briefly mentioned the significance of the novella in Bulgakov"s work and the possibility to read it in the history of SF literature.

      • KCI등재

        불가코프의 『개의 심장』과 H. G. 웰스의 『모로 박사의 섬』의 유사성 고찰

        정연호(Chung Yeon H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1

        불가코프의 작품이 웰스의 작품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음은 기존의 많은 문학연구들에 의하여 밝혀졌다. 하지만 작품 속으로 들어가서 불가코프의 어느 작품의 어느 부분이 웰스의 어느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어떠한 점이 서로 유사하고 또 그 차이점은 무엇인지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불가코프의 작품들 중에 공상과학적 요소가 강한 1920년대 작품들 가운데서 『개의 심장』을 택일하여, 이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친 웰스의 『모로 박사의 섬』과의 유사성을 고찰하였다. 불가코프의 『개의 심장』이나 웰스의 『모로 박사의 섬』은 모두 공상과학적 소설로서 한 과학자의 생물학적 실험이 빚어내는 엄청난 재앙과 그 위험성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 작품 속에서 주인공의 형상, 실험, 사건, 모티프 등의 많은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불가코프는 동물을 인간으로 만드는 선배 작가의 ‘실험’을 단순히 모방하는데 그치지 않고, 당시 소비에트적 러시아의 토양 속에서 정치적 알레고리로 풍자화하여 변형시키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탈경계의 문학적 상상력: 스트루가츠키 형제의 『월요일은 토요일에 시작된다』

        이희원 ( Hee Won Lee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5 No.-

        The Strugatsky Brothers, one of the most prominent authors in the field of Soviet science fiction in Russia who began their career in the end of 1950s and had apotheosis in 1960s in the mood of social thaw, had greatly impacted the development in the genre of the 20th Century Soviet science fiction as well as they pioneered it. The Strugatskys’ originality should be found in their creative work that combined tradition of critical satire in the Soviet literature with the science fiction. The Strugatskys’ works are not dystopia nor the simple science fiction, but the experimental space where fundamental issues about human being had been searched inquisitively. The Monday begins on Saturday is a noticeable literary work in which clearly displayed unique style of the Strugatskys`` creative writing. This fantasy novel satirizes the reality of Soviet and the idealism of science, using a genre of fairy tale, made remarkable position in the Strugatskys’ works. It is notable that the comic style of this novel is distinguished from other dystopia that reflected the reality of Soviet in dark mood. It is a metonymic space in which concentrated keen satire of the Strugatskys on Soviet’s idealism of science and the reality of Soviet. By the using of a metaphor for absence of sundays or holidays the Strugatskys emphasis that mundane work and idleness in Soviet. In that way the Strugatskys proof their self as an outstanding political author to whom Soviet society was their system of reference, their subject, and addressee. The Monday begins on Saturday consists of three parts, “Vanity around sofa”, “Vanity of vanity” and “All kinds of vanity” yet, neither main events making up the story line, nor the ending resolving the conflicts exist. Only the series of sudden events such as unexpected encounters of magical figures, Soviet scientists, magicians from all over the world, supernatural figures are mixed in vanity. This vanity originated from the stiffened monologic mentality of scientism and stiffened mechanical circumstance, but in that lifeless mechanical/automatic situation bursting out laughing would play a role for “correction of imperfection” that the Soviet society claimed. In other words this laughing is from the irrationality of excessive seriousness and “the socially valid punishment on immoral and despicable men.” The gloomy daily life and harmful effect of bureaucracy produced full of idleness in the Soviet society. The Strugatskys’ satire on the daily idleness and evilness of the Soviet bureaucracy targeted “unproductiveness” of Soviet’s rhetorical slogan by the vain wordplay and futile signifiant in The Monday begins on Saturday. Especially daily idleness, armchair argument, and monologues were gathered into the meaning of “Vanity”, repeated subtitles in three parts of this novel and emphasized the futile signifiant that do not produce signifier. Numerous abbreviation in The Monday begins on Saturday had caricatured futile signifiant of Soviet society that created “untranslatable” non-communication even to internal recipients owing to the Soviet’s scientism and the rational expediency. Meanwhile, the Strugatskys’ humanistic imagination boosted moral-social issues in their works and manifested The Monday begins on Saturday as the integrated meeting space that met with all the imaginary elements from Russian folktales and classical literatures. Noticeably enough, this literary work is not only an unique experimental genre that engrafts the fairy tales into the genre of science fiction, but also the realization of dynamic conversation with the tradition of fantasy and satire in the Russian literature. It is a “Menippea” or “Menippean satire” that M. M. Bakhtin defined as “carnival-like genre and exceptional format of experimental fantasy.” Menippean characteristics in The Monday begins on Saturday could be found in the contravention of the genres and carnival-like overturn against the Soviet ‘official genres`` of literature. It satirizes the Soviet’s reality and represents the Strugatskys’ secret aspiration of “the victory over the authoritarian prohibition and fear.”

      • KCI등재

        카니발 문학으로서 웰즈의 『우주전쟁』 읽기

        최윤정(Yun-Jeong Choi) 19세기영어권문학회 2008 19세기 영어권 문학 Vol.12 No.1

        H. G. Wells’s The War of the Worlds belongs to the future war narrative which was hugely popular in the late Victorian and the Edwardian period. Reviving the 18th century Gothic romance’s theme, “the return of the repressed”, the future war narratives reflect political conflicts among the Western imperial powers. The works of the fin-de-sicle invasion narrative such as George Chesney’s The Battle of Dorking and Bram Stoker’s Dracula demonstrate the author’s patriotic anxiety about the Victorian public’s complacent attitude towards the empire’s future. Unlike these works, Wells’s text welcomes the Martian’s invasion of the earth as the medium to destroy the old world order and construct the new world. In fact, combining the fantasticality of the Gothic genre and the future narrative genre, and deconstructing their theme and ideology, The War of the Worlds belongs to the Carnivalised Literature in Bakhtinian term. As the romance of the carnivaldom, through spectacular description of the way in which the established social order is destroyed by the Martian, Wells’s text celebrates the moment of change and destruction of the hierarchy, the prohibitions, the norms and the morality advocated by the officialdom. Also as the medieval carnival provided the space in which various voices from the high to the bottom of society are mixed, the text contains various characters’ different opinions about society. Like the Manippean satire which is considered as the first form of the Carnivalesque Romance by Bakhtin, Wells’s text is written in the narrative of the social adventure novel, which combines philosophical speculations with the adventure plot. Also the text is double-voiced, and this renders the ending of the narrative ambiguous. Thus, as the Carnivalesque Literature, Wells’s The War of the Worlds celebrates the state of becoming in terms of the theme and the narrative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