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찰-추천제는 어떤 특성의 영재를 선발하는가? : 선발시험 vs. 교사관찰추천으로 본 영재들의 지능, 진로유형, 자기조절 학습능력

        한기순,양태연,박인호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단계 선발방법에 의해 선발된 영재들과 새로운 전형인 관찰추천제도로 선발된 영재아동의 지능, 자기조절 학습능력, 진로유형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특성비교를 통하여 영재 선발 방식의 대안으로서 교사 추천 방식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지능은 기존의 3단계 전형에 의해 선발된 영재(IQ=129.82)들과 관찰 추천제에 의해 선발된 영재들(IQ=130.54)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영역별로 살펴보면, 어휘적용력이나 이해력, 도식화 능력 등은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유형의 경우는 선발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존 선발전형의 영재들은 탐구형(72%)이 월등히 많은 반면,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은 탐구형을 포함하여 기업형, 사회형, 실제형, 관습형 등의 유형분포가 기존의 선발시험제도 영재들 보다 넓게 나타났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에서는 과제인식, 학습신념의 통제가 기존 선발시험제도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한 차이로 높았으며, 시험불안, 시연, 정교화, 조직화, 동료학습에서는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paper and pencil test utilized to identify gifted students so far to the recently introduced teacher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d intelligence, career patterns, and self- regulated learning abilities of gifted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through those two different identification system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newly introduced teacher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overall IQ score. However,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through the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at some subscores of intelligence test, such as vocabulary application, comprehension, and schematization. In the aspects of career patterns, about 72% of gifted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revious paper and pencil test belonged to the 'investigative' category of Holland. But more diverse career patterns such as enterprising, social, realistic, conventional including investigative categories were found in those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by the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between two groups of student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학생 선발과정에 대한 비교 분석

        장낙한,유진우,류해일,Jang, Nak-Han,Ryoo, Jin-Wo,Ryu, Hai-Il 한국영재학회 2006 영재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 학생 선발과정에 대해 조사하고 외국 과학영재교육기관의 영재 학생 선발과정들과도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분포는 학생 수의 비율에 비해 지역적으로 불균형을 이루고 있었으며 다양한 학생들이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생 비율에 따른 균형적인 분포가 필요하다. 또한 초등학생 선발 비율이 중학생 선발 비율에 비해 현저히 작아 역피라미드형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를 피라미드형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았다.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 선발 절차는 먼저 성적 기준으로 영재 학생들을 형식적으로 추천받고 창의적 검사, 자체 제작 평가지, 심층 면접 등과 같은 지적인 검사를 토해 선발한 후 캠프를 통하여 영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비해 외국의 영재 판별 절차는 일정 기간의 캠프를 통하여 지적 판단뿐 아니라 과제 집착력과 같은 비지적인 도구로 영재를 판단하는 것을 볼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도 교사의 추천서에 의한 지원 자격이 필요하며 영재 선발 대상자들의 학습 습관과 태도 등 비지적인 요인을 실제적으로 검사하는 판별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n this study, selecting process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in university and was compared with foreign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The number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was unequality located to the regions, comparing with the ratio of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balancing location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according to the ratio of students to let various students have the gifted education. Comparing with the ratio of gifted student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shape of ratios seems to be a inversed-pyramid. It is necessary to select students with the shape of the pyramid, supporting them to be educated, systematically and officially. The gifted students were selected through the procedures of creative test, intelligent test and individual interview in science education institute

      • KCI등재

        과학영재학교 우수교원 확보를 위한 영재교육 관련 법 개선 방안

        김종득,문경근,정병훈,박은영 한국영재학회 2004 영재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영재교육 관련 현행법의 개선을 통해 과학영재학교의 우수교원을 확보하고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 과학영재학교 우수교원 선발 기준의 확립 과학영재학교에 우수 교원을 확보하기 위해 영재교육 관련 현행법을 활용하는 방안과 과학영재학교의 법적 지위의 전환을 통한 개선 방안 및 우수교원 확보를 위해 법제적으 로 규정되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2. 교원 전문성 신장과 근무조건 개선 방안 영재교육의 질적 고도화를 도모하고 영재교육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영 재교육 담당교원의 수급 및 양성 뿐만 아니라 능력개발, 근무여건, 처우 등을 포괄적으 로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다. 과학영재학교 교원이 전문성 신장과 근무조건 개선방안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① 장기연수 및 지속적 연구 실시 ② 장기근무 보장 ③ 연구비 지원 ④ 승진우대 It is very essential to recruit professional teachers for Gifted Education because the main goals of this school are focusing on the highly advanced technical science fields, enhancing self study and research environment which leads t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e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of the current Gifted Education Action Law For Teacher Recruitment in Gif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1.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Teachers' Qualification in Gifted Education To recruit professional teachers, they are studied to use the current Gifted Education Action Law and to converse the legal position of Busan Science Academy 2. Developing Professionalism and Improving Conditions of Employment To gualify for Gift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ing professionalism and improving conditions of employment. ■ To provide long-term training and a sabbatical year for research ■ To make able teachers teach in a school longer than other teachers if teachers agree to it. ■ To pay research funds for teachers for gifted education. ■ To give advantage for gifted teachers in promotion As the result of study, it has been systemized the standards of recruiting qualified teachers of the Science School for Gifted, has been proposed the ways of developing specialty of teachers and working conditions.

      • KCI등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운영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

        이봉우(Lee, Bongwoo),조헌국(Jho, Hunkoog),이세연(Lee, Seyeon),지영래(Ji, Youngrae),하상우(Ha, Sangwoo),김희경(Kim, Heekyong)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1 과학영재교육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 쟁점의 논의를 통해 영재원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영재원의 교육목표 및 운영, 선발,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 질관리 등의 4개 영역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원의 교육목표에서 과학, 영재 등에 가장 인접한 단어는 탐구, 지역 등으로 영재원 교육이 탐구 중심의 지역인재 양성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선발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심화과정에서는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를 1차 심사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2차 심사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다. 사사과정에서는 재원생 진급 평가에 영재원 교육의 이수과정(출석, 평가결과)과 학업계획서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셋째, 영재원 교육과정은 특정 영역에 편중되어 구성된 경향이 강했고, 영재원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사용 자료가 부족하였다. 넷째, 영재원의 질관리를 위한 연차평가 지표는 보고서 기반의 결과중심의 평가로 영재원 교육의 질향상에 기여도가 낮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블렌디드 교육을 포함한 영재원 교육 운영의 유연화, 관찰 추천 개선과 무학년제 시스템, 교육 프로그램 틀의 표준화, 질관리에서의 과정 평가 및 평가방식의 개선 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gifted affiliated with university and to examin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gifted center through discussion on related issues. For this purpose, four areas such as educational goals and operation, selection, curriculum and education programs, and quality management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ds closest to science and gifted in the educational goals of gifted center are inquiry, region, etc., suggesting that gifted education in gifted center is related to inquiry-centered nurturing of local talent. Second, for the selection process, in the intensive course, teacher recommendations and self-introduction letters were most used in the first screening, an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est was used the most in the second screening. In the mentorship course, the completion process (attendance and evaluation results) of gifted center and the study plan are widely used to evaluate the promotion of current students. Third, the curriculum for the gifted centers tended to be structured in a specific area, and the programs developed at the gifted center lacked data for teachers. Fourth, the annual evaluation index for quality management of gifted center was a report-based, result-oriented evaluation, and had a low contribution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gifted center.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flexibility in the operation of education for gifted center including blended learning, improvement of observation recommendation and no-grade system, standardization of educational program framework, and improvement of evaluation process and evaluation methods in quality control were discussed.

      • KCI등재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선발문항 분석: 서울대학교 과학영재센터 중학교 심화과정의 화학영역 중심

        최취임,정민수,홍훈기,채희권,정대홍,Choi, Chui-Im,Jung, Min-Soo,Hong, Hun-Gi,Chae, Hee K,Jeong, Dae-Hong 대한화학회 2008 대한화학회지 Vol.52 No.3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성 구성요인과 고전 검사이론을 이용하여 중학교 과학영재센터 화학반 선발에 사용된 선발문항을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문항이 과학영재성의 구성요인 중 두 가지 이상을 복합적으로 측정하는 문항이었으며, 중학교 수준의 과학지식을 적용하여 해결하도록 하였다. 과학 영재성의 구성요소의 하위요소를 분석 한 결과에서 창의성 영역에서는 유창성과 독창성이 과학탐구 능력에서는 문제발견 및 가설설정, 실험설계, 자료해석에 평가항목이 집중되어 있었으며 결론도출 및 일반화에 해당하는 요소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각 유형과 총점과의 상관분석에서 과학지식과 결부되어 과학 탐구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의 유형이 총점을 잘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문항 난이도는 다소 높고, 문항 변별도는 적절하였다. 이로부터 창의성과 과학탐구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균형 있게 안배해야 하며, 난이도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test that were used in entrance examination for chemistry class in a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by using criteria for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scientific giftedness and a classical test theory. The result of analysis exhibited that most of problems measured more than two elements of scientific giftedness and required applications of scientific knowledge of middle school level to solve problems. In the analysis of sub-elements of scientific giftedness, originality, fluency in creativity and finding problems/formulating hypothesis, planning inquiry, interpreting data in science process skills were dominant while drawing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 processes were lacking. I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otal score and each type of problems, total score was most influenced by the problems measuring science inquiry linked with scientific knowledge. Item difficulty is moderately high and item discrimination is moderate.

      • 대학 과학영재교육원의 운영 사업 비교와 발전 과제

        최호성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09 과학영재교육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25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가운데 14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제반 특성과 실태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각 교육원의 운영 사업보고서를 토대로 교육목표, 조직 구성원, 과학영재선발과 관리 방법, 교육 프로그램 구성 체계와 내용, 학습 성취도 평가 방법, 대학별 특별 추진 사업 계획 등 6가지 측면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그동안 과학영재교육원이 미친 사회적 영향과 교육적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대학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하고 추진해가야 할 발전적 실천 과제들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창의적 과학 영재 육성을 지향한 한국과학영재학교(KSA) 운영 10년의 성찰과 전망

        최호성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4 창의력교육연구 Vol.14 No.4

        Since the proclamation of special law for promoting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2000, there were a big step to establish the first high school for the gifted in science. On 2002, Ministry of Education decided to transform the Busan Science High School as the first Gifted high school in Korea, named the Korea Science Academy(KSA). It is recognized that openning a new type of school in Korea can be a catalyst to stimulate schools moving toward creativity and student-centered education. In the past 10 years, KSA have made so many efforts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al services coping with gifted students’ dynamic learning challenges. As a result of successive trials to set up a futuristic gifted education model, KSA has initiated many reformative programs for the gifted in science, for instance, a customized mentoring program called Research & Education(R&E), introduction of project-based and integrated subject, etal. This study tried to review the brief history of educational practices of gifted high schools in Korea, including educational services and its social impacts during the last ten years. Based on some implications through such reflections on gifted education for the science, this study suggested twelve tasks which every gifted high school for the science in Korea should have attention and make efforts to accomplish for the future. 본 연구는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 제정 이후 고교 수준의 영재교육 기관으로 설립된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영재학교(KSA)의 변화와 미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우선 영재교육의 두 가지 관점을 논의하고 영재와 영재성에 대한 정의의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한국과학영재학교(KSA)를 중심으로 한 과학영재학교가 어떻게 확대되어 왔는지를 사실적으로 설명하였다. 더 나아가 과학영재교육이 사회적으로 미친 영향과 성과를 논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미래 발전 지향적 과학영재교육을 위해 창의영재교육 요람으로서의 과학영재학교들이 추진해야 할 과제들을 다면적으로 제안하였다.

      • 과학 영재 선발에 사용된 지필 검사 문항의 질적 및 양적 특성 분석 : 2007-2008년 강원대학교 영재 교육원 선발 문항을 중심으로

        이기영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09 과학영재교육 Vol.1 No.3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 선발 도구로 사용된 지필 검사 문항의 질적 및 양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양호한 영재 선발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항의 질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틀을 구안하였으며, 문항의 양적 특성 분석을 위해 고전검사이론을 적용한 난이도와 변별도, 상관계수, 그리고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문항의 질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과학적 사고를 요하는 문항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과목(영역)-특수적인 창의적 사고를 요하는 문항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의 양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문항간또는 과목간 난이도 편차를 극복할 필요가 있으며, 검사 도구의 안정성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다 양호한 영재 선발 지필 검사 문항 개발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과학영재교육원 중학교 물리 전공 선발 문항 분석

        임춘우,박윤배 韓國英才學會 2010 영재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영재선발도구로서 지필 검사 문항의 적합성에 대한 검토를 위해 과학영재 교육원 중학교 물리 전공 학생 선발에 지난 3년간 사용된 문항들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을 하여, 새로운 전형방식에 주는 교훈을 얻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객관형 문항의 평균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었으나, 교과 및 내용별로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술형 문항이 객관형 문항에 비해 어렵게 출제되었으며, 변별력이 높았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정 문항들과 총점과의 상관관계에서 객관형 문항의 경우는 수학과 물리, 화학 문항들과, 과학영재성 및 창 의성 문항들에서 가장 높은 상관이 나왔으며, 서술형 문항이 객관형 문항보다 총점과 의 상관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발 시험에 응시한 학생들 가운데서 다른 영 재교육기관에서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차이를 t 검증으로 분 석한 결과, 영재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학생들의 총점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술형 문항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과정에서 추천서의 유의미성 분석

        장원형,홍훈기,이경건 한국영재학회 2022 영재교육연구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에 있어서 추천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A 과학영재교육원에 제출된 추천서 168편에 대하여 합격 여부에 따른 내용상의 차이를 추천서에 포함된 주제어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추천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요소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합격한 학생들의 추천서에는 ‘활동’, ‘탐구’, ‘발표’, ‘연구’ 등 과학적 탐구 능력과 관련된 주제어가 상대적으로 많이 출현한 반면 ‘열정’, ‘흥미’, ‘태도’, ‘성실’ 등 정의적 영역과 관련된 주제어의 경우 합격한 학생들의 추천서와 불합격한 학생들의 추천서에서 비슷한 빈도로 출현하였다. 이러한 경향에 대한 통계적 유의미성을 확인한 결과, 과학적 탐구 능력과 관련된 서술은 합격 여부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적 영역과 관련된 주제어의 서술은 합격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합격한 학생들의 추천서에는 리더십 및 교우관계에 관한 긍정적인 내용이 다수 서술되었으며 불합격한 학생들의 추천서에는 ‘모습’, ‘생각’과 같이 피상적 표현이 다수 서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re was analysis on whether recommendation lette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selection process of gifted education subjects at a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To this end, 168 letters submitted to “A”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were examined, focusing on specific keyword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everal facto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elatively many words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ability such as 'activity', 'inquiry', 'presentation', and 'research' appeared in the recommendation letters of students who passed the institute, whic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hetherthey pass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keywords related to affective areas such as 'passion', 'interest', 'attitude', and 'sincerity', these words appeared at similar frequencies in recommendations of students who both passed and failed. However, the description of subjects related to the affective area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tudents’ acceptanc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omments about leadership and friendship were described in the recommendation letters of students who passed, and superficial expressions like 'look' and 'thought' were used in the letters of those who fai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