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공원의 공간적 불균형 분석을 통한 공급적정성 평가

        김형준,정성관,이우성,Kim, Hyoung-Jun,Jung, Sung-Gwan,Lee, Woo-Sung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4

        최근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 건설을 위한 도시공원 입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바람직한 도시공원 조성을 위해서는 공급적정성 평가와 입지 선정 방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 도시공원의 공간적 불균형과 입지계획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을 대상으로 도시공원의 공간적인 불균형을 평가하고 부족지역을 추정하였으며, 불균형 해결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황금 1동과 2동의 도시공원 법적 요구량은 각각 943.08$m^2$/GRID, 380.61$m^2$/GRID로 나타났으며, 2개 근린공원과 4개 어린이공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총 서비스 제공량은 각각 406,730.80$m^2$, 157,086.40$m^2$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황금동 전체의 공급적정면적을 평가한 결과, 법적 제공면적 이하의 도시공원을 제공받는 지역은 황금 1동이 12.3%, 황금 2동이 51.5%로 나타났다. 한편,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도시공원의 공급적정성을 평가한 결과에서는 "매우 충족"한 지역이 황금 1동 20.5%, 황금 2동 5.4%로 나타난 반면, "매우 부족"한 지역은 황금 1동 27.6%, 황금 2동이 10.8%로 분석되며, 도시공원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 지역은 면적, 형태 등을 고려한 공원의 추가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공급적정성 평가 결과는 도시공원 업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건설을 위한 공원기본계획의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the location of urban parks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an environment-friendly, sustainable city. To build a refined and desirable urban park, it is necessary to have precise understanding on the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and selection method for its location.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spatial imbalance and location plan of urban parks. Therefor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valuate the spatial imbalance of urban parks in Hwanggeum-dong, Suseong-gu in Daegu and propose a policy suggestion to solve the imbala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Hwanggeum 1-dong and 2-dong recorded 943.08$m^2$/GRID and 380.61$m^2$/GRID, respectively, in terms of legal requirements for urban parks and 406,730.80$m^2$ and 157,086.40$m^2$ in terms of total service supply from two neighborhood parks and four children's park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optimal supply area across Hwanggeum-dong, Hwanggeum 1-dong and 2-dong recorded 12.3% and 51.5%, respectively. In an evaluation of the supply adequacy of urban parks, the areas described as 'very satisfying' were 20.5% and 5.4% in Hwanggeum 1-dong and 2-dong,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the areas described as 'very dissatisfying' accounted for 27.6% and 10.8%, respectively, in the two regions. It appears that additional parks should be developed in the inferior areas in terms of urban park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area and shape. The results of the supply adequacy evaluation will be used as a tool to figure out and solve problems in the location of urban parks and as basic data for a master plan to build an environment-friendly, sustainable city.

      • KCI등재

        도시공원 일몰제에 대한 법적 개선방안 연구

        강석점(Kang, Sug-Jeom)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東亞法學 Vol.- No.80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실효제도에 의하여 2020.6.30.까지 도시공원 예정 부지를 지방자치단체가 재정난으로 매입하지 못하거나 도시공원조성사업을 시행하지 못하면 그 동안 공원구역으로 결정된 도시공원이 조성되지 못할 위기에 놓여 있게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도시계획결정으로 무려 20여년 도시공원구역으로 묶여 있는 토지소유자 입장에서는 조속히 공원조성사업을 시행하여 보상을 해주든지 아니면 속히 해제하여 재산권 행사를 할 수 있도록 구역해제를 해주든지 그 결정을 바라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해소를 위한 법적 해결방안을 제시하자면. 첫째, 민간 개발도시공원 사업을 활성화해야 되며 특혜시비 해소차원에서 개발이 용이하고 수익성이 보장되는 공원구역에 더하여 다소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지역적으로 공원이 반드시 필요한 곳에 동시 사업을 하게하는 즉, 도시공원법에 둘 이상의 공원을 결합하여 조성할 수 있는 근거를 도시공원법 제21조에 부가하여 교차보전을 통한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도시공원 대장의 철저한 작성 및 관리를 통해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공원녹지 조성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공원녹지정보체계의 구축·운영” 규정을 신설하여 도시공원 관리를 정보화해야 한다고 본다. 셋째, 도시공원의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해제기준이 법률이나 시행령에 규정되어 있지 아니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의 훈령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정·시행하고 있으나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해소기준은 기본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명확성의 원칙에 따라 법규화 해야 한다. 넷째, 미집행 장기도시공원의 25%에 해당하는 국공유지는 사적 이용권이나 재산권의 침해가능성이 낮으므로 부지내의 국공유지는 실효대상에서 제외하고 구역 내 토지 소유자와 협의매수 또는 수용재결방식이 아닌 부지사용계약을 체결하는 방법으로 공원이 조성되도록 도시공원법을 개정하며, 다섯째, 시·도지사는 국토계획법과 공원녹지법상 실효제도가 적용되지 않고 원칙적으로 손실보상 대상이 아닌 도시자연공원구역지정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도시공원을 자연공원구역으로 지정을 전환하고 여섯 째, 공원녹지법 제15조를 개정하여 광역도시공원을 신설하고 이를 광역시장․도지사가 관계 시장 또는 군수와 협의를 거쳐 시장군수가 설치․관리하는 도시공원을 광역도시공원으로 지정하도록 하여 광역도시공원에 드는 비용의 일부를 중앙정부가 지원하도록 해야 한다. 일곱 째, 도시공원의 장기미집행 부지 해소를 하기 위해서는 국가보조금을 도시공원조성사업비의 50%로 부담토록 하고, 특별회계와 기금운영제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도시공원의 장기미집행으로 헌법상에 보장된 재산권행사가 침해된 경우에는 즉 도시계획 결정이후 아무런 보상없이 인공조림 또는 시설을 설치하여 공원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부당이득 반환청구를 할 수 있고 또한, 도시공원시설 해제입안 또는 그 입안에 대한 거부처분이 있는 경우에는 항고소송을 제기할 수 있음은 물론, 토지소유자가 국토계획법 제48조의2에 의하여 도시공원 도시·군관리계획 결정고시일로부터 10년이 경과하면 도시공원 장기미집행의 해제를 명할 의무가 행정청에게 주어지는 것이므로 이를 거부하는 경우 공권력의 불 행사에 해당되며 장기미집행 도시공원부지의 토지소유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을 상대로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청구하여 권리구제를 받을 수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대구광역시 도시공원 이용특성 및 조성방향

        서정희,장민숙,김근호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9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oth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use of Daegu city-parks and to explore their types and construction directions. The theoretical review is conducted on the construction and use of the parks. Plus, empirical data are collected from both 1,509 Daegu citizens and experts. They are analyzed using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d χ² 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pondents often visit both the nearest park with their homes and usually the city-parks with their family on foot on a weekend evening during the springtime. The most frequently used facilities include hiking trails and recreation facilities. The current urban park is used as a space for static activities such as light walking and relaxation of citizens.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type is the 'small park' and one of the most urgent types is the 'neighborhood park’ near residential areas. This means that accessibility to the parks in everyday life are highly important and urgent. Furthermore, cultural parks such as theme parks should be constructed for cultural life of the citizen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eeds of urban parks and seeking for improvement from the viewpoint of the demander. Although it analyzes the current use and the direction of urban parks, a further research will be required on specific programs to be included in future urban parks.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도시공원의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미래에 요구되는 도시공원의 유형 및 조성방향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공원의 조성·이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대구시 도시공원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구시민과 전문가 1,509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적 통계분석, χ² 검정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산책을 목적으로 주거지에서 가장 가까운 공원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계절은 주로 봄철, 방문시간대는 저녁이며, 도보를 통해 주로 방문하는 특성을 보인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시설은 산책로, 휴양시설 등로 현재 조성된 도시공원은 시민들의 가벼운 산책, 휴식 등의 정적 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미래의 도시공원 조성방향에 대한 분석결과, 중요한 도시공원 유형으로는 ‘소공원’, 가장 시급하게 조성해야 할 공원 유형으로는 ‘주택지 주변 미조성 근린공원’으로 나타나 일상생활권 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도시공원에 대한 중요성과 시급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대구를 상징하는 공원 유형으로는 ‘문화공원과 근린공원’으로 나타나 대구의 문화적 특징을 활용한 문화공원 즉, 주제공원 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요자의 관점에서 도시공원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향후 필요한 도시공원 유형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도시공원 조성방향에 있어 공원유형만 다루고 있어, 향후 도시공원이 담아야 할 구체적인 콘텐츠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AHP 기법을 활용한 공원 CPTED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정철우,김문귀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8 경찰학논총 Vol.13 No.1

        최근 우리나라에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도심에서의 공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공원이 갖는 개방성이라는 특성은 자칫 공원 환경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을 경우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장소가 될 위험을 안고 있다. 따라서 공원에서의 범죄예방 및 국민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고, CPTED 기법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유효한 전략으로 제시되고 있다. 한편, 공원은 고도의 개방성으로 인해 기존의 CPTED 전략과 그 구성요소를 차별화하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에 적용 가능한 CPTED 전략과 이 전략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중에서 범죄예방 및 범죄로부터의 두려움 감소를 위해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한 중요성을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평가는 공원 CPTED 구성요소들의 효과를 장기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안목을 가진 전문가들의 견해에 기초한 것이다. 공원 CPTED 전략을 공간별 CPTED 전략과 시설별 CPTED 전략으로 구분하여 각 구성요소별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2가지 전략 모두에서 CCTV, 조명, 시야나 시선 확보, 정돈된 환경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접근성 전략은 중요성이 비교적 낮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가 갖는 중요한 함의는 공원 CPTED 전략은 공원의 공급자이자 관리책임자인 자치단체가 중요시하는 ‘자연적 감시’ 전략을 재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원 CPTED 전략과 관련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정책적 대안으로는 공원의 시설을 항상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같이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활용성 증대를 제공하는 것은 공원 CPTED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되므로, 주민들이 자주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자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결과를 전체 공원으로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본 연구는 공원 CPTED 전략의 우선순위 결정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방법의 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basic material to building the Park CPTED strategies by analysing expert’s opinion on Park CPTED element’s importance to the reducing crime and fear of crime. This study divided the park CPTED strategies as the two factors, one is a spacial CPTED and the other is facilities CPTED. And each strategy is categorized the CPTED elements as 5 groups; natural surveillance, access control, territory, availability, and maintenance・management. And this study compared each elements of park CPTED by pair-wise. For this study,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ts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park CPTED in the both spacial factor and facilities were CCTV, illumination(lighting), securing sight, well arranged environment. But access control strategy in both spacial and facilities was less important than other elements. The important point of these results is that, for the effective park CPTED strategies, we must reconsider ‘natural surveillance’ strategy empathized by self-governing bodies which are the provider and supervisor of parks. In this regard, one alternative policy is drawing up programs by which the population can frequent parks because frequency of parks by population might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 park CPTED. We cannot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the entire parks. But, we think that this study provided at least the basic analysis framework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order of priority of park CPTED strategies.

      • KCI우수등재

        스마트공원 개념 정립 및 공원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대구 IoT See 시범사업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형숙,민병욱,양태진,엄정희,김권,이주용 한국조경학회 2019 韓國造景學會誌 Vol.47 No.5

        Our daily lives are changing at a rapid pace and the concept of smart city is spreading, as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apply to various fields. However, efforts to prepare for changes in society due to technological evolution are insufficient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concept of smart parks, to investigate how smart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parks, and to identify the us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smart park services. To this end,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180 users of the IoT See pilot smart park in Daegu. Smart parks can, as a result, be defined as sustainable parks that improve users’ experience in parks and solve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faced by utilizing various high technology. Smart technologies introduced at the park so far have been mostly focused on safety and environmental areas, including AI CCTV, smart street lamp, and fine dust warning devices. The results of survey showed that not many users were aware of the smart services the park provided due to the lack of public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nature of maintenance-oriented smart services. The survey also found that AR services for the education of historic parks were the least utilized, while solar power benches and WiFi service were most preferred by the park users. In conclusion, smart technologies need to be integrated with diverse park contents more centered user needs, providing services to enhance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in order to develop user-oriented smart parks. 최신 정보통신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면서 우리의 일상은 급격한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스마트시티 개념이 확산되고 있는 반면, 조경분야에서는 기술진화에 의한 사회변화에 대비하려는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공원의 개념을 정립하고, 공원 관련 스마트 기술 도입 현황을 파악하며, 기존에 조성된 스마트공원의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활용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스마트공원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 전문가 토론, 국내외 사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국내 최초로 스마트공원 시범사업이 시행된 대구시 국채보상운동 기념공원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스마트공원에 대한 인식 정도와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공원이란 다양한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공원 체험을 향상하고, 효율적으로 공원을 유지․관리하며, 도시가 직면한 사회 및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지속가능한 공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 현재까지 공원에 도입된 스마트기술은 인공지능 CCTV, 스마트 가로등, 미세먼지 알림장치 등 주로 안전 및 환경 분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이러한 기술이 도입된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 결과, 홍보 부족 및 관리인 편의 중심의 기술도입으로 인하여 실제 이용자의 인식 정도는 매우 낮은 편이었다. 특히 역사성 있는 공원의 역사정보 전달을 위한 AR서비스 활용이 가장 저조한 반면, 태양열 벤치나 WiFi 등의 시설의 활용도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스마트공원 조성 시 안전 및 환경 관리, 편의성 증진을 위한 서비스 뿐 아니라, 이용자가 체감할 수 있고, 이용자 요구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국내 도시공원 유형변경에 따른 시설변화 연구 - 서울시 공원을 중심으로 -

        고하정 한국조경학회 2022 韓國造景學會誌 Vol.50 No.2

        Urban parks play the role of providing leisure spaces for people in their everyday life along with serving ecological functions in the city. Although urban parks aim to satisfy the needs of users visiting the park, most urban parks are currently uniformly created and maintained without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needs of users. This study thus analyzed parks that underwent modifications in line with the revised Park Act in 2005. There were 45 parks whose types were legally changed, of which 21 were changed from children's parks to small parks, and 19 were changed to utilize and highlight the themes such as cultural parks and historical parks. Among the parks whose types have changed, the ratio of amenities in cultural and historic parks has increased, while the facility area in small parks has decreased and the green area has increased in its pla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to the park facility area,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park amenities has a positive effect in pursuing revitalization of use through park maintenance, but has a negative consequence of significantly decreasing green area.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park type classification system to reflect the park environment and prepare guidelines for a new installation standard by park type to expand the net function of parks in cities and maintain the sustainable ecological environment. Through in-depth discussions on the facilities of park types, it is anticipated that innovative and multilateral research could be conducted to prepare improvement measures tailored to the guidelines of urban park types in years to come. 도시공원은 도시 내 생태적 기능과 함께 일상생활의 여가공간 역할을 담당한다. 도시공원은 공원을 방문하는 이용자의 수요를 반영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다수의 도시공원이 환경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일률적으로 조성되어 유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 공원법 개정 후, 세분유형 변경이 완료된 공원을 중심으로 변화를 살펴보았다. 법적공원유형이 변경된 공원은 모두 45개로 그중 어린이공원에서 소공원으로 유형변경이 21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주제공원인 문화공원과 역사공원으로 공원의 특성을 살리고자 하는 경우도 19개소에 달했다. 변경 유형별로 문화공원과 역사공원은 건물 신축 등 시설율이 증가한 반면, 소공원은 시설면적이 감소하고 녹지면적이 증가하였다. 공원시설면적 증감을 분석한 결과, 공원 정비를 통한 이용활성화를 추구하는 긍정적인 효과와 동시에 녹지면적이 감소하는 부정적인 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시에서 공원이 가지는 순기능 중 하나인 생태환경 유지를 위해서는 공원 주변여건에 대한 반영과 함께 새로운 시설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추후 공원 유형별 시설기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도시공원 유형별 조성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공원이용행태 이해와 관계성 분석 연구

        최선경,남진보,조민영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6 No.4

        지속적인 이주여성의 증가 전망과 함께 국내에서도 이주여성을 위한 정책적, 복지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주여성에 대한 전반적 차별은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문제이다. 더욱이 이주여성은 문화적응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 상황에 마주하게 된다. 반면 도시공원은 정신건강 회복으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도시공원은 스트레스 해소 기능과 더불어 건강한 삶 제공, 삶의 질 개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주여성의 정신건강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공원녹지 이용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공원이용행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2)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공원이용행태 간의 관계를 분석 3)문화적응 스트레스 해소와 이주여성의 적극적 공원이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1)문헌고찰을 통해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공원이용행태에 대한 이론고찰을 진행 2)이주민 커뮤니티의 도움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3)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프로그램 SPSS26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향수병, 문화충격, 지각된 적대감, 지각된 차별감, 죄책감, 두려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공원이용행태는 방문빈도는 한 달에 1-2번, 머무르는 시간은 30분-1시간, 접근성은 10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접근성에서 다음으로 높은 응답이 40분 이상으로 공원접근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없었다. 2)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공원이용행태를 교차분석 결과 혼인상태, 결혼기간에 따라 공원이용행태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상관분석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타인의 시선과 프로그램 참여에 두려움을 느낀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원녹지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해 공원형평성 및 이주여성의 공원이용을 도모를 시사하며, 이를 통한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 및 역량강화 등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도시녹지 유형에 따른 도시민의 이용 특성 연구 - 수원시를 대상으로 -

        김예성,김현,고진수,Kim, Yea Sung,Kim, Hyun,Ko, Jinsoo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5

        도시에서의 녹지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법에서는 도시공원을 도시계획시설로 정의하고 1인당 공급면적을 규정하고 있지만, 공원조성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높은 지가와 재원부족으로 인해 도시공원의 조성 및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도시민의 경우 이용의 개념으로 도시녹지를 인지하기 때문에 법정도시공원뿐 아니라 하천, 저수지, 학교 운동장 등 기타녹지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도시민들은 이용 자체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법정도시공원뿐 아니라 하천, 저수지, 학교 운동장 등 기타녹지도 공원과 유사하게 인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녹지를 법정공원녹지인 도시공원과 기타 녹지로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공원 이용행태와 이용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유형 간에 주목할 만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 같은 사실에서 향후 1인당 공원면적 산정 시 현행 법정공원녹지 외에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하천, 저수지, 학교녹지, 아파트 녹지 등 기타녹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의 도시녹지 면적 산정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부담을 줄이고 향후 도시공원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재원 부족으로 인한 장기 미집행시설에 대한 해제에 대비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도로 만족도, 접근 편리성, 동선 편리성 등 접근성에 대한 요인이 도시공원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은 도시공원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원면적의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도시공원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도시녹지로 이동하는 수단이 대부분 도보임을 감안할 때 도시녹지로 이용하는 경로 분석을 통해 베리어 프리, 도보 안정성 확보 등 도시녹지 접근 편의성에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importance of green spaces in the city is growing each day. Local governments are taking charge of park development works that are having difficulty in developing and managing urban parks due to high land value as well as a shortage in finances. This is even though an urban park is defined as an urban planning facility and the law provides park area per person. Civil residents, meanwhile, are using not only urban parks provided by law but also other green areas such as rivers, reservoirs, and school playgrounds because they recognize urban green areas by the concept of use. In this study, accordingly, urban green areas were sorted into two types, urban parks, parks provided by law, and other green areas, and the difference in use pattern and use satisfaction by typ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According to such results,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include other green areas, such as rivers, reservoirs, school green areas, and apartment green areas in addition to the current park green areas provided by law when park area per person is calculated, and such calculation of urban green areas reflecting local characteristics can reduc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burden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future urban park policies. It is judged that such results can become a plan against the cancellation of unexecuted urban facilities. The fact that accessibility factors, such as road satisfaction, access convenience, and convenient movement, are affecting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urban park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urban park accessibilities rather than to quantitatively expand park area in order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urban parks. Considering that people travel to urban green areas mostly by walking, it is necessary for access convenience to conduct follow-up studies such as barrier-free and securing walking stability through analysis of routes to urban green areas.

      • KCI등재

        근린공원의 건강증진을 위한 이용객 수요 및 인식 분석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채진해,김원주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4

        본 연구는 건강증진을 위한 근린공원 이용객들의 수요와 인식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 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기간은 2017년 3월 21일∼2017년 3월 27일 총 7일이었다. 건강증진을 위한 근린공원의 주 이용목적은 운동이 가장 높았으며, 도보 20분 이내, 체재시간 2시간 이내, 오후나 시간대 및 요일 무관한 이용이 높았다. 65세 이상과 이하의 연령별 주요 이용 목적, 시간, 요일에 차이가 나타나 연령별 수요를 반영한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 근린공원의 환경에 대한 인식 은 근린공원의 방문 편리성과 시설 편리성은 좋았으나 공원 운영 및 관리, 특히 안전성이 상대적 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부분은 근린공원의 시설 편리성이 가장 높았으며, 편의시설과 산책로나 체육시설이 매우 주요한 요인이었다. 향후 근린공원 내 운 동시설 추가설치와 치안을 위한 순찰확대 등의 서비스가 개선된다면, 이용 횟수를 증가할 것이 라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건강증진을 위해 이용객의 시설 확충 뿐 아니라 안전성, 프로그램 운영 등과 같은 공원 운영 및 관리 측면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demands and perceptions of neighborhood park users for health promotion and to present implica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00 Seoul citizens,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rvey period was from March 21, 2017 to March 27, 2017, for a total of 7 days. The main purpose of use of the neighborhood park was exercise, and within 20 minutes on foot, within 2 hours of staying time, and in the afternoon, regardless of the time of day and day of the week were high.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se groups aged 65 or older and younger. Neighborhood park demand for health promotion has high interest in health, but the use of neighborhood parks is relatively low, and it is found that they are mainly used alone or for walking purposes. They said they were willing to pay less than 500,000 won for the park program. Recogni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neighborhood park showed that the convenience of visiting and facility convenience was good, but the park operation and management, especially safety, was relatively low. Convenience of facilities in neighborhood parks was the most influential in overall satisfaction, and convenience facilities, trails, and sports facilities were the main factors. In the future, if services such as additional installation of sports facilities in the neighborhood park and expansion of patrols for security are improved, the number of uses will increase to more than five times a week, indicating the expectation. In order to promote health, this study should be complemented in terms of park operation and management, such as safety and program operation, as well as expansion of facilities for users.

      • KCI등재

        도시 생활권공원 공급의 사회 · 경제적 격차 분석

        문지영(Moon, Ji-Young),반영운(Ban, Yong-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6 No.6

        도시공원은 도시의 생태적인 기능은 물론 시민들의 건강증진, 정서함양, 커뮤니티 형성 등의 중요한 기능을 한다. 특히 도시공원의 일종인 생활권공원은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큰 역할을 담당한다. 이처럼 생활권공원은 도시기반시설인 동시에 사회 · 경제적 지위와 상관없이 시민 모두가 공평하게 누려야할 공공서비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생활권공원의 공급 시 나타나는 사회 · 경제적인 격차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주시 도시지역 내에 위치한 도시 생활권공원 유형별 공급현황을 분석 후 공급권역을 설정하였고, T검증을 이용하여 공급권역 내외 집단 간의 사회 · 경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주시의 도시 생활권공원 공급은 부족하며 이마저도 일부지역에 편중되어 공급되었다. 공급권역 내 지역은 공급권역 외 지역보다 인구가 많고, 소득과 토지가격이 높게 나타났다. 즉, 이는 도시 생활권공원 공급이 사회 · 경제적 격차에 따라 공급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도시 생활권 공원의 사회 · 경제적 공급격차를 해소하고 형평성 있는 도시 생활권공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도시 생활권공원 공급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 생활권공원 공급 소외지역에 우선적으로 공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Urban parks usually provide citizens with such functions as ecological habitat, health improvement, environmental comfort and community building. In particular, urban parks within living zones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citizens’ life. Likewise, the urban parks are urban infrastructure as well as public service which all citizens should equally enjoy no matter what their socio-economic statuses ar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upplying urban parks within living zones in terms of socio-economic aspects. To reach the goal,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upplying urban parks within living zones into the urban areas located in Cheongju. This study set the service boundary of the urban parks within living zones and examine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nside and outside of service boundary using t-test. This study found out the following results: 1) that the service of supplying of urban parks within living zones was provided insufficiently and even disproportionately; 2) The area inside service boundary showed more population, higher income and land price than the area outside service boundary. This fact means that supplying urban parks within living zones has been disproportionately provided in accordance with socio-economic disparity between serviced areas and non-serviced ones. To solve the above service disparity of urban parks within living zone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upplying the parks and to make a plan, providing the areas out of service with the parks in prio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