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골 원위 간단부 골절의 치료 : 금속판 내고정술과 Ilizarov 외고정술의 유용성 비교 Comparison between Internal Fixation with a Plate and screws and External Fixation with Ilizaov Device

        이성철,유문집,서현석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3

        목 적 : 경골 원위 골간단부 골절의 치료에서 비관혈적 정복과 Ilizarov 외고정 방법을 관혈적 정복과 금속판 내고정 방법과 치료 결과, 합병증 발생 정도, 장단점 등을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5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경골 원위 골간단부의 골절로 단국대학교병원 정형외과에서 관혈적 정복과 금속판 내고정술로 치료한 23례와 비관혈적 정복과 Ilizarov 외고정술로 치료한 19례를 비교하였고 결과 분석은 술후 기능적 평가 방법으로 Mast와 Teipner의 방법을, 방사선학적 평가 방법으로 Ovadia와 Beals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 과 : Mast와 Teipner의 방법을 이용한 기능적 결과 평가에서 우수, 양호, 불량의 결과가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한 관절외 골절에서는 각각 5례(26%), 11례(58%), 3례(16%)였으며, 관절내 골절에서는 각각 1례(25%), 2례(50%), 1례(25%)였다. 또한 Ilizarov 외고정술을 시행한 관절외 골절에서는 각각 3례(25%), 8례(67%), 1례(8%)였고, 관절내 골절에서는 1례(25%), 4례(25%), 2례(50%)였다. Ovadian와 Beals의 방법을 이용한 술후 방사선학적 평가에서는 우수, 양호, 불량의 결과가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한 관절외 골절에서 각각 6례(32%), 9례(47%), 4례(21%)였고, 관절내 골절에서는 각각 3례(75%), 1례(25%), 0례였다. Ilizarov 외고정술을 시행한 관절외 골절에서는 각각 5례(42%), 5례(42%), 2례(16%)였으며, 관절내 골절에서는 2례(25%), 4례(50%), 1례(25%)였다. 치료 결과에 대한 기능적 평가와 방사선학적 평가를 서로 비교하였을 때 두 가지 치료 방법 간에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합병증은 관혈적 정복과 내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에서 피부 괴사가 4례, 창상 감염이 1례 있었고, 비관혈적 정복과 Ilizarov 외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피부괴사가 2례, 핀 경로 감염(pin tract infection)이 3례 있었는데 이중 핀 경로 감염 1례를 제외한 4례가 개방성 골절에서 발생하였다. 후기 합병증으로는 관혈적 정복과 내고정술을 시행한 군에서 1례의 외상성 관절염이 발생하였다. 결 론 : 경골 원위 골간단부의 골절에 대한 치료로 시행한 비관혈적 정복과 Ilizarov 외고정술은 기능적 평가와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관혈적 치료법에 필적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비관혈적 정복과 Ilizarov 외고정술의 수술 시간이 관혈적 치료법 보다 좀더 길지만 골절의 분쇄가 심하여 안정성을 부여할 만한 원위부 골편이 남아 있지 않아서 정복된 골편을 금속판 및 나사로 고정하기가 어려운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점, 관혈적 치료에서 흔히 발생하는 창상과 관련된 합병증이 비관혈적 치료에서는 적은 점, 창상 처치가 용이한 점, 술후 조기 관절운동을 시켜 족관절 구축 등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점, 고정물 제거 시의 간편성 등의 장점이 있어 비관혈적 정복과 Ilizarov 외고정술은 경골 원위 골간단부의 골절 치료에 있어 추천할 만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ults betwee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plate and screws and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with Ilizarov device for the fracture of disatal metaphyseal fracture of tibia. Materials and Methods : In this study, the results in treatment of the 19 distal metaphyseal fractures of tibia with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with Ilizarov device were compared with those in treatment of the 23 fractures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 plate and screws. The cases were the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for the fractures at th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1997 to December 2000. The results of treatment were analysed using functional evaluation by Mast and Teipner and radiological evaluation by Ovadia and Beal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jor causes of injury were motor vehecle accidents, fall-downs, and falls from a height in order. 2. Treatment of the fractures with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with Ilizarov device showed comparable results to that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 plate and screws. 3. Complications in treatment were a little more frequent i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 plate and screws than in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with Ilizarov device. Conclusion : Considering the results,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with Ilizarov device is thought to be one of recommendable options in treatment of the distal metaphyseal fractures of tibia with the advantages in wound management, prevention of stiffness of ankle joint, and convenience in removal of the device.

      • KCI등재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요골 원위부 골절의 술 후 정복 소실의 정도 및 관련 인자

        문은선 ( Eun Sun Moon ),김명선 ( Myung Sun Kim ),공일규 ( Il Kyu Kong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3

        목적: 요골 원위부 골절에 대하여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후 술 후 정복 소실의 시기와 정도를 평가하고, 정복 소실의 발생과 관련있는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9월부터 2006년 5월까지 Kapandji 술식으로 치료한 43명 (44예)의 요골 원위부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AO 분류법을 이용하였으며, 술 전, 술 후의 전방 경사, 요골 경사 및 요골 길이를 측정하여 각 시기별 정복 소실의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추가로 정복 소실과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최종 추시상 방사선학적 결과의 평가 modified Lidstrom scoring system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C형 골절과 K-강선을 3개 사용하였던 군에서 전방 경사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정복 소실을 모였다. 그리고, 최종 추시상의 방사선학적 평가 결과는 원위 요골 배측부 피질골에 분쇄 골절이 있는 경우 우수가 50%였던 반면, 분쇄 골절이 없었던 경우는 우수가 90%였고, A형 골절에서는 우수가 70%, C형의 경우는 44%였다. 결론: Kapandji 술식의 경피적 핀 고정술은 요골 원위부 골절의 치료에 효과적인 한 방법으로 생각되며, 골절의 분류, 골절 고정 시 사용된 총 K-강선의 수, 그리고, 원위 요골 배측부 피질골의 분쇄 골절의 존재 여부가 술 후 전망 경사의 정복 소실 및 최종 추시상의 방사선학적 결과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amount and related factors of reduction loss in distal radius fracture after treatment by Kapandji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04 to May 2006, 44 cases (43 patients) of distal radius fractures were treated by Kapandji technique. Fracture were classified with AO classification and volar tilt, radial inclination, and radial length were measured in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s. Also the amount and related risk factors of reduction los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radiolog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 were evaluated using modified Lidstrom scoring system.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ly more reduction loss of volar tilt in the patients with AO type C comparing with other fracture types, but the patients who were treated using three k-wire fixations including intrafocal K-wires showed significantly more reduction loss of volar tilt also. Overall radiolog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 showed that excellent was 50% in cases with dorsal comminution, but, the other cases 90%. In addition, excellent was 70% in type A cases, but, in type C 44%. Conclusion: Kapandji technique percutaneous pinning is the one of effective treatment options for distal radius fracture. But, type of fracture, total number of K-wires, and presence of dorsal cortical comminution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 with postoperative reduction loss of volar tilt and overall radiolog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

      • 외고정 기구를 이용한 소아 대퇴 간부 골절의 치료

        정필현,강석,채동주,김종필,박승복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3

        목 적 : 소아 대퇴 골절중에서 뇌손상, 복부손상, 개방성 골절, 다발성 골절, 정복 및 유지가 어려운 불안정성 전위 골절 등에서는 보존적 방법에 의한 치료가 어려워 수술적 치료가 요구되기도 한다. 이에 저자들은 외고정 기구를 이용하여 수술적으로 치료한 례들을 분석하여 치료결과와 유용성에 대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1995년 5월부터 2000년 5월까지 대퇴 골절로 본원에 입원하여 외고정 기구를 이용한 치료를 받았던 1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은 평균 8세 2개월(6-12세, 남아 9명, 여야 6명)이었다. 평가는 술후 추시 단순 방사선 및 임상 소견을 근거로 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전후면 및 측면 사진에서 골절의 유합 기간, 각 변형, 하지 부동을 측정하였으며 임상적 평가는 외고정 기구 제거까지의 기간, 재원일수, 고관절 및 슬관절의 운동범위, 술후 합병증 여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방사선 사진상 골유합 시기는 7주에서 24주까지 평균 10.9주, 최종추시 전후면 및 측면 사진에서의 각변형은 전례에서 5도 이내였으며 회전 변형은 없었다. 하지 부동은 10mm에서 15mm까지 평균 11.7mm의 골중첩을 허용하여 -3mm에서 +10mm까지 평균 2.1mm의 과성장을 관찰하였다. 외고정 기구제거까지는 평균 12.1주(9-24주)가 걸렸으며 재원일수는 평균 29.4일(21-48일)이었다. 고관절 및 슬관절의 운동제한은 전례에서 없었다. 술후 합병증은 병적 골절 1례에서 재골절이 있었으며 핀 주위 표재성 감염이 4례에서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평균 2.1mm의 하지 부동이 관찰되었으며 병적골절 1례에서 재골절이 있었을뿐 나머지 14례의 환아에서 심각한 합병증은 없었다. 따라서 소아 대퇴 골절이 개방성 골절, 불안정성 전위 골절 및 동반손상이 있는 경우 외고정 기구는 유용한 치료방법이며 소아 대퇴골의 폐쇄성 단독 골절에도 좋은 피료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Children with femoral shaft fractures in association with other injuries such as head injuries, abdominal injuries, open fractures, multiple fractures, or unstable displaced fractures require operative treatment rather than being treated in conservative methods.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surgical result of femoral shaft fracture using external fixator in children, and evaluate the complications and the related factors as well as the advantage over the other management described in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15 cases of femoral shaft fractures in children admitted between May, 1995 and May, 2000. The mean age was 8 years and 2months old (range: 6-12 year-old, 9 boys, 6 girls). All the evaluations were based on the postoperative radiologic studying and clinical findings. In the radiologic evaluations, bony union time, angular deformity, and leg length discrepancy in both sagittal and coronal plane were evaluated, and in the clinical evaluations, we analyzed the duration of external fixation, hospital day, range of motion in both hip and knee joint,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 The average bony union time based on the radiologic studying was 10.9 weeks (ranging from 7 to 24 weeks). Angular deformity at the fracture site was less than 5 degrees and no rotational deformity was found in all 15 cases. The average length of overriding fracture fragment was 11.7㎜ (ranging from 10 to 15㎜) and average leg length discrepancy was 2.1㎜ (ranging from -3 to +10㎜). Duration of external fixation averaged 12.1 weeks (ranging from 9 to 24 weeks) and average hospital day was 29.4 day (ranging from 21 to 48 day). None of the patient had limitation in hip or knee joint movement. There were 1 case of refracture (case of pathologic fracture) and 4 cases of pin tract infection(superficial infection). Conclusion : At our institution, we observed average overgrowth of 2.1㎜ and no severe complications excepts in 1 case of refracture due to pathologic fracture. Thus we concluded that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is effective in treating open, or unstable displaced fracture of femoral shaft with other associated injuries in pediatric population, and it is also believed to be effective means in treating closed femoral fractures.

      • KCI등재
      • KCI등재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 수술 후 반대측의 2차 고관절 골절의 위험인자

        이경재 ( Kyung-jae Lee ),최정훈 ( Jung-hoon Choi ),예희욱 ( Hee-uk Ye ),김영훈 ( Young-hun Kim ),임경환 ( Kyung-hwan Lim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2

        목적: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 수술 후 발생한 새로운 고관절 골절(2차 골절)의 특성과 위험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 2008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로 수술한 이후 추시상 반대측 고관절의 2차 골절이 발생한 68명(실험군)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들을 일측에만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이 발생하여 수술한 475명(대조군)과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골밀도, 골다공증약 복용력, 골절 과거력, 동반 질환, 수술 방법, 수술 전후 보행 능력, 수술 후 섬망 여부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골밀도, 골다공증약 복용력, 동반 질환, 골절 형태, 수술 방법, 수술 후 섬망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첫 수술 후 3개월째 평가한 보행 능력이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01). 결론: 첫 수술 후 3개월째의 보행 능력 감소는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 수술 후 발생하는 2차 고관절 골절의 위험인자로 판단되며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고 기능회복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행 능력 회복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겠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subsequent hip fractures in patients with osteoporotic hip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8 and February 2016, 68 patients sustained a subsequent contralateral hip fracture after surgery for a primary osteoporotic hip fracture (Study group). The patients were compared with 475 patients who had been followed up for a minimum of one year with a unilateral osteoporotic hip fracture (Control group). The demographic data, bone mineral density (BMD), osteoporosis medication, osteoporotic fracture history, comorbid disease, type of surgery, preoperative, postoperative ambulatory capacity, and postoperative delirium i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The demographic data, BMD, osteoporosis medication history, comorbid disease, type of surgery, and postoperative delirium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At three months after the primary surgery, the poor ambulatory capac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udy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p<0.001). Conclusion: The ambulatory capacity after primary surgery is an important risk factor in the occurrence of subsequent hip fractures after osteoporotic hip fracture. Cause analysis regarding the poor ambulatory capacity after surgery will be necessary, and the development of a functional recovery program and careful management of the walking ability recovery will be needed.

      • KCI등재

        고령에서 발생한 역경사 전자부 골절의 특징

        김지완 ( Ji Wan Kim ),장재석 ( Jae Suk Chang ),성정환 ( Jung Hwan Sung ),김정재 ( Jung Jae Kim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3

        3차원 컴퓨터 촬영 분석을 통하여 젊은층과 고령층에서의 역경사 전자부 골절을 비교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역경사 전자부 골절에 해당하는 1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골절 형태를 분석하였고 대퇴 전자부의 해면골 결손부위의 용적을 측정하였다. 65세를 기준으로 젊은층(1군)과 고령층(2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 과: 1군 전 예에서 근위 대퇴부 외측의 골절선이 외측 광근에서 평균 5.6 cm 하방에 V형태로 발생하였으나, 2군에서는 8예 (88.97%)에서 외측 광근에서 Λ형태로 Λ형태의 끝에서 대전자 첨부로 향하는 골절선을 추가로 갖고 있었다. 대퇴 전자부 및 대퇴 결부의 결손 부위 용적은 2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로 나타났다. 결 론: 노인층에서 발생하는 역경사 전자부 골절은 골절 형태가 방출 형태의 4분 골절로 젊은 층에서의 골절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고, 전자부 및 대퇴 경부의 골결손 부위가 젊은 층에 비하여 크게 측정되어 이로 인한 골절 형태 차이가 나는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discriminate the characteristics between reverse obliquity fractures in the elderly and that of young adults using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 CT). Materials and Methods: Eighteen patients who had reverse obliquity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enrolled from January 2007 to March 2012. The fracture pattern was analyzed using the 3D CT. The area showing low density (bone defect) of trochanter and femoral neck region was measur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less than 65 years old and Group 2, 65 years and over. Results: In all 9 cases of group 1, the proximal fragment had a ``V`` shape with an average of 5.6 cm below the vastus ridge; however, the fracture of 8 cases (88.97%) in group 2 had a ``Λ`` shape of the distal fragment at the level of vastus ridge and an additional fracture line extending to the greater trochanter tip. The bone defect volume of the trochanter and femoral neck region was larger significantly in group 2 than in group 1. Conclusion: Reverse obliquity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the elderly demonstrated a pattern of bursting fracture with 4 parts, which had different patterns from that of young patients. We believe that the larger volume of bone defects resulted in the difference of fracture patterns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나선상 경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원위 경골 관절내 골절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의 유용성

        변성은 ( Seong Eun Byun ),이상준 ( Sang June Lee ),김욱 ( Uk Kim ),최영락 ( Young Rak Choi ),한수홍 ( Soo Hong Han ),김병국 ( Byong Guk Kim ) 대한골절학회 2016 대한골절학회지 Vol.29 No.2

        목 적: 경골 간부 골절 중 나선상 골절은 경골 원위 관절내 골절이 동반되는 빈도가 높으나 단순방사선 검사만으로 발견되지않아 적절히 치료하지 못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mputed tomography (CT)에서만 확인 가능하였던원위 경골 관절내 동반 골절의 양상 및 수술적 고정의 적응에 해당하였거나 시행했던 경우를 분석하여, 경골 간부 나선형 골절에서 발목관절 CT 촬영의 필요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 전 족관절 단순방사선 검사 및 CT를 시행한 95예의 나선상 경골 간부 골절을 대상으로 CT에서만 진단된동반 원위 경골 관절내 골절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 중 수술적 고정의 적응에 해당하였거나 수술적 고정을 시행한 증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원위 경골의 관절내 골절이 62예에서 확인되었다. 복합골절을 포함한 52예의 후과 골절 중 20예는 단순방사선 검사로 진단되었고, 이 중 16예가 수술적 고정의 적응증이 되었으며, 14예에서 시행되었다. CT로 진단된 32예의 후과 골절 중 26예에서 수술적 고정의 적응증이 되었고, 이 중 18예에서 시행되었다. 결 론: CT는 나선상 경골 간부 골절에서 동반골절의 진단율을 높이며, 진단된 후과 골절의 경우 수술적 고정이 시행된 빈도가 높아 나선상 경골 간부 골절에서 CT의 시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omputed tomography (CT) for spiral tibia shaft fracture by analyzing associated distal tibia intra-articular fractures diagnosed by CT only which met the indication of surgical fixation and were fixed. Materials and Methods: Ninety-five spiral tibia shaft fractures with preoperative ankle plain radiographs and CT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incidence and type of associated distal tibia articular fractures were evaluated by reviewing ankle plain radiography and CT. The number of fractures diagnosed by CT that correspond with the indication of fixation and that were actually fixed were analyzed. Results: Among 95 spiral tibia shaft fractures, 62 cases (65.3%) were associated with distal tibia intra-articular fracture. There were 37 cases of posterior malleolar fracture, 5 cases of avulsion fracture of the distal anterior tibiofibular ligament, 5 cases of medial malleolar fracture, and 15 cases of complex fracture. Among 52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including complex fracture, 20 cases were diagnosed by ankle plain radiograph. Of these 20 cases, 16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80.0%) met the indication of surgical fixation, and 14 cases were actually fixed with a screw. Among 32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diagnosed by CT only, 26 cases (81.3%) met the indication of surgical fixation and 18 cases (56.3%) were fixed by screw. Conclusion: Approximately 50% of associated fractures were diagnosed by CT only and more than 80% of associated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met the indication of surgical fixation and among these fractures, 18 cases (56.3%) were actually fixed by screw. This result suggests that CT is useful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tal tibia intra-articular fracture associated with spiral tibia shaft fracture.

      • KCI등재

        두부 외상을 동반한 골절 환자의 혈청에서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와 Osteoprotegerin의 변화

        박신영 ( Shin Young Park ),서근택 ( Kuen Tak Suh ),류창훈 ( Chang Hoon Ryu ),우승훈 ( Seung Hun Woo ),이정섭 ( Jung Sub Lee ),김성장 ( Seong Gang Kim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2

        목적: RANKL과 OPG는 골의 재형성에 있어 파골기전의 중요한 조절 인자이며, 골절의 치유 과정에 관여한다. 그러나 두부 외상과 골절이 있는 환자에서 이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두부 외상을 동반한 골절 환자군과 골절 환자군의 혈청에서 이들의 변화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두부 외상과 골절이 있는 18명의 남자 환자와 골절이 있는 20명의 남자 환자, 대조군으로 건강한 20명의 남자를 선정하였다. 두부외상-골절군과 골절군에서 수상 후 수 시간 내, 수상 후 4, 8, 12주에 혈액을 채취하여 RANKL과 OPG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두부외상-골절군은 외상 후 8, 12주에 골절군에 비하여 RANKL의 발현이 낮았으며 두부외상-골절군에서 골절군에 비하여 외상 후 4, 8,12주에 OPG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두부외상-골절군에서 외상 후 수 시간 내, 4, 8, 12주에 대조군보다 RANKL/OPG의 비율이 낮았으며, 두부외상-골절군에서 골절군에 비해 외상 후 8주와 12주에 RANKL/OPG 비율이 낮았다. 결론: 두부 외상과 골절이 있는 환자에서 RANKL, OPG, RANKL/OPG의 비율의 변화를 보았고, 두부 외상과 골절이 있는 환자에서 이들의 변화가 골절 환자에서 보다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Purpose: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 B ligand (RANKL), osteoprotegerin (OPG) have been shown to be important regulators of osteoclastogenesis during bone remodeling, and their expressions were examined during fracture healing in a mouse model of tibial fracture. However, studies linking RANKL and OPG in patients with head injury and fracture are lacking. We evaluated the changes in serum levels of RANKL and OPG in patients with head injury and fracture (head injury group) and in patients with fracture (fracture group) and compared these with levels found in healthy control subjects. Materials and Methods: 18 male patients of head injury and fracture and 20 male patients of fracture alone were enrolled. 20 healthy men were recruited to serve as controls. Within the first few hours of admission to hospital, at 4, 8 and 12 weeks after injury 20 ml of blood were obtained from 18 patients with head injury and fracture and 20 patients with fracture only. Results: RANK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ead injury group than in the fracture group at 8 and 12 weeks after injury. OPG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ead injury group than in the fracture group at 4, 8 and 12 weeks after injury. RANKL/OPG ratio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ead injury group than in the controls immediately after and 4, 8 and 12 weeks after injury, an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ead injury group than in the fracture group at 8 and 12 weeks after injury. Conclusion: We have shown changes in the profiles of RANKL, OPG and RANKL to OPG ratio. The altered RANKL, OPG and RANKL/OPG ratio in the head injury group lasted longer than in those of the fracture group.

      • KCI등재

        경골 간부 골절과 동반되는 족관절부 골절

        김지완 ( Ji Wan Kim ),최홍준 ( Hong Joon Choi ),이동현 ( Dong Hyun Lee ),김영창 ( Young Chang Kim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2

        목적: 경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족관절 손상의 발생 빈도와 형태를 파악하고 족관절 손상에 영향을 주는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경골 간부 골절 6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통해 족관절 손상의 빈도 및 종류를 알아보았다. 골절 분류, 골절 위치, 골절 형태에 대한 조사를 하여 족관절 손상과 관련있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족관절 손상이 있는 예는 20예(33%)였고, 외과 골절 4예, 후과 골절 4예, 경비인대 견열골절 2예, 복합 손상 10예였다. 족관절 손상이 있던 20예 중 14예(70%)는 방사선 사진에서, 나머지 6예(30%)는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진단하였다. 족관절 손상은 경골 원위부 골절에서 45.1%의 높은 빈도를 보였고, A형에서 41.4%의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지 않았다. 경골 간부 골절 형태가 나선형 골절에서 족관절 손상은 54%에서 관찰되었고, 비나선형 골절 형태 19%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발생하였다. 결론: 경골 간부 골절에서 족관절 손상은 33%에서 발생하였으나 이 중 방사선 사진에서 70%에서만 진단할 수 있었다. 나선형 형태의 골절 양상에서 족관절 손상이 높은 빈도로 발생하므로 이러한 경우 전산화 단층촬영을 실시하여 족관절 손상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ankle injury in ipsilateral tibial shaft fractures and to assess the risk factors for ankle injury associated with tibial shaft fractures.Materials and Methods: Sixty patients with tibial shaft fractures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ankle injury were evaluated, and fracture classification, fracture site, and fracture pattern of the tibial shaft fractures were analyzed for assessment of the risk factors for ankle injury combined with tibial shaft fractures.Results: Ankle injury occurred in 20 cases (33%). There were four cases of lateral malleolar fracture, four cases of posterior malleolar fracture, two cases of distal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and 10 cases of complex injury. Fourteen cases (70%) of 20 cases of ankle injury were diagnosed from x-ray films, and the other six cases were recognized in ankle computed tomography (CT). Ankle injury occurred in 45.1% of distal tibial shaft fractures and found in 41.4% of A typ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nkle injury was observed in 54% of cases of spiral pattern of tibial shaft fracture and the incidence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19% of cases of non-spiral pattern tibial shaft fracture.Conclusion: Ankle injury was observed in 33% of tibial shaft fractures; however, only 70% could be diagnosed by x-ray. Ankle injury occurred frequently in cases of spiral pattern of tibial shaft fracture, and evaluation of ankle injury with CT is recommended in these cases.

      • KCI등재

        겸자를 이용한 경피적 정복 및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원위 경골 골절의 치료

        황재광 ( Jae Kwang Hwang ),김정환 ( Chung Hwan Kim ),최영준 ( Young Joon Choi ),이기원 ( Gi Won Lee ),이현일 ( Hyun Il Lee ),김태경 ( Tae Kyung Kim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2

        목적: 원위 경골의 나선형, 사상 골절에서 겸자를 이용한 경피적 정복 후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의 방사선 및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경피적 정복이 해부학적 정렬의 확보 및 유지에 유용한지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원위 1/3 이하 경골 골절로 인해 겸자를 이용한 경피적 정복 후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하였던 4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 형태는 나선형 38예, 사상 골절이 9예였다. 방사선 투시하에 겸자를 이용하여 경피적으로 골절을 정복, 유지하면서 골수강 내 금속정을 삽입하고 근위부 및 원위부 교합나사 고정을 한 후 겸자를 제거하였다. 골절 정렬의 평가는 수술 직후와 골절 유합 시의 단순 방사선 사진상 전후면 및 측면사진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 직후의 경골의 전위 정도는 평균 외반 0.57o, 전방 각형성 0.24o였고, 골절 유합 시의 전위 정도는 평균 외반 0.37o, 전방 각형성 0.16o였다. 골유합 기간은 평균 16.1주였다. 결론: 원위 경-비골 골절에서 겸자를 이용한 경피적 정복술로 골절 정복을 유지한 후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하는 방법은 골절의 정확한 정복과 안정성을 얻기가 쉽고 골절의 유합 시까지 우수한 정렬을 유지할 수 있어 사상 골절이나 나선형 골절에서는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results of intramedullary nailing after percuta-neous reduction using pointed reduction forceps for spiral or oblique fractures of the distal tibia. The benefit of percutaneous reduction using pointed reduction forceps in anatomical reduction and maintenance was assessed.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9, 47 cases of distal one-third tibial fracture were managed by intramedullary nailing using pointed reduction forceps. Thirty-eight cases were spiral fracture and nine cases were oblique fracture. In all cases, the percutaneous reduction was achieved using pointed reduction forceps under fluoroscopy control. While maintaining the reduction with the pointed reduction forceps, the intramedullary nail was inserted. The pointed reduc-tion forceps were removed after insertion of proximal and distal inter-locking screws. Alignment was evaluated with ante-rior-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s taken immediately post-operation and at the time of union.Results: At immediate post-operation, the mean displacement of valgus and anterior angulation was 0.57o and 0.24o, respectively. That of valgus and anterior angulation at bone union was 0.37o and 0.16o, respectively. The average duration of bone union was 16.1 weeks.Conclusion: Intramedullary nailing with percutaneous reduction using pointed reduction forceps for distal tibial fractures was an easy and effective method for achievement of accurate alignment intra-operatively. Accurate alignment was successfully maintained until bone u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