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근우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4 지식재산연구 Vol.9 No.2
I have a hunch that the language and the movement of body arethe most typical method expressing a thought and a feeling of human invarious ways of expression. Language is thought expecially to be themeans of expression transmitting human thinking for the role which iscommunicating his opinion. au contraire, the movement of human is themost typical means of expression transmitting human feeling such aspleasure, anger, love and enjoyment. In that respect, the song and dancethat language and movement of body are combined is the worthymedium. These song and dance ar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ofcomposite arts. Expecially dance, that is to say, the choreography isnaturally the subject matter of copyright protection in Copyright Act. This choreography in pop music may affect the fate of the song. however the definition and the study of definition on choreography areinadequate in Copyright Act and Court’s ruling. Numerous legalcommentators have analyzed the new copyright protections, but manyquestions remain unanswered for the dance community.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this legal history and themany philosophical issues presented by the copyright of choreographicworks. These issues include the definition of “choreographic work,” the nature of “originality,” the distinction between “expression” and “idea.” 인간이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수단이 있지만가장 대표적인 것이 언어와 몸짓이 아닌가 싶다. 언어는 주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역할을 주로 하므로 인간의 생각을 전달하는 표현 수단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반해 몸짓은 대개 인간의 희노애락(喜怒哀樂)과 같은 감정을 표현하는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언어와 몸짓이 결합된 노래와 춤은 인간의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훌륭한 매개체이다. 이러한 노래와 춤은 종합예술이라 할 수 있는 연극이나 뮤지컬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이기도 하며, 특히 몸짓으로 표현되는 춤, 즉‘안무(按舞)’는 당연히 노래와 마찬가지로 저작권법상 보호의 대상이다. 그리고 이러한 안무의 저작물성이 대중음악의 영역에서 문제되고있다. 이에 본고는 현행 저작권법상 안무의 정의 규정의 부재에 따른 이에 대한 해석론을 살펴보면서 저작권법상 보호가능한 안무의 저작물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현재의 해석론과 판례를 통해 안무의 개념과 창작성을 도출해 보면, ‘안무’는‘안무가의 사상이나 감정이 표현된 동작의 형(型)’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안무의 고유한 예술적 특질에 따라 창작성 있는‘동작의 형(型)’이라 함은‘연속적인 동작으로 당해 안무 전체’로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안무의 저작물성을 판단함에 있어 고려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를 안무 고유의 특질에 따라그 판단 기준을 논하여 보았다.
김근우,김윤겸,홍준기,우수호,최재환,이순걸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23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9 No.1
A lane keeping assistant (LKA) is a control system that maintains marked lanes for driving safety. This paper shows an LKA system based on a time to lane crossing (TLC). A TLC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the distance to the lane crossing by the vehicle velocity and represents the time in which a vehicle will cross the lane. Instead of using a complicated TLC calculation for both straight and curved roads, a lightweight TLC (LTLC) method as a simplified one is proposed to reduce the computing time. By approximating the curved road to two straight roads, based on look-ahead points, the TLC computation of time can be reduced. The LKA system pre-calculates the vehicle's LTLC and turns the steering wheel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remaining time is running out. To verify the proposed algorithm, an IPG's CarMaker simulation with Matlab/Simulink was execut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it was possible to show stable driving results. Moreover, the calculation time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existing TLC.
차량간 직선거리와 각도 확률 분포 모델링 및 V2V 통신에서의 응용 방안
김근우,현성환,김지혜,김성철 한국통신학회 202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47 No.9
완전한 자율주행을 위해서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과 함께 차량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습득한 raw data를Gbps 단위로 전송하는 통신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mmWave 대역 주파수를 활용한 차세대vehicle-to-vehicle (V2V) 통신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으나 기존 통신 시스템은 Tx와 Rx의 위치에 대한 제약이 없는 데 반해 V2V 통신 환경에서는 Tx 차량과 Rx 차량은 형태가 정해진 도로 위에서 통신한다는 차이가 있으므로V2V 통신 환경의 특징에 맞지 않는 기존 시스템의 설계를 그대로 이용할 경우 통신 효율성이 떨어질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V2V 통신 환경에 적합한 시스템을 설계하기 전의 선제 연구로써 V2V 통신환경의 특성을 모델링하고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중에서도 Tx 차량과 Rx 차량 사이의 각도 분포에 대한수학적 모델을 제시하였고 해당 모델링의 타당성을 모의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우리는 모의실험을 통해 도로 환경에서의 V2V 통신 시스템은 빔 트레이닝 및 빔 추적 등에서 기존 통신 시스템과 다른 설계가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For complete and safe autonomous driving with the aid of 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raw sensor data obtained from each vehicles in unit of Gbps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the next-generati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mWave band frequency is attracting attention, but the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does not have restrictions on the location of Tx and Rx, whereas in the V2V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Tx vehicle and the Rx vehicle communicate on a road with a fixed shape. So it can be expected that communication efficiency will decrease if the design of the existing system that does not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2V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used. In this paper, as a preemptive study before designing a system suitable for such a V2V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2V communication environment were modeled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verified through simulation. Through simulation, we confirmed that the V2V communication system in the road environment requires a different design from the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beam training and beam tracking,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지역축제의 방문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도소싸움축제를 중심으로
김근우 한국관광학회 2004 관광학연구 Vol.27 No.4
Under the local self-government, local festivals have recently been regarded asa very effective means of developing local economies and increasing awareness in those areas.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motivation factors of local festival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an empir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e the significance among This study foun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festival participants must be drawn each year, and continuous reinforcement in each stage of integrated marketing should be made to make this festival successful.
아파트와 한옥의 LCC(Life Cycle Cost)분석 사례 연구
김근우,윤석헌 한국건축시공학회 2010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0 No.6
To analyze the total cost of ownership in a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we have to consider initial plan,maintenance and operation cost, in addition to the design and construction cost. This is called "Life Cycle Cost (LCC)."Currently, it is difficult to analyze LCC because of a lack of data and the appropriate criteria. This study tries to suggest a way to analyze the LCC of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and apply it to case studies of modern apartment houses and Han-Ok, a type of traditional Korean house. The case studies found that a Han-Ok is more efficient than a modern apartment house from an LCC point of view, in terms of maintenance and operation cost. 건축물의 총 소유비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초기단계의 설계와 시공비용 이외에도 기획비용, 유지관리 및 운영비용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LCC(Life Cycle Cost)라고 부른다. 현재,충분한 데이터와 기준의 부족으로 인해 LCC의 분석에 많은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LCC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현대식 아파트와 전통 한옥 주택에 대한 LCC 사례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사례 연구의 결과 한옥이 현대식아파트에 비해 유지보수와 운영 비용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