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워드 설계 기반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과 수업 방안 연구

        양소영(Yang Soh 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근간이 되고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또 다른 이름인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하고자 한다. 백워드 설계 3단계 중 1단계는 <기대하는 학습 결과>, 2단계 <평가 계획>, 3단계 <교수·학습 계획>으로 구성되고, 전체 과정에 학생들의 ‘이해’를 초점으로 둔다. 비슷한 시기에 대두된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은 오디에이션이라는 음악적 사고력 신장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있으며 교실활동, 패턴학습, 교실활동 순서로 전체, 부분, 전체 형태로 계획 된다. 백워드 설계와 맞춤형 수업, 고든의 음악학습이론과 패턴 학습은 이론과 그에 따른 방법을 연계한 수업 설계 과정으로, ‘이해’를 강조한다는 점과 개별 맞춤식 수업을 시도한다는 점, 그리고 교육과정과 수업 설계, 교수·학습 계획이 하나로 연결된다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백워드 설계에 따른 맞춤형 수업의 일환으로 고든의 기능학습연계를 적용한 교수 학습 활동 계획의 수립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 과정을 학교 현장에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가 된다. I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2015 is emphasize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higher than knowledge such as core competency, subject competency, generalized knowledge, function, etc.). Under understanding by design, ‘understanding’ refers to the configuration of generalization or principles after figuring out new knowledge in connection with conventional ones. It is deemed that learners are finally understood when a problem can be solved by applying such generalization or principle to other contexts and situations. Gordon insisted the importance of ‘skill learning sequence’ to enhance audiation capability, seeing music curriculum as a step of understanding. Audition is a term which refers to ‘ability to understand music’. It attempts to improve musical comprehension through skin learning sequence. In designing all units for the improvement of competency which is needed to implement students’ knowledge actively, it would be a new attempt to apply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to practices based on understanding by design.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on diverse lesson plans based on backward design with a goal of cultivating competency through ‘understanding’.

      • 고든 크레이그의 연극 예술론

        정하니 한국엔터테인먼트협회 2018 엔터테인먼트연구 Vol.1 No.1

        예술 장르의 경계가 갈수록 모호해지고 관객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제4의 창조자로서 또는 수행 자로서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시대와 더불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공지능이라는 개념과 함께 로봇 배 우가 공연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내고 있는 현실을 살아가고 있다. 비재현적 연극들이 다양하 게 시도되고 있는 요즘, 과거 재현과 비재현의 경계사이, 과도기를 겪은 과정의 경계선을 허물어버린 대 표주자가 바로 고든 크레이그라 할 수 있다. 텍스트 중심의 전통적 희곡 개념을 거부하고 공연텍스트라 는 새로운 의미 창출과 ‘연출’이라는 개념과 중요성을 적극 활용 한 그를 통해 오늘날의 ‘연출’이라는 개 념의 의미를 다시금 새겨 볼 수 있다. 오래된 역사를 형성해온 연극, 특히 르네상스 이후 현실의 재현을 향한 발전의 서구 근대 연극사에서 고든 크레이그는 자연주의 연극과 계몽주의적이며 합리주의적 원칙 에 반기를 들며 저항하였다. 사실주의를 거부하고, 연극을 일상적 존재의 현실을 넘어선 현실의 표현을 위한 매개체로 변형시키고자 노력한 크레이그는 상징주의에 속하지는 않지만 상징주의 전통 안에 있었 다. 이처럼 비재현적 연극에 대하여 이론적 체계를 부여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크레이그는 자신의 혁 명적인 사상을 많은 저서를 통해서 독자들로 하여금 연극예술을 재평가하도록 하였다. 연출가로서 뿐만 아니라 연기자, 미술가, 작가, 그리고 무대디자이너였던 그는 상징주의적 양식무대의 초석을 만들어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새로운 현대적 무대 미학을 확립한 연출가, 고든 크레이그의 생애와 작품활동, 연극예 술론의 특징들에 대하여 알아보고 오늘날 공연예술분야에서 그가 가지는 의미와 앞으로의 오늘날의 무 대 발전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A theatre has been forming a long history, especially since Renaissance, western modern theatre has been in constant and reverse progress of reproducing reality. It reaches its peak when it comes to realism theatre. However, a dream of the reproducing reality ran into strong resistance by theatrical reformers who were against the principle of naturalism theater in early 20th century. Craig who tried to refuse the realism and transform the theatre into medium for expressing the reality beyond the ordinary reality is not sorted as symbolists but in traditional symbolism. Thus, Craig who is with respect to give a theoretical system of non-representational theory of theatre, he shocked people by writing a lot of books with his revolutionary ideas for re-evaluating the theatre arts. He advanced symbolic stage as a director, actor, writer, designer and artist. Through his concept of ‘space-light-movement-theatre’ and ‘space-light-direction’, Craig is beyond the naturalistic drama which focuses on a literal analysis. His interest is to form the visualization of the na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musical composition. He checked an artistic characteristic of the theatre once again and criticized Europe drama that had lost its own artistic character at that time. Also he questioned of the nature of the drama in directing to improve the situation in Europe. He emphasized the direction because of the down grading the importance of text, created a new theory of the future that is the movement concept centered and directed by the director. Although his theory remains only drawing or idea, yet it can be said that the idea is alive and has great significance because they help establish other theatrical theory or give an inspire to the other artists.

      • KCI등재

        고든의 패턴학습을 중심으로 한 초등 방과후학교 가창수업의 효과

        홍혜윤(Hong Hye Yoon),주희선(Heesun Chu)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8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든(E. Gordon 1927-2015)의 교수법을 응용한 패턴학습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음악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초등 방과후학교 가창수업에의 적용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든의 패턴학습을 응용한 활동을 중심으로 초등 방과후학교 가창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총 8차시의 가창수업 지도안은 매 차시마다 리듬패턴과 음정패턴을 연습하는 활동을 포함하여 구성하였으며 서울시 용산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7명을 대상으로 방과후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업 전과 후에 고든의 음악 오디에이션 초급 테스트(PMMA)로 학생들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교사의 수업일지를 통하여 수업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7명의 학생들 모두 리듬·음정 점수가 향상 되었고 수업 관찰을 통해서도 학생들의 가창 실력이 향상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afterschool sining class applying Gordon’s pattern study. In this study, 8 lesson plans were developed for the singing class of elementary afterschool. The lesson plans of 8 singing classes consist of pattern study activities applied from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The afterschool singing classes were conducted with 7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musicianship was tested using Gordon’s PMMA(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program. In addition, the teaching journal written by the teacher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fterschool singing classes based on pattern study activities were positively effective on students’ musicianship.

      • KCI등재

        부드러운 경계 공간 조성을 통한 가로경관 계획에 관한 연구

        홍덕기(Hong Deok-Ki),박수옥(Park Su-Ok),구영민(Koo Young-Min)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7 No.8

        The study departs from an awareness of problems involved in an estrangement of architecture from the city, which has massively produced solid bounds between buildings and the street while disregarded diverse everyday patterns influencing activities on the streets. This study attempts to reinterpret Gordon Cullen’s principle of scenic elements in his Townscape theory from the phenomenological viewpoint rather than from one dimensional angle of visual perception, and to verify that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scenic elements through soft interfaces generated between streets and buildings is a fundamental and effective method of creating vitalized streetscape that is closely related to human behaviors. The thesis takes the ‘Canal City’ at the International Free Economic Zone in Songdo, as the subject of the study, which has established and promoted a detailed and consistent cityscape plan, and applies the analytic frames acquired from an exploration of Gordon Cullen’s principle of scenic elements to the real site, to see the effectivenes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accordingly to inquire how to create streetscape not as a visually oriented physical space but as a place accompanying the street experiences and activities, and to provide the Street Vitalization Plan of the City presently proceeded with a methodological frame.

      • KCI등재후보

        고든의 오디에이션 이론에 기초한 초등음악수업에서의 즉흥연주지도

        최미영 ( Mi Young Choi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3

        성공적인 즉흥연주를 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사고과정 속에서 조직화된 음악적 의미를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 고든은 음악적 의미를 만들어내는 정신과정을 오디에이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오디에이션이란 물리적으로 소리를 듣지 않고도 마음으로 음악을 재현해내는 능력이다. 오디에 이션을 통해 음악의 구조를 내재화하고 조직하는 능력은 성공적인 즉흥연주를 위해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든의 오디에이션 이론에 기초한 단계적 즉흥연주활동과 예시 학습 지도안을 제안함으로써 초등음악수업에서 학생들의 즉흥연주능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그들의 음악적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예시 학습 지도안은 음악교사에게 평소 가르치는 관행 속에서 학생들의 오디에이션 능력을 계발시킬 수 있는 지식과 방법 뿐만 아니라 음악교사들이 이미 잘 하고 있는 것들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설령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음악수업에 직접적으로 적용하지 않는다 하더라고 이를 적용한 음악수업에서 가르치는 기술과 내용을 지도함으로써 학생들의 오디에이션 능력 계발 및 이에 기초한 즉흥연주능력의 계발을 도울 수 있다. 제시한 즉흥연주활동과 예시 학습 지도안의 실제 적용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분한 듣기 경험을 통해 오디에이션 하여 노래 불러본 후, 즉흥연주를 한다. 둘째, 정확한 모델링과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교사의 듣는 귀와 역량이 중요하다. 셋째, 모델링, 오디에이트, 반 전체 즉흥연주, 개별 즉흥연주의 순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오디에이션의 충분한 계발을 위해 음악 기호에 대한 학습은 다소 지연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오디에이션에 기초한 즉흥연주 학습 지도안의 연구와 개발이 광범위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즉흥연주 학습 지도안의 효과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uccessful improvisation is dependent on the recognition of relationships among musical elements and the assimilation of the syntactic feature of the music. In order to be able to manipulate the structures of music into an organized, spontaneous, meaningful performance, students should create organized musical meaning in their thought process. Gordon coined the term “audiation” to describe the process of making musical meaning. Audiation is the ability to hear and to comprehend music for which the sound is not physically present, is no longer physically present, or may never have been physically present. Audiation is the ability to think musically. Although music is not a language, the process is the same for audiating and giving meaning to music as for thinking and giving meaning to language. The highly skilled audiators can recognize familiar music, identify unfamiliar parts on the basis of their relationship to familiar parts, and give meaning to the whole. They can also retain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sound over and over and draws on their understanding to improvise music. The more accurately students are able to audiate musical patterns, the better they can improvise music and eventually establish music understanding. For successful improvisation, it is vital to develop a larger vocabulary of musical patterns, and organize and restructure the patter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tudents` audiation and improvisation abilities and enhance their musical understanding using Gordon`s audiation-based improvisation activities and sample lesson plans in elementary music class. The sample lesson plans provide music teachers with knowledge and tools to develop students` audiation with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music teaching practice.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gives a powerful way to enhance the many things music teachers already do well. Although they do not directly apply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to their music class, they would be able to help the enhancement of students` audiation and improvisation ability by teaching the skills and contents students learn in music class applied to music learning theory. Some guidelines that help teachers apply the suggested improvisation activities and sample lesson plans to their music class are as follows: First, to improvise meaningfully, students should spend enough time listening to a song and sing it while audiating, then improvise. Second, teachers have musical ear and competency so that they can provide accurate modeling and feedback. Third, it is desirable that the steps to improvisation should be modeling, audiating, whole class improvising, and individual improvising. Last, the introduction of music notation is somewhat delayed until stu- dents` executive audiation vocabulary of rhythm patterns and tonal patterns are developed.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audiation-based improvisation activities and sample elementary music lesson plans would be carried out in the further study.

      • KCI등재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에 기초한 능동적 가창활동 방안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홍승연 한국음악교육학회 2013 음악교육연구 Vol.4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음악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가르치는 교사나 배우는 학생들 모두가 즐거우면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가창활동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방안에는 음악과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학년별 음악 학습요소를 만족할 수 있고 음악성 신장까지 고려한 활동이 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고든(Gordon, Edwin E. 1927~)의 음악학습이론과 고든 외 몇 학자들이 개발한 3 단계 교수학습 접근방법 등을 적용하였다. 적용은 초등학교 3학년 음악교과서 내에 있는 가창활동 중심의 제재곡들 중 3곡을 선정하여 교수학습내용을 제시하였다. 주안점을 둔 것은 제재곡을 익히는 과정에 R.S.T.P. 방식을 도입하고, 곡을 익힌 직후에는 반드시 움직임이 있는 활동과 접목시켜 능동적으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부분이다.

      • KCI등재

        더글라스 고든의 비디오 설치에서의 스크린 구성 방식과 관객성 연구

        박선영,이현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Video installation, which appeared as a sub-form of video art in the 1970s, has expanded by merging with performance art, sculpture and other art forms. As technology develops, media equipment and display environments evolve to change the landscape further. Since most of the theoretical studies of video installation still focus on the early days of video installation or its cinematic aspect such as 'gallery film',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n context of video installation through selected works of Douglas Gordon, who exemplifies modernity in video installation through his experimentation of screen placements and spectatorship. First, this study will take a look at Gordon's video installations, which encompass the hybridization of sculpture, film, and video. Then the study will focus on Gordon's screen placements, screens suspended in the air, multiple screens, or set in an oblique angle where the screens function as an object. Occasionally, in his installation, the screen(s) function as an object like minimalist sculpture allowing spectators to phenomenological experience the ‘here and now.’ In this case the spectators move around the screen space and he creates autonomy for spectators by allowing physical proximity to the screen. Moreover, the screen allows spectators to recognize the apparatus of video installation as they become aware of their shadow on the screen. While it is possible to project in high quality as projection apparatus develops, Gordon utilizes the immensity of the screen frequently, these screen(s) make spectators to experience psychological by being surrounded by and immersed in images. 1970년대 비디오 아트의 한 형식으로 출발하여 공연, 퍼포먼스, 조각 등 다양한 예술 영역과 융합, 확장되어온 비디오 설치는, 근래 영상장비와 디스플레이 환경의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라 새롭게 주목된다. 본 연구는 비디오 설치 연구가 아직 초기 비디오 설치 사례를 중심으로 한 논의에 머물거나 갤러리 영화 등 영화 중심 논의에 집중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비디오 설치의 현대적 맥락을 보다 최근 작업들을 중심으로 살피고자 출발한다. 이를 위해 근래 다양한 스크린의 활용과 구성을 통해 관객성을 실험하는 더글라스 고든을 본 연구대상으로 선정한다. 먼저 본 연구는 고든의 비디오 설치들이 조각, 영화, 비디오 등의 혼성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음을 살핀 후, 공중에 떠 있는 스크린, 이중 스크린, 혹은 비스듬히 설치된 스크린 등 스크린 자체가 설치 오브제로서 기능하고 구성 배치되는 방식에 주목한다. 때로는 미니멀리즘적 조각성을 가지는 이 스크린은 관객들이 그 주위를 배회하며 ‘지금 여기’를 현상학적으로 경험하도록 이끌기도 하고, 스크린과 물리적으로 근접하도록 허용하여 영화 관객이 경험할 수 없는 자율성을 가지게도 허락한다. 또한 관객은 스크린 위에 비춰진 자신의 그림자를 통해 비디오 설치의 아파라투스에 대하여 인식하고 관객성을 발견토록 유도된다. 한편, 프로젝션 장치들의 발전에 의한 고화질 영상 투사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그의 작업에서 대형 스크린은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되는데, 이러한 스크린은 관객에게 이미지에 둘러싸이는 심리적 경험을 만든다.

      • KCI등재

        도시경관의 조형해석과 디자이너의 직관 개입에 관한 기초 연구 - 고든컬렌의 이론을 중심으로 -

        박억철,윤성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The movements in a variety of urban space in the time of change and experience, they may be likely to create a story rich experience of the urban landscape. Gordon Cullen that point, the ‘serial vision' of the basic concepts of the urban landscape theory researchers. Phenomenological method, described the UK's leading urban landscape theory urban designer Gordon Cullen's 'serial vision', 'place', 'content', 'the scanner', 'natation' This theory can be classified. 'serial vision', says time to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people due to the changes in the urban landscape. As we walked from A to B, continuous scene that looks like a photo shoot. 'place' encirclement, focus, and here that there has, as an element of the protrusion and retraction place regulations. He looks into the context of metropolitan areas, cities, power, rural, and industrial regions. 'content' look at the cover to be used when the details of us actually read the environment and appliances. Exposure, perfume, optical illusion, metaphor, relationships, advertising and many other things are included. 'the scanner' satisfactory, the designer of the human and physical factors were proposed to List of remark labeling plan how to develop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lace with the precision and expressiveness, 'natation'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form can be written as so. UK Evesham and Canal City of Songdo Case look. Cullen for rediscovery in the urban landscape, is to present the rationale for the empirical intuition of the designer. Firmly believe that innovation in the urban landscape from empirical intuition of the designer. 도시공간속에서 다양한 움직임에 의한 시점 변화와 경험들은 도시경관의 풍부한 체험적 이야기를 창조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연속적 시각’을 기본개념으로 하는 고든컬렌의 도시경관 이론을 소개한다. 현상학적 방법으로 도시경관이론을 설명한 영국의 대표적인 도시디자이너인 고든컬렌의 이론은 ‘연속적인 시각’, ‘장소’, ‘내용’, ‘정밀조사표’, ‘부호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연속적인 시각’은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사람의 시점에 따른 도시경관의 변화를 말한다. A에서 B까지 걸어가면서 연속해서 보이는 장면을 사진처럼 촬영하여 분석한다. ‘장소’는 위요(enclosure, 어떤 지역이나 현상을 둘러 쌈), 초점, 여기 있음과 저기 있음, 돌출과 후퇴 등의 요소로 장소를 규정한다. 그는 대도시, 도시, 전원, 농촌, 산업지대 등의 맥락도 들여다본다. ‘내용’은 우리들이 실제로 환경을 읽을 때 이용하는 세부와 장치물을 망라하여 살펴본다. 노출, 향수, 착시, 은유, 관계, 광고 등 많은 것들이 포함된다. ‘정밀조사표’는 디자이너가 만족스러운 인간적이고 물리적인 요소들의 목록표로 제안되었고, ‘부호법’은 주해를 붙이는 계획의 방법을 발전시켜 장소의 본질적 특성이 정밀하고 표현력을 갖춘 일반적 이해 형태로 기록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적용사례는 영국의 이브샴(Evesham)과 송도 커넬시티(Canal City)를 살펴본다. 이러한 컬렌에 대한 재발견은 결국 도시경관에서 디자이너의 경험적 직관에 대한 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도시경관의 혁신은 디자이너의 경험적 직관에서 출발한다고 굳게 믿는다.

      • KCI등재

        기독교 가정의 긍정적 언어환경을 위한 연구: ‘토마스 고든’과 ‘마조리 코스텔닉’을 중심으로

        유선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7

        본 연구는 가정의 긍정적 언어환경이 신앙교육의 기초적 환경임을 인식하여 시작된 연구로서, 가정의 긍정적 언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언어기술 및 의사소통 방법을 탐구한 논문이다. 언어는 인간의 삶과 현실을 창조하는 힘이 있음을 성서적 관점, 언어철학적 관점으로 밝혔고, 가정의 언어환경은 자녀의 자아, 언어, 정서, 사회성 등 다양한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 신앙교육의 기초이자 신앙 형성의 기반이 됨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토마스 고든과 마조리 코스텔닉의 언어기술 및 의사소통 방법을 탐구함으로써 기독교 가정의 긍정적 언어환경 조성을 위한 실천 전략을 고찰하였다. 고든은 부모-자녀 간 문제를 일으키는 ‘부정적 언어표현 12가지’를 경고하였고, ‘부모의 수용성 수준 파악하기,’‘문제의 소유자 파악하기,’ ‘부모-자녀 간 갈등 해결 기술’을 훈련하도록 하였다. 코스텔닉은 긍정적 언어소통을 위한 실천 전략으로 ‘행동 반영,’ ‘부연 반영,’ ‘효과적인 칭찬,’ ‘개방형 질문’ 등 단순하지만 효과성이 높은 언어기법을 숙련하도록 하였다. 고든과 코스텔닉의 실천 전략은 자녀의 마음과 정서에 기초한 방식이며, 대화기술의 효과성을 높이고, 부모-자녀 간 긍정적 관계를 강화할 수 있기에 기독교교육에 적용 가능하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의 실천 전략을 기반으로 기독교교육적 제언 및 과제를 제시하였는데, 첫째, 언어습관 교육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부모 교육의 특화, 둘째, 언어습관 훈련의 세 가지 교육내용, 셋째, 목회적 돌봄의 확대를 위한 교육방식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든의 R.S.T.P. 초등학교 음악수업 적용 방안 - 동요, 기악곡, 감상곡, 전래동요 제재곡 예시 중심 -

        홍승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4 음악교육공학 Vol.-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differences between Gordon's R.S.T.P. 8-step singing instruction method and other rote song teaching methods through comparison and to develop a method to apply Gordon's R.S.T.P. 8-step teaching process in elementary school music classes in Korea.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each stage and corresponding contents of Gordon's R.S.T.P. singing instruction and selected songs from the current music textbook to which it will be appli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Gordon's R.S.T.P. singing instruction unlike other singing instruction methods was designed to systematically practice recognizing Macrobeats and Microbeats, recognizing Resting Tone and practicing singing the tone, and practicing Audiation, which can be represented by the ability to inner listening.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Gordon's R.S.T.P. can be easily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in Korea, and six ways to apply it to actual music classes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