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몽된 사회와 언어-진실의 (불)가능성

        허선애(Heo, Seon-ae)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2

        이 글의 목적은 이청준이 추구했던 ‘진실’이 수신자의 능동적 해석 과정에서 구축되는 것이며, 수신자의 능동적 해석을 위해 작가 이청준이 소설 속에 마련한 독자의 자리가 격자 소설의 형식으로 나타났음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나아가 이러한 언어에 대한 탐색 끝에 이청준이 찾아낸 대안이 언어가 매개하지 않는 형상이며, 이는 수신자의 해석을 전제로 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임을 살펴볼 것이다.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에 의하면, 계몽된 근대 사회에서 언어는 지배자가 피지배자에게 일방적으로 명령을 전달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이며, 피지배자는 그 명령에 대한 해석 없이 그저 복종하는 존재가 된다. 이와 같은 언어의 특성을 포착하고 있는 이청준 소설에서 그려진 인물들의 대화는 일방향적이며 해석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말하지 않는 지식인과 소설가, 아무에게나 무차별적으로 도달하는 문화산업의 언어, 그리고 개인과 개인의 내밀한 대화에서마저 그 방향이 어긋나버리고 있는 모습을 이청준은 소설 속에 형상화하고 있다. 이청준이 꿈꾸었던 진정한 언어는 대화가 가능한 언어, 수신자가 능동적으로 대화에 참여할 수 있는 언어였고, 이 수신자의 능동적 해석 과정에서 ‘진실’이라는 것은 수행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 대화 가능성을 위해 이청준은 평면적인 메시지나 주제의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지 않고, 소설 속에 ‘격자’를 만들어 독자의 영역을 확보하고자 했다. 하지만 현실에서의 문학/언어의 모습은 그의 이상과는 다르게 일방적인 메시지를 강압적으로 전달한다. 대중을 기만하는 지식인의 글쓰기와 ‘동상’이라는 하나의 메시지를 위해 독자를 희생시키는 자서전의 상품화, 그리고 소문이 거짓으로 만들어낸 권위에 봉사하는 지식인의 거짓 증언과 같은 타락한 언어만이 세계에 남아있다. 그럼에도 이청준은 이 ‘소통’과 ‘이해’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는다. 이는 사람이나 형상을 통해 저절로 알게 되는 경지에 도달하는 김석호의 모습과, 이와 유사한 경험을 하는 윤지욱의 모습을 통해 드러난다. 이는 언어를 매개하지 않고도 소통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던 이청준의 욕망이 구체화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is that the "truth" pursued by Lee Cheong-joon is constructed in the active interpretation process of the recipient, and for that, the place of the reader appeared in the form of the frame-novel. In addition, it will examine that the alternative is a image in which the language is not mediated, which is to enable communicatio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cipient. According to Adorno and Horkheimer, in enlightened modern societies, language is used by the ruler to transmit a command one-sidedly to the subjects, and the subjects become a subordinate without an interpretation of the command. The dialogue of characters in Lee"s novel, is one-sided and is beyond interpretation. Lee has embodied the intellectuals and novelists who do not speak, the language of the cultural industry indiscriminately reaches to everybody, and impossibility of private conversations, in his novels. On the other hand, Lee pursue the interactive language, in which the recipient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onversation, and the "truth" in the active interpretation process of this recipient is composed of performance. For that, Lee tried to secure the area of his own by creating the frame-novel. However, in reality, the appearance of literature/language conveys a unilateral message unlike his ideal. Nevertheless, Lee does not give up the hope of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This is revealed through the appearance of Kim Seok-ho, who can realize truth through figure, and Yun Ji-wook, who has a similar experience. This is the realization of Lee"s desire to find alternative ways to communicate without mediating the language.

      • KCI등재

        자유를 표현하는 방식과 그 의미-이청준론

        송기섭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4 No.-

        Freedom is the gist of Chungjoon's thought. Great writer Chungjoon's literary works express, change, and dissolve freedom. He teaches that freedom is 'obscurity'. To him, freedom is solution of world's repression. He tries to prove it by his novels. His novels exclaim freedom by various way. He has two way to express freedom. One is a rhetorically structured way and the other is a description way. The former is straight and the latter is expressing by story. He try to protect human's freedom by these ways. His freedom rises from repression. Repression forms by social and political variable. His novels look for virtual condition that freedom can be suppressed. In this process, he makes original form of artist novel. Precepts repress freedom. He wants to liberation from precepts. Ho also wants to establish 'order of freedom'. To establish order of freedom, he ask himself about form and turn of expression of novel because novel is medium that pursues freedom. Therefore novel should be created with no repression. 자유는 이청준 소설들의 핵심 주제이다. 이청준에게서 자유는 인간이 만들어내는 온갖 ‘계율’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그렇게 간단하지가 않다. 그는 자유를 표현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표현하는 형식 또한 자유로워야함을 말하고자 한다. 자유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일종의 탐구의 형식이 창조된다. 이것이 이청준 소설들의 가장 독특한 소설의 수사학을 조성하며 소설의 형식을 구성한다. 소설가인 이청준이 자유를 구체적으로 입증하는 방식이란 소설 작품으로 그것을 보여주는 과정이라 말할 수 있다. 자유를 하나의 문제로 설정하여 추적하고자 할 때, 그것은 항상 소설이란 양식 문제와 겹쳐진다. 이청준은 어떤 계율에도 고착되지 않고 자유를 실현할 소설 형식을 실현하고자 한다. ‘자유의 질서’는 이 ‘계율의 미망’에서 벗어나는 데서 복구된다. 이청준의 소설들은 자유의 질서를 회복하고 생성해 내는 ‘자유의 문’이라 할 수 있다. 이청준은 소설의 주제를 통하여, 그리고 그 주제를 표현하는 방법을 통하여 자유를 말하고자 한 작가이다.

      • KCI등재

        말의 성찰을 통한 삶의 방식과 그 의미

        최창헌(Chang Heon Choi) 한국현대소설학회 2012 현대소설연구 Vol.- No.49

        이 논문은 이청준 소설의 기법적 특징 중의 하나인 탐색 기법과 격자 구조에 주목하여 ≪언어사회학서설≫ 연작의 의미 생성과정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언어사회학서설≫은 연작소설이다. 지금까지 연구 경향은 <지배와 해방>과 <다시 태어나는 말>이 주로 주목을 받아왔다. <지배와 해방>은 소설로 쓴 소설론·작가론이라는 측면에서, <다시 태어나는 말>은 ≪남도 사람≫과 ≪언어사회학서설≫의 결편이라는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연작소설 속의 개별 작품은 연작의 전체성 속에서 살펴야 한다. 왜냐하면 ≪언어사회학서설≫을 연작으로 분석하면, 개별 작품의 의미들이 전체에 통합되어 의미가 생성되는 과정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사회학서설≫에서 말에 대한 탐색은 이청준 자신의 삶의 태도와 작가로서의 글쓰기의 태도나 방법에 대한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말에 대한 탐색은 작가 자신뿐만 아니라, 그의 문학작품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이청준은 ≪언어사회학서설≫의 탐색 주체인 윤지욱을 통해서 존재의 삶과 관계의 삶의 조화를 시도하고 있다. 두 삶의 조화는 존재의 언어와 관계의 언어 질서와 대응된다. 본고에서는 ≪언어사회학서설≫의 연작을 통해서 자유로운 질서 속의 말에 대해서 추적해보았다. 탐색의 주체인 윤지욱은 사건을 탐색하고, 그것의 의미를 찾아낸다. 말의 성찰을 바탕으로 한 삶의 방식은 인간성의 참가치를 실현하고, 그것을 지켜나가며 확대해 나가는 창조성의 질서 위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에로스/ 타나토스 간(間) ‘내적 분열’의 양상과 의미 -최명익의 소설 <무성격자>와 <비 오는 길>을 중심으로

        박수현 한국문학연구학회 200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37

        This thesis analyzes the aspect of the inner division between the Eros and the Thanatos revealed in the novels of Choi Myoung Ik. The Eros means the life instinct incorporating the sexual desire and the self preservation desire. The Thanatos means the death instinct evacuating the life instinct. The inner division means the phenomenon of pendulum movement that contradictory tendency generated from the same root goes and comes between the contradictory pole. ‘The inner division’ emphasizing on the movement is the more dynamic concept than the ‘both side feeling’. Furthermore this thesis analyzes the cause that the early novels of the self concentrated novelists often reveal the ‘inner division’. In the beginning, artists and novelists who have stronger desire than other people strive for the Eros, but they have to give it up because of the barrier of the reality. Soon they move the energy concentrated on the Eros to the Thanatos. Because the energy of the Eros is stronger than anything else so the energy of the Thanatos is also stronger as well. So the inner division between the Eros and the Thanatos comes out. This aspect may be necessarily derived from the hermaphrodite property of the Eros and the Thanatos. 본 연구는 최명익의 소설 <무성격자>와 <비 오는 길>에 에로스/ 타나토스 간의 내적 분열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파악하고 인물의 심리를 중심으로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에로스를 성적 욕망과 자기 보존-생활-의 욕망을 통합한 생명 본능으로, 타나토스를 성욕과 자기 보존-생활-의 욕망을 모두 비워낸 죽음 본능으로, 내적 분열을 ‘동일한 뿌리에서 발생한 두 가지 대립된 경향성이 서로 양극을 왕래하며 진자 운동을 하는 현상’으로 규정하였다. ‘내적 분열’은 ‘양가감정’이란 용어에 비해 운동성을 강조한 역동적인 개념이다. 나아가 본 연구는 최명익 소설 뿐 아니라 자의식이 강한 소설가들의 초기 소설에 에로스/ 타나토스 간 내적 분열 양상이 자주 노출되는 일반적 현상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였다. 일반인들에 비해 욕망이 강한 예술가-작가는 애초에 에로스에 대한 강한 지향을 보유하였으나, 그것이 좌절되기 쉬운 현실에 맞닥뜨려 에로스에 부착된 강력한 리비도를 타나토스에게로 집중한다. 애초의 에너지가 막강했으므로, 타나토스에의 지향도 강력할 수밖에 없으나, 타나토스에만 안주할 수도 없는 에로스를 향한 원래 욕망이 다시 돌출되어, 양자 사이의 극심한 내적 분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정황은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자웅동체적 속성에서 필연적으로 파생된다고 볼 수 있다. 작가의 이런 사정이 작품에 반영되어, 자의식이 강한 소설가들의 초기 소설에 에로스/ 타나토스 간 내적 분열 양상이 빈번하게 부각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전이의 소설학, 권력의 한 연구 -『씌어질 수 없는 자서전』과 『소문의 벽』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독해를 바탕으로

        강동호 ( Kang Dong-h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0

        본고는 이청준 소설이 취하고 있는 메타 텍스트적 형식 구조와 그 효과를 정신분석의 관점에 의거하여 분석하고, 그러한 메타 텍스트성이 궁극적으로 소설의 언어로 하여금 어떻게 권력의 언어와 착종하고, 또 결별하게 만드는지를 「소문의 벽」과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을 중심으로 보이려고 한다. 특별히 정신분석에서 말하는 신경증과 편집증 그리고 전이(transference)가 이청준의 소설 안에서 어떻게 현상되는지를 따져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권력의 언어에 대항하는 역담론(counter-discourse)으로서의 소설 언어 형식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탐구한다. 이청준에게 소설이라는 언어적 형식은 주인 기표를 철폐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이를 통해 순수한 형식으로서의 법/권력의 언어를 비트는 작업, ‘주인 기표를 변증화` 하는 작업에 다름 아니다. 그것은 완전히 새로운 언어를 만드는 행위가 아니라, 소설에 대한 독자의 구성적 참여를 통해 전혀 다른 담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지식을 생산하는 언어를 사유하는 작업이다. 즉, 스스로 결렬/분열/공백의 형식으로 거듭남으로써 어떤 징후가 되어 독자로 하여금 적극적 성찰을 유도하게끔 만드는 언어적 조형물인 것이다. This article studies on the meta-textuality of Lee Chung Jun`s fictions based on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Furthermore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language for evaluating the possibility of fiction to deconstruct the power relation which represses the real world. Especially, focusing on the psychoanalytic transference, this article illustrates the fictional language which could be regarded as the counter-discourse of the language of power. For Lee Chung Jun, fiction is the linguistic form which could deconstruct the power of law through the psychoanalytic transference. The dialectic criticism by ficton on master signifier refers constructive engagement of reader for producing alternative discourse on knowledge. By performative self-reflection of reader, fiction could become a symptom that reveals the collapse and the dissociation of Power.

      • KCI등재

        「환상수첩」의 기원을 찾아서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과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인간실격』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유경(Lee, You-Kyung)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1

        본고는 김승옥이 「환상수첩」에서 ‘죄’를 고백하는 수기와 이러한 수기를 배반하는 방식으로서 ‘격자 소설’을 사용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 기원을 탐구하기 위해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과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인간실격』과의 비교 작업을 수행하였다. 김승옥은 일본의 작가 다자이 오사무를 흠모하여 그의 스타일을 자신의 작품에 적극적으로 수용하는데, 특히 관념을 형상화하기 위해 다자이 오사무가 『인간실격』에서 보여준 격자 소설 방식을 차용한다. 두 작가가 형상화하려고 했던 관념은 『죄와 벌』에서 도스토옙스키가 보여준 ‘죄’로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서 신의 영역에 도전했던 라스콜리니코프의 죄, 즉 초인 사상에 기반하고 있다. 『인간실격』에서는 주인공 요조는 수기를 통해 무한한 신뢰와 무저항이 ‘죄’였다는 것을 깨닫고 부끄러움 많은 인생이었다고 고백하지만 수기의 외부에서 요조의 잘못이 아니라는 마담의 발언으로 죄의 주체가 요조가 아니라 아버지로 밝혀진다. 「환상수첩」에서 수기의 주인공 정우는 라스콜리니코프가 초인사상을 실험하기 위해 노파를 죽이듯 친구 형기를 염전으로 데리고 가서 죽게 만든다. 하지만 수기 외부의 화자 수영은 정우가 죄책감을 이기지 못해 자살했다는 사실을 전달하고, 동시에 정우가 고민했던 죄가 환상에 불과하다고 일갈하면서 수기 속 정우의 고민을 일축한다. 다자이 오사무가 그러 했듯 김승옥은 격자 소설이라는 형식을 활용하여 내부 이야기인 ‘수기’를 통해 죄를 고백하는 반면, 수기 밖 외부 이야기에서는 이러한 고백을 배반하는 방식으로 작품 속에서 자기 자신과의 내적 갈등을 형상화한다. This paper noted that Kim Seung-Ok"s “Fantasy Notebook"" uses a ‘frame novel’ structure consisting of an internal essay confessing "sin" and an external story betraying the internal essay and conducted a comparison with Fyodor Dostoyevsky"s Crime and Punishment and Osamu Dazai"s Human Disqualification to explore the origin of Kim’s novel. Seung-Ok Kim actively embraces this style in his works, in homage to Japanese writer, Osamu Dazai, particularly in order to shape an idea, borrowing the frame novel style showcased in Human Disqualification. The notion that the two writers try to embody is based on Raskol"nikov’s sin, stemming from supermanism, that challenged the realm of God transcending human limits with the sin hinted at by Dostoevsky in Crime and Punishment. In Human Disqualification, the protagonist, Yo-jo realizes that infinite trust and a lack of resistance could take the form of sin and confesses his life is full of shame in the internal essay, but Madam"s remarks, which take place outside the realm of the essay, state that it was not Yo-jo"s fault and reveal that the subject of the sin is not Yo-jo but his father. In "Fantasy Notebook," Jung-woo, the main character of the essay, takes his friend"s Hyung-gy to a salt farm and lets him die there, just as Raskol"nikov kills an old woman as part of an experiment involving supermanism. However, the external speaker, Soo-yeong dismisses Jung-woo"s sin, an issue he had previously agonized over, as just a fantasy by arguing that he committed suicide because he couldn"t overcome his guilt.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Osamu Dazai, Kim Seung-Ok uses the form of the frame novel to confess his sin through the internal story while the external story outside the essay depict internal conflicts within himself that are channeled within the work by betraying such confessions.

      •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정치학과 수사학의 거리

        오양진(Yang Jin O) 한국현대소설학회 2012 현대소설연구 Vol.- No.50

        This writing aims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rhetoric form of a novelist and the political content of a craftsman in Lee, Cheong-jun`s novels, and to discuss its result. First of all, the subject that is common to Lee, Cheong-jun`s craftsman novels is not an occupational value of a craftsman but a difficulty of life that the craftsman is placed in. This above all means a political critique about the a social change of industrialization. By the way, the obviousness in political meaning is weakened as being combined with silence motifs that comes from a collapse of public foundation leading a deterioration of public opinion. Also the silence as a factor stopping Lee, Cheong-jun`s novels works as a narrative obstacle to his novels. At this time, an interest in his novels moves from a craftsman novel to a frame novel. The frame form becomes just a narrative form that breaks through the narrative obstacle to Lee, Cheong-jun`s novels by structurizing the silence. But the breakthrough of the narrative obstacle does not solve even political obstacle. Of course, his frame novels succeeds in taking over by means of a different method the political assignment of his earlier craftsman novels through the idea of tolerance on the basis of a narrative silence. Namely, Lee, Cheong-jun`s novels are converted from politics of a craftsman that has a political meaning only by a truth to politics of form that narratives embracing various truths mean directly critique from the dimension of a restriction of dogmatism. However, there is a certain questionable point in that we understand the politics of form in Lee, Cheong-jun`s novels only as an effective resistance about a suppressive situation in the 1960`s. For this doubling a participation and an exclusion with readers, in fact, sweeps away grounds to make public opinion out of private opinions by substituting the form of secret for a public discussion.

      • KCI등재

        ‘탈권력’을 위한 권력적 글쓰기

        이선영(Lee, Sun-young) 국어국문학회 2012 국어국문학 Vol.- No.162

        This thesis examines the The Walls of Rumor by Lee Cheong-Jun to critically review the relationship of his writing style, characters, and the narrative structure(1971) with his theory (of novel) called “The Practice of Post-Power.” It will proceed with discussion about the basic structure of his novels and character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his characters to consider how repression plays a critical role in re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athological aspects of the protagonist represented in the horror of the flash light. I will demonstrate how the formal characteristics in this novels such as multi-layer structure, detective writing technique and etc contribute to his literary works under the premise that the novel The Walls of Rumor should be the one that allows free communication and freedom in order to justify his critical stance on repressive regimes and rumors.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aesthetics of his novels is that it is the essential factor that renders his novels ‘open-structure’ or ‘reflective’ ones, but the two elements, that is, multi-layer structure and detective writing technique, stop short of making them ones that have open-frame structure or pluralistic voice(or polyphony) even though they function as a literary device that reveals the author’s sincere and serious attitude. it is reinforced through ruminating and intensifying narrator’s statement, character’s dialogue of reinforcing and repeating writer’s statement, overissue of chance, attempt to pierce you want to align the inevitability coincidence, typical and flat characters’ personality, a clear structure of right and wrong. It is true that The Walls of Rumor is the novel that asks us not only to explore the problems of writing, but also to rethink about life through a series of questions such as ‘Why we write’ or ‘What novels mean to us,’ but his serious and sincere attitudes prevent his novels from succeeding in encouraging active participation of readers and make his novels unsuccessful attempts to fulfill the polyphony and openness of his theo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