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韓國 近代佛敎의 改革論과 敎育改革

        김귀성 한국원불교학회 2003 圓佛敎學 Vol.9 No.-

        이 논문은 한국근대불교의 개혁론에 담겨진 교육개혁의 의미를 찾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몇 가지 불교개혁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국근대불교의 개혁론은 개화기 이후 일제 강점기에 제기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안으로 한국불교의 본질, 정체성을 회복하고 밖으로 불교의 현대화, 사회화 시대화를 목적하는 점에서도 대체로 일치하고 있다. 다만, 개혁의 접근 방법에서 차이점은 발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록 불교를 중심으로 한 개혁론이지만 그것이 함의하는 바는 불교만이 아니라 중교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그것은 중교가 단지 개인의 구원만이 아닌 사회구원을 함께 공유해야 한다는 메시지이다. 근대불교개혁론에는 종교내부의 개혁과 일반 사회의 교육에 대한 개혁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전자가 불교의 교육개혁이라면 후자는 불교적 교육개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가 불교의 본질로의 회복을 위한 노력의 일단으로 본다면 후자는 종교성의 함양을 위한 일반사회교육에 대한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불교내부의 교육개혁에서 시사하는 바는 종교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보편성을 갖는 방향으로의 개혁을 시사한다. 둘째, 교육개혁이 성공을 거두려면 개혁주창자의 창안 못지 않게 구성원의 지지와 채택 그리고 지속적인 실천이 수반될 때 가능하다. 셋째, 세속사회에서 불교 내지는 종교성을 어떻게 기를 것인가라는 종교 사회교육에 대한 답이다. 그것은 종교의 대중화라는 의미만이 아니라 적어도 청소년들에게 학교교육에서 소외된 종교성을 교육하는 일이야말로 당시는 물론 오늘에도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modem Korean Buddhist reform movement upon educational reform. I can find something in common with which the reform ideas were presented at same perio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lso those reform ideas have a common ground that would like to recover the Buddhist identity, outward modernization, socialization of Buddhism.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 between, as in Man Hae, more challenging approach against the existing system and gradual reform approach, as in Kwon Shang Ro. Though reform ideas focused on Buddhism, it's implication suggested not only for Buddhism but also on what the nature of religion. That is to say, it's message contains that religion have to share with relief of individual and social relief. Those reform ideas started with that Korean Buddhist order have to be changed something, breaking the historical fetters from Chosen dynasty and cope with social duty with the radical social change. Among their reform ideas, Why they stressed first upon the educational reform? It meant that under the existing system, The Buddhist order could not be changed and also it was very hard to anticipate the possibility of change by new generation. Those contained reformation of Buddhist order and also Buddhist educational reform in Modern Korean Buddhist Reform movement. The former is an idea of reform on Buddhism, latter is on Buddhist educational reform. Now I can find out some implications from above examinations as following. First, How recover the identity of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retain the universal validity in educational reform movement. Second, In order to accomplished the ideas on educational reform, it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reformist ideas also the support and accept of it by members, continuos practice. Third, How we teaching the religious mind to students in schools. that is to say, Buddhist social education.

      • KCI등재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

        김경춘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7 No.-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근대한국사회에서 한국불교의 ‘근대화’와 ‘정체성 확립’이라는 근대불교계의 과제와 연관된다. 불교개혁운동의 배경은 歷史的, 思想的, 宗敎的 측면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타난다. 첫째, 역사적 배경으로써 근대불교계는 일본의 한반도 정책과 긴밀한 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둘째, 사상적 측면에서는 開化思想, 社會進化論, 反宗敎運動의 영향이었다. 셋째, 불교개혁운동의 종교적 배경은 1887년 韓佛修好通商條約으로 인한 信敎의 자유였다. 불교개혁운동은 3・1운동을 전후하여 차이를 나타낸다. 3・1운동 이전의 불교개혁운동이 紙上에 발표된 개혁론이었다면, 3・1운동 이후의 불교개혁운동은 신흥종단인 대각교와 원불교의 실천적 개혁운동이었다.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포교, 역경을 통한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둘째,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사원경제의 자립을 지향함으로써 승단의 혁신을 통한 개혁운동을 현실화시켰다. 셋째,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민족종교로써의 불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민중불교로 거듭났다. 그러나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이 日帝 치하라는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한계를 드러냈다. 첫째, 기존 불교계의 개혁론자들은 당시의 현실인식의 부족과 日帝의 사찰령 때문에 주체적인 개혁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둘째, 신흥종단인 대각교와 원불교는 抗日운동과 계급의식의 부족이라는 한계를 보였다.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Appearance of New religions is continuous with, the modernization and identity-establishment, a challenge of the world of modern Buddhism. The background of Buddhist Reform Movement appears on the three aspects of history, thought and religion. First, for history the world of modern korean Buddhism ha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policy of Japan's Korean Peninsula. Second, on thought it had been influenced by the Enlightenment Thought,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nd the Counter Reformation Movement. Third, the registry background was the Religious freedom on the Korea and France Amity Commercial Treaty of 1887.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is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before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Reform theories on hit the paper, whereas one after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practicing Reform Movement by the Taegakkyo and the Won Buddhism of New Religions.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Appearance of New Religions are the following meaning. Firstly, those have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with mission and the translating Sūtras in Korean. Secondly, those are realized the Reform Movement through the revolution of Buddhist Monk's Organization's aiming at the Self Supporting Economy of Buddhist Temple. Thirdly, Those established the Buddhist Identification by regarding the Korean Buddhism as the religion of people and were born again with the Popular Buddhism. But They were limited by the current conditions under the rul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First, the Reformers of the existing Buddhist world didn't bear fruit of the subjective Reform because of lacking of the realistic understanding at that time and the Statue for korean Buddhist temples. Second, the Taekagkyo and the Won Buddhism of the New Religions had limit to that is called the lack of an anti-japanese movement and a class consciousness.

      • KCI등재

        한국에서의 불교의 근대화

        원영상(Won Yong Sa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3 No.-

        본 논문은 근대불교계의 개혁론을 어떻게 새롭게 이해할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출발한 논의이다. 동아시아의 근대 불교계, 특히 중국, 일본, 한국의 경우 입장은 달라도 새로운 문명의 유입과 사회의 변동에 따라 전통과의 관계 정립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각자 고민하고 있었다. 한국은 조선시대에 쇠퇴한 불교계의 근대적 정체성 확립과 국운의 쇠퇴와 식민지화를 극복하기 위한 저항적 민족주의의 노선을 걷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선각자들의 불교개혁론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백용성(白龍城), 박한영(朴漢永), 한용운(韓龍雲), 박중빈(朴重彬)의 불교개혁론을 중심으로 전통과 근대불교라는 관계를 고찰하고 있다. 이러한 개혁론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불교계가 취한 불교개혁적 관점과도 연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불교계 또한 식민지 하에서도 서구 문명에 대한 대응, 불법의 시대적 사명, 불법의 사회화와 미래의 전망, 전통불교의 개혁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혁론을 피력하고 있다. 특히 서구문명의 유입을 필두로 관습과 생활문화의 변화, 공동체와 새로운 형태의 국가 출현 사이의 간극이 드러나는 사회적 상황에서 불교개혁론은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었다. 식민지 하에서는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과 함께 불교를 통한 식민지 통치 전략에 대해 실질적인 불교개혁을 통한 대응 또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원불교의 경우, 전통에 귀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교단 창립을 시도하고 있지만, 불교사상 등의 내적인 측면을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대승불교의 역사가 보여준 불법승 삼보의 재구성을 통한 불교개혁을 완수하고 있으며, 회통성과 같은 한국불교의 성격을 실질적으로 확립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근대불교개혁론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의미는, 불법을 근대적 지(知)의 세계로 어떻게 승화시킬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불교개혁론이 지향했던 학문의 발전에 대한 담론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개혁론을 주장했던 선각자들은 실제로 전 생애를 통해 근대적 불교결사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을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will discuss how to newly understand the reformation theory of modern Buddhist communities. The modern Buddhist communities of East Asia,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na, Japan and Korea, had different perspectives, but were concerned with the issue of how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raditions in the wake of the arrival of a new civilization and changes in societies. Korea had to adopt the position of resisting democracy in order to establish the modern identity of the Buddhist community that declined in the age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overcome the decline of national destiny, and Japanese colonization. While doing that, Buddhist reformation theory formulated by leading figures contained various meanings.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theory of Buddhist reformation of Baek Yong-seong, Park Han-yeong, Han Yong-un, and Park Jung-b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Buddhism will be examined. These reformation theories are connected with the point view of the Buddhist reformation of Japanese Buddhism that took place after the Meiji Restoratio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also, even under Japanese colonialism, formulated reformation theories in different guises such as the response to Western civilization, the mission of Buddhadharma of the time, socialization of Buddhadharma and prospects of the future, and reformation of traditional Buddhism. Especially, in the social situation where gaps appeared as a result of changes in customs and life culture, and the community was faced with a new type of n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 theory of Buddhist reformation sought a new way out. Under colonialism,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Buddhism to the Korean Peninsula, responses arose through Korean practical Buddhist reformation against the colonial ruling strategy of Japan through Buddhism. And in the case of Won-Buddhism, it tri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order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traditional Buddhism, and yet, inherited and embraced the inner aspects of Buddhist thought. Finall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Three Jewels, namely, Buddha, Dhamra, and Sangha, that the history of the Mahayana Buddhism revealed, it completed the Buddhist reformation and practically established the nature of Korean Buddhism that featured such characteristics as communicative penetration. Another meaning that can be seen in the theory of modern Buddhist reformation was that the discourses for the development of studies that the Buddhist reformation theory aimed at were conducted from the view point of how to sublime Buddhadharma into the world of modern knowledge. It also needs to acknowledge that these pioneers who put forward the theory of reformation practically led the modern Buddhist association movement through their whole life.

      • KCI등재

        1994년 대한불교조계종 개혁종단의 성립과 의의

        김순석 대각사상연구원 2013 大覺思想 Vol.20 No.-

        1994년 대한불교조계종 개혁불사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은 당시 총무원장이었던 서의현의 3 선 연임기도에서 비롯되었다. 서의현의 3선 연임을 저지하기 위하여 불교계의 젊은 수행승과 학 승들을 중심으로 한 혁신세력 8개 단체는 1994년 3월 23일 범승가종단개혁추진회(약칭 : 범종추 )를 결성하였다. 범종추는 서의현의 3선 연임을 저지하는 과정에서 당시 불교계가 안고 있던 당 면 문제들이 폭발적으로 쏟아져 나온 개혁의 여론을 겸허하게 수렴하였다. 1994년 대한불교조계 종 사태는 많은 토론을 거치면서 해결책이 논의되었고 이 논의들은 교단 운영에 반영되었다는 점에서 한국 현대불교사에서 한 분수령을 이루었다. 권력과 결탁한 서의현은 자신의 총무원장 3선 연임을 폭력 세력을 동원해서 해결하려 함으로써 문제를 사회문제로 확대시켰다. 그 과정에서 상무대 비리 사건은 정치권으로 비화되었고 여론의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김영삼 정부는 출범 초기에 시행한 몇 가지 개혁정치로 얻은 명성에 도덕 적인 상처를 입는 것이 두려워서 서의현과 결별을 선언하지 않을 수 없었다. 범종추는 이후 개혁 회의라는 임시기구를 결성하고 많은 희생을 치르면서 권력과 결탁한 종단의 비리승들을 척결하 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는 실로 크다. 당시 불교 종단이 안고 있는 구조적인 모순 또한 적지 않았 다. 범종추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전국 승려대회와 범불교도대회라는 모든 승려들 이 참여하여 토론을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이러한 해결 방법은 많은 사람들 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최선의 길을 택한다는 점에서 현명한 해결책이었다고 하겠다. 서의현의 3선 연임 기도는 애초부터 무모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승려들이 피를 흘리 는 희생을 치러야 하였다. 불교계는 사회에 참회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연출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불교계가 겸허하게 수용해야 할 부분이다. 제28대 새로운 종단이 탄생하기까지 치러야 했던 희생은 참으로 값진 것이었다. 김영삼 정권이 더 이상 불교의 자주화를 막을 수 없다는 판 단하에 조계사에서 공권력을 철수한 사실은 이 땅의 불교사에 길이 기록해 두어야 할 역사적 사 실이다. 아울러 그것은 불교가 거듭나기 위해서 치러야 했던 출산의 고통이었다.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Reform in 1994 was directly caused from Seo Woi Hyun's trial for 3rd consecutive appointment of executive chief of Korean Buddhist Jogye Order. At that time he was in the position of executive chief of Jogye Order. In order to block Seo Woi Hyun's 3rd consecutive appointment, innovative 8 groups centering young trainee monks and scholar monks established the Pan Buddhist Order Reform Promotion Committee(acronym: PBORPC) in Jungang Sangha University located in Temple Gaewun, Anam-dong on March 23rd, 1994. During the PBORPC's activities blocking Seo Woi Hyun's 3rd consecutive appointment, many problems in Korean Buddhism World were explosively emerged. 1994 Jogye Order crisis was solved through many discussions, and the BORPC's innovating movement became a watershed for Korean modern Buddhism history in that the discussions were reflected in the Jogye Order's management. As Seo Woi Hyun in collusion with the authority power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his 3rd consecutive appointment as the executive chief of Jogye Order by mobilizing some gangs, the problem was expanded as a social problem. During the process solving problems related his appointment as the executive chief of Jogye Order, the corruption scandal implicating Sangmudae was expanded to the political range, and eventually was highlighted as a public issue. Kim Yeong Sam's government was afraid of taking moral knock in its reputation which had gotten from a few reformative actions taken in its early days, so had to declare a separation from Seon Woi Hyun. Then PBORPC is consisted of ad hocracy Reformation Conference executes reformation. In that corrupt monks in Jogye Order in collusion with the authority power were eradicated at expense with many sacrifices, Pan Buddhist Order Reform Promotion Committee(PBORPC)'s movement was very meaningful. However there were many structural imbalances in Korean Jogye Order at that time. To solve such problems, BORPC adopted the way to draw out the conclusion through discussions participating all monks under the national monk competition and the Pan Buddhist competition. Such solution method is considered as a wise solution in that it adopted the best way after listening to many people's opinions. Although Seo Woi Hyun's trial for 3rd consecutive appointment as the executive chief of Jogye Order was reckless from the first, tremendous monks had to be sacrificed in order to block his trial. Moreover, there created the situation which Buddhism world had to confess its sins before the society. This is the fact that Buddhism world had to accept with humble. The sacrifices we had to endured until 28th new Jogey Order's creation were significantly valuable. The fact that Kim Yeong Sam's government withdrew law enforcement authorities from Temple Jogye under the judgement that the government could not hinder Korean Buddhism's independence any longer is a historic fact to be recorded forever in Korean Buddhism history. Moreover, it was the throe of birth which had to be endured in order that Korean Buddhism could be recreated.

      • 근현대 불교개혁론의 지평

        김광식(Kim Gwang Sik)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1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4

        본 논문은 한국 근현대 불교 개혁론의 이해, 연구의 지평을 넓혀 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된 고찰이다. 그러면서 이 글에서는 최근 근현대 불교 및 근현대 불교 개혁론에 대한 연구 에 대한 성찰을 제언하고 있다. 큰현대 분야의 연구에서의 과대평가, 착종, 누락 등의 행태를 지적하였다. 그리고 개혁론의 이해, 해설에 있어서도 지나치게 단면적, 미시적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전제하에 그 대안을 피력하였다. 이에 필자는 이 같은 연구 경향을 지적, 비판하면서 불교개혁론의 연구의 시야를 넓혀 보려는 의도를 표출하였다. 우선 근현대 불교개혁론의 개념을 살펴보고, 그 연후에는 개혁론으로 볼 수 있는 대상 전체를 조망하였다. 이로써 지난 100여년간 불교현장에서 나타났던 다양한 개혁론의 개요 및 성격을 조망할 수 있는 안목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나서 필자는 시론적으로 일제하의 불교, 해방공간의 불교, 1980∼90년대의 현장에서 구현된 개혁론을 보수와 진보라는 잣대로 설명해 보았다. 이런 시도가 일부분에서는 과도한 측면도 있겠지만 시론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개혁론 연구에서 유의할 초점도 대별하여 보았다. 본 본문은 불교개혁론을 직접적으로 분석한 고찰은 아니고, 불교개혁론의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기 위한 제언 및 시론으로 집필된 것이다. This research paper is consideration to the intention in order to extend prospect of understanding and study in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t Reforming Theory. I suggested introspection about the study of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t Reforming Theory recently through the paper. There was made to point out manner of overestimate, entangling and omission in studying on the field of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t history. And I stated frankly an alternative under the premise in consisting the mainstream of sectional area and microscopic study excessively on that point of understanding and exposition of reforming theory. Hereupon the author expressed intention to extend my view on study of Buddhist reforming theory in indicating and criticizing such tendency. First of all, as examining the defini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t reforming theory, afterward I prospected the whole object regarding as reforming theory. With this I have an eye for ability to look at the outline which was appeared in various reforming theories on the spot of the Korean buddhist circles for the last hundred years and view on character. Then I tried to explain reforming theory which was realized buddhism under the Japanese Empire period, during the space of the Independent and the scene of the buddhist field between the nineteen eighties and nineties by standard of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on a trial. This attempt seems to be excessive aspect, but I just suggested by way of experiment. And I classified roughly important focus on studying reforming theory. This paper is not consideration on Buddhist reforming theory directly. The paper is written as a trial for suggestion and an essay in order to extend the prospect of researching Buddhist reforming theory.

      • KCI등재

        한국근대 불교개혁론의 전개와 교단개혁 - 조선불교유신론을 중심으로 -

        서재영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4 No.-

        조선후기의 한국불교는 수백 년간 지속된 억불정책으로 인해 주류사회에서 밀려나 핍박과 은둔의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나 19세 말 개항과 더불어 국내외의 정치적 상황이 급박하게 전개되면서 불교계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정세가 급변하면서 공고하던 유교적 통치체제도 흔들리기 시작했다. 때를 같이하여 유교적 통치이념에 의해 지탱되던 억불정책의 기조도 와해되기 시작했다. 안팎에서 진행되는 이 같은 변화는 수백 년 동안 불교를 짓눌러 오던 억압구조의 해체를 가져왔다. 바로 이 때 일본불교가 곳곳에 포교소를 설립하기 시작했다. 비록 일본불교였지만 불교가 도심으로 진출하고 존경받는 일승(日僧)의 모습은 억압받아 오던 조선불교계에 충격을 던져주었다. 반면 외세를 등에 업은 천주교와 개신교의 급격한 교세신장은 불교계에 강력한 위기의식을 촉발시켰다. 이 같은 국내외 상황과 종교지형의 변화는 불교계의 자각으로 이어졌고, 그것이 체계적으로 응축되어 나타난 것이 바로 1910년대에 발표된 불교개혁론이다. 불교개혁론이 세상에 처음 등장한 것은 1912년 <조선불교월보>에 연재되기 시작한 퇴경(退耕) 권상로(權相老)의 <조선불교개혁론>이다. 퇴경은 이 논문에서 조선불교는 구습과 낡은 인식을 떨쳐버리고 변화된 시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개혁을 단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1913년 만해(萬海) 한용운(韓龍雲)은 조선불교유신론 을 출판하고 혁신적인 불교개혁론을 주장했다. 만해는 이 논문에서 불교계의 침체된 상황과 승려들의 안일한 인식을 신날하게 질타하고 사람과 제도, 의례와 신앙에 이르기까지 전면적인 개혁을 부르짖었다. 그 후 10년 뒤인 1922년 범란(梵鸞) 이영재(李英宰)가 <조선일보>에 <조선불교혁신론>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세 편의 개혁론 중에서 퇴경의 개혁론은 잡지에 연재된 관계로 미완으로 끝나고 말았다. 그리고 범란의 개혁론은 비록 세밀한 개혁내용을 담고 있었지만 많은 부분에서 만해의 주장을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세 편의 개혁론 중에서 내용의 충실성이나 논리적 완결성 등에서 만해의 개혁론이 단연 돋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게다가 조선불교유신론 은 비록 1913년에 출판되었지만 내용이 탈고된 것은 1910년이므로 불교개혁에 대한 실질적인 포문을 연 것은 만해였다. 이상과 같은 불교개혁론은 오랫동안 계속된 억불로 인해 피해의식에 사로잡혀 있던 조선불교계를 자극하기에 충분했으며, 약 100년이 경과한 지금 개혁론을 통해 주창되었던 대부분의 내용들이 실현되었다. 따라서 이들 개혁론은 시대를 직시하고 다가올 미래를 준비한 것으로써 한국불교 근대화의 촉매제가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나아가 불교개혁론을 통해 불교의 근대화가 진행되고, 불교가 근대화됨으로써 불교대중의 근대화를 촉진하는 계기를 마련했다고도 평가할 수 있다. 본고는 이 같은 맥락에서 불교개혁론의 등장 배경과 개혁론의 주요 골자를 살펴보고자 한다. In the late Chosun era, due to the government's anti-Buddhist policy which had lasted for hundreds of years Korean Buddhism was pushed away from mainstream society, suffering from oppression and withdrawing from the society. However, as political conditions at home and abroad developed rapidly after the government opened its ports to foreign nations, the Buddhist community took a new turn, As situation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changed rapidly, the Confucian ruling system which had been maintained solidly began to falter, which in turn weakened the foundation of the anti-Buddhist policy supported by the Confucian ruling ideology. That is, changes being made at home and abroad dismantled the structure of oppression that had been directed towards Buddhism for hundreds of years. At the same time, propagation offices of Japanese Buddhism began to be established throughout Chosun Kingdom. Japanese Buddhism which was making its way into cities and Japanese Buddhist monks who got lots of respect from people were a great shock to the Chosun Buddhist community. In the meantime, the Chosun Buddhist community felt very threatened by a surge in the number of Catholic and Christian believers boosted by foreign powers. That is, changes in conditions at home and abroad and the proportion of the believers of various religions led to the realiza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Such realization was expressed systematically through the reformism of Buddhism published within about a decade after 1910. The reformism of Buddhism was introduced to the world in the form of Gwon Sang-ro(權相老)'s <The reformism of Chosun Buddhism(朝鮮佛敎改革論)> which began to be published in <Monthly Bulletin of Chosun Buddhism(朝鮮佛敎月報)>. In the thesis, Toegyeong(退耕) asserted that Chosun Buddhism needed to be reformed to shed its outdated practices and perception and to meet the demand of changing society. In addition, in 1913 Han Yong-un(韓龍雲) published <The Revitalizing Reformation of Chosun Buddhism(朝鮮佛敎維新論)>, advocating the innovative reform of Buddhism. In the thesis, Manhae(萬海) harshly criticized the Buddhist community for its depressed conditions and Buddhist monks for their indolent attitudes, crying for a full scale reform reaching rituals and faiths. In 1922, about a decade later, Lee Yeong-jae(李英宰) published <The Innovation of Chosun Buddhism(朝鮮佛敎革新論)> in Chosun-Ilbo. Of the three reformisms above, Gwon Sang-ro's reformism ended incomplete because it was published in the magazine. Lee Yeong-jae's reformism accepted a large portion of Han Yong-un's assertion, though it detailed the content of refor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of the three reformisms, Manhae's reformism is outstanding due to its substantial content and logical completion. Besides, although Manhae's <The Revitalizing Reformation of Chosun Buddhism> was published in 1913, it was in 1910 that the work was completed. Therefore, it is not exaggerating to say that Han Yong-un actually opened the way for the reformism of Buddhism. The reformisms of Buddhism above were enough to awaken the Buddhist community mired in the feeling of being victimized due to the government's anti-Buddhism policy which had been practiced for a long time. Moreover, now, about a century after the appearance of the reformism of Buddhism, most of the things advocated through the reformisms of Buddhism have been realized. Therefore, it is evaluated that the reformisms above served as a catalyst for the modernization of Korean Buddhism by facing up to reality and preparing for the coming future. Moreover, it is also evaluated that the reformism of Buddhism led to the modernization of Buddhism which in turn promoted the modernization of overall Buddhist believers.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reformism of Buddhism and the main point of the reformism based on <The Revitalizing Reformation of Chosun Buddhism(朝鮮佛敎維新論)>.

      • KCI등재

        한국 근·현대 불교개혁론의 전개와 유형

        이병욱(Lee Byung Wook)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4 한국종교 Vol.37 No.-

        이 논문은 한국근현대에 제기된 불교개혁론을 두 단계로 나누어서 접근하고 그 유형을 구분한 것이다. 불교개혁론의 1단계에는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등이 포함된다. 1단계에 속하는 불교개혁론은 아직 구체적 대안으로 발전되지 못한 것이다. 예를 들면,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에는 추상적 개념분석에 공을 들이는 부분이 있고,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에도 추상적 내용이 섞여 있고 또한 대안제시에서도 문제점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에는 이상적 청사진을 제시하는 데에 치중하였고 아직 구체적 대안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불교개혁론의 2단계에는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 백학명의 불교개혁에 관한 견해,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 등이 포함된다. 2단계의 불교개혁론은 1단계의 불교개혁론과 비교해 볼 때, 구체적 대안으로 발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은 3가지 내용으로 구분된다. 첫째, 31본산을 통괄하는 기구를 설치하자는 것이고, 둘째 대중 불교의 추구이며, 셋째 선수행의 지도 원리와 불교교학의 교육방법을 정비하는 것이다. 백용성의 대각교운동은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의 내용과 문제의식에서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을 한 가지로 보고, 그들은 ‘당시의 불교계를 개혁하자’고 주장하였다. 백학명의 불교개혁적 견해는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비교해 볼 때, 첫째 주장 곧 31본산을 통괄하는 기구를 설치하자는 것은 없지만, 둘째와 셋째 주장에서는 내용과 문제의식에서 상당히 일치한다. 이 점에서 백학명의 불교개혁적 견해는 온전한 불교개혁론이 아니고 ‘부분적인 불교개혁의 주장’이라고 분류한다.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은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비교해볼 때, 대중불교를 추구한 점에서는 서로 일치한다. 차이점은 손규상이 새로운 종파를 세우고, 거기에 걸맞는 수행론을 제시한 점에 있다. 이 점에서 손규상의 진각종창종은 ‘새로운 종파를 창종하자는 주장’으로 분류한다. This article classified the patterns of the Buddhist reformation in Korea by approaching by two steps. The first step includes Kwon Sang-Ro’ "Joseon Buddhist reformer", Han Yong-Un’ "Joseon(Korea) Buddhist theism", and Lee Young-Jae"s “Joseon Buddhism hyeoksinron”. The first step of the Buddhism reformation was not yet developed as to offer the concrete alternatives for then current Buddhism. Kwon Sang-Ro’ "Joseon Buddhist reformer" was focused on analysis of abstract concepts of Buddhism, Han Yong-Un’ "Joseon Buddhist theism" also had limitations to present alternative solutions. Lee Young-Jae"s “Joseon Buddhism hyeoksinron” was also attached into the ideal blueprints, which was insufficient for concrete answers. The second step of the Buddhism reformation includes Han Yong-Un’ “Joseon Buddhist reform”, Baek Yong-Seong’ Daegakgyo Movement, Baek Hak-Myeong’s view of reform of buddhism, and Son Gyu-Sang’ view on Buddhism reform. The second step of the Buddhism reformation showed the detailed alternatives for Joseon Buddhism. Han Yong-Un’ “Joseon Buddhist reform” insisted the following three theme; to establish a organization for the 31 head temples, to pursue the public Buddhism and to organize guiding principles of zen practice and teaching methods of Buddhism’s doctrine. Baek Yong-Seong’ Daegakgyo movement coincides with Han Yong-Un’ “Joseon Buddhist reform”. Baek Hak-Myeong’s opinion was similar with Han Yong-Un for pubic Buddhism and the training of the Buddhism’s doctrine. In this regard, Baek Hak-Myeong’s opinions are classified as a partial Buddhism reformation. Son Gyu-Sang’ opinions consists with Han Yong-Un’ inrespect of persuing the pubic Buddhism. But Son Gyu-Sang’ Jingakjong with a new discipline theory could be regraded as to insist “new sector” for Buddhism reformation.

      • KCI등재후보

        조종현의 불교개혁론과 동요의 상관성

        이동순(Lee, Dong-soo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3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4

        아동문학사에서 그동안 호명되지 않았던 작가 조종현을 아동문학사에 호출해보고자 하였다. 조종현의 생애와 불교개혁운동과 동요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련성을 지닌 채 잠복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불교개혁운동과 동요의 상관성을 밝혀본 바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종현은 1922년 선암사로 출가하였다. 그가 출가한 순천의 선암사는 불교개혁론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였던 사찰로 불교청년동맹지부이기도 했다. 불교개혁론의 참여한 승려들이 많았던 만큼 그 영향 아래도 있었다. 조종현 본인도 계를 받은 이후 불교개혁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비밀결사체인 ‘만당’의 회원으로, 불교청년동맹지도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특히 잡지 『불교』에 많은 글을 발표하는 등 한용운과 함께 불교개혁 운동의 중심에 있었다. 당시 불교개혁운동의 핵심은 ‘정교분리’와 ‘민중 속으로’였다. 대중불교를 지향한 것은 일제의 식민통치를 벗어나려는 독립의지의 반영이었고, 불교의 대중화는 성속의 분리가 아닌 함께 사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것이었다. 그것의 한 방법으로 동요를 썼다. 둘째, 조종현의 동요는 총 45편이다. 그가 불교개혁운동에서 활동하였던 만큼 동요 또한 민중들의 고단한 삶을 반영한 작품들이 주류를 이룬다. ‘시심’과 ‘동심’과 ‘불심’의 일치를 주장하였던 만큼 그가 현실에서 눈 돌리지 못하고 동심을 통해 구체적인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그의 동요는 단순히 동심으로 바라본 민중들의 고달프고 힘든 삶의 모습이 아니라 결코 외면하고 피해갈 수 없는 우리의 현실을 직시한 것이다. 그의 동요는 ‘민중 속으로’ 들어가고자 한 불교개혁운동의 한 방법이었다. 그의 동요가 모두 수습되어 작품집으로 엮어진다면 아동문학사에 그의 이름은 호명되어질 것이고 후속연구도 진행될 것이다.

      • 용성진종(龍城震鍾)의 승단개혁운동(僧團改革運動) -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이수창 ( Lee Soo-chang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6 전자불전 Vol.18 No.-

        이 논문은 용성이 살았던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용성의 승단개혁운동과 그 전개과정을 다룬 것이다. 용성의 생애는 大覺思想의 실천을 위한 삶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용성은 대각사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모든 불교도들이 세 가지 교화지침을 실천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그가 제시한 세 가지 교화지침은 불교의 생활화, 불교의 대중화, 불교의 지성화이다. 여기서는 불교의 지성화에 초점을 맞춰 용성의 승단개혁운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용성이 살았던 시대는 朝鮮王朝에서 大韓帝國으로 國號가 바뀌고, 일본인들이 한반도를 통치했던 日帝强占期였다. 그의 在世時는 이 민족의 암울한 시기였다. 또한 이 시기는 정치·경제· 사회·사회·문화 등 제반분야에서 큰 변화를 겪고 있던 격변기였다. 이 시기를 한국불교사에는 `근대불교`라고 부르는데, 용성은 이 격변기에 살았다. 근대불교시대는 위기와 기회가 공존했던 시기였다. 근대불교는 조선왕조의 抑佛政策에서 벗어나 새롭게 발전할 수 있는 기회의 시대였다. 또한 동시에 일본불교의 한반도 상륙과 기독교 세력의 확장 등으로 인한 위기의 시대였다. 이 시대의 승려들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쇠퇴해진 조선불교를 중흥시키려고 하였다. 기존의 불교로는 급변하는 시대에 적응하지 못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근대불교의 개혁운동이 일어났다. 당시의 불교개혁운동은 크게 두 가지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하나는 불교교단의 전통적인 모습에 대한 반성이었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존재양식을 추구하는 강한 실천이념이었다. 전자는 조 선불교 승단이 변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이고, 후자는 무기력한 조 선불교 승단이 新文物을 받아들여 시대에 부흥하는 종교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의 불교지도자들이 내놓은 개혁안은 청정한 승단의 모습으로 되돌아가자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승단의 세속화를 가중시키는 것이었다. 반면 용성의 승단개혁운동은 외세의 간섭을 차단하고, 승단의 세속화가 아닌 승단의 청정화를 통해 조선불교의 전통을 고수하면서 시대에 맞는 새로운 교화 활동을 전개하려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서 용성은 어떻게 나라의 주권을 되찾고, 불교를 되살릴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고뇌한 것으로 보인다. 한마디로 용성의 悲願은 護國과 護法이었다. 이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한 것이 바로 그의 `大覺思想`이다. 용성은 대각사상을 통해 조선불교의 정체 성을 확립하고, 시대에 맞는 교화활동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개혁이 필수적이었다. 용성의 개혁운동은 매우 다양하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개혁운동은 僧團淨化運動, 戒法中興運動, 佛敎儀禮改革運動, 禪農佛敎運動 등이었다. 승단정화운동과 계법중훙운동은 조선불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었고, 불교의례개혁운동 과 선농불교운동은 시대에 맞는 교화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것들은 보살의 원력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한 것들이다. 요컨대 용성의 일생은 조국 과 불교를 되살리기 위한 몸부림이었다. 그는 자신의 모든 역량을 조국의 독립과 조선불교의 중흥을 위해 바쳤다. 그는 일제강점기 옥고를 치르면서도 조국의 독립과 피폐해진 조선불교를 바로 세우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시대의 스승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uddhist Sangha reformation movement of Yongseong and its development with a consideration of circumstances during his lifetime. The life of Yongseong was solely given to the implementation of Supreme Enlightenment. In order to realize this goal, he asserted all Buddhists should practice three guidelines for edification. These are making Buddhism as everyday life, popularization of Buddhism and intellectualization of Buddhism. Here the last guideline is mainly focused in terms of Yongseong`s reformation. The period when Yongseong lived was from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changed into the Korean Empire later,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He lived through a gloomy era for the whole Korean nation. Besides, the period was going through great changes in almost every sector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this period is called `modern Buddhism` and Yongseong lived in this period of upheaval. In the era of modern Korean Buddhism, crisis and opportunity coexisted. Modern Korean Buddhism had an opportunity of new development by overcoming the Joseon Kingdom`s policy of Buddhism suppression. At the same time, it faced a crisis as the Japanese Buddhism land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hristianity expanded. By using the chance, Buddhist monks of this period tried to revive Joseon Buddhism which had suffered a serious decline. The existing Buddhism, they thought, failed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age. In this context, a modern Buddhism reformation movement emerged. The reformation movement revealed two characteristics in those years. One is a reflection on the traditional aspect of the Buddhist Sangha and the other is a strong practical belief to pursue a new form of existence. The former began with the recognition of the Joseon Buddhist community that should be changed. And the latter was based on the idea of the then incompetent Buddhist Sangha which must adopt new Western civilization to develop itself abreast of the times. But the reformation ideas from the Buddhist leaders of the period were not intended to return to the pure Sangha, but rather to accelerate its secularization. On the contrary, the Sangha reformation movement of Yongseong concentrated on new edification activities by keeping the traditions of Joseon Buddhism through a purifica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not by means of its secularization and blocking out any foreign influences. In other words, Yongseong meditated in anguish how to regain the sovereignty of Korea and to restore the identity ofwas the idea of `Supreme Enlightenment.` With this idea, Yongseong made every effor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Joseon Buddhism and to develop edifying campaigns proper to the period. For this purpose, reformation was a must. Yongseong`s reformation campaigns were implemented in diverse ways. Representative reformation movements among them were the Sangha purification campaign, Dharma revival campaign, Buddhist ceremony reformation movement, and Zen-agriculture Buddhist movement. Buddhist ceremony reformation and Zen-agriculture Buddhist movements were meant to implement edific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the times. And these were not possible without the praying power of Bodhisattva. In short, Yongseong`s whole life was dedicated to the restoration of the nation and Buddhism. He devoted all his capacity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revival of Buddhism. Though he suffered a hard prison lif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e alone strove to restore national sovereignty and Joseon Buddhism. He was a national teacher of his time. Buddhism. His earnest wish was to protect the nation and Buddhism. An alternative he suggested to solve these two tasks once and for all was the idea of `Supreme Enlightenment.` With this idea, Yongseong made every effor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Joseon Buddhism and to develop edifying campaigns proper to the period. For this purpose, reformation was a must. Yongseong`s reformation campaigns were implemented in diverse ways. Representative reformation movements among them were the Sangha purification campaign, Dharma revival campaign, Buddhist ceremony reformation movement, and Zen-agriculture Buddhist movement. Buddhist ceremony reformation and Zen-agriculture Buddhist movements were meant to implement edific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the times. And these were not possible without the praying power of Bodhisattva. In short, Yongseong`s whole life was dedicated to the restoration of the nation and Buddhism. He devoted all his capacity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revival of Buddhism. Though he suffered a hard prison lif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e alone strove to restore national sovereignty and Joseon Buddhism. He was a national teacher of his time.

      • KCI등재후보

        한국 근현대신문에 나타난 불교의례 연구

        한상길 ( Sang GIl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4 No.-

        이 글은 근대불교의 성립·전개과정에서 의식과 의례가 어떠한 역할과 의미를 지니는가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대시기 불교계는 근대화를 맞이하려는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였다. 우선 사상과 신앙의 방면에서 대규모의 신앙결사를 조직하여 전통불교로의 회복을 통해 주체성을 확립하려고 노력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불교근대화의 기초가 되는 대중포교를 실현 하기 위해 분발하였다. 각종 불교단체의 결성, 본사 중심의 도심포교원 건립 등이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근대불교를 위한 노력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분야가 儀式과 儀禮의 개혁이었다. 조선시대 이래 지속되어온 기도와 기복, 축원만으로는 불교근대화를 이룩할 수 없었고, 근대문명의 다양한 사조에 부합하기도 어려웠다. 근대불교의 선각자들은 전통 불교의식과 의례를 강도 높게 비판하고,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의례의 개혁을 제창하였다. 그동안 학계의 불교개혁론에 관한 연구는 상당수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개혁론이 실제로 당시의 불교계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개혁론이 주장하는 논리와 대안들이 불교계에 직접 반영된 사례 또한 극히 드물다. 즉 의식과 의례의 개혁 주장은 근대화를 지향하는 비판의식에서 출발하였지만, 실제 대부분의 사찰과 불교계는 여전히 전통불교에 입각한 의식과 의례를 지속하고 있었다. 불교계로서는 재공양과 기도 등의 의례는 재원 조달의 중요한 수단이었고, 이를 대신할 새로운 방안을 마련할 이유도, 여력도 없었다. 뿐만 아니라 의례는 조선시대 이래 계승되어 온 소중한 문화전통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불교개혁론자들과 근현대신문에서 지속적으로 불교의례를 근대화의 걸림돌이라고 비판을 가해도 사찰에서는 여전히 천도재를 올리고 축원기도를 권장하였다. 이러한 현실에서 의례집의 간행은 의례의 성행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불자필람 의 간행에 불교개혁의 상징적 존재였던 한용운은 재원을 지원하여 의례개혁에 관한 자신의 생각에 변화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그는 불교근대화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대중화의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그 방편으로서 근대적 의례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 글에서 불교개혁으로서의 의례폐지론과 석문의범 등의 의례집간행, 그리고 근현대신문의 기사를 검토한 결과, 불교의례는 근대사회에서 전통문화의 계승과 불교대중화라는 두 가지 순기능을 담당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비록 천도재 등의 일부 의례는 일제하에서 총독부의 정치적 목적에 동원되기도 하였지만, 이러한 역기능에도 불구하고 불교의례는 근대불교를 대중화하고 문화전통으로서의 가치를 보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ultural diversity in Modern Buddhism through the articles about the Buddhist rituals in modern society newspapers. Modern society Buddhist has made various efforts to modernize Buddhism. First of all, they organized Gyul-sa(belief association) to restore the Buddhist tradition, on the other hand they tried harder to realize popular propagation. It was part of a effort to formed Buddhist organization, and a build a urban temples.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them was that reformation of Buddhist rituals. Buddhist reformers criticize sharply the traditional rituals, and advocate ritual reform that fits in the new times. Meanwhile, research in Buddhist reform has come a long way, but there`s very little study about the effect on Buddhism. A strong insistence of Buddhist reform was started to critical consciousness, most of temples still keep up the traditional rituals. Because rituals were important measures to fund, there was no reason for substitute for new way. Buddhist reformer and newspapers criticize rituals the biggest obstacle to Modern Buddhism, but most temples still encourage a private praying rituals on closer examination the theory of ritual abolitionism and publishing ritual books, modern newspapers articles, Buddhist rituals played important rolls in inheritance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Although some of these rituals taken to political purpose, it was contributed to popularizing Modern Buddhism and to preserve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