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백운화상어록』에 나타난 선의 시적 표현 방식

        전재강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2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poetic expression of Seon in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So this is consisted of two parts: A Study on the outspoken expression of Seon and A Study on the rhetoric expression of Seon in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Firstly, in the study on the outspoken expression of Seon in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there are two themes to research: The conceptual expression of Seon and the descriptive expression of Seon in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Secondly, in study on the rhetoric expression of Seon in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there are three themes to research: The metaphorical expression of Seon and the paradoxical expression of Seon, the symbolic expression of Seon in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Although I researched for the poetic expression of Seon in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there can be the other things to research about these kinds of theme. I will continue studying the other kinds of theme being related with this contents soon. 선시나 선문답이라고 하면 문학적인 측면에서 깊이 논의해야 할 새로운 영역인데 너무 막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본고에서는 역사적 의의를 가진 백운경한이라는 특정 인물의 선시를 집중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선의 표현 방식과 맥락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고려말 백운 경한은 「직지」를 편집하고 국내외에서 수행하여 조사의 반열에 올랐던 비중 높은 선사임에도 그의 자료에 대한 문학적인 접근이 미진한 상태로 남아 있다. 이것이 그가 시를 통하여 선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논의하는 이유이다. 논의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의 산문이나 동시대 태고보우의 시와 부차적으로 비교하면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는 시에서 선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거나 수사적으로 표현하는 두 가지 방식을 모두 보여주었다. 먼저 직설적 표현에서는 두드러지는 특징이 통사와 담화단위에서 개념적으로 설명하거나 서사적으로 진술하는 두 가지 모습으로 나타났다. 대중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개념적 설명을 선택했고 전통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부처로부터 시작된 역대전등의 과정, 스승의 일생, 자신의 삶을 서사적으로 서술하였다. 직설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장시의 담화 전개 과정에 비유와 역설, 상징의 표현법을 함께 사용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었다. 다음 수사적 표현에서는 주로 통사단위에서 비유와 역설, 상징의 표현법이 사용되었다. 비유는 수행 과정이나 진리가 어떠한가를 알려주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었고, 역설은 소위 선에서 말하는 진리인 진여가 유무 양면적 성격을 가지며 그에 따라 전법과 교화도 이루어져야 함을 드러내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었고, 상징은 선적 진리의 양면적 성격은 물론 그 진리의 역동적 현행 방식까지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되었다. 지금까지의 논의 방식을 다른 대상 자료에 확대, 전개하면 개별 작가와 작품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근본적으로 공통분모를 가지는 선시문학만의 독자적 성격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 KCI등재

        러시아어 감정표현 관용구의 개념적 환유 양상

        최윤희(Choi, Yun-Hee)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러시아어 감정표현 관용구에 나타난 개념적 환유를 분석하고 그 양상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인간의 감정은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의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무언가에 비유하거나 대입하여 최대한 구체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인지언어학에서 감정에 대한 개념화 방식은 인접성이나 유사성에 기초한 체험을 활용한 환유와 은유에 바탕을 두고 있다. 감정은 본질적으로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감정 및 정서적 경험 중 하나인데 이를 개념화하고 표현하는데 있어 환유적 구조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 감정표현들 중 ‘분노/화, 슬픔, 두려움, 부끄러움, 기쁨, 미움’을 중심으로 러시아어 감정표현 관용구들을 [신체의 생리적 반응과 동작이 감정을 대신함]이라는 개념적 환유 구조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감정이 발현되는 신체적 증상을 중심으로 [내부적 생리 반응으로 감정 상태를 대신함], [외현적 생리 반응으로 감정 상태를 대신함], [동작으로 감정 상태를 대신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인간의 감정표현 대다수가 신체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해당 민족의 신체적 경험이 언어 표현 속에 어떠한 양상으로 개념화되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환유의 관점에서 러시아인이 감정을 인지할 때 어떠한 개념화 구조를 지니는지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the conceptual metonymy in the emotional expression idioms of Russian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As human emotion is an abstract concept, people want to theirs’ abstract concept as concrete as possible by comparing it to concrete things that people can generally discriminate one another. Russian emotional expression idioms expressing "rage/anger, sadness, fear, shame, joy, hate" are examined based on the conceptual metonymy structure of [the body"s physiological response takes the place of emotion]. Through this study, since most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humans are based on the body, it will be possible to examine how the physical experience of the nation is conceptualized in the verbal expression. Also,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ceptual metonymy in cognitive linguistics, it will be possible to examine what kind of conceptualization structure Russians have when recognizing emotions.

      • KCI등재

        프랑스어 bois의 식물 비유 표현과 코퍼스 분석

        황순희 ( Hwang¸ Soonhee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1 프랑스어문교육 Vol.72 No.-

        이 연구의 목적은 개념적 은유 PEOPLE ARE PLANTS에 착안하여, 프랑스어 bois의 식물 비유 표현 용법을 유형화하고, 실제 코퍼스 분석을 통해 그 용법과 양상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지언어학 분야의 비유(은유) 연구는 주로 신체어휘, 감정표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동물, 식물 비유 표현 연구는 미진하다. 이에 본 연구의 차별점이 있다. Bois 비유 표현 분석을 위해, 언어 자원을 활용하여 비유 표현 59개를 도출하고, 2가지 코퍼스를 분석하여 2,008개의 용례를 추출하였다. 이중 111개(5.53%)가 비유 표현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 bois는 특정한 성품과 그런(특정 성품의) 사람, 외형, 상태, 행위, 양태, 사태(일, 상황), 대상(물건), 추상적 개념, 장소, 기타 등의 다양한 양상을 표현하기 위한 근원 영역이다. 그리고 비유 표현을 분석한 결과, 코퍼스 상 빈도가 가장 높은 용법은 ‘추상적 개념’이며, ‘행위’, ‘대상·물건’, ‘기타(임의적 구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프랑스어 bois 비유 표현을 개념적 은유에 기초하여 유형화하고, 이를 코퍼스 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유관 표현의 의미용법과 의미확장 양상을 탐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코퍼스를 확대하고, 다양한 식물 비유 표현을 분석해보면 식물 비유 표현 이해에 보다 통합적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Au fil des années, la recherche sur les expressions figuratives et les métaphores en sémantique cognitive a suscité beaucoup d'intérêt. Pourtant, jusqu'à présent, les études sur les expressions figuratives concernant le tissu végétal sont relativement peu nombreuses. Cette étude vise à examiner les sens métaphoriquement élargis d'expressions figuratives de « bois » à travers l'analyse de deux corpus représentatifs. À cette fin, nous avons catégorisé et analysé en fonction de standards basés sur « les molécules sémantiques » 59 expressions figuratives apparentées et 111 emplois différents dans ces deux corpus. Les résultats de notre étude montrent que les expressions figuratives de « bois » ainsi que les extensions du sens pourraient être classées en six catégories tels que l'être humain, l'événement, l'objet, l'abstrait, l'endroit et la construction arbitraire. De plus, ces mêmes expessions démontrent différents modes de pensée et de cognition chez les francophones par rapport aux significations figuratives d'animaux.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은유 표현 교육 연구 - ‘사랑’의 개념적 은유를 중심으로 -

        박은미(Park Eun-Mi),이병운(Lee Byung-Woon) 우리말학회 2020 우리말연구 Vol.60 No.-

        Under the goal of promoting education on metaphorical expressions for Korean learners, this study set out to propose an educational plan about the conceptual metaphorical expressions of love. The investigator selected specific educational content for the education of metaphorical expressions for love by analyzing the Korean corpus and proposed a plan applicable to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by setting a hierarchy based on the selected educational content. Chapter 2 analyzed the Korean corpus, classified the conceptual metaphors of love in Korean according to the source domains, and selected 14 types of high frequency as educational content. Chapter 3 The variables of the hierarchy were the frequency of metaphorical expressions in the Korean corpus, whether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of Korean were universal in the mother tongues of learners, and the utilization degree of metaphorical expressions in Korean by Korean learners. Based on these variables, metaphorical expressions were classified into customary, daily, and creative metaphors in the hierarchy.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은유 표현을 교육하기 위하여 사랑의 개념적 은유 표현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 선정과 교육의 위계화를 설정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말뭉치를 분석하여 한국어에 나타나는 ‘사랑’의 개념적 은유를 근원 영역에 따라 유형화하고, 빈도가 높은 14가지 유형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앞서 선정한 교육 내용을 한국어 말뭉치에서 나타난 은유 표현의 빈도, 한국어의 은유 표현이 학습자들 모국어에서도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여부,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은유 표현의 활용 정도를 고려하여 관습적 은유, 일상적 은유, 창조적 은유로 위계를 설정하였고 각각의 교육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어 은유 표현 교육 자료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SNS에 나타난 은유 표현의 양상―SNS의 새로운 은유 표현을 중심으로―

        김혜령,유희정,도원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6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aspects of metaphorical expressions in SNS. In particular, we examined the aspects concerning metaphorical expressions which are newly discovered in SNS. To this end, we collected many metaphorical expressions from SNS, organized them into source and target domains, and investigated trends in the generation and use of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based on these data. Most of these metaphorical expressions represent human characteristics and many of them reflect the social or personal interests and hobbies.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aspects of creation and expansion of these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it reveals that while these expressions are newly generated, many of them came from the existing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s. We discussed also that after some metaphorical expressions reflecting public interests were generated, diverse expressions sharing the same semantic context can be generated and thus such expressions solidify and expand the realm of conceptual metaphor. 이 연구는 SNS에서 나타난 은유 표현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SNS에서 새롭게 발견되는 은유 표현들을 중심으로 그 양상을 살폈다. 이를 위하여 SNS에 나타난 은유 표현을 수집하여 근원 영역과 목표 영역을 정리하고, 은유 표현의 생성 및 사용 경향을 파악하였다. SNS에서 새롭게 사용된 은유 표현은 사람의 특성을 은유적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표현들이 가장 많았으며, 언중들의 사회적 관심사와 개인적 관심 및 취미 영역을 반영한 표현들이 많았다. 그리고 SNS에 새롭게 나타나는 은유 표현들의 생성 및 확장 양상을 살폈는데, 새롭게 나타난 표현이라도 기존의 은유적 개념화 양상에서 비롯된 표현이 많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언중들의 관심사를 반영한 은유 표현의 생성 결과 동일한 은유적 의미 맥락을 공유하는 다양한 표현이 생성되어, 개념적 은유의 영역을 공고히 하고 확장해 간다고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중 죽음 관련 위악 표현의인지 양상 연구

        유소함,이금영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9

        본고는 그동안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한⋅중 ‘죽음’ 관련 위악 표현에 나타나는 인지 양상을 분석하여 두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위악 표현의 개념과 속성을 정리하고,두 언어에 나타나는 ‘죽음’ 관련 위악 표현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한⋅중 ‘죽음’관련 위악 표현의 인지 양상은 먼저 크게 은유화와 환유화 양상으로 분류하고,환유화 양상은 다시 근원 영역과 목표 영역의 범위와 관계에 따라 확대 지칭과축소 지칭, 상호 전이의 환유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한•중 ‘죽음’ 관련 위악 표현에서는 ‘죽음은 여정’, 그리고 ‘죽음은끝’이라는 은유와 함께, 확대 지칭과 상호 전이의 환유가 공통적으로 나타나고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어에서는 축소 지칭의 환유를 보이는 위악 표현이 많이 나타나는 데 반해, 중국어에서는 그러한 위악 표현을 찾을 수없었다. 그리고 한•중 ‘죽음’ 관련 위악 표현은 그 인지 의미상 크게 ‘죽음의 원인 및 방식’과 ‘죽음의 상태’, ‘죽음 이후’를 묘사하는 표현으로 분류되며, 각각은다시 세부적인 하위 의미로 분류되는데 두 언어는 그와 같은 세부적인 의미 특성에서도 일부 차이를 보였다. 즉 한국어는 ‘구들동티’와 같이 ‘죽음의 원인’이‘재앙’임을 드러내거나 ‘물고(物故)와 같이 ‘죽음의 상태’를 ‘소멸’로 나타내는 표현, 그리고 ‘눈(깔)에 흙이 덮이다’와 같이 장례 행위’를 드러내는 표현이 있으나중국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한국어에서는 신체 전체의 모습이나 ‘눈’과관련된 표현이 비교적 많이 나타나는데 중국어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대신 중국어에서는 한국어와는 다르게 ‘蹬腿’와 같이 다리와 관련된 표현이 비교적 다양하게 나타나며, ‘粉身碎骨’과 같이 ‘죽음의 원인’을 ‘신체 위해’로, 그리고 ‘魂飛魄散’과 같이 ‘죽음의 상태’를 ‘신체’가 아닌 ‘정신’적인 상태로 묘사하는 표현이 있는점 등의 차이를 보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death-related dysphemisms in Korean and Chinese by analyzing thecognitive aspects of such expressions in both languages, a topic thathas been rarely covered so far. To achieve this goal, we first organizedthe concepts and properties of dysphemisms based on previousresearch. Subsequently, we collected and analyzed dysphemisms relatedto ‘death’ that appear in both languages. The cognitive aspects of death-related dysphemisms in Korean andChinese broadly categorized into metaphorization and metonymization. Within the metonymization aspects, three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metonymy of expanded references, metonymy of reduced references,and metonymy involving mutual transfer - through examination of thescop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source domain and the targetdomain. The analysis confirmed that death-related dysphemisms in Koreanand Chinese commonly employ metaphors such as ‘death is a journey’and ‘death is the end’, as well as metonymy involving extendedreference and mutual transfer. However, a notable difference emerged:while Korean exhibits many death-related dysphemisms demonstrating metonymy of reduced references, no such dysphemisms were identifiedin Chinese. Also, dysphemisms related to ‘death’ in Korean and Chinese arebroadly categorized into descriptions of the ‘cause and method ofdeath’, the ‘state of death’, and ‘after death’, with further subdivisionsin each category. Despite this, the two languages exhibit differences intheir detailed semantic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Korean has dysphemism such as ‘gudeuldongti’revealing the ‘cause of death’ as a ‘disaster’, ‘mulgo(物故)’ expressingthe ‘state of death’ as ’extinction’, and ‘soil in the eyes/peepers’indicating ‘funeral actions’. In contrast, similar dysphemisms do notappear in Chinese. Additionally, Korean dysphemisms related to theoverall body shape or ‘eyes’ appear relatively frequently, whilecorresponding dysphemisms do not appear in Chinese. On the otherhand, Chinese features many dysphemisms related to legs, like ‘蹬腿’,and expressions portraying the ‘cause of death’ as ‘physical harm’. such as ‘粉身碎骨’. Moreover, Chinese dysphemisms describe the ‘stateof death’ as ‘mental’ rather than ‘physical’, as seen in expressions like‘魂飛魄散’.

      • KCI등재

        ‘동물’명 관용 표현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양상

        김정아(Kim, Jung-a) 국제언어문학회 2015 國際言語文學 Vol.- No.32

        이 연구는 관용 표현에 나타난 동물들의 개념적 은유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관용 표현에는 언중들이 가진 보편적인 사고방식이 드러나는데 특히 동물은 인간과 가까이에서 함께 생활하는 대상으로 인간의 생각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자주 사용된다. 연구를 위해 동물명이 포함된 관용 표현의 목록을 추출하여 표현에 나타나는 개념적 은유를 살펴볼 것이다. 관용 표현에 나타나는 동물들은 ‘사람’의 행동이나 모습을 나타내거나 사람이 처한 ‘사태’, 사람이 가진 ‘물건’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동물들의 특성을 통해서 한국어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동물들의 개념을 살펴보고 나아가 대상을 인식하는 언중들의 일반적인 사고방식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ual metaphors as well as the concepts of the common language in ‘animal’ idioms. Amid the various attributes that ‘animals’ possess, which can relate to their appearance, attitude, or relationship to other animals, it appears that ‘attitude’ is the predominant attribute. Furthermore, the conceptual metaphors of ‘animals’ that are contained in such idioms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Animals’ in idiomatic expression symbolize human beings, situations, or objects. For instance, when their appearance is described in negative terms, they represent either a difficult or an unwanted situation. They may also embody valuable or worthless objects. By examining the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related to ‘animals’, this paper has unveiled a number of characteristics that reveal the way of thinking of Korean speakers.

      • KCI등재

        투자 관련 표현의 개념화 양상

        강현주 ( Kang¸ Hyun-ju ) 한국문학언어학회 2021 어문론총 Vol.90 No.-

        투자와 투자를 구성하는 재화들은 구체적 대상이 아닌 개념적 대상으로서 실체가 없다. 이와 같은 추상적 개념이나 새로운 개념에 대한 설명의 필요성이 발생하면 인간은 서로의 이해를 돕거나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대상을 개념화하게 된다. 개념화는 일상적 경험 또는 물리적·문화적 체험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개념화 양상을 통해 언어 사용자가 대상을 이해하는 방식을 엿볼 수 있다. 이에 이 글은 최근 사회·경제적으로 열풍을 일으킨 주식 및 가상화폐 투자에 관련된 표현들을 살펴 그 속에 나타난 한국어 사용자의 개념화 방식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투자 관련 표현에서는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념적 은유 중 고체와 액체를 근원 영역으로 하는 존재론적 은유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좋은 것은 위, 나쁜 것은 아래]의 지향적 은유, [투자는 전쟁이다], [투자종목을 탈것이다]라는 구조적 은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동학개미운동’은 개념적 혼성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해됨을 분석해 낼 수 있었다. 한편, 개념적 환유는 확인되지 않았다. 투자 시장에 새롭게 등장한 표현과 그 속에 반영된 개념화 양상을 통해 주식과 가상 화폐를 대하는 투자자들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낯선 세계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혼성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goods that comprise investment and the investment itself are conceptual objects, and not physical entities, that is, there is no specific substance. When the necessity to explain such abstract or new concepts arises, humans conceptualize objects in a way that helps them understand or conveys information. Conceptualization is based on daily experiences or physical and cultural experiences. Therefore, through the conceptualization aspec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how language users comprehend objects. This article aims to check the expressions related to investments in stocks and virtual currency, which have recently caused social and economic frenzy, and to find Korean users' conceptualization method reflected through those expressions. In investment-related expressions, conceptual metaphors and conceptual blending were observed. Among the conceptual metaphors, ontological metaphors with solids and liquids as the source area were identified, orientation metaphors such as [good things are up, bad things are down,] and structural metaphors such as [investment is war] and [investment stocks is vehicle] were identified too.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Donghakgaemi- undong” was created through conceptual blending. On the other hand, no conceptual metonymy has been confirmed. Investors’ perceptions of stocks and virtual currency could be grasped through emerging expressions in the investment market and metaphorical concepts reflected in them. Additionally, we found the effectiveness of the metaphor that helps understand the unfamiliar world.

      • KCI등재

        인지적 관점에서 본 완곡 표현의 생성기제

        채춘옥(Chae Choon ok)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5

        기존의 한국어와 관련한 완곡 표현 연구는 완곡어로 언급된 어휘 차원의 것, 완곡한 표현으로 언급된 관용구와 문장 범주의 것, 공손, 협력원칙의 작용으로 보는 화용론 차원에서 논의되었다. 그러나 논문의 수가 적고 여전히 현상에 대한 설명에만 머물러 있고 인지적 입장에서 그 생성기제에 관한 면밀한 검토와 분석이 부족하였다. 본고는 완곡 표현 양상에 관한 기존의 성과를 살펴보고 인지적 관점에서 완곡 표현 생성기제에 관한 방법론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완곡 표현에 관한 체계적인 검토와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Previous studies on the euphemism related to Korean language were discussed in the level of euphemistic vocabularies, idioms, sentences and pragmatics seen as the action of politeness and cooperation. However, the number of studies were very small; previous studies were sporadic and just explained its phenomena; close review and analysis of its formation mechanism from the cognitive perspective were not sufficient.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previous study performance of the euphemism and finding a new methodology of it from the cognitive perspective.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of help to the systematic review and study of the euphemism.

      • KCI등재

        다중감각어의 환유적 접근

        임태성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1

        This study referred to the existing synaesthetic expression as multisensory language, and examined it as an expansion by conceptual metonymy. This was motivated by contiguity of conceptual metonymy. The result of this article was as follows. First of all, neuroscientific,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findings showed that multiple activations of the senses are common and one of the basic human abilities. In this way, each sense did not occur independently but simultaneously, and multiple senses can be regarded as one of conceptual metonymy by adjacency. Next, multisensory language was classified into words, multisensory expressions, and extensions of their expressions. Among them, words and multisensory expressions were examined as the mechanism of conceptual metonymy. First, in the word hierarchy, multisensory language appeared in various ways: single words, compound words, and phrases. Second, in the multisensory expressions, examples of the expression including the existing synesthesia expressions were examined. This multisensory language was presented as a contact and containment scheme in conceptual metonymy. 이 연구는 기존의 ‘공감각 표현’을 ‘다중감각어’로 지칭하고, ‘개념적 환유’에 의한 확장으로 살펴보았다. 이것은 개념적 환유의 인접성에 의해 동기화된다. 이 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신경과학적, 생리학적, 심리학적 결과들을 통해 감각이 다중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인간의 능력 중 하나라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각각의 감각이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 발생하며, 다중감각이 인접성에 의한 개념적 환유로 간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중감각어’는 단어, 다중감각 표현 그리고 그 표현의 확장으로 분류하였는데, 이 중에서 단어, 다중감각 표현은 개념적 환유의 기제로 살펴보았다. 첫째, 단어 층위에서 ‘다중감각어’는 단일어, 합성어, 구의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감각 표현에서는 기존의 공감각 표현을 포함하여 그 표현 방식에 따른 예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다중감각어’는 개념적 환유의 유형 중 접촉, 포함 도식으로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