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업장폐기물 감량화 방안

        이정임,동그라미 경기연구원 2016 정책연구 Vol.- No.-

        최근 자원순환기본법의 제정·공포에 따라 2018년부터 자원순환 성과관리제 및 폐기물처분부담금제도가 시행될 예정이다. 사업장의 업종별 특성 등을 고려한 성과지표(자원순환율, 최종처분율)별 이행목표를 설정·관리하고 발생 폐기물의 소각, 매립 부담금을 징수하여 운영할 계획으로 사업장폐기물의 관리체계가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장폐기물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폐기물발생량 중 89.5%를 차지하여 처리 적정성 및 환경성을 고려한 공공의 관리정책 수립과 추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사업장폐기물의 관리주체는 사업장으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폐기물관리계획 수립에 따라 10년마다 사업장폐기물의 관리목표(감량, 재활용, 매립)를 설정·관리하고 있으나 목표관리 및 시책 추진이 미흡하며 정보관리, 공개 등 관련 정책의 개선이 필요하다. 경기도 사업장폐기물은 지난 5년간 연평균 4.2% 증가하였으며, 감량의무대상 사업장은 2014년 기준 566개소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업체가 입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자원순환기본법 시행에 따라 도입될 자원순환 성과관리제에 대비하여 폐기물 감량화 계획을 수립하고 자발적 감량목표의 설정을 통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경기도의 사업장폐기물은 연간 발생량에 따라 사업장폐기물 감량의무사업장(1,000톤 이상),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500톤 ~ 1,000톤 미만, 사업장생활계폐기물 100톤 이상 배출업자로 구분하여 별도관리를 추진하고 감량의무사업장에 대해서는 업종별, 매출규모별, 지역별 중점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기도의 연간 1,000톤 이상 감량의무사업장은 업종별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식료품 제조업 순으로 발생량이 많고, 매출규모별로는 100억 이상~ 1천억 미만 사업장, 지역적으로는 안산시 28.8%(163개소), 평택시 10.6%(60개소), 시흥시 9.4%(53개소), 화성시 8.8% (50개소)에 대상사업자가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500톤 이상 ~ 1,000톤 미만의 배출자는 현재 운영하고 있는 ‘사업장폐기물 코칭제도’의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폐기물 에너지화’로의 전환을 위한 규제개선 대책 등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사업장생활계폐기물 100톤 이상을 배출하는 대학교, 대형마트에 대해서도 자체적 감량목표를 설정하고 재활용 및 처리 효율화를 위한 위탁관리체계의 정비가 필요하며 자체 폐기물 분류 및 중간 작업시설에 대해서도 법·제도적 개선을 통한 제도권 내에서의 관리가 필요하다. 설문조사 결과, 사업장폐기물 배출업체 중 사업장폐기물 감량 필요성에 대해 ‘필요하다’가 53%로 나타났으며 폐기물 감량화를 위한 자체계획 여부는 ‘예’가 44.0%, ‘아니요’가 56.0%로 나타나 사업장폐기물 감량 계획 수립에 대한 지원과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업장폐기물 감량을 위해 시급히 요구되는 것으로 ‘공정개선’이 38.2%, ‘실용 가능한 감량화 지침서’ 28.6%로 답하였으며, 정부지원 요구사항으로 ‘진단, 컨설팅 정보 제공’이 40.7%로 가장 많았고, ‘국내외 기술정보 제공’ 30.3%, ‘감량화 투자에 대한 융자, 금융지원’ 24.1%으로 나타나 감량화 투자에 대한 실효성 있는 지원체계의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기술정보를 포함한 감량화 지침서의 제작 및 홍보교육과 함께 자원순환기본법 시행에 따라 도입 예정인 폐기물처분부담금의 지역차원의 활용 모색 등 적극적인 추진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국내 하수처리시설 통합 바이오가스화 가능성 검토

        김도완(Do-Wan Kim),배재근(Chae-Gun Phae) 유기성자원학회 2019 유기성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춘계

        국내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사업추진에도 불구하고 하수처리시설 혐기소화시설의 바이오가스 생산 효율은 미흡 하다. 단순 시설 개량만으로는 개선의 한계가있고, 일부 하수처리시설에는 투입 유기물 부하가 낮아 빈 영양화 운영이 지속되고있다. 현재 단독처리 중심으로 운영되는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개량·신설 할 경우, 통합처리로 전환을 유도하여 에너지 생산량 증대 추진하고 있다. 유기성폐자원(하수찌꺼기, 음식물류폐기물(음폐수 포함), 가축분뇨)을 서로 섞어 소화의 효율을 향상시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며, 각각의 시설을 설치하는 것보다 통합처리 시 설치․운영비 절감 가능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하수찌꺼기 감량화 사업”을 추진하여 농축기, 소화조 등의 노후화 설비 개선을 통한 소화효율 향상과 혐기성소화조 가스발생량 증대 및 활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로의 전환 요구와 하수찌꺼기 감량화사업의 효과 극대화를 위해, 국내 감량화시설(혐기성소화조)이 설치된 하수처리시설 70 개소 중 하수찌꺼기 감량화사업을 미 추진 시설 44개소를 대상으로 서면조사(44개소) 및 현장조사(40개소)를 실시한 현황자료를 바탕으로, 각 시설별 찌꺼기 감량율, 가스이용효율, 에너지 순 생산율을 평가하여 개선 우선순위(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전환)를 도출하고, 지자체 공공처리 중인 유기성폐자원의 통합 바이오가스화 전환가능량과 하수처리시설의 개량/증설 등을 통해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로의 전환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패키지 디자인 감소요소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 디자인

        안혜신,박채은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1

        Recently, environmental problems have emerged as serious social problems, and the demand for sustainable package design considering the environment has increased. Accordingly, package designers must combine research on environmentally friendly package design with attractive graphic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pecific action plans focusing on reducing weight, which is emphasized as a common approach in eco-friendly design, to revitalize sustainable package design.To this end, package design for the environment was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actical methods were rearranged and classified by focusing on reduction measures. The reduction measure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light weight, simple packaging, space reduction, and energy and cost reduction, and related package design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isting organized practice method could be further embodied and a new method could be proposed. Lightening is aimed at reducing the weight of a package by minimizing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package, and simple packaging has practical measures such as reducing unnecessary packaging and unifying packaging for the purpose of minimizing packaging. Space reduction is a proper design practice by considering the minimum package to protect the product, and energy and cost reduction is a practice method such as minimizing printing and coating and simplifying post-processing to save resources and costs in the entire production and disposal process.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study on reduction among sustainable package design methods, and future studies are expected to activate specific studies for sustainable package design such as recycling and reuse. 최근 환경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며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패키지 디자이너는 매력적인 그래픽 작업과 더불어 환경친화적인 패키지 디자인에 연구를 필수적으로 병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의 활성화를 위해 친환경 디자인에서 공통적인 접근 방법으로 강조되는 감량화를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친환경 패키지 디자인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감량화 방안에 초점을 맞춰 실천 방법을 재정리하고 분류하였다. 감량화 방안은 경량화, 간이포장화, 공간 축소, 에너지·비용 절감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관련된 패키지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에 정리된 실천 방법을 더욱 구체화함과 동시에 새로운 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 경량화는 패키지의 길이와 두께를 최소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패키지의 중량을 감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간이포장화는 포장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불필요한 포장을 줄이고 포장을 단일화하는 등의 실천 방안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간 축소는 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패키지에 대해 고민하여 적정설계를 실천하는 것이며 에너지·비용 절감은 생산 및 폐기 전 과정에서의 자원과 비용 절약을 목적으로 인쇄 및 코팅을 최소화하는 것과 후가공 처리를 단순화하는 등의 실천 방법이 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의 방법 중 감량화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재활용 방안, 재사용 방안 등의 지속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미생물 촉매제를 이용한 슬러지 감량화에 관한 연구

        신동철,양은지,이연구,박철휘 대한환경공학회 2018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0 No.2

        In this study, evaluation of sludge reduction and advanced treatment were performed using the batch test. Sludge reduction rate was checked by batch experiment on excess sludge and aerobic sludge. The maximum sludge reduction rate was 37% for excess sludge and 34% for aerobic sludge. As a result of the batch process, the SCODCr 26%, S-N 62% and S-P 82% were remov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sludge during the microbial catalyst injection and to remove the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simultaneously. In particular, the removal efficiency of S-P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reatment. Especially, the removal efficiency of S-P was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A2O treatment. In order to evaluate sludge reduction ability after microbial catalytic agent injection, the yield of heterotrophic biomass (YH), decay coefficient of heterotrophic biomass (bH) and observed or net biomass yield (Yobs) were estimated. The yield of YH was 0.32 and 0.25, which was less than 50% of the YH (BOD based) value of general heterotrophic microorganisms. On the other hand, bH was 0.232 day-1, which is a general valu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ain factor of sludge reduction using microbial agent is due to the decrease of biomass build-up rather than the death of sludge microorganisms. 본 연구는 batch-test를 통해 미생물 촉매제의 적정 주입량을 산정하고 슬러지 감량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잉여슬러지와 호기조 슬러지를 대상으로 batch 실험을 통해 슬러지 감량화율을 확인하였으며 잉여슬러지는 최대 37%, 호기조 슬러지최대 34%의 슬러지 감량화율을 나타내었다. Batch test를 통하여 고도처리 효율을 산정한 결과 SCODCr 26%, S-N 62%, S-P 82% 제거되었다. 따라서 미생물 촉매제 주입 시 슬러지 감량화가 가능하고 유기물 및 영양염류의 동시제거가 가능한 것으로나타났으며 특히 S-P의 경우 기존 처리공정의 인 제거효율보다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미생물 촉매제 주입 이후 슬러지감량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종속영양미생물 생산계수(YH), 종속영양미생물 사멸계수(bH), 미생물 생산계수(Yobs)의 산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YH 산정결과 0.32, 0.25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종속영양미생물의 YH (BOD based) 값의 50% 이하의 값을보였다. 반면에 bH는 0.232 day-1로 일반적인 수치를 보여 미생물 촉매제를 이용한 슬러지 감량의 주 요인은 슬러지 미생물의사멸이 아닌 증식 저하에 따른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증산제를 통한 혐기소화율 개선 및 슬러지 감량 활용방안

        이광헌(Kawng Hun Lee),김길수(Gil Su Kim),손병권(Beong Keon Sun),최찬섭(Chan Sup Choi),조진우(Gin Woo Cho),신재훈(Jae Hoon Shin),정태영(Tae Young Jeong) 유기성자원학회 2018 유기물자원화 Vol.26 No.3

        본 연구는 음식물폐기물로부터 얻어진 증산제 용액을 농축슬러지와 함께 혐기소화조의 투입한 결과 혐기소화율 향상 및 슬러지 감량화를 살펴보았다. 혐기소화조에 증산제를 5%정도 농축슬러지와 함께 투입한 소화조의 메탄생성율이 약 2.7배 정도 높게 발생하였으며, 소화조내 TCOD 농도값이 약 2배 이상 높게 나타난 것은 투입된 농축슬러지의 감량화가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투입된 증산제로 인해 메탄생성효율에 크게 기여함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rovement of anaerobic digestion rate and sludge reduction as a result of the addition of anaerobic digestion with thickened sludge and solution of VFAs obtained from food waste. The methane production rate of the digestion system was 2.21 times higher when anaerobic digestion reactor injected into anaerobes with VFAs from food wastes of 5 percent. Also, The reduction of the amount of concentrated sludge injected will proceed rapidly because of the TCOD concentration in the digestion reactor was more than twice higher. Indirectly it was shown that the increased production system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methane production efficiency.

      • KCI등재

        한국지방정부의 자원순환정책집행에 관한 연구

        박미옥(朴美玉) 한국지방자치학회 2016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8 No.2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의 궁극적인 목적은 감량화에 있다. 쓰레기가 줄어들면 배출비용이 줄어들고, 미관 저해 및 악취와 같은 위생환경 등 나머지 문제점들도 동시에 줄어들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경기도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의 집행과정상 대두되는 내용을 첫째 배출방식과 관련한 RFID 설치 및 유지관리, 둘째 수거용기 교체와 위생관리, 셋째 배출수수료와 전용봉투의 사용 제한, 넷째 다양한 SNS 수단을 통한 교육·홍보 등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그 개선방안은 배출자부담원칙을 고려한 수수료의 가격현실화와 불법배출에 대한 과태료 및 쾌적한 환경관리 감독 등을 주요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종량제의 시범사업 중에는 지자체, 주민 및 언론 등의 감량화 유도로 인하여 높은 감량비율을 보였으나 낮은 처리수수료와 함께 정책집행이 지속되면서 적극적인 참여의지가 희석되어 당초의 종량제 효과가 낮아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처리수수료에 대한 주민부담률을 공공요금에 준하는 객관적 산정기준에 따라 처리수수료를 구축하여, 철저한 종량제 관리체계의 주기적 피드백과 정책보완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ultimate purpose for Volume-Rate Food Waste Disposal System is in reducing waste. Less garbage means less waste disposal fee, and garbage reduction can also help reduce problems such as spoiling of fine views and hygiene issues including bad smell. The issues that rise during the executive process of the food waste meter-rate system include the RFID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related to emission methods, replacement and hygiene management of garbage collection containers, emission charge and restriction on the use of food waste bags, and finally the governmental role in educating and promoting the food waste meter-rate system with the use of various SNS channels. In this research, we suggest price realization of emission charge, while considering the Polluter Pays Principle, as the main implication for improvement plans for resolving the issue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pilot meter-rate system, food waste seemed to show a high reduction rate due to the reduction inducement by local government, residents, and media. However, due to the low waste disposal fee and continued policy execution, the intention to actively engage in the waste reduction process has diluted, affecting the efficiency of the meter-rate system as initially has been expected. In order to overcome the current low level of engagement, we suggest establishing a disposal fee system based on the objective estimation standard that applies residents’ burden to pay the disposal fee to public utility charg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orough periodic feedbacks on the meter-rate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policy supplement are necessary.

      • KCI등재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고농축 잉여슬러지의 열적가용화 특성에 관한 연구

        김은혁,박명수,구슬기 유기성자원학회 2022 유기물자원화 Vol.30 No.4

        The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 is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is accelerating due to the generation of large amounts of waste and indiscriminate consumption of energy. Fossil fuels, a representative energy production fuel, are burn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energy,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greenhouse gases and eventually causing climate change. In addition,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worldwide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waste treatment. One of the methods for simultaneously solving these problems is the energy recovery from and reduction of organic wastes. Sewage sludge generated in sewage treatment plants has been treated in various ways since ocean disposal was completely prohibited, but the amount generated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the sewage sludge contains a large amount of organic materials, it is desirable to recover energy from the sewage sludge and reduce the final discharged waste through anaerobic digestion. However, most of the excess sludge is a mass of microorganisms used in sewage treatment, and in order for the excess sludge to be anaerobically digested, the cell walls of the microorganisms must be destroyed first, but it takes a lot of time to destroy the cell walls, so high rates of biogas production and waste reduction cannot be achieved only by anaerobic digestion. Therefore, the pre-treatment process of solubilizing excess sludge is required, and the thermal solubilization process is verified to be the most efficient among various solubilization methods, and high rates of biogas production and waste reduction can be achieved by anaerobic digestion after destroying cell walls the thermal solubilization process. In this study, when pretreating TS 10% thickened excess sludge through a thermal solubilization system, a study was conducted on solubiliz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etention time and operating temperature variables. The experimental variables for the retention time of the thermal solubilization system were 30 minutes, 60 minutes, 90 minutes, and 120 minutes, respectively, while the operating temperature was fixed at 160°C. The soulbilization rates calculated through TCOD and SCOD deriv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ncreased in the order of 12.11%, 20.52%, 28.62%, and 31.40%, respectively. And the variables according to operating temperature were 120°C, 140°C, 160°C, 180°C, and 200°C, respectively, while the operating retention time was fixed at 60 minutes. And the solubilization rates increased in the order of 7.14%, 14.52%, 20.52%, 40.72%, and 57.85%, respectively. In addition, TS, VS, T-N, T-P, NH4 +-N, and VFA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rmal solubilization characteristics of thickened excess sludge. As a result, in order to obtain 30% or more solubilization rate through thermal solubilization of TS 10% thickened excess sludge, 120 minutes of retention time is required when the operating temperature is fixed to 160°C, and 170°C or more of operating temperature is needed when the operating time is fixed to 60 minutes. 현대의 환경문제는 다량의 폐기물의 발생과 무분별한 에너지의 소비로 인한 환경오염이 가속화 되고 있다는것이다. 대표적인 에너지 생산 연료인 화석연료는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연소가 이루어져 다량의 온실가스가발생하고 최종적으로 기후변화를 야기한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있으며 처리하는 과정에서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유기성 폐기물의 에너지화 및 감량화이다.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는 해양매립이 전면 금지된 이후로 다양하게 처리되고 있으나, 그 발생량은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수슬러지는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혐기소화를 통하여 하수슬러지를 에너지화 하고 최종 배출되는 폐기물을 감량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잉여슬러지의 경우 대부분이 하수처리에이용되었던 미생물 덩어리로써 잉여슬러지가 혐기성소화 되기 위해서는 먼저 미생물의 세포벽이 파괴되어야 하는데세포벽 파괴에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혐기성 소화 과정만으로는 높은 바이오가스 생산율이나 폐기물감량율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잉여슬러지를 가용화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하며, 여러 가지 가용화 공법 중에서열적 가용화 공정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검증되었고, 혐기성소화 공정의 전처리 과정으로써 열적가용화 공정을이용하여 잉여슬러지에 포함된 세포벽을 파괴한 후 전처리 된 잉여슬러지를 혐기성소화 함으로써 높은 바이오가스생산율과 폐기물 감량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적 가용화장치를 통하여 TS 10%의 농축 잉여슬러지를 전처리하는데 있어서 체류시간 및 운전온도변수에 따른 가용화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열적 가용화장치의 체류시간에 대한 실험변수는 운전온도를160 ℃로 고정한 상태에서 각각 30분, 60분, 90분, 120분이었다. 실험 결과로 도출된 TCOD와 SCOD를 통해 계산된가용화율은 각각 12.11%, 20.52%, 28.62%, 31.40% 순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운전온도에 따른 변수는 반응시간을60분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각각 120°C, 140°C, 160°C, 180°C, 200°C였으며 가용화율은 각각 7.14%, 14.52%, 20.52%, 40.72%, 57.85% 순으로 증가하였다. 이 외에 TS, VS, T-N, T-P, NH4 +-N, VFAs를 분석하여 농축 잉여슬러지를 대상으로하는 열적 가용화 특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 했으며, 그 결과 TS 10%의 농축 잉여슬러지에 대한 열적 가용화를통하여 30% 이상의 가용화율을 얻기 위해서는 운전온도를 160°C로 고정할 경우 120분의 체류시간이 필요하며, 운전시간을 60분으로 고정할 경우 170°C 이상의 운전온도가 요구되어 진다.

      • KCI등재

        미생물을 이용한 액상소멸방식의 음식물쓰레기 처리

        권범근(Bum Gun Kwon),나숙현(Suk Hyun Na),임혜정(Hye Jung Lim),임채승(Chae Sung Lim),정선용(Seon Yong Chung) 大韓環境工學會 201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6 No.5

        이 연구는 발생원내에서 다양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액상소멸하는 감량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반응기는 미생물이 담지된 목질재료의 woodchip과 스폰지가 함께 사용되었고, 일정한 주기로 음식물쓰레기가 섞이게하는 교반장치로 구성되었다. 실험기간 100일 동안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변화는 누적된 총 음식물쓰레기량 대비하여 약 99% 까지 감소하였다. 잔류된 약 1%는 음식물쓰레기내에 내재된 생물유래의 난분해성 물질(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등)이 축적된 결과로 생각된다. 실험기간 동안 발생된 폐수의 성상 변화로 pH는 실험 초기 약 3.3에서 24시간 후에 약 5.8로 점차 증가한 반면, 염분, COD, BOD, SS, T-N 및 T-P의 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물쓰레기의 소멸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7종의 다양한 미생물들을 동정하였으며, 소멸반응 초기의 미생물 개체수는 약 3.3 × 104 cell/mL이었고 15 일 후에는 약 5.1 × 106 cell/mL로 대체로 일정한 개체수를 유지하여 소멸반응이 안정화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들 실험 결과는 음식물쓰레기의 감량화뿐만 아니라,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도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duction of food waste through the slurry phase decomposition in a source of food waste by microorganisms. The reactor used in the experiment was composed of both woodchip with wood material and sponges with polyurethane material as media of attached microorganisms, and food waste was mixed with a constant cycle consisted of a stirring devic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of 100 days, the change in weight over the cumulative total amount of food waste added was reduced by 99%. Approximately, 1% of the residual food waste could be inherently recalcitrant materials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etc.) and thus wa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the accumulation. The initial pH in wastewater generated from food waste was low with 3.3 and after 24 hours treatment this pH was increased to 5.8. The concentrations of COD, BOD, SS, salinity, TN and TP were gradually decreased. Food waste decay was proceeded by the seven species microorganisms identified and confirmed in this study, making a slurry phase and thus reducing residual food wastes. In the initial phase, the microbial population was approximately 3.3 × 104 cell/mL, and after 15 days this population was a constant with 5.1 × 106 cell/mL which means a certain stabilization for the reduction of food waste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sidered that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as well as the weight loss of food wastes by microorganisms is don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