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인가족기업 창업 매뉴얼에 관한 연구

        조상민,강선아,김강원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3 경영경제연구 Vol.45 No.4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ntrepreneurship manual for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support their entrepreneurial endeavors. Unlike typical businesses, businesses operated by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quire essential cooperation from family members in addition to the individuals themselves. Therefore, when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gage in entrepreneurship, the entrepreneurship manual should be tailored differently from the standard case. Con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a step-by-step entrepreneurship manual that reflects an understanding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in the family,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is understanding,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family businesses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s demand analysis for entrepreneurship among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ducted through surveys.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execution of policie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es by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confirming the demand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as entrepreneurs and providing tailored 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s. 본 연구는 발달장애를 가진 개인의 가족이 창업 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반영하여 커스터마이즈된 창업매뉴얼을 제시하고 향후 발달장애인을 지원하는 정부의 정책에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달장애를 가진 개인의 가족이 운영하는 기업은 일반적인 기업과 달리, 발달장애가 있는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들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발달장애인가족이 창업을 할 때 필요한 창업 매뉴얼은 일반적인 경우와는 다르게 커스터마이즈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를 가진 개인의 가족이 창업을 할 때 필요로 하는 수요를 확인하고 이들의 특성이 고려된 창업매뉴얼을 단계별로 제시함으로써 발달장애인가족기업의 창업을 지원한다. 본 연구는 전국의 발달장애인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정부지원의평가와 인식, 발달장애인가족기업에 필요한 정부지원수요를 확인하여 이를 창업매뉴얼에 커스터마이즈한다. 설문조사 결과, 발달장애인에 대한 정부의 지원책으로 가족창업에 대한 수요가 높았고, 창업 이후 발달장애인 개인의 지속적인 참여나 돌봄지원, 그리고 가족에 대한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를 가진 개인과 가족이 창업가로서 필요한 사항을 확인하고 맞춤형 창업지원매뉴얼을 제공함으로써 발달장애인가족기업의창업과 관련된 지원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가족상담 자격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및 연계학회를 중심으로

        고정은,최중진 한국가족치료학회 2019 가족과 가족치료 Vol.27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family therapy certificates in Korea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regulations. Methods: The researchers reviewed guidelines for certificates qualification system of the four family therapy related associations including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Therapy, Korea Satir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Association, Korean Society of Narrative Therapy, and Korea Association of Solution-Focused Therapy and compared with a national license such as Korean Youth counselors. Results: The outcome shows that family therapy certificates that has issued by private sector have been rapidly increased while related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has been absent. Although the associations’ qualification systems are relatively competitive, the certificates do not guarantee the professional jobs to member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family therapy certificates system that can contribute lay people’s well-being. 상담 및 가족상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상담사 자격에 대한 국가차원의 제도는 아직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 가족상담 전문가자격 또한 표준화된 사회적 기준이 부재한 가운데 매해 새롭게 등록되는 가족 및 부부상담 민간자격증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관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전문화된 가족상담이 필요한 일반 국민들에게 혼란 및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가족상담 분야 4대학회인 한국가족치료학회와 한국사티어변형체계학회, 한국이야기치료학회, 해결중심학회를 중심으로 가족상담에 대한 자격제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가족상담 자격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현 가족상담자격제도에 대한 문제점으로 첫째, 국가자격 및 국가공인 민간자격이 부재한 채 민간자격만이 범람하고 있으나, 이들 자격증 간 일정한 질을 담보할 수 있는 표준화된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둘째, 학회가 주관하는 가족상담 민간자격은 자격요건충족, 필기 및 면접시험, 수련요건 등의 수년간의 준비를 통해서만 취득할 수 있는 어려움에 비해, 전문분야로의 취업보장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개선방안으로 가족상담 4대학회간 자격증의 표준화된 기준마련, 하나의 권위 있는 가족상담자격증 도출, 학회 간 공동협의체 구성, 가족상담자격을 취득한 전문가만이 상담활동을 할 수 있는 제도마련, 자격취득 뿐만 아니라 자격유지를 통해서도 전문가의 수준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마련 등을 제안하고 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가족상담자격의 전문적 수준을 제고하고, 사회적 위상강화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가족상담 전문가로서 공인받은 각 학회의 회원들에게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보다 더 확대되어지는데 기여하길 바란다.

      • KCI등재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미영,손서희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CEOs and HR managers on family-friendly management and family-friendly company certification in small- and medium-size businesses. Six CEOs and HR manager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Five themes were identified: provision of various family-friendly workplace policies, recognition of the need for family-friendly management, difficulty introducing family-friendly management and family-friendly workplace policies, willingness to acquire family-friendly company certification, and ways to expand family-friendly management and family-friendly company certification. All participants agreed on the need for family-friendly management and provided different family-friendly workplace policy suggestions for employees regardless of their interests in acquiring family-friendly company certification. However, they also had difficulties introducing family-friendly workplace polici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different incentives are needed to encourage companies to expand family-friendly workplace policies. 본 연구는 중소규모 기업이 밀집해 있는 지역에 소재한 중소규모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10월부터 11월까지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 6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이 속한 기업 중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은 없었으나, 모든 기업에서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근로시간 단축 등 다양한 가족친화제도를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중소규모 기업에서도 가족친화경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소규모 기업의 특수성, 제도 확대에 따른 부담, 제도 도입의 복잡성 등과 같은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제도 도입에 따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각 기업의 상황에 따라 가족친화인증 참여 의지는 다르게 나타났으나, 연구참여자들은 가족친화경영의 필요성을 인지함에 따라 CEO 교육 확대, 가족친화제도 도입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 홍보 확대 및 제도의 간소화 등을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참여 확대 방안으로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참여를 확산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생의 가족문화유산에 대한 인식과 가족정책적 시사점

        김향은(Hyang Eun, Kim)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13 젠더와 사회 Vol.24 No.-

        본 연구에서는 건강가정을 지원하는 가족정책을 강화하는 방안 가운데 하나로 가족문화유산에 주목하여 대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그 가치와 필요성,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10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가족문화유산은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 온 유형·무형의 가족 전통이나 문화, 유물의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또한 가족문화유산은 대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느낌으로 연상되고 있었고, 그 기능과 가치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현재 자신의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가족문화유산은 가족 유물, 가족 가치, 가족 활동, 가족 관계의 범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유산에 대한 대학생들의 견해는 대부분 긍정적인 정서와 평가로 요약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들이 자신의 가정을 갖게 될 경우 옛 유산을 보존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유산을 창출할 것인지와 관련된 계획과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본 결과.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현존하는 가족문화유산을 계승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약 1/3은 자신만의 새로운 가족문화유산을 갖고 싶어 했으며, 응답자의 약 1/9은 기존 유산과 새 유산을 함께 갖고 싶어 했다. 이들이 유지하거나 새로 만들고자 하는 가족문화유산의 유형은 그 가치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었으며, 이들의 현존하는 가족문화유산과 같이 가족 유물, 가족 가치, 가족 활동, 가족 관계의 차원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건강가정을 지원하는 가족정책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고려할 만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가족생활교육의 강화, 가족문화유산의 개발을 통한 건강가정 지원의 활성화, 가족문화유산 운동의 사회적 확산과 이를 위한 총체적 지원, 향후 가족문화유산을 매개로 한 건가가정 지원의 강화를 돕는 연구기반의 구축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future generation’s perception on family cultural heritages(FCHs). 107 college students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y answered to the questions of general perception on FCHs, the present state of their FCHs and their planning of transmission of the present FCHs or creation of their own FCHs. The subjects perceived FCHs as unique tradition or convention that has been passing down. Their feelings or emotions about FCHs were very positive like love, trust, gratitude, happiness, joy, precious, etc. They appreciated it’s significant functions as an effective source of family intimacy, cohesion, communications, sharing, support. They set a hight value on FCHs evaluating it necessary, important, valuable, treasure, special, should have handed down, etc. The present FCHs of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amily legacy, family values, family activities, family relationships. The subjects had positive feelings and appreciation on their present FCHs. Half of the subjects wanted to keep and deliver their present FCHs since it’s functional and significant. One third planned making their own FCHs when they have their own family. The lists of the new FCHs were more diverse including child supportive environment, family volunteering, economically stable environment, generally, they were similar with those the half subjects wanted to hand over though.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on family policies focused on supporting health family development and further studies in the field were discussed.?

      • 국내 가족중심 연구 동향 분석 : 가족중심실천 및 가족중심개입 연구를 중심으로

        정연옥 ( Chung Yeonok )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글로벌사회복지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국내 가족중심실천 또는 가족중심개입과 관련된 연구 현황을 알아보고 향후 사회복지 및 정신건강 실천현장에서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 연구 과제를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내학술정보 포털 KISS와 DBpia를 통해 국내 학술지 논문을 검색하였다. 가족중심실천 또는 가족중심개입을 독립변수로 하는 논문 15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대상 및 연구 특징, 주요내용 위주로 분석하였다. 또한,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전후로 가족중심을 키워드로 하는 논문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04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된 논문은 1993년부터 2003년까지 보다 4.7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중심실천, 가족중심개입 키워드를 사용한 연구에서 특별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가족중심은 특정 치료적 기법이라기보다는 가족을 지원단위로 할 때 폭넓게 사용되는 용어로 보인다. 향후 가족중심 관련 연구과제에 대해 간략히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related to family-centered practice or family-centered intervention in Korea, to find the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nd mental health in the future, and to derive research tasks. Article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were searched through domestic academic information portals KISS and DBpia. Fifteen papers with family-centered practice or family-centered interven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he research object, research characteristics, and main contents.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papers with family-centered as a keyword was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Healthy Families in 2004.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4.76 times more papers published from 2004 to 2014 than from 1993 to 2003. Second, no special difference could be found in the study using the key words of family-centered practice and family-centered intervention. Family-centeredness seems to be a term widely used when the family is the support unit rather than a specific therapeutic technique. Future family-centered research projects were briefly discussed.

      • KCI등재후보

        빈곤가족 건강의 설명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혜련,박선영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가족복지학 Vol.14 No.-

        As poverty persists, the health of poor families suffers. Although health is considered one of the fundamental factors needed for the institutional efforts and self-support programs to be effective in assisting the families move above the poverty lin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health problem of families in poverty to this date. To call attention to the health problem of families in poverty,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explain their health condition in terms of individual, familial,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Main findings that resulted from a survey of 332 adults residing in poor communities of four different areas in Seoul are as follows: 1) The current health condition of the respondent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the model consisting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full model of the three domains of the family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e respondent's current health condition was well explained by last year's health condition,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 length of the families' residence in the community. 2) The variance of the family's health condition was largely explained by the model that include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nd familial domains. Three variables, in specific, were effective in explaining the family's health condition; the respondent's health condition, presence/absence of the spouse, and presence/absence of a sick member in the family.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health of poor families tends to be worsen as the poverty becomes chronic, thus needing assertive preventive approach and intervention. Implications for both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were suggested, including the importance of dual intervention not only to ameliorate the health problems of individual members of poor families but also to improve the community living condition. 빈곤가족의 건강은 빈곤이 만성화되면서 악화 일로에 서게 된다. 빈곤가족의 건강은 생활수준을 빈곤선 이상으로 향상시키려는 제도적 노력과 제반 직업 및 자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빈곤가족의 건강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 가족, 지역사회 세 차원에서 빈곤가족 구성원과 가족전체의 건강을 설명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서울시 4개 빈곤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3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다음의 주요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응답자의 지난해 건강상태가 긍정적이었을수록, 가족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그리고 가족의 지역거주기간이 짧을수록 현 건강상태가 좋은 경향이었다. 둘째, 빈곤가족 전체의 현 건강상태는 개인과 가족 특성의 혼합 모형이 가장 잘 설명하였는데 특히 응답자의 현 건강상태가 긍정적이었을수록, 응답자에게 배우자가 없는 경우, 그리고 가족 중 병자가 없는 경우, 가족의 건강상태가 양호한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빈곤이 장기화됨에 따라 빈곤가족 구성원의 건강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빈곤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은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건강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과 더불어 건강관련 문제를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치료할 수 있는 체계를 지역사회 내에 마련하도록 하는 등의 환경적 개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 KCI등재

        가족관계등록법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문흥안(Moon, Heung-Ah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法學論叢 Vol.20 No.1

        호주제도의 폐지를 계기로 새로이 입법된 가족관계등록제도는 종래의 신분등록제도의 틀을 완전히 바꾸었다. 국민 개개인의 신분사항 및 친족관계 등 기초자료를 전산정보처리조직에 의하여 저장․관리하여 두고, 친족․상속 등과 관련된 권리의무관계를 증명하기 위하여 전산상의 증명서 양식에 해당 전산정보자료를 끌어내어 화면상에 현출된 것을 출력하여 이를 발급하는 시스템이다. 그동안 논란의 중심이었던 ‘호주’, 호주와 관련된 제도와 명칭이 퇴출되었다. 그러나 신분등록은 연속성을 가질 수밖에 없으므로 형식이나 명칭에 있어서는 과거와의 단절이지만 실질적으로 일정부분 그 내용에 있어서는 과거와의 연속선상에 있을 수밖에 없다. 이 논문에서는 남녀평등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법률개정의 소극성이 헌법재판소를 통한 법률개정으로 이어지며, 국회의 입법권에 대한 독점적 지위가 약화되는 현상을 살펴보았다. 새로운 가족관계등록법의 제정과 시행 과정에서 나타난 사생활보호를 위한 가족관계등록법의 개정과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이 법의 제정과정에서 가족관계등록부의 관장기관을 둘러싸고 대법원과 법무무의 치열한 논리적 공방이 있었다. 이는 1949년 제헌의회에서 법원과 법무부의 대립 이래 다시 두 기관이 논쟁을 벌였으나 국회는 대법원을 가족관계등록사무의 관장기관으로 재천명하여 논란의 종지부를 찍었다. 새로운 신분등록증명서의 발급은 시행 당시 가족관계증명서ㆍ기본증명서ㆍ혼인관계증명서ㆍ입양관계증명서ㆍ친양자입양관계증명서 등 5종류였으나, 노출되는 개인정보가 과다하다는 비판에 따라 위의 5종류의 전부증명 내용 중, 일부의 기록사항만을 현출하는 ‘일부사항 증명방식’의 증명서제도를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10종류의 등록사항별 증명서제도의 도입으로 개인의 사생활보호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신분관계증명서가 전산방식으로 입력된 정보자료의 조합이라는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 개인정보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면서도 필요최소한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증명서를 현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가족관계등록부와 호적부 및 제적부와의 관계가 문제된다. 새로운 가족관계등록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모든 호적이 제적되었으므로 이제 제적부는 더 이상 국민의 신분증명에 사용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호적부의 허위신고 등으로 이중호적이 아직도 문제가 되고 있는 현실에서 오류의 정정이나 이중호적의 정리를 위해서 여전히 호적부(제적부 포함)의 신분증명의 역할은 크다. 호적의 정정과 이중호적의 정리는 가족관계등록제도 하에서도 여전히 현재진행인 문제이다. 정확한 신분관계의 공시ㆍ공증이라는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가족관계등록부의 정정과 제적부의 정정 그리고 이중가족관계등록부의 정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북한은 호적제도를 폐지하였지만 남한은 호적제도의 바탕 위에 새로운 개인별 가족등록제도를 도입하고 있어, 가족관계등록부가 남북이산가족의 접점의 장이 될 전망이다. 따라서 남북한 이산가족의 가족동질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Enactment of the New Family Registration Law was supposed to be attained through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fulfillment of the electoral fledges of the former presidents. However it came to prove that it was only a result of the political compromise during its legislation process. The efforts to amend the family law for abolition of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the “Hoju System”) and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ended up with the enactment of the New Family Registration Law. The constitutional nonconformity decision toward the Hoju System from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abolition of the Hoju System on the civil law led the abolition of the Family Registration Act and the birth of the New Family Registration Law. Under the current method of identity registry system, an individual gets only one record. The Family Relationship Registration record is registered for each individual and it contains all the identity information from one’s birth to death. Once the Family Relationship Registration record is registered, changes on one’s identity such as marriage, adoption, divorce and etc. never cause any revision on the identity registry but rather they are recorded additionally. Unlike the former system, there are 5 types of different documents for the new identity registration certificate; Family Relation Certificate, Standard Certificate, Certificate of Marriage, Adoption Relation Certificate and Volladoption Relation Certificate. Issue of such certificates shows all of the related information on the Family Relationship Registration record. However societal demand to protect private information such as marital status, parental right or adoption led the amendment of the Family Registration Law. Now the New Family Registration Law allows two options for each certificate to be issued either with the whole record or a certain part of the record. Even though the introduction of this new method for certificate issue contributes a lot to protection of individual privacy, it has not been polished enough to satisfy people’s expectation yet. It is clear that a bit of adjustment is required to the recent change on the identity registration certificate. The mismatch of scope of family between the Family Relation Certificate and the civil law could cause a huge confusion in the society. Also there will be growing demand for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An individual should be entitled to select the necessary information printed on the certificate instead of choosing a certain type from the certificates with the fixed templates. A creative measure is urgently needed to provide options for various types of certificates with minimum exposure of individual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is guaranteed.

      • KCI등재

        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의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 장애 예후에 관한 기대감의 조절효과

        김계숙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6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1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의 가족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족탄력성의 여러 변인 중에서 어떤 변인이 가족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지를 밝히고, 가족탄력성과 장애아동의 가족관계가 아동의 장애 예후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아동 특수학교 및 장애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발달장애, 지적장애, 뇌병변 장애아동의 가족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장애아동의 가족관계에 대한 가족탄력성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아동의 장애특성 및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그리고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이 통제된 상태에서 가족탄력성의 전체변인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62.0%의 높은 설명력을 보여 가족탄력성은 가족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주효과(Main Effect)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가족관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가족강점으로 분석되었고, 이어 가족응집력, 정서반응, 문제해결, 장애에 대한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탄력성과 가족관계에 대한 장애 예후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족탄력성과 장애 예후의 상호작용 변수가 조절변수(Moderator)로서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의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차원의 실천적 함의와 제도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 on the family relationship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it identifie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s of family resilience on family relationship. The verification how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relationship are moderated by the variant of "family prognosis toward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y” is another aim of this study. 214 families were surveyed via self-report questionnaire whose children attended rehabilitation center or specialized school. The survey was analyzed by SPSS WIN pack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hole variables of family resili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family relationship by 62.0%, proving the main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family relationship, under the control of type of disability, family's socio-demographic status and sub variables of family resilience. The most influencing sub variable was identified as Family Strength, followed by Family Cohesion, Emotional Reaction, Problem Solving and Attitude toward Children. It’s found that the interaction variable of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prognosis moderates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relationship.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suggests several proposals to improve family relationship from social welfare perspective.

      • KCI등재

        지역주민의 욕구에 따른 가족지원사업 필요에 관한 연구

        김소희(So-Hee Kim),문수경(Soo-Kyung Moo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의 가족관련 욕구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대상특성별 욕구의 차이를 발견하여 이를 토대로 차별화된 가족지원사업이 이루어지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주민의 가정내 관심사는 ‘가족관계의 문제’보다도 ‘자녀교육 및 양육의 어려움’이 주된 관심사로 나타나, 전체주민을 위한 가족지원센터에서의 지원이 가정내 자녀양육에 있어서의 교육적인 면에서나 경제적인 면에서의 어려움을 경감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가족의 욕구에 부응하는 가족지원센터의 존재에 대해 인식정도가 높은 반면, 실질적인 이용률은 매우 낮았으며, 이용주민들도 조손가구나 한부모가구, 다문화가구 등 특수한 가족욕구를 지닌 경우에 이용하는 비율이 높아 일반가정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기관의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주민의 특성별로 가족욕구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성별, 연령대, 학력수준, 가족형태, 직업군, 소득수준에 따라 필요로 하는 서비스프로그램에 차이가 나타나 이를 반영한 차별적인 서비스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surveys of local residents on their family-related needs and finds the differences of specific target attributes in order to establish family support projects that can meet the specific demands.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omestic concerns of local residents were more related to difficulties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care compared to family relationship problems. Second, although there is high awareness of family support centers, the overall utilization is very low, and utilization is high amongst families with special needs such as single-parent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kinship families. However, utilization was low amongst families without special needs. Third, the desired services varied by gender, age, education level, family structure, occupation, and income level.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ailored service programs and promo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diverse needs of local families.

      • 문화다양성과 가족생활교육

        이기숙(Lee Gee-Sook)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08 젠더와 사회 Vol.19 No.-

          문화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개인과 가족이 증가하고 있다. 가족생활 교육사는 프로그램 개발 시 문화다양성에 더욱 민감하여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다양성과 가족생활교육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문화적으로 다양한 사회에서 살고 있는 개인과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에 가족생활교육사가 언급해야 하는 중요 논점 3가지이다 : 이주민과 가족갈등(이중문화 딜레마, 두 문화간(세대간)갈등 등), 다문화집단 이론(동화, 융합, 문화복수주의, 민족발생), 다문화와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략(가족의 욕구 이해 문화다양성에 기반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이다.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과 가족생활교육과의 관련성 이해를 통해 다양한 문화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자신들의 독특한 문화유산과 타인들의 문화유산을 인정ㆍ존중하도록 하고, 이주가족들이 이주한 지역에의 적응을 통해 자신들의 완전한 잠재력을 성취하도록 프로그램을 통해 도와주는 정보 제공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One of the primary goals of family life education is to support and empower individuals and families to live meaningfully in the society. This study has explored some of the critical issues that family life educators must address in developing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for individuals and families living within a culturally diverse society. These contents included those associated with migrants and their family conflict (dual cultural dilemmas and bicultural (intergenerational) conflicts), models of intergroup relations (assimilation, amalgamation, cultural pluralism, and ethnogenesis), programmatic dimensions in developing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for culturally diverse society/the need of the families and developing and evaluating the educator"s sensitivity and knowledge to programs).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help many migrant individuals and families to achieve their fullest potentails in culturally divers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