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간호사업 기반 원격의료 서비스 모델 구축

        조문숙 ( Moon Suk Cho ),이향열 ( Hyang Yuol Lee ) 대한보건협회 2017 대한보건연구 Vol.43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일 상급종합병원에서 운영 중인 가정간호사업에 대한 만족도 및 가정간호사업기반 원격의료에 대한 요구도와 운영방식, 원격의료가 가능한 가정간호 활동서비스를 파악하여 가정간호사업 기반 원격의료 서비스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 2016년 11월 14일부터 2016년 12월 12일까지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부, 수거하여 그중 136명의 주 돌봄 제공자와 10명의 가정전문간호사 설문지를 SPSS 23.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가정간호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5점 척도에 평균 4.81점이었으며, 가정간호사업기반 원격의료에 대한 요구도는 5점 만점에 주돌봄제공자 평균 3.89, 가정전문간호사 평균 3.86이었고, 주로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폰이었고, 원격의료 서비스 방법으로는 영상통화, 원격의료 제공 시 수가는 대면진료의 50%~31%로 응답하였고, 원격의료 의사는 담당 주치의, 원격의료 간호사는 가정전문간호사를 선호하였다. 원격의료 적용 가능한 가정간호 활동서비스는 4점 만점에 주 돌봄 제공자 평균 3.16, 가정전문간호사 평균 3.17으로, 기본간호영역의 건강상태 파악 및 관찰, 치료적 간호영역의 욕창간호 및 치료, 교육 및 훈련영역의 고/저 혈당 시 응급처치, 상처소독법, 감염증상 판별법, 기구소독법, 상담영역의 환자상태 상담, 재입원 상담, 그리고 기타영역의 가정간호 재의뢰, 검사처방, 처치처방, 약처방 및 용량조절이었다.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가정간호사업 기반 원격의료 서비스 모델에 적용하였다. 주돌봄제공자는 원격의료를 통하여 병원 방문과 의료비용을 줄일 수 있어 원격의료가 유익할 것이라 판단하였으며, 가정전문간호사는 원격의료로 의료비용 절감 등의 유익성을 높게 판단하여 가정간호 사업에 원격의료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결론 : 가정간호사업기반 원격의료 시행 시 의료진과의 즉각적인 연결과 응급처치 제공을 가능하게 하여 비 계획된 재입원을 감소시키고, 가정간호 재의뢰를 위한 불필요한 내원 등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활력징후 및 혈당과 같은 신체계측 자료 전송을 영상통화 함으로써, 연속적이고 즉각적인 간호(primary care)가 이루어지게 하고, 모바일 교육자료 및 건강정보를 실시간 제공하여 가정간호 대상자와 주돌봄제공자의 건강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원격의료를 활용한 가정간호 모델은 거동이 불편하고 고령으로 치료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성질환이 많은 가정간호대상자의 치료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build a feasible telemedicine-service model in home healthcare by investigating customer satisfaction of current home healthcare, assessing the need and preferred operational style and identifying applicable activities of home healthcare telemedicine.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used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14 to December 12, 2016; 136 primary caregivers and 10 advance practice nurses responded to the surve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Results: Satisfaction with current home healthcare scored 4.81 (of 5). Primary caregivers identified the need for telemedicine with a score of 3.89 (of 4) and advance practice nurses with 3.86. Smart phones were the major device preferred and video talk was the most preferred method for telemedicine. The majority of respondents thought it would be appropriate to pay between 31 and 50% of the cost of an in-person visit for telemedicine at home, and wanted their primary physician and advance practice nurse to conduct the telemedicine. Preference for activities applicable for telemedicine scored 3.16 (of 4) on average by primary caregivers and 3.17 by advance practice nurses. The average, 3.2, was the cut point for finalizing the model; health-status assessment, pressure-ulcer treatment, emergency care of high/low blood sugar level, wound dressing, identifying infections, instrument sterilization, patient condition consulting, the need for rehospitalization, re-referrals to home healthcare, adjusting prescriptions, treatment, and medication. Caregivers responded that telemedicine could be beneficial to diminish the number of hospital visits and lower costs; advance practice nurses responded that adoption of telemedicine is necessary for home healthcare to reduce medical costs. Conclusion: Telemedicine, combined with home healthcare, enables patients to easily connect with medical experts in hospitals who can provide first aid to patients, which would reduce unplanned or unnecessary rehospitalizations. Real-time physical data through video talk can help prompt care for the patient. Timely information with mobile guidance will consistently enhance self-care for home healthcare recipients. This telemedicine model would benefit most vulnerable immobilized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and provide high-quality care for home healthcare recipients.

      • 제왕절개산모의 가정간호서비스 이용시 비용절감 효과 분석

        조원정,김미정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1 간호학탐구 Vol.10 No.1

        본 연구는 제왕절개술 후 산모가 지출하는 직접의료비용 뿐 아니라 간접의료비용, 보호자 상주시에 따른 기회비용을 산출함으로써 가정간호서비스 이용시 비용절감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훈련된 가정간호사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입원과 퇴원시, 가정방문시 자료를 수집한 것으로 최종 분석 대상자는 각각15명씩 총 3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x2-test로 분석한 것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병균간호산모군은 평균 8.1일 입원하여 직접의료비용으로 1인당 평균 303,526.5원, 가정산호산모군은 평균 6.0일 입원하여 1인당 평균 242,136.7원을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간호산모군과 가정간호산모군의 입원에 따른 부대비용은 교통비, 식비, 기타비용의 세 측면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359). 보호자 상주시간을 조사한 결과, 병원간호산모군은 1인당 평균 123.3시간, 가정간호산모군은 1인당 평균 91.1시간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359) 보호자 상주시간에 따른 기회비용을 산출하기 위하여 직업을 가진 보호자의 상주시간을 조사한 결과, 병원간호산모군은 1인당 평균 79.4시간, 가정간호산모군은 1인당평균 36.7시간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37) 보호자 상주시간에 따른 기회비용을 산출하기 위하여 직업을 가진 보호자의 상주시간을 조사한 결과, 병원간호산모군은 1인당 평균 79.4시간, 가정간호산모군은 1인당평균 36.7시간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20). 병원간호산모군은 1인당 평균 517,959.6원, 가정간호산모군은 1인당 평균 23,409.5원의 보호자 상주시간에 따른 기회비용이 산출되었다. 병원간호산모군의 총의료비용은 925,060.1원, 가정간호산모군의 총 의료비용은 566,538.2원으로 산출되어(p=0.006), 제왕절개술 후 가정간호를 받는 산모의 경우 1인당 358,531.9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는 농촌지역으로 국한되어 있으므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한 반복 연구를 제외한다. 이를 통해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의료비용에서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가정간호사업의 객관적인 평가와 함께 활발한 전개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DRG와 연계되어질 수 있는 가정간호사업에 대한 의료비용분석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각 질병별 가정간호를 받은 군과 병원간호를 받은 군을 대상으로 전국규모의 비용효과 산출을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후 의료기관 가정간호 이용실태 변화

        진영란(Chin, Young Ran),홍월란(Hong, Worl Lan)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2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전후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소 수 및 이용량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직전 1년(2007.7.1~2008.6.30)과 제도도입 후 혼란기인 6개월 후 1년(2009.1.1-12.30)간 의료기관 가정간호 기본방문료(AN100)가 청구된 자료를 받아 분석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후, 약 40개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소가 문을 닫았고, 사업소가 한 곳도 없는 시군구가 전체 시군구 중 53%에서 59%로 증가하였다. 또한, 노인의 의료기관 가정간호 이용은 물론(이용자수 13.4% 감소, 방문건수 20.9% 감소), 비노인의 이용도 감소하였다(이용자수 3.5% 감소, 방문건수 3.9% 감소). 비노인의 가정간호 이용감소는 가정방문 간호사업소의 감소로 가정간호에 대한 접근이 낮아져 나타난 결과로 유추할 수 있다. 가정간호사업소 당 총 수입액은 2009년 1년간 평균 121,850천원으로 최소 인력인 가정전문간호사 2인의 인건비를 감안하면 수익이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의 의료기관 가정간호 이용감소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로 대체된다고 하더라도, 비노인의 가정간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address changes on hospital-based home care utilization after long-term care insurance(LTCI) was launched. National electronic data information(EDI) on hospital-based home care from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in 2007.7~2008.6(prior to LTCI) and in 2009(posterior to LTCI) was analyzed. After the launch of long-term care insurance, 40 hospital-based home health care agencies(HHCA) were diminished and regions not having any HHCA were increased from 53% to 59%. Hospital-based home care utilization was decreased in the elderly(clients 13.4%, visits 20.9%) as well as non-elderly(clients 3.5%, visits 3.9%). It is presumed that diminished HHCAs result in decreased accessibility to hospital-based home health care for non-elderly. The clients, visits, and reimbursed cost per agency were not changed. It is presumed that small agencies were closed already. The total reimbursed cost per agency in 2009 was 121,850,000 won. Results suggest that the government has to give support to open more HHCA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for non-elderly. Also,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s utilization has to be monitoring regularly.

      • KCI등재

        노인의 의료기관 가정간호 급여청구 및 서비스 이용 현황

        진영란(Young-ran Chin)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2

        본 연구는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현황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활성화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이후 세 가지 유형의 가정방문 간호사업을 효율적으로 기능역할 정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생성하기 위함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6년 의료기관 가정간호 급여청구자료를 2차 분석하고, 전국 75개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소의 사업현황을 횡단적 조사 분석하였다. 2006년 전체 의료기관 가정간호 이용자 중 65세 이상 노인은 20,343명(전체 대상자의 64.0%), 급여 청구는 98,822건(전체 청구의 70.1%), 방문은 333,889건(전체 방문의 76.8%)이었다. 이용자의 진단명은 뇌졸중 23.6%, 뇌졸중을 제외한 심장 등 순환기질환이 17.7%로 전체 청구 중 41.3%가 뇌졸중을 비롯한 순환기질환에 의한 것이었다. 다음은 당뇨 등 내분비계질환 10.4%, 신생물 9.7% 순이었다. 2006년 일 년간 노인대상 의료기관 가정간호 총 진료비는 13,247,992,290원(전체의 70.5%), 가정간호비용은 6,544,430,760원(전체의 72.2%)이었다. 2006년 일 년간 의료기관 가정간호 서비스 이용 노인 일인당 평균 총 진료비는 646,262원, 가정간호비용은 319,476원, 총 방문건수는 15.3건이었다.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은 보건소 방문보건사업과 중재 종류는 유사하나, 보건소 방문보건사업에서는 수행되지 않는 헤마토크릿(16.8%), 혈색소(15.6%), 적혈구 침강속도(5.6%), 경피적산소분압(0.1%) 등 임상검사와 흡입배농 및 배액(0.7%), 약물저류 관장(0.1%) 및 가스관장(0.01%)등 특수처치가 수행되었다. 건강보험 급여한도 월 8회를 초과하여 전액본인부담금으로 의료기관 가정간호를 이용한 노인은 질환별로 욕창 7.0%, 암 5.4%, 당뇨 2.5%, 고혈압 1.1%, 뇌졸중 0.9%였다. 따라서, 이러한 서비스 차이를 반영하여 세 가지 유형의 가정방문 간호사업간 기능역할을 설정하고, 서비스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보험급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of hospital-based home care(HBHC). We analyzed the data on HBHC from national electronic data information of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Beside, we surveyed 75 hospital-based home care agency. In 2006, 20,343 elderly(64.0% from all HBHC user) used 333,889 visits(76.8%from all visits). Medical diagnosis was composed of circulatory disease including cerebrovascular diseases 41.3%, endocrine system disease including Diabetes mellitus 10.4%, neoplasm 9.7%. Some of subjects used HBHC in excess of maximum covered 8 visits a month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decubitus 7.0%, the cancer 5.4%, the diabetes 2.5%, the hypertension 1.1%, and the stroke 0.9%. This results will contribute to expand the coverage of hospital-based home care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re was distribution difference in medical diagnosis and nursing intervention between HBHC and Public health center-based home care(PBHC) subjects. Therefore, HBHC subjects had more severe medical diagnosis, and were intervened more injections, examinations, than PBHC subjects. These differences must be considered to set up functional role among the three types of home visit care.

      • KCI등재

        가정간호 서비스이용자의 실태 및 만족도 조사

        권숙,남철현 대한보건협회 1998 대한보건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1995년부터 광역시와 인근지역에 있는 농촌지역과 연계된 지역의 3개 중소 종합병원에서 실시한 가정간호경험환자 164명을 대상으로 그 실태와 환자만족도를 조사함으로서 가정간호사업의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1997년 2월 10일부터 4월 10일로 2개월 동안 가정간호사가 직접 방문·면담조사한 결과 그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자 51.2%, 60세에서69세가 35.4%, 중소도시 거주지가 69.5%, 지역의료보험이 59.1%, 무직이 62.8%, 무학이 51.8%로 각각 타군(他群)보다 높았다. 2) 대상자 질병명은 1위가 악성종양 29.2%, 2위 뇌혈관계(뇌졸증, 뇌수술, 고혈압)질환 28.5%, 3위가 만성호흡기질환 16.5%이었다. 3) 가정간호 서비스 내용은 직접간호가 대부분으로 활력증후 측정 및 상태변화, 사정, 주사, 투약, 체위변경 순으로 높았으며 위관간호, 기관절개간호, 산소요법, 관장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4) 가정간호 서비스 횟수는 2회에서 3회가 29.3%, 10회 이상은 22.6%로 나타나고 있다. 가정간호 서비스 횟수에 있어 의료보장제도 중 10회 이상 서비스를 받은 경우 의료보호대상자가 45.5%로 가장 높았다. 5) 가정간호를 요구한 사람은 가족이 84.1%로 대부분이었고 가족의 요구는 연령이 높을수록, 본인의 요구는 학력이 높을수록 높았다. 6) 가정간호수가는 중소도시지역 거주자가 2만원에서 2만9천원이 38.6% 농촌지역은 1만원 이하가 30%였다. 7) 가정간호 만족도는 80점 만점에 68.85점이었고 상위권(75점 이상)이 25.6%, 하위권(65점 이하)이 23.2%, 중위권(66∼74점)도 51.2%로 높은 수준이었다. 여자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가정간호, 방문횟수와 서비스 내용이 많을수록, 그리고 본인이 요구한 경우에 만족도가 높았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basic data which is needed to establish the policy of home care industry by examining the realities and the patient satisfaction level of 164 home care patients in the three small-and-medium-sized general hospitals associated with the wide range cities and its surrounding rural areas. the result from the questionnaires a home care nurse prepared by visiting and interviewing the patients in person for two months from February 10,1997 to April 10 is as follows; 1. The interviewees featured 51.2% of female, 35.4% of ages from 60 to 69, 69.5% of small-and-medium-sized city residents, 59.1% covered by the local medical insurance, 62.8% of the unemployed and 51.8% of the uneducated. 2. The first-ranked disease 29.2% of the interviewees had was a malignant tumor and the second, the disease related to the brain and blood with 28.5% such as stroke, brain surgery and high blood pressure and chronic respiratory disease ranked the third with 16.5%. 3. The medical service the home care nurse supplied were largely vitality sign and condition change observation, ejaculation, injection, medication and altering physique. Stomach organ care, organ incision care, oxygen treatment care and enema weren't provided often. 4. As for the frequency of home care service, twice or three times service occupied 29.3%, while more than ten times 22.6% and in the latter case, medical insurance recipients were 45.5%. 5. The person who asked for home care was usually the family of the patients with 84.1% and the more educated in case of his or her own demand, the higher became the frequency. 6. Considering the home care fee, 38.6% of the small-and-medium-sized city residents paid 20,000 to 29,000 won, while in the rural community, 30% of the patients paid less than 10,000 won. 7. The satisfaction level of home care averaged 68.85 on a scale of 80 and 25.6% of the interviewees gave it more than 75% and 23.2% less than 65, while 51.2% ranging from 66 to 74 and the average level was proportionate to female patients, high education, the visiting frequencise for home care and the case of the patient's own demand. Since the satisfaction level of home care is regarded as quite high, the prospect of its industry is predicted to be very bright.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promotion and training to expand the service recipients in concert with the medical staff and more effort to develop a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ystem, to obtain a close ties with the public health medical centers and for the purpose of a continuous service linking.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자 공동생활가정 실습경험

        김경희(Kim, Gyung Hee),윤희상(Yoon, Hee S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자 공동생활가정에서 실습에 대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여 향후 간호대학 정신간호학 실습교육을 보완하는데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정신질환자 공동생활가정에서 실습을 마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정신질환자 공동생활가정에서의 정신간호학 실습 교육을 통해 경험하는 의미의 본질은 무엇인가?”의 연구 질문으로, 12명의 참여자에게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1월 14일부터 8월 28일까지이었으며,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정신질환자 공동생활가정 실습의 경험에 대한 분석 결과 ‘정신질환자와 치료적 관계의 어려움’, ‘정신질환자의 삶을 이해’, ‘학생 자신에 대한 인식’, ‘정신간호학 실습의 중요성 인식’, ‘정신건강간호사의 전문적 역할 파악’ 등의 5개 주제묶음과 10개의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자 공동생활가정에서의 실습교육 시에 학생이 경험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to explain what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um experienced in group home of community mental healt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12 participants were done from 14, Jan, 2019 to 28, Aug.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5 categories, 10 subjects that the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of group home. Five categories were included ‘difficulty of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psychiatric clients’, ‘understanding in living of psychiatric clients’, ‘recognizing the of the self-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realizing the importance of clinical practicum in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understanding the roles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 practitioner’. The results were suggested from the nursing students’ point of view, proposes the need to encourage nursing students’s experience in group home of community mental health. Additionally, it is thought that continuous attempts to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um in group home of community mental health the effective ways.

      • 보건의료 정책과 가정간호제도에 관한 고찰

        김현숙 김천대학교 1993 김천대학교 논문집 Vol.14 No.-

        Health for All strategy has been adopted unanimously by the member state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 decade ago and was further endorsed to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The Primary Health care strategy and approach were adopted by the Republic of Korea.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just developed policy and formulated a relevant regulation for home nursing services as an extramural nursing services as an in-tegral part of health care delivery syetem coincided with the country wide impelmentation of health insurance scheme. Homc nursing services as part of national and district health system based on the primary health care approach. This service would be linked to hospital services for technical back-ups. In order to face the health and social aspect of the increased liſespan, and the incr-eased rate of chronic disease, it was proposed to develop home nursing service with its most important component. Home nursing servic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a comprehensive national health care system which must be affordable to both planners and the public: the services pr-ovided by such a system should be available, accessible and acceptable to every member of the population who needs it. The public has the right and responsibility to participate in designing appropriate health services which are accessible and acceptable to them. Home nursing service has been defined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national health care systems. Many nations expressed deep concerns for cost, qualify and accessibility of health care to their populations. One of the major interests in developing a home nursing service system is the discus sion on the costs and their financing. Because of increasing costs of health care in ge and of hospital care in particular, for patients with long term diseases much as elderly, physically handicapped or cardiovascular diseases and their sequellas, it is needed to study comparative costs and alternative ways of financing. The concern for cost-containment is a major motivation among the health planners to ​explore home nursing services as an option to reduce cost and increase access to health care in the communities. The hospital environment its constraints can add stress beyond that caused by the ill-ncss. For many patients who need long-term care, the ordeal of hospitalization, or its extended stay, could be worse : the high cost for hospital care may destroy the economic security of the cntire family or deprive education and carrier opportunities of younger members of the family. For effective prevention of many leading causes of deaths and morbidity, such prevention strategies must strike optimum balance between hospital based services and community based interventions In a truly comprehensive national health care system, cffective home nursing service has important roles to play, particularly in primary prevention of illnesses and in tertiary care through rehabilitation and long term care. Effective coordination of home nursing service with hospital care may reduce pressures on hospital care by reducing the overall needs for hospitalization through effective pre-vention, by increased access for early care utilization within the communities and by s-hortening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and long-term care services. The full integration in the natonal health care delivery system will now be linked with the participation of all partners. Those are the medical profession, the other professio-nals such as nurses of course, but also nurses aides and rehabilitation specialists, and the patients and families. Continuity of care and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re also essential elements for home nursing services.​

      • KCI등재

        노인 장기요양서비스 유형별 비용분석

        김은영(Eun Young Kim),전경자(Kyung Ja June) 한국노년학회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장기요양서비스로 정착되어가고 있는 가정간호 요양원 및 요양병원 서비스의 효율적활용을 위하여 뇌졸중 환자들이 이용한 장기요양서비스 유형에 따라 비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비용분석을 위하여 사회적 관점에서 환자와 가족, 제공자자, 보험자 등이 부담하는 적ㆍ간접비용을 포함한 사회적 비용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기관은 가정간호사업소 2곳, 유로요양원 4곳, 노인전문요양병원 1곳이었으며, 연구대상자는 각 기관별로 49명, 50명, 72명으로 총171명이었다. 대상자를 무지위 할당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료분석시 비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상자의 연령, 성 배우자 유무, 합병중 수 등을 보정하였다. 연구에서 도출도 주요 결과는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의 직접비용은 가정간호를 이용하는 경우가 제일 저렴하였고, 그 다름으로 요양병원, 요양원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와 보험자의 직접비용을 함께 고려할 경우는 가정간호, 요양원, 요양병원 순으로 순위가 다소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어다. 둘째, 직접비용과 간접비용을 모두 합친 사회적 비용을 산정한 결과에서는 가정간호의 비용이 다소 많으나, 가정간호, 요양원, 요양병원 순으로 전체적인 순위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원 비용은 가정간호 비용보다는 다소 많지만 유의한 차이고 없었고, 요양병원에 비하여는 34.8% 비용절감각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간병비 산정방식에 따라 비용저렴한 서비스의 순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병을 담당하는 가족에 대해 가장 낮은 임금율을 적용할 경우, 요양원 보다 가정간호 비용이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가장 높은 임금율을 적용하면, 가정간호보다. 요양원 비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각 기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서 이루어졌고 때문에, 질을 보정한 비용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제한점이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장기요양서비스 기관을 확대하고, 질적 측면도 고려하여, 비용을 비교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costs of different types of long-term care including the home care, nursing home, and geriatric hospital based on the viewpoint of society. A total of 171 stroke patients were sampled from the different types of institutions. The cost was the total amount paid by the patient and family members, providers, insurer, and other related par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Home care cost was the lowest, followed by geriatric hospital cost and nursing home cost in the comparison of the direct cost paid by patients. When costs paid by both insurers and patients were calculated, nursing home cost was less expensive than geriatric hospital cost. 2. When the total costs including the indirect costs were considered, home care was the lowest, followed by nursing home cost and geriatric hospital cost. 3 When the cost of family care-giving was computed using the wages of workers, home care cost was more expensive than nursing home cost. But when the cost of family car-giving was computed using 50% of the average wage of laborers, the result was opposite. In conclusion, the reestablishment of function among long-term care services would be needed to improve cost-effectiveness.

      • KCI등재

        보건의료기관 이용노인을 대상으로 한 가정간호 요구조사

        이선자(Rhee Seon Ja),박흥심(Park Heaung Sim) 한국노년학회 1990 한국노년학 Vol.10 No.1

        본 연구는 보건소, 보건진료소, 병원에 내소한 노인을 대상으로 해서 그들의 일반적 특성, 간호요구 분석, 간호요구와 제요인간의 관련성 검정, 호소한 질병간의 관계분석, 건강관리와 제요인간의 관련성 검정을 알아보았다. 1. 조사대상 노인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약 50%는 부부가 사별한 상태였고, 동거자수는 3∼6명 이 59.6%로 가장 많았 다. 또 동거상태는 결혼한 아들과 동거하는 경우가 44.8%로 가장 높았으며, 호소한 질병 별로 분류할 때, 질병상태는 근육골격계 질환이 26.8%로 가장 많았다. 한편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인식하는 정도는 병원이용자가 63.2%로 가장 높았다. 2. 조사대상 노인의 가정간호요구 분석 대상자의 41.29%가 간호요구가 있으며, 이 중에서 안위요구는 60.8%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정신건강요구가 53.7%, 활동 및 안전상태요구 38.2%, 전신대사요구 36.7%, 위생유지요구 11.7%의 순이었다. 3. 조사대상 노인의 기본간호요구와 제요인간의 관련성 검정 활동 및 운동제한은 모든 기본 간호요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 보조물의 사용여부, 약물복용 여부, 치아상태, 간병인 유무, 질병발생시 최초의 방문장소, 의료기관 이용시 동행인 유무의 간호 요구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다. 그러나 과거의 입원경험 여부, 투약방법의 실천여부, 약리작용 인식, 식이요법 인식, 가 족의 질병여부는 간호요구와 관련성이 없었다. 4. 조사대상 노인의 기본간호요구와 호소한 질병간의 관계분석 대상자의 호소한 질병과 기본 간호요구 5항목간의 분산분석 결과는 안위요구를 제외한 나머지 4항목의 간호요구에서 모두 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조사대상 노인의 건강관리와 제요인간의 관련성 검정 질병발생시 최초의 방문장소, 의료기관 이용시 동행인 여부, 식이요법 인식, 약리작용 인식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수준, 생활비부담, 동거상태 등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우리나라도 선진국형 사망유형에 접근하고 있는 사실과 노인인구의 증가추세를 보아서 새로운 보건의료사업 모델이 제시되어야 하며 가정간호사업도 체계적으로 모색되어져야 한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of elderly patients visiting public health centers, clinics and hospitals for medical treatment to deter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analyse their nursing needs and factors involved in satisfying these needs in close reference to health care considerations. 1. General characteristics. Among those surveyed, about 50 percent had been widowed and 59.6 percent lived in households of three to six family members while 44.8 percent shared the homes of married sons. Interestingly enough, of the three categories of medical institutions, hospital patients expressed by far the greatest concern about their physical condition, with 63.2 percent acknowledging the poor state of their health. 2. Home Nursing Needs. Among the 41.2 percent of the subjects who voiced the need for home nursing, the largest portion of 60.8 percent simply wanted extra comfort. Meanwhile, 53.7 percent expressed their need for mental support, 38.2 percent physical activities and security, 36.7 percent general metabolism and 11.7 percent general hygiene. 3. Analysis on Factors Involved in Meeting Needs for Nursing. In general, the survey indicated that limitations on physical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arying degree of needs for nursing. Particularly, the use of physical aid and medication, availability of home care giver, difficulties in chewing and swallowing, preference for the type of medical treatment facility when suffering from illnesses and whether or not patients are accompanied to medical centers evidently play important roles in determining respective nursing needs. On the other hand,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knowledge on methods of taking medication and the effects of adiministering such medication, dietary expertise and sickness among family members had little influence on the needs for nursing. 4. Analysis on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plaints of Symptoms and the Nursing Needs. In addition, ANOVA results showed that apart from the need for comfor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ffering from illnesses and patients need for nursing. 5.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Health Care Needs. Through the survey, it became apparent that the preference for medical institutions for treatment when suffering from illnesses, presence of accompanying personnel to medical centers, and knowledge on dietary methods and effects of taking medication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hoice of medical institutions, level of education, financial support for the household and living conditions. In Korea, there is rapid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elderly citizens, there is a growing urgency for the development of a more sophisticated industry for general health care as well as home nursing.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가정폭력 노출 경험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이유희,문미경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가정폭력 노출 경험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I와 D광역시 2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만 20세 이상의 151명의 간호대학생으로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 & Kenny(1986)의 절차에 의한 매개효과 증명과 더불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폭력 노출 경험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완전매개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 노출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향상을위해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study involved 151 nursing students aged 20 and older.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with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examined by the verification proces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by Sobel test. Interperson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The influences of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was completely mediated by self-esteem. The program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nursing students should include the consideration about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