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古 漢語의 音韻(2)

        平山久雄,이준환 구결학회 2013 구결연구 Vol.31 No.-

        이 글은 中古 漢語의 음가 추정 방법, 실례, 한계를 중심으로 中古 漢語의 音價가 어떻게 재구될 수 있는지를 보이고, 이렇게 재구된 中古 漢語가 어떤 변화과정을 거치게 되었는지를 다룬 것으로 「中古 漢語의 音韻(1)」에 이어 平山久雄의 「中古漢語の音韻」의 후반부를, 원저자의 요청을 반영하여 일부 내용을 수정하고, 추가된 내용을 담아 번역한 것이다. 음가 추정에 관해서 말하자면, 聲母의 음가는 36字母를 『廣韻』의 反切에 맞도록 약간 수정을 한 후에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全淸의 聲母는 無聲無氣音으로, 次淸의 聲母는 無聲有氣音으로, 全濁의 聲母는 有聲音으로 음가를 추정하였다. 牙音의 聲母를 가지고 예를 들자면, 見母 k-, 溪母 kʰ-, 群母 g-로 추정하였는데, 다른 聲母의 음가 추정에도 이와 같은 방법을 마찬가지로 사용한다. 韻母의 음가는 『韻鏡』의 韻圖에 배당된 위치에 따라 제시하고 있는데, 칼그렌에서는齊․先․蕭․靑․添韻을 拗音으로 추정한 것과는 달리, 1․2등에 배치된 韻母와 동일하게 直音의 反切上字를 취하는 것이 원칙임을 중시하여 直音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重紐에 따른 韻母의 대립이 支․脂․祭․眞․仙․宵․侵․鹽韻의 脣․牙喉音 聲母의 아래에서 있음을 인정하고, 韻圖의 4등에 배열된 韻母 또는 小韻을 <A류>(또는 <甲類>), 韻圖의 3등에 배열된 韻母 또는 小韻을 <B 류>(또는 <乙類>)라고 하였다. 重紐를 인정하는 데에는 越南漢字音의 脣音 聲母의 양상, 日本 萬葉假名에서의 イ列 甲類와 乙類에서의 A류와 B류의 구별,福州 방언, 廣州 방언 등의 현대 중국 방언 등의 양상을 근거로 들고 있다. 聲調의 調値에 관해서는 현대 여러 방언을 참고하여 서로 가까운 방언의 調値를 비교하여 그들의 <小祖語>의 調値를 추정하고, 그들 <小祖語> 調値의 비교로부터다시금 <祖語>의 調値를 추정하는 방법을 쓸 수 있음과, 외국 借音 자료 등을이용한 방법 등을 소개하고 있다. 이렇게 재구된 中古音의 음운 체계는 唐代에 변화를 하기 시작하여 唐代 중기에는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韻母의 변화로는 東1․冬韻, 咍․灰․泰韻,覃․談韻 등의 1등 重韻의 합류, 止攝 支․脂․之 3韻의 합류 등이 있으며, 聲母의 변화로는 脣輕音의 독립 등이 있음을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音價의 변화로는 全濁音의 無聲化와 이로 인한 無氣音化와 有氣音化가 있고, 鼻音 聲母의非鼻音化가 있음을 들고 있는데, 음성 변화의 양상에 주목하면서 음운 변화를다루고 있다. 聲調의 변화로는 陰陽調의 분열이 있었음을 서술하고 있다. 이와같은 음운 체계의 변화의 원인으로는, 변화 사이의 상호관련성, 기층 언어의 침투 등을 들고 있다. 이 중 변화 사이의 상호관련성에 대해서는 輕脣音의 독립이韻母의 C류>B류의 변화에 수반하며, 輕脣音이 독립할 수 있는 조건 아래에서 C 류>B류의 韻母 변화가 脣音의 경우에만 쉽게 일어난다든지, 陰陽調의 발달은全濁音 聲母의 無聲音化의 경향에 수반하는 것이며, 반대로 이에 따라 無聲音化가 촉진되었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 KCI등재

        『海東諸國紀』對馬島 지명 연구에 대한 재고찰

        권경애 일본어문학회 2015 일본어문학 Vol.68 No.-

        本稿では『海東諸國記』に記された對馬の地名表記をめぐって、諸研究の 問題点や誤謬について再検討し、新たな解釈の可能性について試みた。まず、日本語の立場から音の推定に異見が存在する場合、それらにについて當時の音価推定に基づいて再吟味した。また、韓日間で研究成果の共有する研究の場合に発生し得る過ちや誤謬について再検討した。さらに、「羅」と「老」の含まれた地名において、それらの表記に規則性が存在することを確認し、それをもとに次の2点を明らかにした。 ①同一語根の語中において「羅ㆍ老」はそれぞれ「羅=ra、老=ro」に読ま れる。一方、助詞「ノ」を表記したり、語頭及び[-n]入声音の後の 「羅ㆍ老」の場合は「羅=na, 老=no」として読まれる。 ②①の規則を適用すると、これまでの研究において推定不可とされた 「卦老」「時羅」などはそれぞれ「kwai=no」「シラ(白)=」に解釈される可能性が、「郞加古時浦」は「なが(長)=」という形態素を指す表記であった可能性がある。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