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四聲通解』 眞軫震質韻에 인용된 『蒙古韻略』과 『蒙古字韻』의 비교 연구

        곡효운 ( Qu¸ Xiaoyun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3 중국언어연구 Vol.- No.108

        本文對崔世珍在『四聲通解』眞軫震質韻標註『蒙古韻略』何音的字與『蒙古字韻』做的比較分析結果如下: 1) 「緊」收錄在『廣韻』和『集韻』上聲臻韻, 一般構擬為[kjen];也收錄在『中原音韻』真文韻上聲和『洪武正韻』上聲軫韻, 一般構擬為[kiən]。但「緊」的『蒙古韻略』和『蒙古字韻』讀[kiein], 不同於『洪武正韻』。 2) 「拮」在『蒙古韻略』有[kie]和[kiei]二音, 在『蒙古字韻』只有[kie]一音。 3) 「趌」在『洪武正韻』和『蒙古字韻』均有收錄, 但不收錄于『四聲通解』。理由有二:雖收錄于『蒙古韻略』但被崔世珍遺漏掉、或未收錄於『蒙古韻略』。 4) 「斤 筋 釿」等在『蒙古韻略』和『蒙古字韻』讀[kin](或者標為[kiən]), 和「緊」的『蒙古韻略』和『蒙古字韻』[kiein]讀音形成對比。 5) 「欯」未收錄于『中原音韻』, 但收錄在『廣韻』『集韻』『中州音韻』, 均讀曉母。但「欯」在『蒙古韻略』讀曉母的[xiei], 在『蒙古字韻』讀匣母的[ɣiei]。 6) 崔世珍對「贇」的『蒙古韻略』『古今韻會』讀音轉寫為「□」 。若把「□」用羅馬字轉寫, 則為/ʔiuiein/, 但實際上近代漢語不存在這樣的讀音。和「贇」一起收錄在『蒙古字韻』同一八思巴字下的「煴 氲 馧」等韻字收錄在『四聲通解』文吻問物韻[ʔiun]音下。崔世珍對這些字沒有做「『蒙古韻略』音如何」的說明, 所以「煴 氲 馧」等韻字的『蒙古韻略』讀音為([ʔiun]。所以「贇」的『蒙古韻略』音為[ʔiun]。 7) (蒙古字韻(眞韻[-iun]的八思巴字轉寫有如下三種:/-ṷin/(影母)、/-uin/(喩(魚)母)、/-ėin/(影母和喩(魚)母以外的聲母)。 Choi Se-Jin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nunciation of some words marked “Meng-Gu-Yun-Lüe” in “Sa-Seong-tong-Hae” zhēn (眞), zhěn (軫), zhèn (震), zhi (質) Rhyme.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words and “Meng-Gu-Zi-Yu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緊” is included in “Guang-Yun” and “Ji-Yun”, which is generally constructed as [kjen]. “緊” is also included in the true rhyme of “Zhong-Yuan-Yin-Yun” and “Hong-wu-Zheng-Yun”, which is generally constructed as [kiən]. However, “緊” is read in “Meng-Gu-Yun-Lüe” and “Meng-Gu-Zi-Yun” [kiein], which is different from “Hong-wu-Zheng-Yun”. 2) There are two Hunminjeongeum transliterations of Chinese [iun] pronunciation: “□” and “□”. 3) There are three kinds of translation of Basiba characters in rhyme of “Meng-Gu-Zi-Yun” zhēn(眞́) [-iun]: /-ṷin/ (影母), /-uin/ (喩(魚)母), and /-ėin/ (consonant other than 影母 and 喩(魚)母).

      • KCI등재

        중국 몽고족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 연구

        홍흠(Hong-Xin),곽암(Guo-Yan)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2

        본 논문은 다양한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중국의 가장 대표적 소수민족인 내몽고자치구의 몽고족을 중심으로 그들의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를 설문조사를 통해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향후 몽고족의 대외 홍보 및 디자인에 응용 가능한 학제적 기초를 마련하고자한다. 본 논문은 객관적 자료를 위해 몽고족 및 타민족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 대부분 몽고족은 소수민족임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으며 소수민족을 대표하는 민족이라 인식하고 있다. 몽고족의 민족성은 사회성이 높고 장식하기 좋아하는 심미성이 있으며, 창의성, 신뢰성, 진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상징의 디자인요소 선호도에서는 색상은 청색, 문양은 성길사한의 인물 문양, 재질은 마노를 선호하였으며 상징의미는 평화가 가장 높았다. 문화상징 활용은 축제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류에 가장 많이 적용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이런 문화상징을 내몽고의 정체성 확립 및 홍보를 위해 적극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몽고족 문화상징의 체계적 정립은 몽고족의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일로, 민족적 의미와 문화적 사명 아래 민족문화자원과 잘 결합되어 소수민족문화의 발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소수민족으로서 자부심을 고취시킬 것이다. This paper is about on the most representative ethnic of China Mongolian as the research object,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o establish the understanding of national cultural symbol and the system of national identity, and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application of Mongolian communication and design in the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ity of the data, so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populations of Mongolian and other nationalities. The result is that the majority of the Mongolians believe that as the Mongolian people have a sense of pride, and the Mongolian nationality is a representative of china. Mongolian is a kind of aesthetic, creative, reliable, aggressive and like the decoration of the nation. The cultural symbols for design elements are cyan, Gen Gi Khan graphics, agate, and peaceful meaning and so on. The cultural symbols are used for celebration, as well as clothing accessories. The symbol of culture has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Inner Mongolia identity and the propaganda of the nation. The construction of Mongolian cultural symbol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Mongolian national identity. To combine the meaning of nation and the mission of culture with national cultural resources. It is not only to help the development of minority culture, but also to promote the sense of pride of ethnic minorities.

      • KCI등재후보

        중국 몽고족 민요 음악의 문화적 특징 및 전승 연구

        사욱,이영월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9 국제학논총 Vol.30 No.-

        Folk music is not only a nation’s important resource which could develop their inherent values and world views, but also the core of the innovation of a nation’s culture. Among the various minorities in China, the Mongolian minority’s folk music is unique, and it has been registered by UNESCO as a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06. After People’s Republic of China(or the “new China”) was founded, many pieces of Mongolian minority’s folk music with their innovative era characteristics have been produced, thanks to the composers. The Mongolian traditional music characteristic “long tune”, the most representative Mongoli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morin khuur”, and the unique method of singing “Khoomei”, all of them are the center of Mongolian minority’s folk music, and they have been inherited and developed till today. The reason why the Mongolian minority’s folk music has such ear characteristics is due to the vast grassland’s natural environment, the Mongolian minority’s unique life-style and their national customs. This paper will focus on 70 years of the traditional inheritance of Mongolian minority’s folk music since the new China’s foundation in 1949, along with the music’s characteristics which are formed by the new era cultural background, and then analyze and investigate the lyrics, mus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singing. In order to do this, this paper takes the representative resource from 《Research on Mongolian Music of a Hundred Years(book one)》 as its research scope, and also, I visited the University of Inner Mongolia in 2018 and did a survey named 《The Degree of Concern for the Mongolian minority’s folk music》of the Mongolian minority youth, this paper will use the result of this survey as its supplementary resource as well. Through this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Mongolian minority’s musical forms and their national life-style could be explored, and the inheritanc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music and new music could be investigated as well, these would b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is paper. 민요는 민족의 고유한 가치세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자원인 동시에 새로운 민족문화를 창조하는 구심점이다. 중국의 많은 소수민족들의 전통음악 중에서 독보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몽고족 민요는 2006년 세계유네스코에 무형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신중국 건국 이후 몽고족 민요는 다수의 작곡가들에 의하여 다량 창작되어 새로운 시대적 특징을 형성하고 있다. 곧 ‘장조’(長調)의 전통적인 음악적 특성과 ‘마터우친(馬頭琴)’을 대표로 하는 몽고족 전통악기 및 ‘후마이’(呼麦)의 독특한 가창법을 중심으로 전승 및 발전되어 왔다. 몽고족 민요의 이러한 시대적 특징의 형성 배경은 대초원의 자연적인 환경과 몽고족의 독특한 생활방식 및 민속 풍습에 기인한다. 본고는 1949년 신중국 건국 이후 70년 기간 몽고족 민요가 고유한 전통을 전승하면서도 새로운 시대적 ․ 문화적 배경 하에 나타나는 특징을 민요의 유형과 지역적 특징, 연주 악기, 가창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蒙古族音樂硏究百年(一)> 博特樂圖, 郭晶晶(2014), “蒙古族音乐研究百年(一)", 內蒙古大學藝術學院學報, 11(3), pp. 69-78. 에 기록된 대표적인 자료들을 중심으로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2018년 필자가 직접 내몽고대학을 방문하여 몽고족 청년들을 상대로 실시한 <몽고족 민요 문화 관심도 조사> 결과를 보완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몽고족 음악형식과 민족 생활과의 관계를 탐색하며 전통음악과 새로운 음악의 전승관계를 고찰하는데 의미와 가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四聲通解』 皆解泰韻에 인용된 『蒙古韻略』과 『蒙古字韻』의 비교 연구

        곡효운 ( Qu Xiaoyun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2 중국언어연구 Vol.- No.102

        本文對崔世珍在《四聲通解》皆解泰韻標註《蒙古韻略》何音的字與《蒙古字韻》做的比較分析結果如下: 1) 除了「罷」等字《蒙古韻略》的訓民正音轉寫「·빼」應改為「:빼」、「嘬」字《蒙古韻略》的訓民正音轉寫「쵀」應改為「쵀」、「聩」字的《蒙古韻略》訓民正音轉寫「왜」應改為「왜」外, 《四聲通解》皆解泰韻所引《蒙古韻略》韻字讀音與《蒙古字韻》完全一致(旁點未標的太多, 不在本稿校正範圍之内)的占絕大多數, 但雨書在收錄字上存在不同。 2) 在《蒙古字韻》裡讀[uei]的平聲「危 桅 巍 桅 嵬」、上聲「隗 嵬 頠」、去聲「魏 僞 磑」在『蒙古韻略』裡讀[ŋuei]。 3) 《蒙古字韻》佳韻崖小韻與《四聲通解》所引《蒙古韻略》在收錄字上完全一致, 但讀音上呈[ai]和[iai]的差異;《蒙古字韻》佳韻娃小韻與《四聲通解》所引《蒙古韻略》在收錄字上除了「噯」這個續添字和幾個異體字外都完全一致, 但平聲、上聲、去聲收錄字在讀音 上呈[ʔai]和[ʔiai]的差異, 入聲收錄字均為[ʔai]。 4) 據《四聲通解》凡例第二條和第三條可知《四聲通解》裡的「續添字」是崔世珍認為很重要的常用字、但《洪武正韻》沒有收錄的字, 即用圓圈圈住的那些字。但僅看這雨條凡例很可能陷入一個陷阱, 即《四聲通解》裡的「續添字」一定沒有收錄在《洪武正韻》。《洪武正韻》收「聩」, 但是《四聲通解》皆解泰韻疑母下收圓圈標註的「聩」。《洪武正韻》的收錄字「聩」僅有[ɦuei]—讀, 這一音也收錄在《四聲通解》的灰賄隊韻。而《四聲通解》皆解泰韻疑母下的「聩」賣[ɦuai], 《洪武正韻》不收讀的「聩」, 所以崔世珍在皆解泰韻疑母下放入「續添字」「聩」。通過「聩」這個例子, 我們可知《四聲通解》裡的「續添字」有雨種類型:一是《洪武正韻》沒有收錄的常用字;二是《洪武正韻》有收錄, 但是作為常用字使用時的讀音不同於《洪武正韻》的話, 崔世珍也會將其歸為「續添字」, 收錄在《四聲通解》。 5) 依據崔世珍的訓民正音轉寫可知, 《蒙古韻略》的魚母為零聲母, 幺母為影母。 6) 「衰」在《四聲通解》裡有[ʃuei]和[tshuei]二音, 這與「衰」在《洪武正韻》的平聲灰韻淸母倉回切、平聲灰韻審母所追切二音一致。「衰」在《洪武正韻》還有平聲歌韻心母桑何切一音, 但《四聲通解》未收錄。《四聲通解》所引《蒙古韻略》裡的「衰」有[tshuei]和[ʃuai]二音, 《蒙古字韻》裡所收「衰」有[tʄuai]和[ʃuai]二音。 7) 《四聲通解》皆解泰韻中聲「ㅒ」([-iai])起始部分有如下說明:「今俗或從ㅐ([-ai]), (蒙韻) 從ㅒ([-iai])。」”依據這個說明我們可知:在《洪武正韻》、《四聲通解》、《蒙古韻略》裡讀[-iai]的字在崔世珍親自聽到的今俗音 (當時的現實北方標準口語音)裡有的字己經從[-iai]變為[-ai]了。 8) 通過《四聲通解》皆解泰韻所引《蒙古韻略》與《蒙古字韻》的比較分析, 我們可知 《蒙古字韻》佳韻的韻母為[-ai] [-iai] [-uai]。 Choi Se-Jin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nunciation of some words marked Meng-Gu-Yun-Lüe in Sa-Seong-tong-Hae Jiē (皆),Jiě (解),Tài(泰) Rhyme.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words and Meng-Gu-Zi-Yu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There are two types of 續添字 in Sa-Seng-Tong-Hai: one is the frequently used Chinese characters that are not included in HongWuZhengYun, and the other is that HongWuZhengYun is included. But if the pronunciation of the frequently used Chinese characters is different from that of HongWuZhengYun, Choi Se-Jin will also classify it as 續添字. 2)According to Choi Se-Jin's Phonetic accent of Hunminjeongeum, the 魚母 of Meng-Gu-Yun-Lüe are zero consonants [ø-] and 幺母 are shadow initials. 3)“jiā(佳)” rhyme of “Meng-Gu-Zi-Yun” have six yunmu(韻母): [-ai], [-iai] and [-uai].

      • KCI등재

        여몽형제맹약(麗蒙兄弟盟約)과 초기 여몽관계(麗蒙關係) 성격: 사료의 재검토(再檢討)를 중심으로

        이개석 ( Kae Seok Yi ) 대구사학회 2010 대구사학 Vol.101 No.-

        本文着重探討了1219年兄弟盟約成立與互之後的1230年代蒙古侵略和高麗抗戰過程中建立的高麗與蒙古國的關系。爲此, 主要通過史料的重新檢討分析了盟約的成立過程和性格問題。通過分析得出的結論, 如下: 第一. 1219年l月建立的麗蒙兄弟盟約是始于1218年蒙古派到定州的使節的講和要求, 幷其內容是助軍、輸粮、納貢、國王入朝。東眞和蒙古的關系也處于麗蒙關系類似的情況。根据《趙沖慕志銘》和兪升旦的《回東夏國書》, 認爲万顔子淵的軍隊屬于幇助蒙古的江東城戰役而被動用的助軍, 而不是聯合軍。第二. 繞着在麗蒙兄弟盟約的建立過程中的幹赤斤王家和高麗的關系, 認爲他是代替成吉思汗留守 (監國)權力, 所以兩者的關系蒙古國和新附屬國的關系。再次, 目前一此論者主張的幹赤斤兀魯思起到了東方經略的창口的角色, 高麗征伐時調動幹赤斤 麾下兵力、高麗是屬于幹赤斤兀魯思的等的說法是缺乏說服力的。征伐高麗時大部分調動了木華黎麾下的軍隊、1231年以後也是如此。第三、1231年的蒙古侵略後、以往的麗蒙關係重新調整、但這是1219年麗蒙兄弟盟約的基礎上附加了一些高麗的內屬國的義務、包括質子等。因此、後者是前者的恢復和繼承。但是、由于1232年高輿武臣政權遷都江華鳥、幷拒絶了國王親朝、高麗和蒙古沒法重新設定兩者的關系。第四. 如何理解麗蒙兄弟盟約的性質、高麗和蒙古國的理解方式完全不同。蒙古理解爲兀魯思和汗國之間的屬國關係、意味着高麗要承但蒙古要求的一切義務。所以、他們要求國王的親朝和過分的剝奪。輿此相反、高麗理解爲兩者的關系屬輿根据傳統的中國天下觀的事大關系。所以、直至1260年高麗從忽必烈得到 `不改風土` 和 `冊封` 的條件爲止、期間高麗一直沒有改變自己的看法和要求。

      • KCI등재

        『四聲通解』의 魚語御韻과 模姥暮韻에 인용된 『蒙古韻略』과 『蒙古字韻』의 비교 연구

        曲曉雲 ( Qu Xiaoyun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1 중국언어연구 Vol.- No.94

        本文對崔世珍在≪四聲通解≫魚語御韻和模姥暮韻標註≪蒙古韻略≫何音的字與≪蒙古字韻≫做的比較分析結果如下: 1) 除了「遽」等字的訓民正音轉寫「:뀨」應改為「·뀨」、「貯」等字的訓民正音轉寫「쥬」應改為「:쥬」、「戍」等字的訓民正音轉寫「슈」應改為「·슈」外, ≪四聲通解≫魚語御韻和模姥暮韻所引≪蒙古韻略≫小韻字讀音與≪蒙古字韻≫完全一致。但≪蒙古韻略≫和≪蒙古字韻≫在收錄字上存在不同。 2) 漢語[-əw]音的≪蒙古字韻≫八思巴字轉寫為/-uw/, ≪蒙古韻略≫的訓民正音轉寫為/-əw/。八思巴字轉寫/-uw/與漢語拼音的/-ou/類似, 訓民正音的轉寫與IPA標記一致。 3) 「醵」在≪蒙古字韻≫裡有平聲 [giu]和入聲 [giεw]二音, 但在≪蒙古韻略≫裡還有去聲[giu]一音;「柱」在≪蒙古字韻≫裡有上聲 [dʒiu]一音, 在≪蒙古韻略≫裡還有上聲 [t∫iu]和去聲 [giu]二音;「紵」在≪蒙古字韻≫裡有上聲 [dʒiu]一音, 在≪蒙古韻略≫裡還有上聲 [t∫iu]一音。「輸」在≪蒙古字韻≫裡有平聲 [∫iu]一音, 在≪蒙古韻略≫裡還有去聲 [∫iu]一音。 4) ≪四聲通解≫的收錄字以≪洪武正韻≫為基準, 在≪洪武正韻≫、≪蒙古韻略≫均收錄並且在二書中的讀音一致的收錄在先, 不標註≪蒙古韻略≫何音;二書讀音不一致的漢字收錄在其後, 并標註≪蒙古韻略≫何音。崔世珍在≪四聲通解≫裡添加了≪洪武正韻≫未收錄的「續添字」, 一些「續添字」也見於≪蒙古字韻≫, 本文推測, 這樣的「續添字」可能也收錄在≪蒙古韻略≫。 5) ≪蒙古字韻≫和≪蒙古韻略≫有魚母一聲紐, 八思巴字轉寫為/’-/, 有別于喩母的/j-/, 但是崔世珍的轉寫均為/ㅇ/, 所以二母的實際音值均為零聲母[ø-]。 6) ≪蒙古字韻≫魚韻(≪蒙古韻略≫魚語御韻) 有[-u]、[-iu]兩個韻母, 但是[-iu]中的[i]受其後圓唇母音u的影響, 實際音值為接近圓唇[y]的一個音, 所以八思巴字轉寫為/ė/, 訓民正音裡無這樣的元音, 並且帶有圓唇性質的[i]與純粹的[i]在音位上不構成對立, 所以訓民正音轉寫為[i]。通過≪蒙古字韻≫魚韻(≪蒙古韻略≫魚語御韻) 的八思巴字和訓民正音的轉寫, 證明漢語的[y]韻母在≪蒙古字韻≫(≪蒙古韻略≫) 成書的時代還未產生。 7) 崔世珍在≪四聲通解≫魚語御韻和模姥暮韻引用的包括「迂」在內的≪古今韻會≫的記錄均與≪古今韻會擧要≫一致。花登正宏(1997:71) 主張從崔世珍的注釋可以證明崔世珍所見「韻會」為≪古今韻會≫, 而非≪古今韻會擧要≫, 這一主張是錯誤的。 Choi Se-Jin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nunciation of some words marked “Meng-Gu-Yun-Lüe” in “Sa-Seong-tong-Hae” Yú (魚), Yǔ (語), Yù (御) and Mú (模) Mǔ (姥) Mù (暮) Rhyme.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words and “Meng-Gu-Zi-Yu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hinese [-əu] sound is translated into /-uw/ in the Phags-pa character of “Meng-Gu-Zi-Yun”. The Hunminjeongeum of “Meng-Gu-Yun-Lüe” is translated into /--əw /. The transliteration of the Phags-pa character /-uw/ is similar to the /-ou/ of Hanyu Pinyin, and the transliteration of the Hunminjeongeum is consistent with the IPA mark. 2) “醵” has 平聲 [giu] and 入聲 [giεw] in “Meng-Gu-Zi-Yun”, but there is 平聲 [giu] and 入聲 [giεw] and 去聲 [giu] in “Meng-Gu-Yun-Lüe” ; “柱” has 上聲 [dʒiu] in “Meng-Gu-Zi-Yun”,but there is 上聲 [dʒiu] and 上聲 [t∫iu] and 去聲 [giu] in “Meng-Gu-Yun-Lüe” ; “紵” has 上聲 [dʒiu] in “Meng-Gu-Zi-Yun”, but there is 上聲 [dʒiu] and 上聲 [t∫iu] in “Meng-Gu-Yun-Lüe” ; “輸” has 平聲 [∫iu] in “Meng-Gu-Zi-Yun”, but there is 平聲 [∫iu] and 去聲 [∫iu] in “Meng-Gu-Yun-Lüe” ; 3) The included words of “Sa-Seong-tong-Hae” are based on “Hongwu Zhengyun”. The words with the same pronunciation in Hongwu Zhengyun and “Meng-Gu-Yun-Lüe” are included first, and The words with inconsistent pronunciation in the two books are included later, and marked with he Yin of “Mongolian Rhyme”. Choi Se-Jin added “續添字” which is not included in “Hongwu Zhengyun” in “Sa-Seong-tong-Hae”, some of which can also be found in “Meng-Gu-Zi-Yun”. This paper speculates that such “續添字” may also be included in “Meng-Gu-Yun-Lüe”. 4) “Meng-Gu-Yun-Lüe” and “Meng-Gu-Zi-Yun” have 魚母, and the Basiba character is /’- /, which is different from the 喩母’s / j- /, but Choi Se-Jin’s transliteration is /ㅇ/, So the actual sound values of the two initials are both zero consonants [ø-]. 5) The “Meng-Gu-Zi-Yun” Rhymes of Yú (魚) (“Meng-Gu-Yun-Lüe” Rhymes of Yú (魚), Yǔ (語), Yù (御)) has two vowels [-u] and [-iu], but the [i] in [-iu] is affected by the subsequent lip vowel u, and the actual sound value is close to that of the lips [y], so the Phags-pa character is pronounced as /ė/, Hunminjeongeum does not have such a vowel, And there is no phoneme opposition between the lip-sensitive [i] and the essential [i], so the Hunminjeongeum is called [i]. Through the transliteration of the Phags-pa and Hunminjeongeum of the “Meng-Gu-Zi-Yun” Rhymes of Yú (魚) (“Meng-Gu-Yun-Lüe” Rhymes of Yú (魚), Yǔ (語), Yù (御)), Prove that [y] vowels were not generated at the time of “Meng-Gu-Zi-Yun” (“Meng-Gu-Yun-Lüe”)’s writing. 6) Cui Shizhen’s records of “Gu Jin Yun Hui”, including “迂”, are consistent with the “Gu Jin Yun Hui Ju Yao”. Masahiro Hanato (1997:71) argued that it can be clarified from Cui Shizhen’s notes that the “rhyming meeting” seen by Cui Shizhen is “ancient and modern rhyming meeting” rather than “ancient and modern rhyming meeting”, which is wrong.

      • KCI등재

        유네스코 유산에 등재된 ‘중국서예’·‘몽고서예’와 ‘한국서예’의 등재 가능성 분석

        문혜정 한국중국문화학회 2023 中國學論叢 Vol.- No.80

        2009년과 2013년에 ‘중국서예(Chinese calligraphy)’와 ‘몽고서예(Mongolian calligraphy)’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서예’라는 예술이 인류문화사적으로 매우 가치있는 유산임이 세계에 증명된 것이다. 지금은 한국 서예계가 우리의 ‘한글서예’를 세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글서예’ 세계화를 위해서는 이미 유네스코에 등재된 ‘중국서예’와 ‘몽고서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미 등재된 ‘중국서예’와 ‘몽고서예’의 특징과 가치에 대해서 분석해보고 각국의 등재를 위한 노력과 등재 이후의 서예 발전 현황, 특히 중국과 몽고에서의 서예 교육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한글서예 유네스코 유산 등재 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중국서예(Chinese calligraphy)’는 2009년에 유네스코의 인류 ‘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다. 중국은 이러한 결과를 내기 위해서 일찌감치 체계적으로 움직였다. 《중국서예발전요강》 제정을 시작으로, 서예를 중국의 ‘국가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하였다. 유네스코 등재 이후에는 다양한 서예 발전 활동을 진행하였는데, 특히 교육 부분을 중시하였다. ‘민들레 프로젝트’와 같은 서예 사교육도 성공하였다. 고등진학시험이나 수능시험 성적에 서예 점수가 부가점수로 인정되는 교육부의 정책으로 인해 서예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었고, 대학에서의 교육은 더 활성화되었다. ‘몽고서예(Mongolian calligraphy)’는 2013년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으로 등재되었다. 1,000년의 역사를 가진 몽고서예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특별한 조치가 긴급했고 결국 유네스코 긴급보호목록에 포함되었다. 몽고에서는 ‘몽고현대서예가협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서예 활동이 이어져 왔는데, 등재 이후에는 이 유산을 보호하고 계승하기 위해 교육부와 문화부 등이 협력하여 다양한 교육활동을 하고 있다. 교육부에서 발표한 지침에 따라, 중학교 고등학교 과목에 몽고 서예가 정규 과목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한글서예를 세계화시킬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다. 한글서예, 특히 궁체는 진정성, 독창성, 세계적 관점에서의 중요성, 보조 요건 등 유네스코가 제정한 주요 등재 기준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유네스코유산 등재 신청에 전혀 문제가 없다. 이미 등재된 중국·몽고의 서예와 차별되는 독창성을 강조하면 된다. 궁체는 간결하면서도 차분한 정제미, 바르고 안정된 균제미, 무용과 같은 율동미, 실용성과 작품성, 전아미典雅美, 중화미中和美 등이 갖추어진 예술이다. 이러한 한글서예의 세계화를 위하여 서예인들의 역량이 발휘되어야 하는 시점이다. The inscribing of "Chinese calligraphy" in 2009 and "Mongolian calligraphy" in 2013 as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rved a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inform the world that the art of "calligraphy" is a very valuable heritage in human cultural history. Now, the Korean calligraphy community is trying to globalize our "Hangul Calligraphy.“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Chinese Calligraphy' and 'Mongolian Calligraphy' already inscribed. Efforts to inscribe each country and the current status of calligraphy development after inscription were examined. In particular, the current status of calligraphy education in China and Mongolia was examined in detail.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inscribing Korean calligraphy as a UNESCO heritage was reviewed. Korea's "Gungche" can emphasize that it has originality that distinguishes it from Chinese calligraphy and Mongolian calligraphy.

      • KCI등재

        몽고문 금강경 의 번역적 특징에 관한 고찰 - 범본·한역·티베트어 역과 비교하여 -

        박서연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4 禪文化硏究 Vol.36 No.-

        본 연구는 18세기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몽고문 금강경 을 범본 및 한역·티베트어 역 『금강경』과 대조하여 몽고문 『금강경』의 번역상의 특징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범본과 비교해 볼 때 몽고문 금강경』에는 일부 생략된 내용이 있는데, 바로 앞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 듯하다. 범어 saṃjñā는 몽고문 금강경 에 섣키퀴(sedkiküi, 생각하다)로 번역되었으며, 네 가지 섣키퀴(sedkiküi)의 배열 순서는 ‘나’라고 하는 생각·중생이라고 하는 생각·생명이라고 하는 생각·뿌드갈라라고 하는 생각이며, 구마라집 역의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과 차이가 있다. 몽고문 『금강경』 번역자들은 쉬라바스티(ŝiravasti), 아나다빈다디(anādabindadi) 등 인명이나 지명의 범어 고유명사를 몽고문으로 음역하였고, 티베트어 역 금강경』의 “sham thabs”을 몽고문으로 음역하기도 하였다. 몽골족은 『금강경』과 함께 다라니의 독송을 중시한 것으로 보인다. 몽고문 『금강경』 사본에는 범본에는 없는 다라니가 첨가되어 있으며, 이 다라니는 티베트어 역 금강경 사본에도 있지만 북경판 『티베트대장경』에는 없다. 한역본 중에는 구마라집 역 금강경 에 짧은 다라니가 있다. 몽고문 금강경 사본에 다라니가 적혀 널리 수지독송된 것은 금강경 을 읽고 독송하는 공덕이 무량하다는 인식을 가졌던 북아시아 유목민족의 금강경 다라니 신앙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ongoli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copied in the 18th century, by comparing it with the sanskrit text, the Chinese and Tibetan versions of the Diamond Sutra. Compared to the original version, there are some missing contents in the Mongoli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which seem to have been omitted because they overlap with the immediately preceding contents. The Sanskrit word saṃjñā was translated as “sedkiküi” in the Mongolian text,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our sedkiküi is different from the Kumarajiva’s translation. In relation to the sanskrit text, sanskrit nouns were transliterated in the Mongoli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and words appearing in the Tibet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were also transliterated into Mongolian. The Mongolian people appear to have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recitation of dharani in the Diamond Sutra. The Mongoli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contains dharani that is not in the sanskrit text. This dharani is also present in the Tibet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but not in the Beijing edition of the Tibetan Tripitaka. Among the Chinese translations, there is a short dharani in the Kumarajiva’s translation. Dharani was written in the Mongoli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and widely distributed. I think that it is an example of the Dharani belief in the Diamond Sutra of the nomadic peoples of North Asia.

      • KCI등재

        蒙古文铅印本<三侠五义>考辨

        李萨,出拉娜(Li Sachulana),聚宝,(Jubao) 한국몽골학회 2021 몽골학 Vol.- No.67

        According to the available materials, there are only two versions of the Mongolian version of The “SanXiaWuYi”, which are stored in the library of Inner Mongolia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Mongolia. So far, the research on the Mongolian translation of “SanXiaWuYi” has been only mentioned in bibliography or related achievements. This paper focuses on the source of the Mongolian “SanXiaWuYi” in the library of Inner Mongolia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d analyzes its translation. The “SanXiaWuYi” in Mongolian not only enriched the translation history of the “SanXiaWuYi” version chain, but also promoted the history of Mongolian translation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of Mongolian and Han national literature research historical materials construction. 据目前掌握的资料,《三侠五义》蒙译本仅发现有两种,分藏于内蒙古社会科学院图书馆和蒙古国国家图书馆。迄今学界对《三侠五义》蒙古文译本研究仅限于书目著录或相关成果中的零散而简略地提及。本文着重考察内蒙古社会科学院图书馆所藏蒙古文《三侠五义》文献来源的基础上,浅析其翻译略。蒙古文《三侠五义》不仅丰富了《三侠五义》传播译介史的版本链条,亦促进了蒙古族翻译文学史和蒙汉民族文学交流交融史研究史料建设。

      • 金银之宠

        徐英(서영),赤新(적신) 아시아민족조형학회 2011 아시아민족조형학보 Vol.9 No.1

        몽골민족은 정교하고 아름다운 장신구를 사랑하며, 반짝이고 빛나는 물건으로 자신을 장식하는 것을 좋아한다. 금과 은으로 된 장신구는 마침 이러한 몽골 목인의 심미적인 풍속에 잘 들어맞는다. 초원 몽골인의 금, 은 장신구 착용하기 좋아하는 전통 습속이 있어서, 몽골족의 금은 액세서리 제작하는 업종에 큰 발전 공간과 광활한 소비시장을 제공 한다. 초원 몽골인들은 금, 은으로 된 장신구를 착용하는 것을 좋아하는 전통적인 풍습을 가지고 있다. 몽골족은 금, 은 액세서리 제조사업이 크게 발전할 수 있는 공간과 광활한 소비시장을 제공했다. 몽골 초원에 있는 장신구 작업공장은 청나라 말 민초시기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금, 은 장신구를 제작하는 장인은 사제지간에 서로 전수하는 방식으로 제작기예를 전승하며, 지금까지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민족 특성이 뚜렷하고, 인구가 많은 몽골 Horqin 부락으로서, 학술 연구 및 고찰의 중점적인 곳으로 여기는 것은 당연하다. 이번에 시찰한 내몽고 자치구 ?安盟 Horqin 右翼中旗의 莫德스승과 그의 제자 朝古拉, 그리고 내몽고 자치구 赤峰시 阿? Horqin 旗天山읍의 ?音스승, 曹德木加木?스승 혹은 那? 스승은 바로 많은 초원 몽고족 장인 중 걸출한 대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