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日觀詩草』를 통해 본 秋月 南玉의 日本 認識

        유재환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0 고전과 해석 Vol.8 No.-

        이 글은 秋月南玉의 『日觀詩草』에 나타난 남옥의 일본 인식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남옥은 11개월이라는 긴 계미통신사행 기간 동안 제술관 신분으로 일본 인사들과의 수창을 전담했다. 그는 이 기간 동안의 경험과 창작한 시문을『日觀記』․『日觀唱酬』․『日觀詩草』세 종류의 책으로 엮었다. 남옥이 엮은 세 종류의 책 중,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일관시초』이다. 이 책은 11개월의 사행기간 동안 남옥이 느낀 개인적인 심회를 읊은 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점에서『일관시초』는 공적이고 의무적으로 창작된 수창시집인『일관창수』나 일기문인『일관기』에 비해 남옥의 문학적 역량과 일본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에 좋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필사 초간본으로 전하는『일관시초』는 편집 체계와 수록된 시 두 방향에서 모두 적지 않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편집 체계가 일정하지 않고 수록된 시에서 誤字와 落字가 군데군데 눈에 띈다. 『일관시초』의 문제점은 이 책이 시의 창작과 동시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귀국 도중 남옥에 의해 새롭게 기록되면서 발생한 것이 아닐까 유추된다. 『일관시초』속 남옥의 시를 살펴보면 일본에 대한 남옥의 인식이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의 경물과 풍광에 대한 감탄과 경이가 그 한 면이 고, 일본에 대한 조선의 도덕적․문화적 우월감이 또 다른 한 면이다. 이 양면성은 남옥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도덕적 우월의식에 의해 하나로 통합된다. 하지만, 도덕적 우월의식에 의해 하나로 통합되는 남옥의 양면성이 조선에 대한 긍정과 일본에 대한 부정을 의미한다고 보이지 않는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조선과 일본에 대한 상호 긍정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인식은 이전까지 볼 수 있었던 조선 문사들의 일본에 대한 도덕성 중심의 일방적인 가치 판단에서 한 걸음 움직인 것이라 생각된다. 남옥의 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일본의 문물과 풍광에 대한 긍정의 시선은 분명 그가 일본을 다시 보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고, 이 새로운 시선에 의해 바라본 일본의 모습은 남옥에게 경탄과 경이를 주는 매체로 작용했을 것이다. 남옥의 시에 나타난 대 일본 인식이 상호 긍정을 통한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앞으로 변화하게 될 조선 문사들의 대 일본 의식 변화의 단초를 보여주는 것이라는 점에서도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니다고 생각된다. 그것은 남옥 당대 조선 문사들이 가지고 있었던 일본 인식의 양면성이 어느 방향으로 확장되느냐에 따라 일본 혹은 그와 유사한 서구 세력에 대한 대응의 방향을 결정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is tried to show the consciousness of Japan and the changed aspect of conscious reviewd by the letter written by NamOk. For eleven months, NamOk worked as Jaesulkwan during the trip as Jaemitongshinsa for advocating Japanese people. He wrote three different kinds book with the letters based on his experiences during that time. What these three books trying to handle is Ilkwansicho. This book is collected by the poems that written based on what NamOk feel and experienced during eleven months. By this point, Ilkwansicho is the best book to see NamOk's literature talent and consciousness of Japan. Now being handed down as hand-copied Ilkwansicho has many issues in the editing structure and the contained poems. The editing structure wasn't consistent and also wrong and missiong words are founded. The problem of Ilkwansicho was that this book wasn't made right after created so it can be guessed that the book was recored while NamOk coming back. In NamOk's poem in Ilkwansicho, two different aspects of his consciousness are founded. One aspect is about wonder from scenary in Japan and the other is about the sense of superiority for Chosun's moral and culture from Japan. This double-sidedness was integrated by the sense of superiority for moral in his mind. But this integrated mind doesn't mean the positive for Chosun or negative for Japan. Rather than that, it showed the positive aspect from both Chosun and Japan. Like this kind change in consciousness shows that literary man in Chosun has changed their consciousness for Japan. In this view point, consciousness for Japan expressed in NamOk's poem having double-sidedness not like other literary man in Chosun has meaning and also showing that mind changing happened in literary man in Chosun later. By the decision how this double-sidedness of consciousness for Japan having in literary man in Chosun who living the same time with NamOk being expended in which direction, the way of reaction for Japan or any other western countries can be decided.

      • KCI등재후보

        『日觀詩草』를 통해 본 秋月 南玉의 日本 認識

        윤재환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0 고전과 해석 Vol.8 No.-

        This study is tried to show the consciousness of Japan and the changed aspect of conscious reviewd by the letter written by NamOk. For eleven months, NamOk worked as Jaesulkwan during the trip as Jaemitongshinsa for advocating Japanese people. He wrote three different kinds book with the letters based on his experiences during that time. What these three books trying to handle is Ilkwansicho. This book is collected by the poems that written based on what NamOk feel and experienced during eleven months. By this point, Ilkwansicho is the best book to see NamOk's literature talent and consciousness of Japan. Now being handed down as hand-copied Ilkwansicho has many issues in the editing structure and the contained poems. The editing structure wasn't consistent and also wrong and missiong words are founded. The problem of Ilkwansicho was that this book wasn't made right after created so it can be guessed that the book was recored while NamOk coming back. In NamOk's poem in Ilkwansicho, two different aspects of his consciousness are founded. One aspect is about wonder from scenary in Japan and the other is about the sense of superiority for Chosun's moral and culture from Japan. This double-sidedness was integrated by the sense of superiority for moral in his mind. But this integrated mind doesn't mean the positive for Chosun or negative for Japan. Rather than that, it showed the positive aspect from both Chosun and Japan. Like this kind change in consciousness shows that literary man in Chosun has changed their consciousness for Japan. In this view point, consciousness for Japan expressed in NamOk's poem having double-sidedness not like other literary man in Chosun has meaning and also showing that mind changing happened in literary man in Chosun later. By the decision how this double-sidedness of consciousness for Japan having in literary man in Chosun who living the same time with NamOk being expended in which direction, the way of reaction for Japan or any other western countries can be decided. 이 글은 秋月 南玉의 『日觀詩草』에 나타난 남옥의 일본 인식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남옥은 11개월이라는 긴 계미통신사행 기간 동안 제술관 신분으로 일본 인사들과의 수창을 전담했다. 그는 이 기간 동안의 경험과 창작한 시문을 『日觀記』․ 『日觀唱酬』․『日觀詩草』 세 종류의 책으로 엮었다. 남옥이 엮은 세 종류의 책 중,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일관시초』이다. 이 책은 11개월의 사행기간 동안 남옥이 느낀 개인적인 심회를 읊은 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점에서 『일관시초』는 공적이고 의무적으로 창작된 수창시집인 『일관창수』나 일기문인 『일관기』에 비해 남옥의 문학적 역량과 일본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에 좋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필사 초간본으로 전하는『일관시초』는 편집 체계와 수록된 시 두 방향에서 모두 적지 않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편집 체계가 일정하지 않고 수록된 시에서 誤字와 落字가 군데군데 눈에 띈다. 『일관시초』의 문제점은 이 책이 시의 창작과 동시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귀국 도중 남옥에 의해 새롭게 기록되면서 발생한 것이 아닐까 유추된다. 『일관시초』속 남옥의 시를 살펴보면 일본에 대한 남옥의 인식이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의 경물과 풍광에 대한 감탄과 경이가 그 한 면이고, 일본에 대한 조선의 도덕적․문화적 우월감이 또 다른 한 면이다. 이 양면성은 남옥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도덕적 우월의식에 의해 하나로 통합된다. 하지만, 도덕적 우월의식에 의해 하나로 통합되는 남옥의 양면성이 조선에 대한 긍정과 일본에 대한 부정을 의미한다고 보이지 않는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조선과 일본에 대한 상호 긍정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인식은 이전까지 볼 수 있었던 조선 문사들의 일본에 대한 도덕성 중심의 일방적인 가치 판단에서 한 걸음 움직인 것이라 생각된다. 남옥의 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일본의 문물과 풍광에 대한 긍정의 시선은 분명 그가 일본을 다시 보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고, 이 새로운 시선에 의해 바라본 일본의 모습은 남옥에게 경탄과 경이를 주는 매체로 작용했을 것이다. 남옥의 시에 나타난 대 일본 인식이 상호 긍정을 통한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앞으로 변화하게 될 조선 문사들의 대 일본 의식 변화의 단초를 보여주는 것이라는 점에서도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니다고 생각된다. 그것은 남옥 당대 조선 문사들이 가지고 있었던 일본 인식의 양면성이 어느 방향으로 확장되느냐에 따라 일본 혹은 그와 유사한 서구 세력에 대한 대응의 방향을 결정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동아시아 문화교류와 통신사 필담창화집 ; 1763년 필담자료를 통해 본 에도에서의 문사 교류 -『경개집(傾蓋集)』 서문에 보이는 인식을 중심으로-

        구지현 ( Jea Hyoun Koo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1 동방학지 Vol.15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Gyeonggaejib(傾蓋集), a collection of literary exchanges written in 1763.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Japanese scholar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regarding their exchanges of poetic writings with Koreans during the feudal Edo period. Since Gyeonggaejib includes writings of important scholars who were active in Linke(林家) during that period, and who were thus relatively free of the control from Tsushima and able to observe Korean scholars closely, the book can be considered a significant historical document. Shibui Taishitsu(澁井太室) argues in his introduction that exchanges of poetic writings must regain their original role as a device of friendship, rather than being one only on surface but in reality being used for competition. The introduction by Kimura Horai(木村蓬萊), on the other hand, tries to clarify misunderstandings of the literary competence of Korean scholars, while the introduction by Seki Shoso(關松窓) explains how exchang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produced mutual understanding. These writings show how Japanese scholars, who have closely observed Koreans, were able to re-evaluate their inaccurate criticisms and show a tendency to self-correct their distorted views. That there were certain classes of Japanese scholars who were willing to collaborate with Koreans, just as there were Korean scholars who made efforts to understand their Japanese counterparts, signifies that there has always been a possibility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scholars of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癸未使行時의 筆談唱和와 大阪의 混沌社

        김성진(Kim, Sung-Jin)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4 No.-

        본 논문은 계미사행시의 한일양국간 필담창화가 混沌社라는 關西지역 詩社의 창립과 융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계미사행이 混沌社에 미친 영향을 밝히고자 하면서도 이에 앞서 木村巽齋(=木世肅, 木孔恭)와 ??堂會에 대해 언급한 것은 ??堂會가 混沌社의 모체가 되었고, ??堂會를 이끈 木村巽齋가 片山北海(=片猷)와 함께 混沌社의 흐름을 주도했음을 고려한 때문이다. 계미사행 이전은 물론 계미사행의 귀국 이후에도 국내의 어떤 문헌에도 混沌社를 언급한 사례는 보이지 않는다. 이에 반해 木村巽齋와 ??堂會에 대해서는 계미사행의 문사들과 이들과 교유했던 박지원과 이덕무 등의 문집에 비교적 상세히 언급되어 있다. 이는 계미사행 이후로는 江戶로 가는 통신사행이 단절되었으므로 조선의 지식인들이 關西지역 지식인들의 동향을 접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계미사행시 大阪객관에서 필담창화를 나눈 ??堂會의 멤버들이 그대로 混沌社의 창립을 주도하고 이끌었기 때문에 양자간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본 논문에서는 계미사행이 귀국한 지 2년이 지난 1766년 5월에 木村巽齋등이 ‘전례 없이’ 對馬島와 倭館을 거쳐 詩札을 보내온 것에 주목하면서, 이는 ??堂會가 발전적으로 해체된 후 混沌社로 출범하게 된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이러한 추정을 구체적으로 입증해보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 筑常과 木村巽齋등이 1766년 5월 南玉등에게 ‘전례없이’ 詩札을 보내온 사실에 주목한 것은 이 때문이다. 계미사행의 문사들과 ??堂會의 멤버들은 모두 학문적으로 程朱學을 존숭하고 ?徠學에 비판적이었다는데 공통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학문적, 사상적인 동질감은 이들로 하여금 필담창화를 통한 문학적 교유에 적극적으로 임하게 하였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堂會의 발 전적 해체와 混沌社의 창립이 이루어지게 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계미사행시 남옥등과의 필담창화와 교유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那波師曾은 물론 柴野栗山, 尾藤二洲, 古賀精里등이 모두 程朱學을 존숭하고 ?徠學에 비판적이었고 이들에 의해 이른바 ‘寬政의 學制改革’이 이루어졌음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混沌社의 창립은 물론, 混沌社의 멤버였던 柴野栗山, 尾藤二洲, 古賀精里등에 의해 주도된 ‘寬政의 學制改革’ 역시 넓은 의미로 볼 때, 계미사행시의 필담창화를 통한 양국문사간의 문학적 교유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았다. ??堂會의 주축이 된 인사들이 程朱學을 존숭해왔기 때문에 역시 程朱學을 존숭하는 계미사행단과의 접촉에 적극적이었는지, 아니면 계미사행단과의 접촉이 ?徠學을 비판하고 程朱學을 존숭하는 경향을 강화시킨 것인지를 명확하게 밝히지 못한 것은 본 논문의 한계인 동시에 앞 으로 밝혀내야 할 주요한 과제이다.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riters during the Kyemi Visit(癸未使行), the Korean envoy's visit in the year of Kyemi(1763~1764), had an influence over the establishment and prosperity of Kondon-sya(混沌社), an association of literary persons in the region of Knsai(關西). In spite of this paper's dealing with the influence of the Kyeme Visit on Kondon-sya, Kimura-sonsai(木村巽齋) and Kenkado(??堂)-Society were mentioned beforehand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Kenkado-Society was the parent of Kondon-sya and that Kimura-sonsai, who was the leading exponent of Kenkado- Society, led the trend of Kondon-sya with Katayama Hokkai(片山北海). Kondon-sya was not found in any domestic literature before and after the Kyemi Visit. However, Kimura-sonsai and Kenkado Society were relatively detailed in the literary collections of Park Giwon(朴趾源), Lee Dukmoo(李德懋)etc., who corresponded with the writers of the Kyemi Visit. It was not only because Korean intellects had no more chance to get in contact with those from the region of Kansai as the envoy visit to Edo ended after the Kyemi Visit, but also because Korean visitors did not notice any difference between Kenkado Society and Kondon-sya as the members of Kenkado Society who shared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at the inn of Osaka during the Kyemi Visit led the establishment of Kondon-sya. This study tries to prove this assumption,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Kimura-sonsai and his fellows sent some poetic writings ‘unprecedently’ through Sushima(對馬島) and Oyekwan(倭館), and considering that it had something to do with Kenkado Society's developmental disorganization and its launching Kondon-sya. That is wh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Kenjou(顯常) and Kimura-sonsai sent poetic letters to Nam Ok(南玉) ‘unprecedently’ in May, 1766. The writers of the Kyemi Visit and the members of Kenkado Society shared the same respect toward the Jungjoo School(程朱學) and the same criticism toward the Syourai School(?徠學). This study shows that the academic and ideological sameness spurred them to enter positively into literary exchanges by writing conversations, which eventually gave influence to the developmental disorganization of Kenkado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Kondon-sya. It is already known that Shibanorithuzan(柴野栗山), Bitoujishu(尾藤 二洲), Kogaseiri(古賀精里), etc were all respectful to the Jungjoo School and critical of the Syourai School, and led the Kansei(寬政) reform of the educational system, not to mention Naharoudo(那波魯堂), who participated most actively in the writing conversation and literary correspondence with Nam Ok during the Kyemi Visit. This study has yet to clarify whether the leading exponents of Kenkado Society communicated positively with the writers of the Kyemi Visit out of the same respect toward the Jungjoo School, or their contact with the writers of the Kyemi Visit escalated their criticism toward the Shourai School and their respect toward the Jungjoo School. It is not only the limitation in this study but also an important task to call for fur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