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字漢語「分(ブン)」의 意味와 用法의 擴大 -語構成要素와 接尾辭的인 用法의 發達을 中心으로-

        유상용 한국일본어학회 2008 日本語學硏究 Vol.0 No.23

        本 論文은 實質語가 形式語로 變遷하는 過程을 語의 構成要素로 使用되는 1字漢語「分」의 意味와 用法의 擴大를 통해 考察해 보았다. 그 結果 中世末期 口語資料 以前의 文献에서는 說話文學作品을 中心으로 語構成要素로 쓰이는 1字漢語「分」이 ‘部分・分る・身分’의 意味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이 意味는 近世口語資料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을 確認할 수 있었지만 語構成要素로 쓰이는 1字漢語「分」은 限定된 用例밖에는 確認할 수 없었다. 이것에 비해 中世口語資料에 나타나는 1字漢語「分」의 意味는 ‘部分・分る・身分’의 意味 以外에 ‘程度’의 意味를 나타내는 用例를 確認할 수 있었고, 用法面으로는 接尾辭的인 用法으로 說明할 수 있는「辛労分・威徳分」과 같은 用例를 確認할 수 있었다. 또한 中世 口語資料 以前의 用例와 中世口語資料 用例를 比較해 보았을 때, 그 用例가 增加하고 있다는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近世口語資料와 中世口語資料를 比較해 보았을 때에는 1字漢語「分」은 意味面으로는 ‘部分・分る・身分・程度’의 意味를 繼承하면서 이 以外에 抽象的인 意味를 나타내는 ‘コト’의 意味領域을 共有하는 用例를 確認할 수 있었고, 用法面으로는 接尾辭的인 用法의「分」이 中世口語資料보다 폭 넓게 쓰이고 있는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意味와 用法에 變化는 1字漢語「分」이 形式語化하여 意味가 抽象的으로 發達하기 때문에 可能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日本中世資料를 통해 본 形式語의 意味變遷*-形式語「次第」를 中心으로-

        劉相溶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9 일본학연구 Vol.26 No.-

        It’s the study about the transition from ‘Common Word’ to ‘Form Word’ through ‘Sidai’. ‘Sidai’ can be classified into a noun usage, a adverbial usage, a formal noun usage and a suffix usage. The reason why it could be used with various usages is tha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order’ had formalized with abstraction. We can categorize the transition of ’Sidai’ considering the era as below. ‘Sidai’ which appeared in the references prior to the spoken materials in the late medieval times had used as a noun usage and a adverbial usage, especially it meant ‘order’‘progress’ in the noun usage. Comparing this, it had a documentary characteristic at the spoken references in the last medieval times. Its usage had been expanded to a noun usage and a adverbial usage, a irregular verb, a suffix usage and a formal noun and finally it has been established in modern Japanese.

      • KCI등재

        日本中世資料를 통해 본 形式語의 意味變遷 -形式語「次第」를 中心으로-

        유상용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9 일본학연구 Vol.26 No.-

        本論文は実質語が形式語に変遷する過程を「次第」を通し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現代日本語の「次第」は名詞的用法、副詞的用法、接尾辞的用法、形式名詞的用法に分類される。このように様々な用法で使用できるのは「次第」の本義である「順序」が抽象化され形式化されたからであると考えられる。 「次第」の変遷を中世末期の口語資料を中心として考察した結果、次のように整理することができた。 中世末期の口語資料以前の文献に表れる「次第」は名詞的用法と副詞的用法で用いられている。名詞的用法は「順序」「経緯・なりゆき」の意味で用いられていた。これに比べて、中世末期の口語資料では文献的な特徴はあるものの「次第」の用法は大きく名詞的用法、副詞的用法、サ変動詞的用法、接尾辞的用法、形式名詞的用法に分類される。 結局、中世末期の口語資料以前の文献より「次第」の用法と意味が拡大され、現代日本語に定着したと考えられる。 It’s the study about the transition from ‘Common Word’ to ‘Form Word’ through ‘Sidai’. ‘Sidai’ can be classified into a noun usage, a adverbial usage, a formal noun usage and a suffix usage. The reason why it could be used with various usages is tha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order’ had formalized with abstraction. We can categorize the transition of ’Sidai’ considering the era as below. ‘Sidai’ which appeared in the references prior to the spoken materials in the late medieval times had used as a noun usage and a adverbial usage, especially it meant ‘order’‘progress’ in the noun usage. Comparing this, it had a documentary characteristic at the spoken references in the last medieval times. Its usage had been expanded to a noun usage and a adverbial usage, a irregular verb, a suffix usage and a formal noun and finally it has been established in modern Japanese.

      • KCI등재

        形式語 「ツモリ」의 意味變遷 ─ 洒落本을 中心으로 ─

        劉相溶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일본학연구 Vol.48 No.-

        本 論文은 日本의 近世時代 資料 중 하나인 「洒落本」을 考察對象 資料로 形式語 「ツモリ」의 變遷過程을 考察한 것이다. 形式語 「ツモリ」는 近世時代資料인 狂言、キリシタン資料、朝鮮資料 『捷解新語』原刊本에는 그 用例를 確認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理由로 日本 近世時代 庶民資料를 代表할 수 있는 「洒落本」을 中心으로 形式語 「ツモリ」의 用例를 分析 考察하였다. 考察 方法으로는 『洒落本大成』全30卷을 對象으로 形式語 「ツモリ」로 判斷되는 用例 240例를 對象으로「動詞接續」「助動詞接續」「連体詞接續」「名詞接續」「副詞及び形容詞接續」로 區分하여 考察하였다. 그 結果 近世에는 形式語 「ツモリ」가 그 意味領域을 擴大하여 使用되고 있다는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또한 現代 日本語와는 다른 用例도 確認할 수 있었다. 意味的인 側面에서는 「考え」「仮定」「思い込み」以外에 「コト(事)」「気」와 類似한 意味領域을 公有하고 있는 用例도 確認할 수 있었다. The "gay-quarter novelette of the Tokugawa period" by which this paper is modern period material, the change process of the form language "TSUMORI" was considered as target material. An example wasn't found in the 'Kyogen' which is medieval spoken language material, Christian material and a Korean material "shoukaisingo" field publication for the form language "TSUMORI". Therefore the form language "TSUMORI" example was considered focusing on the "Syarehontaisei" which represents literature of common people in the modernized world age. Consideration method was considered separately in "verb Connection" "auxiliary verb Connection" "participial adjective Connection" "noun Connection" "adverb and adjective Connection" focusing on 240 admitted as the form language "TSUMORI" targeted for all 30 reels of "gay-quarter novelette of the Tokugawa period success". As a result, the form language "TSUMORI" expanded the semantic domain in the modernized world, and I found out that it was used.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e example different from usage of a modern language. The kind be also akin to "Koto" "intention" besides "idea" "supposition" "wrong impression" from a face of the meaning, it's also done also to confirm the usage with which semantic domain is shared.

      • KCI등재

        신소설에 나타난 형식어 결합 구성 연구 -‘관형사형어미 + 형식명사 + -이-’ 결합형을 중심으로-

        김민균 우리말학회 2008 우리말연구 Vol.22 No.-

        이 글에서는 신소설에 나타난 형식어 결합 구성 중 하나 인 ‘관형사형어미+형식명사+-이-’가 내부적으로 지니는 제약을 계 량화해서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관형사형어미+형식명사+-이-’의 내부 제약은 관형절 기댓값, 관형사형어미의 고정 기댓값, ‘-이-’와 의 결합에 따른 조건부 확률을 통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그 결 과를 현대국어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신소설의 자료보다는 현대국어의 자료에서 형식어 결합 구성의 내부 제약이 전반적으로 상승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형식어 결합 구성의 목록도 현대국어의 자료에서 더욱 증가하였다. 이는 ‘관형사형어미+형식명사+-이-’ 구성이 앞으로도 하나의 구성 으로 쓰일 확률이 높으며 앞으로도 그러한 진행 과정은 계속될 것이 라는 조심스런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즉 기댓값이 높은 ‘관형사형어 미+형식명사+-이-’ 구성일수록 문법화가 많이 진행되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 KCI등재후보

        日·韓文法論における「形式語」小考

        金斗文 한국일어일문학회 2003 日語日文學硏究 Vol.46 No.1

        本論文は, 日·韓文法論における形式語とは如何なる語であるかという主題の下に, 形式語 (形式名詞) の意義, 形式語觀, ならびに形式語の位置づけの比較檢討を試みた. その結果, 次のような結論を得た. 1. 用語の異なり~日本文法では全般的に「形式語」という用語を取り上げているが, 韓國文法では「虛辭」, 「依存名詞」としてとらえている. 2. 形式語の意義~森岡健二は「自立した語を必要とするにも關わらず, 辭的機能を帶びて派生辭や屈折辭のような結合形式としての機能を持つ, そして他と合して一語相當の成分を構成する形態素」とした. また, 高永根は「獨立的な意味を待たず, 文法的機能だけを持つ準自立性形式である.」とした. 3. 形式語觀~森岡健二は「三鐘の形態素(語基·派生辭·屈折辭)の機能を持つ形態素の一群を形式語」とした. 高永根は依存名詞とは, 依存を含むべきこと, 統合關係に制約がること, 冠形詞形に付くべきこと, 助詞を取得するべきことの四つの用件を取り上げている. 4. 形式語の位置づけ~日本品詞分類の基準は「詞」と「辭」との關係であるとされる. 韓國品詞分類の基準は, 「吐(助詞)」と「語尾」を獨立品詞として認めるか, 認めないかに歸結される問題である. 松下文法における品詞論では, 「實辭に助詞の付いたものを一詞と見なして文法範疇を適用させたのである.」が, 金敏洙文法 (總合學說) においでも, 實辭に虛辭のつた語形を-つの單語と認める点が共通点とれる.

      • KCI등재

        形式語「ギ(儀․義)」의 變遷

        유상용(劉相溶)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8

        As for a formal noun “Gi”, the usage is checked by the data before a time medieval times. Moreover, medieval foreign language data are also used by various usages. Noun usage and formal noun usage are checked by the data before the spoken-language data of a time medieval times. On the other hand, by “Christian data”, it turned out that the usage of “Gi” is checked in a conversation sentence and the sentence of the ground, and the usage of a pre-noun adjectival increases. However, I understood that uses to collocate with a use and a verb to collocate with a noun increased with the “Chosun data”. It was able to identify a use of the suffix. In addition, both data share a semantic domain similar to a formal noun “Koto”. The meaning and usage of “Gi” are considered that it expands and the process to abstract is shown by th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