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군실록(天君實錄)>의 서사 특성과 사상적 지향

        김수영 한국고소설학회 2019 古小說 硏究 Vol.48 No.-

        This paper deals with Cheongunsillog(天君實錄) by Ryu, Chi-Gu(柳致球), a 19th-century Cheongun narrative work. First, I examine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Cheongunsillog. Next, I explored the ideological orientation of the Cheongunsillog, and how it is related to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ere are four main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Cheongunsillog. First is the active utterance of 'Sangje(上帝)', which means Taegeuk(太極). Second is the narrative development centered on ‘juinong(主人翁)’, which means Seong(性). Third is the emergence of reactionary characters, Hwa-yo(禾么) and Hwa-do(禾刀), which means lust and profit. Fourth is the use of colorful Taoist ideas and language. As mentioned above, Cheongunsillog attempted to make various narrative changes while being aware of various flows and traditions of the Cheongum narrative of the former generation. This narrative characteristic of Cheongunsillog is closely related to the ideological intention of the work. Cheongunsillog pursued the Neo-Confucian mind theory that emphasized Li(理). Thus, Cheongunsillog deepened the fictional exploration of 'Seong' (性), which was not done in the previous Cheongun narrative. In this process, Cheongunsillog failed to advance the novel's search for jeong(情) and desire(慾), which was accomplished in the previous Cheongun narrative, such as Hwang, Joong-Yun's Cheongungi(天君紀). Also, Cheongunsillog came up with a conservative thane. Nevertheless, in the '19th century perspective' where the topography of ideology and the economic foundation of society changed, Cheongunsillog gained a new meaning as a Cheongun narrative work that raised the question on the discipline of the mind toward "grofit'. Above all, the extension of the Neo-Confucian mind discipline to social ethics in the work is considered a meaningful attempt by Cheongunsillog. 본고는 세기 천군서사 天君敍事작품인 류치구 柳致球 의 천군실록 天君實錄을 대상으로 먼저 전대 천군서사와 구별되는 천군실록 의 서사 특성이 무엇인지를 고찰했다 다음으로천군실록 의 사상적 지향이 무엇이며 그것이 작품의 서사 특성과어떻게 결부되어 있는지를 탐구했다천군실록 의 주요 서사 특성은 크게 네 가지가 검토되었다 그 하나는 태극 太極을 뜻하는 의인화된 상제 上帝의 적극적 발화 發話이다 그 둘은 성 性을 뜻하는 주인옹 主人翁중심의 서사 전개이다 그 셋은 반동인물로서 사욕 私慾과 이익 利益을 뜻하는 화요 禾么와 화도 禾刀의 등장이다 그 넷은 다채로운 도교적 발상과 언어의 전용 轉用이다 이상과 같이 천군실록 은 전대 천군서사의다양한 흐름과 전통을 의식하면서도 여러 가지 서사적 변화를 꾀했다천군실록 의 이러한 서사 특성은 작품의 사상적 지향과 내적으로긴밀히 결부되어 있다 천군실록 의 작가 류치구는 사상적으로 주리적 主理的심성론을 추구했다 이에 천군실록 에서 성 性에 대한 소설적 탐구를 심화하여 장편 형식을 통한 주리적 主理的심성론의 적극적 서사화를 천군서사사 天君敍事史에서 이루었다 다만 이과정에서 천군실록 은 황중윤 黃中允의 천군기 天君紀와 같은전대의 천군서사가 성취한 정 情과 욕망에 대한 소설적 탐구를 더진전시키지 못했으며 주제적으로 한층 보수화된 심성수양론을 내세웠다 그렇기는 하나 사상계의 지형이 바뀌고 사회의 물적 토대가 변화된 세기적 상황에서 천군실록 은 이익을 향해 치달리는 마음의 수양에 대한 문제를 새로 제기한 의의가 있다 심성수양론을 사회윤리적 차원으로 확장한 점은 천군실록 의 유의미한 시도로 평가할만하다.

      • KCI등재

        <천군연의>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반성과 정치 서사로서의 의미

        유요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고전과 해석 Vol.29 No.-

        This paper captures the changes in the reflec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17th-century novel "Cheongunyeonie" and argues that this reflects the interest in the rule of the nobleman. In the previous study, Cheongun narrative, including "Cheongunyeonie", was evaluated as a self-discipline writing in conjunction with psychological theory. Thus, the structure was also considered to be consistent with the reflection of Cheongun's loss and recovery. However, this paper compares the various Cheongun narratives of the 16th century with the structures of reflection of "Cheongunyeonie" in the 17th century. This is because they are more wary of the invasion of the other than their attitudes that are wary of their minds in the work, and they are more active in their reflection. This change in reflection structure means that the artist's perception has been extended to the world. As a concrete example, the betrayer of "Cheongunyeonie" helps to restore the world of Cheongun through reflection, which is the emergence of a new group of characters that did not exist in the previous Cheongun narrative. Therefore, subsuming the surrounding characters means that the artist's perception is approaching a different dimension than self-disciplined attitude, which means that interest in reality has been expanded. In the last chapter, I discuss the emergence of the unique reflection structure of "Cheongunyeonie" in various contex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eaning of 'Cheongun' is gradually changing from self-discipline to the meaning of governance which demands a change in the attitude of the monarch, and it is related to the status of "simgyeongbuju" in the history of thought. As a result, the change in reflection structure shown in "Cheongunyeonie" is a result that various cultural contexts are the result of the artist's perception of reality and reflect the change of perception in the 17th century. 이 논문은 17세기 소설 <천군연의>에 나타난 등장인물들의 반성의 양태가 변화했음을 포착하고, 이것이 사대부의 經世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고 있음을 논증했다. 기존의 연구에서 <천군연의>를 포함한 천군 서사는 심성론과 결부되어 자기 수양을 위한 글로 평가받았다. 그래서 그 구조 또한 천군의 마음 상실과 회복이라는 반성의 구조로 일관되어 있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본고에서 16세기의 다양한 천군 서사와 17세기 <천군연의>의 반성의 구조를 비교해본 결과, <천군연의>에는 자기 수양적인 면모와 더불어 외부 현실에 대한 관심이 나타나 있음을 밝혔다. 이것은 작품에서 자신의 마음을 경계하는 태도보다 타자의 침입에 대해 더욱 경계했다는 점, 그리고 반성을 더욱 능동적으로 해결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처럼 반성 구조의 변화는 작가 인식이 세계로 확장되어졌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시로 <천군연의>의 배신하는 인물이 반성을 통해 다시 천군 세계의 회복에 도움을 주는데, 이러한 부분은 이전 천군 서사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인물군의 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인물을 포섭하는 것은 작가의 인식이 자기 수양적인 태도와 다른 차원에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뜻하며, 이는 현실에 대한 관심이 넓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천군연의>의 독특한 반성 구조의 출현과 관련하여 다양한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천군’의 의미가 점차 자기 수양의 의미에서 군주의 태도 변화를 요구하는 통치론의 의미로 변화하고 있음을 포착하고, 이것이 사상사적 맥락에서 『심경부주』의 위상과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천군연의>에 나타난 반성 구조의 변화는 다양한 문화적 맥락이 작가의 현실 인식과 교직한 결과물이자, 17세기 인식 변화를 반영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천군류(天君類) 출현의 철학적 기반과 서사문학적 지위

        신상필 ( Sang Phil Shin ) 우리한문학회 2010 漢文學報 Vol.23 No.-

        「天君演義」는 조선 仁祖 시대의 문인인 鄭泰齊가 인간의 마음을 `天君`으로 의인화하고, 酒色으로 평정심을 잃는 상황과 이후 본성으로의 회복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이처럼 심성을 천군으로 의인화한 작품은 김우옹의 「천군전」에서 비롯되어 16, 17세기 일군을 이뤄 근대 초기까지 이어진다. 그 가운데 章回體 작품인 「천군연의」는 서사와 구성의 측면에서 발군으로 꼽히며, 유가 正心工夫를 위해 1917년 한문현토체로 출간되기까지 한다. 이때 천군류 작품의 존재가 어떻게 성립되고 전개되었는가의 의문이 본고의 출발점이다. 선행 연구는 이에 대해 假傳의 전통이나 心學의 전개, 혹은 소설 서사의 차원에서 해답을 찾아 왔다. 본고는 이들 선행 연구에 공감하면서 보다 종합적인 방면에서 천군류의 성립 기반에 접근하고자 한다. 성리학을 기반으로 삼은 조선왕조는 불교, 도교 등 이단을 배척함과 동시에 유교 철학의 이해와 내면화에 따른 확산을 도모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 후학 계도를 위한 「從政圖」 「作聖圖」 등의 유희와 圖說의 전통은 「천군전」의 성립을 가능케 하였다. 또한 유가의 心性論에 근거한 천군류 작품의 서사 방식은 허구에 대한 비판을 무화시킴과 동시에 중국 역사연의 소설을 수용함으로써 보다 서사적 완성도를 갖춘 「천군연의」를 완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현상은 조선조 성리학의 철학적 기반과 서사양식의 전개에 따른 사회적 수용의 과정을 고려하며 살펴야 하며, 본고는 그 총체적 구도를 통해 천군류 작품의 성립과 존재 양상을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heongun Yeonui」, written by Jeong Taejae, a writer in times of King Incho in Chosun Dynasty is a literary work which personified the humans mind as `Cheongun` and illustrated the circumstances of its losing composure and a process of the recovery to its true color. Similarly, works which personified the mind as Cheongun started from 「Cheongun story」by Kim Woo-Ong and continued till early modern times via their peak time in 16th and 17th century where they were developed to form a specific group. 「Cheongun Yeonui」, out of them, a novel composed with Janghwoe style is an outstanding work on view of description and composition, and was published in Chinese Hyunto style in 1917 as a textbook of Jeongsim Gongbu (a study to keep a mind) for Confucian student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is originated from a question that how the establishment and existence of Cheongun style works had been developed. Previous studies tried to find an answer from a tradition of Gajeon or development of Shimhak or in a level of novel description. The paper intends to approach a basis of establishment of Cheongun style works in more comprehensive aspects while agrees with these previous studies. It was necessary for Chosun Dynasty whose spiritual basis was Neo-Confucianism to intend an expansion of Neo-Confucianism according to understanding and internalization of Confucianism whereas excluding heresies such as Buddhism or Taoism. Further, a tradition of plays (a kind of board game) such as 「Jongjeongdo」and 「Jakseongdo」and Doseol (Diagram and explanation of philosophical theory) for young students enabled an establishment of 「Cheongun Story」. In addition, it could be developed to 「Cheongun Yeonui」which had more descriptive completeness because Cheongun style works accepted Chinese historical novels while incapacitating criticism on fiction with their description methods. A set of these phenomena should be examined in consideration of a process of social acceptance according to philosophical basis of New-Confucianism during Chosun Dynasty and a development of description style,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shall be able to understand an establishment and existence aspect of Cheongun style works through total structure.

      • 假傳과 小說의 장르복합으로 본 <天君傳>

        김선현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2 한국어와 문화 Vol.11 No.-

        <천군전>은 동강 김우옹이 27세(1566) 되던 해에 창작한 작품이다. 지금까지 이 작품의 장르는 가전과 소설의 두 장르 가운데 적절한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심성가전’ 혹은 ‘천군소설’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천군전>의 장르적 속성이 먼저 밝혀져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천군전>의 서사구조적인 면과 구성적인 면의 특징을 분석하여 <천군전>의 장르 귀속 문제를 논해보고자 하였다. <천군전>은 ‘인물 및 가계 소개―행적―논평’의 일반적인 가전의 서사 구조를 따르고 있으나 각 부분의 화소가 축약되거나 확장되어 가전의 구조적 변이 형식을 보여준다. 또한 구성적인 면에서 볼 때, 인물의 대립적 구성과 대결 양상의 축조, 사건의 인과적 전개, 공간적 배경의 구체화와 인물간의 긴밀성 등 소설적 특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특성에 따라 <천군전>을 가전과 소설의 장르복합(genre-complex)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Cheongunjeon(天君傳)> is written by Kim Woo-Ong in 1566 when he’s 27 years old. Until now, its genre could not find an appropriate agreement of Gajeon and novel. Nevertheless, it has been classified as Simseong-gajeon or Cheongunnovel. However, its genre properties have to become quite clear for this classification is valid. Therefore this thesis debated about the question of genre of <Cheongunjeon(天君傳)> through analyzing narrative structure and composition. <Cheongunjeon(天君傳)> conform with general Gajeon’s form such as introduction to character and family-activities-comment, but story of each part is reduced or extended. And we can confirm novel’s quality in its composition such as oppositional configuration of figures, construction aspect of conflict, consequential development of event, materialization of the spatial background and vertebration among the character. Keeping in mind these characteristics, we can understand that <Cheongunjeon(天君傳)> is genre-complex of gajeon and novel.

      • KCI등재

        心性論의 역사적 전개와 金宇顒의 〈天君傳〉

        이기대(Lee Gi-da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연구 Vol.30 No.-

        본 연구에서는 김우옹의 〈천군전〉에 나타난 심성론의 역사적 성격에 대해 논의하였다. 조선은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삼았으나, 건국 초기부터 성리학적 이념을 내면화하지는 못하였다. 때문에 성리학적 이념의 확산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심성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그리고 김우옹은 〈천군전〉을 통해 심성에 대한 논의들을 쉽게 풀이하는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심성을 의인화해 형상화하는 과정속에 교훈과 실천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작가는 천군이 천상에 존재하였을 때는 理의 존재였으나 지상에 하강한 이후에는 心으로 바뀌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천군은 지상에서 心으로 불리기 때문에, 敬을 유지할 수 없으며 필연적으로 타락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敬의 도움을 통해 다시 마음을 회복하게 된다. 하지만 지상에서 천군이 心으로 불리는 이상, 언젠가는 다시 경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천군전〉은 천군이 마음을 상실하고 회복하는 수직적 구조와, 회복된 마음이 언젠가는 다시 상실하게 될 것이라는 순환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작품의 구조는 천군으로 상징화된 임금의 경우, 전군이 心으로 불리웠던 것처럼 언제가 마음을 상실할지 모르기에 끊임없이 경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김우옹 등의 영남 사림은 왕이 심성을 수양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개입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천군전〉은 단순히 심성을 의인화하여 형상화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영남 사림이 추구했던 심성론을 반영하는 역사적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discussing on the historical character of Simseongron(心性論) presenting on 〈Chunkoon-jun(天君傳)〉 by Kim, Woo-Ong(金宇?). The Chosun Dynasty had been adapting Seongrihak as a ruling principal but it could not been internalized since the dynasty's foundation. That's why spreading of the idea from Seongrihak(性理學) of view reared up as an important matter, and a discussion on Simseong(心性) began in earnest during this process. And Kim, Woo-Ong(金宇?) was trying to find easy ways to explain discussions on Simseong(心性) and emphasized instruction and practice by modeling through personifying Simseong(心性). For this reason, the writer created that the King of Heaven was a symbol of "ri(理)" but it was changed to "sim(心)" after the King of Heaven went down to land from Heaven. The King necessaril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degradation as the King was named as "sim(心)" in land, not being able to keep "kyeong(敬)". And the King recovered "sim(心)" by help of "kyeong(敬)". There is, however, a possibility of losing "kyeong(經)" some time again as long as the King of Heaven is called as the name of "sim(心)" in Land. Therefore, 〈Chunkoon-jun(天君傳)〉 is constructed with the structure of circulation that the King will lose the "sim(心)" recovered, some time again, and the vertical structure that the King of Heaven loses "sim(心)" and recovers it again. In case of the King symbolized as the King of Heaven, such structure of the work means that it needs to constantly keep watch because "sim(心)" may be lost some time as if the King of Heaven was called as "sim(心)". Through these structures, Youngnam Sarim(嶺南 士林), including Kim, Woo-Ong(金宇?), etc, made a logical basis for keeping intervening in order for the King to make a constant effort to improve himself. Therefore, 〈Chunkoon-jun(天君傳)〉 has its historical character reflecting Simseongron(心性論), which was pursued by Youngnam Sarim(嶺南 士林) in those days, as well as simply forming Simseong(心性) like a human.

      • 『天君傳』과 『愁城誌』比較硏究

        曺丘鎬 남명학연구원 2003 南冥學硏究論叢 Vol.12 No.-

        「天君傳」과 「愁城誌」는 인간의 심성을 의인화한 점에서 공통성을 지니고 있다. 두 작품 모두 심성의 근본 요체를 '천군'(天君)으로 명명하여 그 작용하는 바의 지향점과 경계해야 할 바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는데, 「천군전」에서는 敬을 근간으로 한 존심양성을 강조하고 있고, 「수성지」에서는 술(酒)에 의한 豪氣擴充을 강조하고 있다. 두 작품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양상은 저자의 생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천군전」의 작가 동강은 일찍 남명의 문하에서 경과 의를 바탕으로 한 爲己之學의 요체를 익혔고, 경연에서 임금에게 進講을 한 학자이며, 성균관 대사성을 비롯한 이조참판, 예초참판 등을 두루 역임한 관리로서의 명망을 겸한 인물이다. 동강의 삶은 敬을 근간으로 하는 위기지학으로 표상된다고 할 수 있는데, 「천군전」과 같은 敬을 근간으로 하는 심성수양은 동강이 추구했던 위기지학의 삶의 모습이며, 임금이 나라를 다스리는 요체를 암시하고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반면 백호는 호협한 성격의 인물로 행동이 자유분방하였다. 그의 자유분방하고 호방불기한 기질은 호탕한 기개를 지닌 장부의 기상을 찬상하고 있는데, 그것은 「원생몽유록」을 비롯한 시문과 後世人들의 평에서 알 수 있다. 이러한 백호의 성격에서 「수성지」와 같은 작품이 창작되었다고 하겠다. 「천군전」과 「수성지」가 내용적인 면에서는 판이하지만 16세기 후반의 비슷한 시기에 심성을 소재로 심성의 문제를 다루었다는 것은 심성에 대한 인식이 중요시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CHENKUNJEN"(천군전) AND "SUSENGJI"(수성지) hvae something in common with personifying human mind. Both works give a name basis of mind as 'CHENKUN'(천군), and describe about the aim and the warning of naming 'CHENKUN'(천군), 존심양성 based on the respect was emphasized in "CHENKUNJEN"(천군전), 호기확충 based on the liquor was emphasized in "SUSENGJI"(수성지). These aspects in two works are closely related to author's life. Author, '동강' of "CHENKUNJEN"(천군전) early trained the basis of '위기지학' based on the respect and the justice studying under '남명' and was a scholar who taught a king in '경연', and also a person who was a government official like '예조참판' and so on. Although he had hard time of exiling to '함경도' temporarily owing to be involved in '기축옥사', He demobilized before long and started his career as official again and died at the age of 63. On the other hands, Author. '백호' of "SUSENGJI"(수성지) was a active and bravery person from early age, as he came from a military family. His warlike temper was laughed at by learned people in those days as stated above and was deprived of '평안도사직'. His government position remained sinecure office like '평안도사', '해남병사' and died at the age of 39. The contents of "Chenkunjen"(천군전), "SUSENGJI"(수성지) based on the mind of two author's nature and academic success.

      • 東岡 김우옹『天君傳』의 교육적 의미

        蔡輝鈞 남명학연구원 2003 南冥學硏究論叢 Vol.12 No.-

        본 연구에서는 동강 김우옹의 「天君傳」을 중심으로 교육적인 의미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天君傳」에 나타난 인간 마음의 존재적인 특징과 작용원리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를 토대로 교육목적과 방법론적인 의미를 고찰하였다. 「天君傳」에 나타난 인간 심의 특성은 우주의 理를 존재의 기원으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 즉 理가 인간에게 들어와서 心으로 자리를 잡은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 본래의 心은 理와 마찬가지로 지극히 선한 속성을 지닌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같은 견해에 따르면 교육의 목적은 理의 속성을 지닌 본래의 心을 간직하는 것에 두어야 한다. 즉 마음이 본래의 心을 간직하고 있을 때 인간은 인간답게 가치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된다고 보는 것이다. 이점을 지향하는 것이 「天君傳」의 교육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적인 면에서 보면 인간의 원래 마음은 우주의 理의 속성을 지닌 순수하게 선한 상태지만, 현실적으로 순수하게 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왜냐하면 마음이 인간의 육체에 자리를 잡으면서 여러 가지 현실의 속성과 함께 어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실적인 인간의 마음은 혼란과 무질서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天君傳」에서는 혼란에 빠진 마음을 안정되게 회복하는 과정을 치열한 전투와 같은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 과정을 교육방법론적인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아보면 본래의 순수하게 선한 마음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양심에 관심을 가지고, 마음을 바로잡으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치열한 전투를 수행하는 것과 마찬가지인데, 유혹을 이기고 물리치는 극기와 굳센 의지를 기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천군전」에 나타난 敬과 義의 관계를 살펴보면, 敬은 내부에서 마음을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고, 義는 마음이 외부와 관계를 올바르게 형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天君傳」에서 묘사하는 있는 것은 敬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 마음의 안정을 위한 회복에서도 敬의 역할을 매우 비중있게 묘사되어 있고, 義는 敬이 제 기능을 수행하면 따라오게 되는 종속적인 성격으로 묘사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ducational meaning of Dong Kang Kim Woo Ong's Chen-kun-jeon(天君傳). According to this aim, to study Dong Kang Kim Woo Ong's Chen-kun-jeon(天君傳). I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 of human mind and principle of human mind. And I researched the meaning of 「Chen-kun-jeon(天君傳)」,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method. The background of Kim Woo Ong's Chen-kun-jeon(天君傳) is rooted in Nam Myung's Sin-myung-sa-do(神明舍圖). Nam Myung's Sin-myung-sa-do(神明舍圖) is emphasize of Kyung(敬)-Euy(義). Therefore the important point of Chen-Kun-jeon(天君傳) and Sin-myung-sa-do(神明舍圖) are the idea of Kyung and Euy. We can say that the essential idea of Nam Myung's school is mastery and practice of Kyung and Euy. Because Nam Myung valued much of Kyung and Euy.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goals and method, Kim Woo Ong's Chen-Kun-jeon(天君傳) is valued practice of Kyung and Euy. Kyung and Euy was the basis of the inner cultivation and outer in the field of education. Kyung is related to the education honesty, sincerity, purtiy, and brightness. Therefore Kyung is the basis of cultivation our outer behavior right and proper. We keep our mind bright and right by Kyung controlling our mind. Euy is related to the education of congnition and practice. Man's cognition and practice have much to do with the outer world of us. So Euy is the way of pursuing the proper relation between the outer world and us.

      • KCI등재후보

        조선 사대부의 마음에 관한 성찰 -황중윤(黃中允)의 『천군기(天君紀)』를 중심으로

        진서금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2023 공존의 인간학 Vol.- No.10

        ‘Cheon-goon’ novels were those that Joseon intellectuals created and enjoyed based on the Neo-Confucian`s mind theory perspective since the late Goryeo Dynasty to Joseon. It is a uniqu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arly ‘Cheon-goon’ novels were developed influenced by Chinese literature. Satirical and humorous elements were added to give some enlightenment or lessons through the main character's actions. Cheon-goon-jeon of Kim Woo-ong appeard and establish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composure’. Soo-seong-jee o f I m Je revealed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he discontented feeling about reality by using the mind theory. Cheon-goon-gi created by Hwang Joong-Yoon and to restore the mind through internal contrition. Anyway Cheon-goon-gi speaks of one's mind in which Joseon intellectuals made a common argument that they should hold their minds well under any circumstances. ‘마음이 성과 정을 거느린다[心統性情]’는 논리를 허구화한 조선의천군소설(天君小說)은 중국 가전체(假傳體) 문학의 영향을 받아 창작된 것으로 마음이나 몸의 지체를 의인화하고, 주인공의 행적을 통해어떤 깨달음이나 교훈을 주기 위해 풍자적이고 해학적인 우언(寓言) 의 요소를 가미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바이다. 황중윤(黃中允)은 성리학적 심성론을 사용하여 『천군기(天君紀)』를창작하고, 마음을 의인화하여 천군(天君)이라는 주인공으로 삼아 그에게 자신의 마음을 기탁하였다. 과거급제로 환해(宦海)에 나간 것이황중윤에게는 곤경에 처하게 되는 빌미였으며, 오직 내적인 깊은 성찰과 회심만이 바른 마음을 회복할 수 있고, 회복된 마음은 내적인갈등과 외세의 침략을 모두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 설파하고 있다. 황중윤은 자신의 삶과 역사를 『천군기』에 투영하여 흥미 있게 사건을전개하며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에 앞서 자신의마음을 먼저 다잡아야 한다는 주장을 풍자와 해학으로 펼치고 있다. 본고는 조선의 사대부인 황중윤의 『천군기』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소용돌이치는 역사 속에서 그가 어떻게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지, 『천군기』를 창작한 시대 배경과 『천군기』의 특징과 의미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천군기』가 성리학적 심성론의 관점으로 서사되었다는 점을 주목하였으며, 작품의 주인공인 천군의 마음 변화 과정과 마음 회복의 방법을 통하여, 조선 사대부들의 마음에 관한 성찰을 탐구하였다.

      • KCI등재

        <천군전>, 남명학파의 정치적 상상력

        엄기영 ( Ki Young Um ) 한국고소설학회 2015 古小說 硏究 Vol.39 No.-

        본고는 그동안 주로 성리학 심성론과의 관련 속에서 그 의미가 해석되어왔던 <天君傳>을 정치적 맥락에서 읽으려는 시도이다. 이는 曺植이 제자 金宇瓮에게 <천군전>을 짓도록 명한 이유와 배경이 창작 시점인 1566년을 전후한 정치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조식은 戚臣과 權臣이 권력을 전횡하는 당시 정치 상황에 대해 비판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그가 여러 차례 벼슬을 거부하고, 당시 조정에 대해 비판했던 글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비타협적인 태도로 평생을 일관하던 조식이 돌연 태도를 바꾸어 조정에 나아갈 것을 결심하게 되는데, 바로 이때가 1566년이다. 조식의 이런 태도 변화는 1565년부터 이어진 일련의 정국 변화와 관련이 있다. 文定王后의 죽음, 普雨의 축출, 尹元衡의 실각과 李浚慶의 영의정 제수 등이 그것이다. 조식은 정국의 이런 상황을 예의 주시하였으며, 그의 제자들은 정국의 변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조식은 이런 상황에서 김우옹에게 <천군전>을 지을 것을 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 이유와 배경은 이를 염두에 두고 설명해야 한다.< 천군전>이 당시의 정치 현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음은 여러 가지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太宰 敬과 百揆 義의 강조와 이로 인한 天君의 상대적인 축소, 위기의 원인인 公子 懈와 公孫 傲, 銀海의 도적 등은 문정왕후의 그늘 밑에 있었던 明宗, 명종의 外叔 윤원형, 전라도 남해안 일대에서 발생한 乙卯倭變 등과 겹쳐진다. 그리고 史評에서 제기된 재상에 대한 강조는 숱한 士禍와 獄事를 겪은 조선의 지식인들이 고민했던, 왕권과 신권 사이의 균형이라는 정치 체제의 문제에까지 그 의미가 미친다. 조식은 <乙卯辭職疏>와 <戊辰封事> 등을 통해 정치와 학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펼쳤지만, 그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끝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리고 이는 李滉과 구별되는 점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의 견해는 수제자 김우옹을 통해 宣祖에게 전해졌다. 바로 김우옹이 宣祖의 명을 받아 지어올린 <聖學六箴>을 통해서이다. <성학육잠>은 선조의 명을 받아 지어졌다는 점, 그 내용이 <신명사명>, <천군전>과 이어진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신명사도, 명>과 <성학육잠>, 이 둘을 연결하는 지점에 <천군전>이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am going to make out the meaning of Cheongunjeon(天君傳) from a political stand point. Jo Sik(曺植 1501∼1572) ordered Kim Woo Ong(金宇瓮 1540∼1603) to write this work in 1566,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Joseon(朝鮮) at that time. Jo had deplored the corruption of politics and rejected a government post several times. However, he shifted his position unexpectedly and decided to go into government service, it was 1566. His change was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 Queen Munjeong(文定王后)``s death, the expulsion of Buddhist monk Bowoo(普雨), the downfall of Yun Won Hyeong(尹元衡) and so on. Jo was keeping a close eye on the political situation and his disciples played the important roles in the political change. This work allegorically showed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Jo addressed a memorial to the King several times, but his political assertion was not embraced in his lifetime. In this sense, he was distinguished from Yi Hwang(李滉 1501∼1570). But his assertion was conveyed to King Seonjo(宣祖) by Kim, his disciple. Kim wrote Seonghakryukjam(聖學六箴) and gave it to the King in 1574. This work has the important meanings, because the contents of this work is closely related to Shinmyeonsamyeong(神明舍銘) and Cheongunjeon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In other words, Cheongunjeon is the connection between Shinmyeonsamyeong and Seonghakryukjam.

      • KCI등재

        <天君紀>의 修養論 形象化, 그 志向價値에 대한 새로운 認識

        신태수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7

        Cheongungi holds revolutionary status in the history of the Cheongun discourse, which used to be a didactic genre of explaining and conveying training theories. It was converted into a novel genre of embodying training theories by the time of Cheongungi. There is a need to focus on characters of Cheongungi to understand the pattern of genre conversion. The main characters include Cheongun, the Loyal Subject, and Enemy General. Cheongun loses his Bonseong by neglecting his cultivation of Mibalsi. The Loyal Subject reprimands Cheongun that is lazy with his training. The Enemy General is sensitive to interests. The speaker of Cheongungi introduces the Enemy General has a quick eye for profit rather than being a bad man. He highlights Cheongun's restoration of his Bonseong by the help of his Loyal Subject. The author's viewpoint of the political scene those days is projected on this value sought after by them. The value sought after in Cheongungi provides two lessons for modern people. One is that Bonseong has immunity and healing functionality, and the other is that the mind has cosmic nature and independent status. Each of the lessons is followed by their training methods: reading, meditation, painting, climbing, and writing will be proper for the first lesson, and episodes about Simseong of Toigye and Judoni will be fit for the second lesson. <천군기>는 天君談論의 역사에서 획기적인 위상을 점하고 있다. 천군담론이 종래에는 修養論을 설명ㆍ전달하는 敎述 갈래였지만, <천군기>에 이르러 수양론을 형상화하는 敍事 갈래, 그 중의 소설로 전환되었다. 갈래 전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천군기>의 인물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天君과 忠臣과 敵將이 주요 인물이다. 천군은 未發時의 涵養을 소홀히 해 本性을 잃고, 충신은 수양을 게을리하는 천군을 질타하고, 적장은 이해관계에 민감하다. <천군기>의 화자는 적장이 惡人이기보다는 잇속에 밝은 자라고 소개하며, 천군이 충신의 도움을 받아 본성을 되찾는다고 역설한다. <천군기>의 志向價値는 현대인에게 교훈 두 기지를 제공한다. 본성이 免疫力과 治癒 機能을 지녔다는 점과 心이 우주적 성격과 주체적 위상을 지녔다는 점이 그것이다. 각 교훈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들면 다음과 같다. 도덕적 본원, 즉 仁의 함양 노력이 첫 번째 교훈을 구체화하는 방안이고, 인욕의 억제와 천지만물의 生意 체인 노력이 두 번째 교훈을 구체화하는 방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