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正祖의 壯勇營 운영과 정치적 구상

        이방섭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3 No.-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conditions of operation of Jangyong-yeong built in the 12th reign of King Jeongjo(1778) and analyze the installation process, organization, and human relations, the financial size, and changes. King Jeongjo(正祖) was 22nd king of Joseon Dynasty and rose to the throne despite his father, Prince Sado's(思悼世子) death. In the early period, Noron had the political power and he was strongly related to Prince Sado’s death. King Jeongjo tried to appease Noron(老論) to unify political community and to secure military power by seizing Ohgunyoung(五軍營) and military post. In addition, he installed the military camp Jangyongyoung and concentrated military power centered on Ohgunyoung to Jangyongyoung to lay the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loyal authority. Jangyongyoung had no big difference from Ohgunyoung in terms of organization and system, but King Jeongjo intervened actively in human relations of Jangyongyoung unlike Ohgunyoung. King Jeongjo selected his most trustworthy people for major public positions including the general of Jangyongyoung. Moreover, he considered the ability and intention of a well-qualified person instead of the existing selection process or principals. Accordingly, the authority of Jangyongyoung was promoted by Ohgunyoung, and Jangyongyoung took a great portion in the promotion process for a general of military camp. Meanwhile, King Jeongjo continued to increase military strength of Jangyongyoung besides president’s bodyguards and urban defense. In addition, he tried to operate Jangyongyoung as a crack troop by supplying books about martial arts to promote Jangyongyoung soldiers’ marital arts. However, it was hard to operate Jangyongyoung smoothly only with Naetang(內帑), which was royal finance, according to King Jeongjo’s intention. Therefore, King Jeongjo appointed Jung Min-si(鄭民始) as a Jejo(high-ranking official 提調) or a head of Jangyongyoung to give him responsibility in finance of Jangyongyoung. Jung Min-si fulfilled insufficient supplies of Jangyongyoung from other organizations to prepare financial foundation stably. The financial size of Jangyongyoung was increasing as the reign of King Jeongjo went on, but the operation of exchanging grain imposed a severely heavy tax burden. The accumulated finance of Jangyongyoung was intensively used in Ulmyowonhaeng(乙卯園幸), formation of Hyeonryungwon(顯隆園), and especially Hwaseongseongyeok(華城城役). Jangyongyoung was operated to both prepare military force and ensure finance as an important foundation to realize King Jeongjo’s political construction. 본 논문은 정조 12년(1788년)에 설치된 장용영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로서 장용영의 설치 과정과 조직 및 인사, 그리고 재정 규모와 변화를 분석한 글이다. 정조는 조선의 22대 국왕으로 생부인 사도세자의 죽음이라는 위기를 딛고 왕위에 올랐다. 즉위 초기의 정치 주도권은 노론에게 있었는데, 노론은 사도세자의 죽음에 관여했던 정치 세력이었다. 정조는 노론을 회유하여 정치권을 통합하고, 오군영과 군권을 장악하여 군사력을 확보하려 하였다. 또 친위군영인 장용영을 설치하고, 오군영에 편중되어 있던 군권을 장용영에 집중시킴으로써 왕권강화의 발판으로 삼았다. 장용영은 조직ㆍ체제 등에서 오군영과 유사한 모습이었지만, 오군영과 달리 인사문제에 정조가 적극적으로 개입한 점이 특징이었다. 정조는 장용영 대장을 비롯한 주요 관직에 자신이 가장 신임하는 인물을 선발하는 편이었다. 그리고 기존의 관리 선발 과정이나 원칙보다는 적임자의 능력이나 자신의 의향을 중요시하였다. 이에 따라 장용영의 위상은 오군영의 반열로 격상되었고, 군영대장으로의 승진 과정에서 차지하는 중요성도 높아졌다. 한편, 정조는 국왕호위와 도성수비 병력 외에도 장용영 병력을 지속적으로 늘려갔다. 또한 무예서 보급 등을 통해 장용영 병사들의 무예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장용영을 정예로운 군영으로 운영하려고 노력했다. 한편, 장용영은 정조의 말처럼 왕실재정인 내탕만으로 원활히 운영되기는 어려웠다. 이에 정조는 정민시를 장용영 제조와 대장으로 임명하여 장용영 재정을 확보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했다. 정민시는 장용영의 부족물자를 다른 기구들로부터 이속시킴으로써 재정기반을 안정적으로 마련하였다. 장용영의 재정 규모는 정조 집권 후기로 갈수록 증대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환곡 등의 운영이 증가하면서 백성들에 대한 조세수탈을 가중시키기도 했다. 이렇게 축적된 장용영의 재정은 을묘원행, 현륭원 조성, 특히 화성성역에 집중적으로 이용되었다. 장용영은 정조의 정치적 구상의 실현 위한 중요한 디딤돌로서 군사력 마련과 재정 확충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위해 운영된 것이었다.

      • KCI등재

        조선 중기 포도대장(捕捕盜大將)인사 특성과 정치적 의미

        차인배 ( In Bae Cha ) 대구사학회 2013 대구사학 Vol.112 No.-

        조선시대 左右捕盜廳은 도성 내의 포도·순작을 담당했던 치안기구였다. 포도청의 총지휘관인 左右捕盜大將은 무반 종2품계에서 발탁되었고, 치안권이 부여됨으로써 정치적 권한 또한 적지 않았다. 임진왜란 이후 포도대장의 인사는 신설된 중앙군영의 대장과 겸직체계로 전환 되면서 군사적·정치적 비중이 높아졌다. 특히 조선 중기 붕당정치가 진행되면서 파벌 간 갈등이 고조되었고, 이때 각 당파는 정치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수단으로 포도청 및 5군영의 물리력을 장악하는데 주력하였다. 따라서 포도대장은 집권세력의 당색을 가진 인물 중에서 선발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관계로 선출된 포도대장은 집권 당파의 정국운영에 적극적으로 호응하였다. 특히 숙종대 5군영체제가 정착되면서, 방위전략이 도성의 집중적 방어체제로 전화되었다. 이에 따라 도성수비를 담당했던 訓鍊都監·御營廳·禁衛營과 도성의 치안을 주관했던 포도청의 위상은 어느 때 보다 높아졌다. 換局政治期남인과 서인의 정치적 갈등 양상은 포도대장과 군영대장의 인사와 겸직체계를 고찰함으로써 구체적인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향후 조선 후기 군영대장과 포도대장의 인사와 겸직제도로 영역을 확대시킴으로써 조선 후기 군권과 치안권의 정치적 향방을 가늠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Right and Left Police Departments of Joseon period was the security unit in charge of catching the thief and going on a round of inspection in the capital. The Right and Left commissioners of Police Departments were appointed in rank 2B post of military officer order and had also much political authority by being given security power. Contrary to the former of Joseon period, the Commander of Police Department wa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military and political aspects after Japanese invasion of 1592, holding additional the commander of central-garrison position. Furthermore, as factional strife intensified in the middle of Joseon, each partisans all sought to hold physical forces of Capital Police and Five Army Garrisons by a mean to inevitably foreordain political predominance. Accordingly, the Commander of Capital Police was appointed among limited members belonging to each political party. The Commander of Capital Police selecting under political conditions supported actively political situation of ruling party. As the organization of Five Army Garrisons settled in Sukjong period, the strategy of national defense was changed into intensive defense system centering the capital. As a result, Military Training Command, Royal Guards Command, Capital Garrison, Capital Police being responsible for security of the capital occupied high position. In the purge period, the political struggle among political parties, such as Southerners and Westerners can have a thorough grasp of the phases by investigating the personnel of the commanders of each garrison and capital police, plural offices` system. The thesis would form a basis of pursuing political sense of military and security power by more extending the areas until the organization on commanders of each garrison, the personnel of the commander of capital police, and plural offic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후기 수도권 방위체제의 정비와 군사도시화 경향

        李旺茂(Lee, Wang-moo)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4 군사 Vol.- No.9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hanges in the system of the military aspects of the capital city in late Joseon Dynasty, especially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After a series of war, two times of invasions at those times, the military power was focusing on the defense system of the capital city and the metropolitan area. This was the result of the military strategy that the Joseon dynasty in late period had pursued. Joseon dynasty had carried out the overhauling and installation of Five military systems or organizations which were regular forces in capital city ‘Hanyang’ and it’s surrounding area, such as Hunlyondokam(the group of military officer for defending the capital area after the invasion of Japan), Uryoungchong(It was installed after Igual’s rebellion to defend the key fortress of the capital city), Kumwiyoung(It’s mission was the royal palace defense), Suurchoung(It was activated for the southern part of capital), Chongungchong(It was also installed after Igual’s rebellion for the defending the northern part of capital.) There was great human migration toward the capital city caused by abnormal climate, frequent famine and epidemic. Thanks to the rapid increase of population in the capital, Economic developments in the area had been in progress. As a result of those things, the capital was urbanized rapidly. So It was necessary for Joseon to overhaul the militay systems with the increased populations. These phenomena had not just happened in the Joseon Dynasty but happened in other countries which was global trends. The reinforcement and overhaul the military systems caused by the urbanization was similar to European Kingdoms’ cases after the military revolution of the 17~18th century. This paper focused on the capital city’s population that increased in late Jeosun Dynasty, and which would explain the concepts about the urbanization and the overhauling military systems in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장서각 소장 군영자료의 성격과 가치

        정구복(Chung, Ku-bok)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장서각 Vol.0 No.33

        오늘날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이 소장한 군영등록은 59종 569책에 달하고, 이 가운데 『훈국등록』이 93책이다. 조선 후기의 군영자료가 장서각에 남게 된 것은 1882년 훈련도감ㆍ금위영ㆍ어영청이 폐지되어 친군 5영으로 개편될 때에 자료까지 인계되었다가 1894년 친위대와 시위대로 개편되고, 1907년 군대 해산 과정에서 이 자료들이 궁내부를 거쳐 1912년 이왕직으로 인계된 것이 아닐까 한다. 장서각에 소장된 5군영의 자료는 주로 등록 자료로서 연ㆍ원ㆍ일 순으로 기재되어있고 대부분 초서로 되어 있다. 『훈국등록』이 선조와 광해군 대의 자료가 유실되어 전하지 않음은 흠이라 할 수 있다. 훈련도감은 조선 후기 중앙 군영 가운데 핵심 군영으로서, 『훈국등록』은 조선왕조의 군대 운영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다. 무엇보다도 조선왕조의 군대가 침략군이 아니라 왕조를 유지하기 위한 평화 군대였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훈국등록』을 비롯해 5군영 등록 자료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군제사는 물론, 서울의 도시사ㆍ생활사를 연구할 가치가 있다. 이는 군영의 문제가 군제사만이 아니라 당시의 정치 행태와 그 특성, 사회 신분 제도의 문제, 그리고 국가 경제를 연구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장서각이 가지고 있는 16세기 이래 19세기까지 300년간에 걸치는 상세한 군영자료는 조선 후기 문화유산 중 소중한 자료이며, 한국학의 독보적 자료다. 이 자료를 길이 보존하기 위해서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할 필요가 있으며, 서지 연구를 비롯해 군제에 대한 기초 연구 및 학제 간 공동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탈초ㆍ번역ㆍ주석의 가공 작업이 하루속히 완결되어 결과물을 보급해야 한다. Today, at the Jangseogak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re are total of 569 volumes of materials collected in 59 types of documents which were produced by the Joseon Military Camps during the middle and latter half periods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should be noted that among all of those records, there are 93 volumes of a compilation named Hun’guk Deung’rok. The Jangseogak Materials either produced by or related to the Five Military Camps of Joseon are mostly “Deung’rok” materials, which documented events in chronological order but were written in Choseo-style Chinese calligraphy. Unfortunately, entries from the eras of kings Seonjo and Gwang’hae-gun are missing. But considering the fact that “Hun’ryeon Dogam” was the most crucial body of administration among all the official military camps established at the country’s center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dynasty, Hun’guk Deung’rok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nvaluable sources of information which would let us know how the Joseon army was run and operated. What should not be neglected is the fact that the Joseon military was not an army of invasion but a tool for peace, and the contents of Hun’guk Deung’rok serve as a testimony to that. Ultimately, all the Deung’rok materials from the Five Military Camps, including Hun’guk Deung’rok, enable us to learn many things concerning the military history of Joseon(in its later period), history of the Seoul Capital, and the living styles of the Joseon people. It is most fortunate that Jangseogak has kept all these detailed Military camps-related materials, that had been created since the 16th century through the 19th, in sound custody. Three centuries’ worth of these materials are most definitely a solid part of Korea’s proud cultural heritage, and profoundly important materials for future Korean studies. In order to preserve them, we should find a way to have the legacy of these materials be justly recognized as part of the “Memory of the World” in the near future, and in order to effectively pursue such goal, both bibliographical and historical studies of these materials should relentlessly go forward through group efforts based upon individual studies. The contents should be translated and annotated as quickly as possible, as such efforts would greatly enhance the materials’ accessibility for both scholars and the public.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訓鍊大將의 성격과 정치적 위상

        나영훈 ( Na Yeong-hun ) 청계사학회 2021 청계사학 Vol.23 No.-

        본 논문은 조선후기 군영 가운데 하나인 훈련도감의 대장을 대상으로 가계와 출신 등 개인 來歷과, 이직과 전직 등 官歷을 살펴서 그 정치적 위상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종2품의 훈련대장이 어떤 성분을 지닌 인물을 차출했는가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접근한 지표는 훈련대장의 出身이다. 조선후기 훈련대장은 문과와 무과, 문음 출신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훈련대장은 대부분 무과 출신이었다. 그런데 숙종대부터 문과 출신도 훈련대장에 제수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추세가 변경된 것은 순조가 즉위한 이후, 이른바 ‘세도정치기’로 불리는 시기로 들어서면서 부터였다. 19세기 전반기 동안 문과 출신이 무과 출신보다 더 많은 훈련대장을 배출한 유일한 시기였는데, 이는 모두 왕실외척이었다. 이어, 훈련대장의 가계에 주목하였다. 훈련대장의 가계는 특정 가문의 독점 여부와 이들의 성향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훈련대장의 성격 이해를 위해 이들이 공신, 종친, 외척과 같은 특정 집단의 가계인지 살피는 것이다. 훈련대장은 능성구씨와 평산신씨에서 가장 높은 비중으로 차출되었다. 이 두 가문은 조선후기 대표적인 벌열무가의 하나였다. 훈련대장은 기본적으로 전통적인 무가에서 역량이 있는 인물을 차출하는 경향이 강했지만, 그 외에는 왕실과의 특수한 관계로 제수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것은 왕실의 외척과 종친, 공신 가문이 포함된다. 훈련대장은 절반 가까이 왕실외척이거나 종친이거나 공신이었다. 이는 개인적 역량과 함께 왕실과의 친연성이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알려주는 것이다. 다음으로, 훈련대장의 정치적 위상을 살펴보기 위해 재임기간과 이직, 전직, 최고관직 등과 같은 관력을 통해 훈련대장의 관직 성격을 분석했다. 훈련대장은 평균 2년 이상을 재직하였는데, 특정한 인물들은 5년 이상 훈련대장에 자리하며 대표적인 무인으로 자리하였다. 17세기 훈련대장은 잦은 교체보다 오랜 기간 신임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국왕의 개인적 친연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영정조대에는 잦은 교체를 보였는데, 이 역시 국왕이 군사권과 인사권에 강하게 개입하는 시대적 상황에서 나온 조치였다. 훈련대장은 주로 어영대장이나 금위대장과 같은 동일한 삼군문의 수장을 역임한 이후 제수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훈련대장의 임기를 마치면 승진하여 병조판서에 제수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는 훈련대장이 5군영의 대장 가운데 가장 높은 위상을 지닌 관직이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처럼, 조선후기 훈련대장의 면면을 분석함으로써 훈련대장의 정치적 입지나 위상에 대한 실상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었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훈련대장 개인의 성분이나 관력에 초점을 맞추어서 몇 가지 역사적 의미 부여에 미흡하였던 한계도 존재한다. 예컨대, 훈련대장의 실제적인 역할과 권한 등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여야 그 관직의 권위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훈련대장과 함께 거론되는 어영대장, 금위대장, 총융사, 수어사와의 비교분석도 필수적일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mily background and official career of commanders of the Military Training Directorate, officials of rank 2B, and clarifies their political status. First of all, which examination they took is investigated. To be specific, whether they took a civil examina-tion or a military one is ascertained. Most commanders turn out to have been from among the military examination passers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However,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one of the civil examination passers also was appointed as commander. Moreover,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it happened for the first and the last time that the number of civil examination passers who became commander, became higher than its counterpart. All of them were of royal in-law families and thus this period is called the era of in-law government. Secondly, each commander’s family background is investigated. Whether he was of a certain powerful clan is discovered. Most commanders emerged from among the Neungseong Gu clan or among the Pyeongsan Sin clan. Both of them were powerful military clans. Thirdly, each commander’s term of office and official career are analyzed. Most of the commanders served for two years or more, but certain ones served for more than five years. During the 17th century it seems that they enjoyed long terms of office because of their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kings. However, their term became shorter during the 18th century because they were frequently replaced by different kings, such as Yeongjo and Jeongjo, who got involved in military per-sonnel matters. When the commander finished his term, it was usual for him to be promoted to the minister of military affairs. This indicates the commander of the Military Training Directorate held the highest sta-tus among the commanders of the Five Army Garri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