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애사 접근법에 기초한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언어교육방법의 선택과 인식변화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김은정,최성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7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8 No.1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selection and perception change to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of teachers in the level of the kindergarten of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ment based in life history. Two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kindergarten of the school dor the hearing impairment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two teachers had teaching experiences more than 23 years. The interview method was utilized for this study. Two hours every three meeting were required for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kindergarten preferred the oral method other than those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s; and (b) the teachers' perception in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changed after experiences of newly appointed teacher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kindergarten maintained the main point how to select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focused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ed infant. 이 연구는 생애학적 접근에 따른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의 선택 배경과 언어교육방법에 대한 인식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하여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로 재직 중인 교사 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설문지, 전화, 이메일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면접을 시행하였다. 또한 현직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삶과 교직생활을 토대로 언어교육방법의 선택과 인식변화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생애사 연구의 주된 접근 방법인 내러티브 분석 방법의 절차를 거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의 주된 선택은 구화법이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에 대한 인식 변화는 초임 교사 시절을 보낸 후에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의 선택 배경과 인식변화는 교사의 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경험이 다양해지면서 청각장애유아를 교수함에 있어 많은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인은 청각장애유아의 개인적인 특성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통한 효율적인 언어교육방안 모색

        허명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1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ho doesn't listen auditory information should be different from linguistic systems processing with normal hearing students. It does not take activity at first auditory cortex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about auditory stimul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 to how processing for linguistic systems on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surve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investigat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m. Hearing impaired children were revealed activation at superior parietal lobule in left hemisphere, differ with normal hearing.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hearing impaired children received linguistic information through space-sensory. Therefore, to grow learning ability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as increase experiential information using their space-sensory, like as sign language. But in Korea, special schools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not educational planning for sign yet. Hence we have to establish linguistic education plain to learn sing for their parents and teacher.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피드백의 결손으로 인해 언어자극을 받아들이는 대뇌 경로가 건청아동과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결함으로 대뇌 일차 청각피질의 활성이 청각이 아닌 다른 정보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어떻게 받아들이게 되는 것일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적합한 언어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받게 되면 청각적 피질이 아닌 공감각적 피질인 두정엽영역의 활성이 활발하며, 언어자극을 기억하는 대뇌 피질영역들이 공감각적인 요소들을 기억하는데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따라서 청각장애아동이 초기 언어지도를 위해 수화를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고 그와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에 밝혀졌다. 그러나 국내 특수학교에서는 수화 관련된 교육과정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특히, 영유아부에서는 부모나 교사들의 전문성이 고려된 언어지도가 제공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구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청각장애아동의 효율적인 언어지도를 위해 다양한 언어지도방법에 숙련된 교사와 부모, 그리고 구화를 강조하지 않은 융통성있는 언어지도방법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청각장애 교육과정 적합성 고찰

        권순황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6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7 No.2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culum had about five decades since the Education Department issued the first Special Schools Currculum in 1967. The object of the current study i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based on the half-century history. First, what i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Korean deaf curriculum? Second, to what extent has the curriculum been appropriate? To answer those inquiries, the author first conducted a longitudinal comparison of the deaf curriculum. In addition, the author reviewed the literatur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af curriculum. The results tell us that first, the deaf curriculum has been improved in both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Still it faces endogenous demand for the betterment of deaf students’ academic ability and exogenous demand for the reflection of the societal turbulences. Seco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af curriculum is directly related to its achievement standard. The balance between content- and performance- standard is the key to raise the curriculum achievement level. 문교부가 1967년 제1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을 공포한 이래 2015년의 현 개정특수교육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약 반 세기가 흘렀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청각장애 교육과정 변천 역사를 중심으로 다음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변천과정별 우리나라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공포된 청각장애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과 관련된 문헌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은 보편성과 특수성을 바탕으로 개선되어 왔다. 그럼에도 청각장애 교육과정은 내재적으로는 청각장애 학생의 학력신장이 요구되며, 외재적으로는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둘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은 청각장애학생의 성취수준을 고려하여야 한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적정선을 고려한다.

      • A청각장애학교에서 실시한방과 후 통합교육 절차 분석

        이정우,김정중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3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clusive after-school program procedures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onducted from 2003 to 2008 at A school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For this purpose, an analysis of school official documents associated with inclusive after-school programs from 2003 to 2008 an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of inclusive teachers(A, B) were conducted. As a result, inclusive after-school program conducted at special school was implemented as following sequences. ① Recruitment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ho hope inclusive education, ② Special teacher’s regular school visiting who are responsible for inclusive education and the discussing about inclusive educational plans meeting, ③ General school principal’s approving for implementing inclusive after-school program at special school, ④ Recruitment of students with hearing who want inclusive education considering the number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ho hope inclusive education and their sex ratio through helping of special class teacher, ⑤ Preparing safe school commuting route, ⑥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programs on Wednesday afternoon, ⑦ Collecting student's survey date, ⑧ Having finishing ceremony, ⑨ Sending to general school a official document about inclusive education results and volunteer activities contents, ⑩ Follow-up visiting with delivery of inclusive education photos and sending grateful message to regular students’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 only show procedure of the inclusive education after-school programs but also give an good example of inclusive after-school program on special schools students having severe and multiple disorder. 본 연구는 2003∼2008학년도 A청각장애학교에서 실시한 초등학교과정 방과 후 교실 통합교육의 절차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3∼2008학년도 A청각장애학교에서 실시한 초등학교과정 방과 후 교실의 통합교육 관련 공문과 통합교육 담당 교사(A, B)와의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수학교에서 실시한 방과 후 통합교육 절차는 통합교육 희망 청각장애학생 모집, 통합교육 담당 특수교사의 일반학교 방문 및 통합교육계획 회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학교장의 승인, 특수학급담당교사 협조를 통한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희망 학생 수와 성비를 고려한 통합교육 희망 건청학생 모집, 안전한 통학로 확보, 수요일 오후 통합교육 실시, 통합교육 실시 후 통합교육에 대한 학생 설문, 수료식, 통합교육 평가결과 및 자원봉사활동 이수증 송부, 수료식 후 해당 일반학교에 방문하여 통합교육 사진 자료 전달, 건청학생의 학부모에게 감사의 메시지 전송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방과 후 통합교육 절차를 소개하였을 뿐만 아니라, 중도․중복화 되어가는 특수학교에서의 방과 후 교실 통합교육의 모델을 제공하는 것에 그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청각장애학교 초등학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 선택과 효율성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윤지원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5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6 No.1

        In the hearing impairment education the selection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important factor to ensure the effective education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selection and effectiveness in language teaching method of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elementary at school for hearing impairment. Two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interview method was utilized for this study. Researcher and the two teachers met the fifty to one and half hour every three times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selection of language teaching method of the hearing impairment school teachers in the level of elementary was influenced by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language and educational needs; and (b) the effectiveness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influenced by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needs of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parents was main factor to select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and the attitudes on deaf culture and sign language also was main factor to determine the effective language teaching method.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초등학교에 재직중인 교사 2명을 대상으로 언어교육방법의 선택과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특수교육 총 경력이 15년 이상이며 청각장애학생을 지도한 경력이 10년 이상인 교사 중에서 청각장애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 이상을 수료한 경우로 제한하였다. 연구 참여자 면담결과를 내러티브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어교육방법의 선택배경은 청각장애학생의 언어와 교육적 요구에 기초하고, 수화와 구화 중에서 선택하기보다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수용하고 있었다.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언어교육방법의 효율성은 청각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또한 언어교육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보다 청각장애학생과 부모의 요구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을 또한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수어의 숙달도가 교수학습 방법과 근접발달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구조 관계

        강태인,최성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3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4 No.3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수어의 숙달도, 교수학습 방법, 근접발달대의 구조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수어 숙달도, 교수학습 방법, 근접발달대 각 10문항씩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전국의 14개 청각장애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수어 숙달도는 청각장애학생의 교수학습 방법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수어의 숙달도는 청각장애학생의 근접발달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아니다. 셋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 숙달도가 교수학습 방법을 매개할 경우에 근접발달대가 고려된 수업이 가능한 구조이다. 넷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 숙달도는 ‘숙달도’ 자체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에 따라서 교수학습 방법의 효율성이 달라질 수 있는 구조이다. 결론적으로 청각장애학교 교육의 효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 숙달도 및 교수학습 방법의 전문성 구축이 전제되어야 청각장애학생의 눈높이 교육이 실행될 수 있는 구조임을 이 연구에서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ntitative study to analyze the proficiency of s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proximal development zone recognized by teachers in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ment.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30 questions, 10 each of sign language proficienc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oximal development.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zes were applied to find out the sign language proficiency leve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proximal development zone of teachers at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ment. SPSS 25.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were applied for all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ign language proficiency recognized by the deaf school teachers was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education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Second, the level of proficiency in sign language perceived by teachers at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ment was not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proximal developmental zone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hird, when the sign language proficiency of a teacher at a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ment mediat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t was possible to conduct classes considering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Fourth, the sign language proficiency of teachers at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ed was a structure in which the effici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an vary according to the efforts to improve the ‘proficiency’ itself. In conclusion, in order to ensur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n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eacher’s proficiency in sign language and the establishment of expertise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the prerequisites for the structure in which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can be implemented at eye level.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인식 및 개발역량에 관한 연구

        김동인,정은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3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eacher-level curriculum and the degree of teacher-level curriculum development capability of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75 teachers of 13 schools for hearing impaired nationwid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teacher-level curriculum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was ave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variables such as teaching experience, school level, experience in guiding hearing impaired students, experience in operating curriculum, and experience in guiding deaf and hard of hearing children. Second, the degree of teacher-level curriculum development capability of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avera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variable groups. Finally, the necessity of distributing guide materials that reflect the specificity of hearing-impaired education and include practical examples, and the development of training activit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field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various types of curriculum requir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student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인식 정도와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정도를 알아보고 변인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13개 청각장애학교 교사 7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인식 정도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교직 경력, 학교급, 청각장애학생 지도 경력, 교육과정 운영 경험, 청각중복장애학생 지도 경험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정도는 보통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변인 별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청각장애 교육의 특수성이 반영되고 실제적 사례가 포함된 안내자료의 보급과 청각장애학교 학생 구성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을 위해 현장성과 실제적 맥락이 고려된 교사 연수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청각장애유아의초등학교 통합교육 준비를 위한 전환교육

        오혜정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2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3 No.1

        As the value of inclusive education is increased and medical technology is developed, many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enter general elementary school rather than deaf school. However, some of the students who had selected inclusive education returned to deaf school after some period of time. Many researches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inclusive education, and presented future directions on inclusion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But, inclusive education has not been successful so far. This paper aims to present how transition education is important for the students with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ho are in the age of entering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situation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shown on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the need and support programs of transition education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For the preparation of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t is essential to provide transition education with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education for preparation of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 the programs linked between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 and elementary school institution, a system for professional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education, skills that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should acquire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and program that parents should participate actively. 통합교육에 대한 가치가 확대되고 의료공학이 발달됨에 따라 많은 청각장애유아들이 일반초등학교로의 진학을 선택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교육을 선택한 청각장애아 중에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청각장애학교로 복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 동안 많은 연구들은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들을 제시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청각장애아의 통합교육은 질적인 성공을 이루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일반초등학교로의 전환을 앞두고 있는 청각장애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준비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전환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청각장애아 통합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성공적인 통합교육 준비를 위한 전환교육의 필요성과 지원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청각장애유아의 성공적인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준비하기 위한 전환교육은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기관 간의 프로그램 연계성 구축, 통합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제도적인 보완, 청각장애유아들이 통합교육 환경으로 전환되기 이전에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술교육, 그리고 부모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실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에는 청각장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도모하기 위한 체계적인 전환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실행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 청각장애학생 공통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권순황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2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general school curriculum for the deaf student meets government require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is based on following phase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s, it executed a survey of curriculum chief teachers in hearing impaired schools. It also interviewed the teachers at the chalk face to figure out their demand on current curriculum. From those methods, current study drew following results. First, the general school curriculum for the deaf students does not meet the government requirement from a developmental viewpoint. Second, the level of achievement on the curriculum is related to both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 expertise. Finally, to overcome those deficiencies, the curriculum should be adjusted to deaf students' development level so that its fitness is improved.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생의 공통교육과정이 국가수준의 요구에 맞게 운영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특수학교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자 첫째, 우리나라 청각장애 특수학교에서 초등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13곳의 특수학교와 중학교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14곳의 특수학교 및 고등학교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13곳의 특수학교교육과정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전집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둘째, 국립특수교육원에서 2013년도 시각․청각․지체장애학생 교수․학습자료 개발 기초연구를 위한 포커스 그룹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청각장애 교사가 인지하는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현장교사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교육과정은 특수학교에서 국가수준에서 요구하고 있는 공통교육과정이 운영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둘째, 청각장애교육과정은 청각장애학생의 인지발달수준과 교육환경 및 교사의 전문성과 관계가 있다. 셋째, 현행 청각장애학생의 교육과정은 청각장애학생의 발달수준을 고려하여 공통교육과정을 수정 개발함으로서 적합성을 높여야 한다.

      • 장애이해 프로그램이발달지체유아의 언어유형에 미치는 영향*

        김단아,최성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2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anguage categories of th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rough the understanding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wo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were 6 years old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one young child was placed in non-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and the other one was to placed i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The AB design was utilized for this study. The understanding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developed for total of 12 sessions, 3 sessions with base line and 9 sessions with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understanding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intraverbal of the young child who was studying in the non-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and (b) the understanding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intraverbal of the young child who was studying in the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understanding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intraverbal of the young child who was studying in the non-integr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s. It means that the inter activities with non-disabled young children and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ere effective to increase their turn and talk each other.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이해 프로그램을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언어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장애이해 프로그램에 만 6세인 두 명의 발달지체유아가 참가하였다. 한 유아는 비통합교육 환경에 배치하고 다른 유아는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하였고 기초선과 중재인 AB설계로 연구절차에 적용하였다. 장애이해 프로그램은 총 12차시로 3회기의 기초선과 9회기의 중재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비통합교육 환경에서 수학하고 있는 발달지체유아의 상호언어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통합교육 환경에서 수학하고 있는 발달지체유아의 상호언어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비통합교육 환경과 통합교육 환경에 수학하고 있는 발달지체유아의 상호언어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지었다. 그것은 비장애유아와 발달지체유아가 함께 활동함으로써 언어적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