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한국어 교육 방안 제언

        조경순(Kyung Sun Jo),이효인(Hyo In Le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9

        이 논문의 목적은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한국어’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 지원 현황을 살펴본다.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학생 대상의 한국어 교육 지원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학생 수에 비해 제한적인 인원만이 한국어 교육 지원을 받고 있으며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에게 의사소통 한국어 교육 지원이 집중되며 상대적으로 학습 한국어 교육은 부족하다. 또한, 의사소통 한국어 교육에 비해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학습 한국어’ 교육을 학교에서 진행하는 데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고는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학생의 ‘학습 한국어’ 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방안으로 “웹 기반 학습한국어 교육 플랫폼”을 제안한다. 이 플랫폼은 학생 수에 따른 학급 구성, 교육 접근성 등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맞춤형 코칭 서비스를 웹 기반 학습 플랫폼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가 체계적이며 적극적인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기반으로 학습 한국어를 익힐 수 있음을 논의한다. In this thesis, we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entering midway and from foreign families, and suggest ways to develop their skill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Since Midway Immigrant students and students from foreign families have to study, not only communication-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erformance is needed. Therefor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is examined.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fewer students were receiv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In addition, there is a large imbalance in area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 is placed on communi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for immigrants and students from foreign families, but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glecte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chool class. In this paper, a “web-based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tform” is proposed as a way to teach Korean language to students entering Korea midway and from foreign families. The ‘web-based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tform’ can eliminate problems such as class composition and educational accessibility. In addition, by applying the customized coaching service to the web-based learning Korean language learning platform, learners can acquire systematic and ac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KCI등재후보

        《표준한국어》교재 쓰기 영역 분석

        심지혜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0 한국어문화교육 Vol.14 No.2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표준한국어》교재 쓰기 영역의 쓰기 활동 유형과 쓰기 유형의 소재를 분석하여 다문화 학생들이 학업 수행을 함에 있어서 유용한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쓰기 영역의 소재가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쓰기 성취 기준과 부합하지 않는 부분들이 있었다. 작문 유형은 통제 작문의 비중이 크고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의 비중이 보다 적게 제시되어 있었으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기’와 ‘문자메시지’, ‘장래희망’과 같은 소재로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부합하는 소재를 제시하여 쓰기를 유도해야 할 것이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상생활의 소재뿐만 아니라 이슈, 화제, 사회 사건 등의 소재도 다루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area of the 《Standard Korea n》textbook for school-age students. As a result, there were areas where the subject matter of the writing field did not match the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As for the writing type, the proportion of controlled writing was large, and the proportion of guided writing and free writing were presented less, and the subject of free writing was limited to such as'diary','text message', and'hope for the future'. Cou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duce writing by suggesting materials that mee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and materials for free writing should deal with not only the subject matter of daily life, but also issues, topics, and social events.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고찰

        정명혜(Jung Myung Hy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 No.7

        As the national and social func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expanded and its status as a national policy has been rai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achieved quantitative growth and development for a short period of time. Despite this fact, it still has, however, many quality probl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too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suggest way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agencies such a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Ministry of Justice are participa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grounds for the agencies’ participation in that education and their major projects, and analy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laws pertaining to each agency. Based on this,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suggested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he policies. Firs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reoverlapping and confusing because several agencies conduct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different laws. So, there is a need for an agency that can be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vary according to the target of education, and there is a need to cultivate brandsthat represent Korean language education.Third,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is uniform without reflecting socio-cultural differencesby countr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for target countries. Fou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lacks diversity in education cont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ational standardized curriculum and standard textbooks. Fifth, when it com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s, there is sufficient support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whereasthere exists an educational blind spot for foreign work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for foreign workers. 한국어교육은 국가 사회적 기능이 확대되고 국가정책으로서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짧은 시간 동안 양적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양적 성장만큼 질적 내실화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어교육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법무부 등 한국어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부처별 사업 참여 근거 및 주요 사업 내용을 살피고 각 부처별 한국어교육 정책과 법령을 분석, 이를 토대로 한국어교육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모색했다. 첫째, 한국어교육 정책은 여러 부처가 각기 다른 법에 근거하여 한국어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중복과 혼선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부처가 필요하다. 둘째, 한국어교육은 교육 대상에 따라 교육기관도 다양한데 한국어교육의 대표 브랜드를 육성해야 한다. 셋째, 현행 한국어교육 지원정책은 국가별 사회문화적 차이를 반영하지 않은 채 획일적인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국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넷째, 한국어교육은 외연에 비하여 교육 콘텐츠의 다양성이 부족하다. 국가 수준의 표준교육과정 및 표준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내 한국어교육 대상자 중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지원은 많으나 상대적으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교육은 사실상 사각 지대이다.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한국어교육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중국인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김라연,이채연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07 한국어문화교육 Vol.1 No.1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들의 세부적 요구사항의 이해를 근거로 하여, 중국인에 대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신라대학교 한국어 연구소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생들에 대한 설문지를 조사했다. 설문지는 다섯 부분 즉, 학습자 요인, 교수방법 요인, 학습방법 요인, 학습내용 요인과 학습의 효과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요구사항들을 분석하여 우리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정하는 방향을 결정했다. 첫째, 기초 한국어 학습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외국인들은 그들의 높은 지적능력을 한국어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그들은 실생활 내에서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넷째, 목적 이 의사소통 능력의 확장이 되어야 한다. 다섯째, 문화를 받아들이는 방법은 다양한 수준에서 달라야만 한다. This survey has the objective of constructing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for Chinese, on the basis of a good grasp of details in the requirements of the Chinese learning Korean language. For this, we did the survey with questionnaires to the Chinese students learning Korea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Institute in Silla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five parts: the factors of learners, of instructing method, of learning method, of learning content and of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With analyzing their requirements, we decided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learning basic Korean language must be strengthened. Second, the foreigners should be able to express their high-level mental ability in Korean. Third, they should be set in learning language within real life. Fourth, the objective should be the expansion of communicating ability. Fifth, the ways of accepting culture must be different in different levels.

      • KCI등재
      • RISS 인기논문 KCI등재후보

        방탄소년단이 한국어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양주리(Yang Juri)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2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6

        이 논문의 목적은 K-pop 그룹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이룬 방탄소년단이 한국어 전파와 확산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고 이들의 영향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교욕 콘텐츠 개발을 위한 방법을 모색해 보는 데에 았다. 방탄소년단이 한국어 확산에 끼친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한국어교욕 연구에 있어 방탄소년단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방탄소년단은 서구 팝 음악과는 다른 음악적 특성과 퍼포먼스로 세계인들의 이목을 끌었고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그들의 연습 과정과 일상생활까지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소통하면서 팬덤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팬데믹으로 인해 활동이 제한적이고 팬들과 만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방탄소년단이 세계적 인기를 구가하며 정상의 자리를 굳건히 지킬 수 있었던 배경에는 소설 미디어가 있었다. 방탄소년단과 소통하기 위해 팬들은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했고 한국어를 배우는 팬들이 늘어나면서 세계적으로 한국어의 인기도 올라갔다. 한국어교욕 현장에서도 방탄소년단의 노래와 영상은 좋은 교욕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높아져 가는 한국어 열기와 수요에 부응하여 방탄소년단의 소속사에서는 한국어 전문 기관과 협약해 직접 한국어 콘텐츠를 제작해 선보였다. 제작된 콘텐츠는 세계에 흩어져 있는 팬들에게 한국어 학습 매체로 활용되고 있으며 해외 대학에서도 한국어교욕 학습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음악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방탄소년단의 인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류에 맞춰 한국어 확산을 위한 연구와 노력도 속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방탄소년단의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및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접근통로로써 소셜 미디어의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TS, who achieved worldwide success as a K-pop group, on the spread of Korean language, and to find a way to develop Korean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ir influence. Given that BTS has had a huge impact on Korean languag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BTS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T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people around the world with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that are different from Western pop music, and they have continued to share their practice process and daily lives through social media, spreading their fandom all over the world. Even when their activities are limited and it is very difficult to meet their fans due to the pandemic, the power of social media became the reason why BTS is able to gain worldwide popularity and maintains its position at the top.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BTS, their fans began to learn Korean, and the more fans learn Korean, the more popular Korean language is around the worl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TS songs and videos are used as good educa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the growing enthusiasm and demand for the Korean language, BTS management company signed an agreement with a Korean language institution to directly produce Korean learning contents. They are used as a Korean language learning medium for fans scattered around the world, and they are also used as a learning materia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universities abroad. Music experts predict that the popularity of BT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Therefore, in line with these currents, it is necessary to speed up our research and efforts to spread the Korean language. In the light of this, the writer propose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contents using BTS contents, and suggest ways to utilize social media as an access channel for learners to learn Korean anytime, anywhere.

      • KCI등재후보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재 개발 기초 연구 :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트란 티 반(TRAN THI VA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2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6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어휘 교재에 대해 한국어를 배우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어휘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하기 위해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 168명을 대상으로 기초 연구로 조사를 진행하고 요구분석은 다음에 몇 가지의 내용을 중심으로 실시한다. 1)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확인함, 2) 어휘 학습의 어려운 점들을 파악함, 3) 교재 구성에 대한 요구 사항을 확인함. 조사 결과를 분석한 후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어휘 교재 개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대학생과 젊은 특히 18세부터 25세까지 베트남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새 단어 제시한 후 번역 제공, 의미, 예문, 관련어, 연습 문제 등을 제공하고 한국어 어휘의 특성에 대한 설명을 교재 앞부분과 어휘의 의미 설명 부분에 충분히 제공할 것은 바람직하다. 셋째, 어휘 교재는 주제별 구성해야 하고 학습자들의 관심을 끌고 쉽게 배울 수 있는 교재를 만들기 위해 그림(삽화)을 추가해야 한다. 게다가 어휘 교재의 출판 형태로 책이 가장 선호하는 형태이지만 개방형 질문에 앱으로 출판하는 형태도 원하는 응답자가 많았으므로 듣기 파일이나 앱을 제공할 것은 바람직하다. 넷째, 어휘 설명 부분에 한국어능력시험(TOPIK) 에 대한 단어의 중요도나 빈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예문 부분에 문장 단위로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단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needs of Vietnamese learners who learn Korean with Korean vocabulary textbooks,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uggesting a future Korean vocabulary textbook development plan. A basic study was conducted on 168 Vietnamese Korean learners, and an analysis of learner s demand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followings: 1)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2) Identifying the difficulty in learning vocabulary, 3) Confirming the requirements for the content of the textbook.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a plan for developing Korean vocabulary textbooks for Vietnamese learners was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Korean vocabulary textbook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s, especially Vietnamese beginner learners whose ages are from 18 to 25. Second, it is desirable to provide translation, meaning, example sentences, related words, practical questions, etc., after presenting a new word, and to provide an expla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vocabulary m the beginning of the textbook and in the explanation of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Third, vocabulary textbooks should be organized by topics; and pictures (illustrations) should be added to create a textbook that attracts learners attention and is easy to learn. In addition, although books are the most preferred form of publication for vocabulary teaching materials, many respondents also wanted to publish as an app to open-ended questions, so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listening file or an app. Fourth, it is necessary to not only indicate the importance or frequency of words for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in the vocabulary explanation part, but also use the words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in the example part.

      • KCI등재후보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법 연구

        최지혜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09 한국어문화교육 Vol.3 No.-

        한국어 교육의 가장 큰 목표는 실제 상황에서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고 표현을 이해하여 자신이 원하는 지식과 정보를 얻는 것이다.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 학습자는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 자주 노출되어야 하고, 한국 문화에 대한 지식도 필요하다.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한국 문화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영화를 통해 한국어 듣기 교육을 하는 것이다. 영화는 듣기 교육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는데, 이는 영화가 다양한 삶의 방식과, 감정, 어조, 분위기, 한국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듣기 전략도 익혀야 한다. 학습자는 듣기 전략을 활용하여 의사소통에서의 어려움을 피하거나 극복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영화를 소개하고, 효과적인 수업 모형, 교재 모형,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은 학습자의 한국어에 대한 내적 동기를 강화시킬 뿐 아니라 듣기 능력과 전반적 한국어 능력의 향상을 도모한다. 따라서 이는 한국어 학습 상황에 도입할 만한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학교 현장 정착을 위한 제언

        문윤주(Mun Yun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8

        2013년에 고시된 한국어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반영하여 2017년에 개정 한국어교육과정이 수정 고시되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과정은 아직까지 일선 학교 현장에서 안착되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교육과정의 가장 본질에 해당하는 수업의 두 축인 교사와 학습자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먼저 2017년 교육과정이 이전의 교육과정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과정이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학습자와 교사측면에서 예상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자 측면에서 학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어 숙달도에 맞춘 개별화된 학습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현재의 학교 현장에서 이것을 뒷받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러한 문제점은 유동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해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단위학교를 넘어선 네트워크의 필요함을 말하였다. 둘째, 교사의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한국어 전문 교사가 필요하며 현재 교원양성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교대와 사대에서 한국어 교육과를 신설해야 하며 현직 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함을 말하였다.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축을 맡고 있는 KSL 강사와 이중 언어 강사의 처우도 개선되어야 하며 이들과의 유기적인 협조가 중요함도 언급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특성상 전체 교사의 참여와 학교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 또 다가올 다문화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세계시민의식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검토와 활발한 논의를 통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안착되 기를 기대한다. Mun Yunju. 2018. The suggestion that How can KSL take root in the Class. - Focus on KSL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class. The J 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8. 17-34. The new KSL was notified on September 2017. It has reflected a lot of improvement compare to ver. 2013. But KSL still was not took root in the class.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some problem about KSL and suggest some solution for teaching Korean Class. It will be proceeded by two way (student and teacher). In terms of students (in KSL class), They need a personalized curriculum. But they can’t be supported by school system. This problem will be solved by floating curriculum. And it needs a regional network over the school. In terms of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teaching ability for the KSL is very unsufficient. They need a effective training program. And they must have ‘multicultural teacher competence’ based on Global Citizenship.

      • KCI등재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중심으로-

        강려나 한국어교육학회 2024 국어교육 Vol.- No.184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regarding non-native Korean teachers conduct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analysis of studies by year, type, subject, and method revealed the following tasks and directions for subsequent studies. First, the research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both incumbent and new teachers with extensive experience to consider the career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ofessionalism index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conducting research on incumbent teachers in Korea and prospective teachers abroad, with a focus on the non-native Korean teachers’ area of activity. In addition, the discussions needs to extend to how to target non-native Korean teachers who are teaching Korean at various institutions. Third, non-native Korean teachers were found to be mainly concentrated in China and Thailand, but it is necessary to expand various studie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teacher's context to overcome regional bias. In addition, research according to ethnic characteristics in various regions, such as China and Russia, is needed. Fourth, research on non-native Korean teachers needs to establish validity and reliability by applying research methods from adjacent disciplines beyond the framework of typical research methods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from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perspectives. Finally, research on teacher language and teacher policy should be active in order to explore the divers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research topics.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 학문 분야에서 수행된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연도 및 유형별, 대상별, 방법별, 주제별 분석 결과 후속 연구의 과제와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경력 특징과 요인을 고려하여 오랜 경력이 있는 현직 교사와 신입 교사 대상 연구로 확장되어야 한다. 둘째,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활동 지역에 따라 국내에서는 현직 교사, 국외에서는 예비 교사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여 한국어 교육의 전문성 지표의 가능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외, 여러 기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논의가 확장될 필요가 있다. 셋째,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는 중국과 태국에 집중되었는데 지역적인 편중을 극복하고 교사 맥락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연구의 확장이 필요하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와 같은 지역에서의 민족적 특징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연구는 전형적인 연구 방법의 틀을 벗어나 인접 학문의 연구 방법을 적용하고 다양한 연구 방법과 시각으로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한국어 교사 연구 주제의 다양성을 모색하기 위해 교사 언어와 교사 정책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