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표준한국어》교재 쓰기 영역 분석

        심지혜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1 한국어문화교육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area of ​the 《Standard Korean》 textbook for school-age students. As a result, there were areas where the subject matter of the writing field did not match the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As for the writing type, the proportion of controlled writing was large, and the proportion of guided writing and free writing were presented less, and the subject of free writing was limited to such as'diary','text message', and'hope for the future'. Cou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duce writing by suggesting materials that mee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and materials for free writing should deal with not only the subject matter of daily life, but also issues, topics, and social events.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표준한국어》교재 쓰기 영역의 쓰기 활동 유형과 쓰기 유형의 소재를 분석하여 다문화 학생들이 학업 수행을 함에 있어서 유용한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쓰기 영역의 소재가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쓰기 성취 기준과 부합하지 않는 부분들이 있었다. 작문 유형은 통제 작문의 비중이 크고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의 비중이 보다 적게 제시되어 있었으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기’와 ‘문자메시지’, ‘장래희망’과 같은 소재로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부합하는 소재를 제시하여 쓰기를 유도해야 할 것이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상생활의 소재뿐만 아니라 이슈, 화제, 사회 사건 등의 소재도 다루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표준한국어》교재 쓰기 영역 분석

        심지혜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0 한국어문화교육 Vol.14 No.2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표준한국어》교재 쓰기 영역의 쓰기 활동 유형과 쓰기 유형의 소재를 분석하여 다문화 학생들이 학업 수행을 함에 있어서 유용한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쓰기 영역의 소재가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쓰기 성취 기준과 부합하지 않는 부분들이 있었다. 작문 유형은 통제 작문의 비중이 크고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의 비중이 보다 적게 제시되어 있었으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기’와 ‘문자메시지’, ‘장래희망’과 같은 소재로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부합하는 소재를 제시하여 쓰기를 유도해야 할 것이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상생활의 소재뿐만 아니라 이슈, 화제, 사회 사건 등의 소재도 다루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area of the 《Standard Korea n》textbook for school-age students. As a result, there were areas where the subject matter of the writing field did not match the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As for the writing type, the proportion of controlled writing was large, and the proportion of guided writing and free writing were presented less, and the subject of free writing was limited to such as'diary','text message', and'hope for the future'. Cou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duce writing by suggesting materials that mee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and materials for free writing should deal with not only the subject matter of daily life, but also issues, topics, and social event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초등영어교사 연수 요구 분석

        심지혜,조규희,이하늘,지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2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many changes in the educational field, such as curriculum organization, teaching methods, and proposed competency for teach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d the needs of primary English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the future competency of teachers in the post-COVID era. To this end, a group of primary English teachers who have many years of field experience in English education was surveyed by two online questionnaires and one focus group interview using the Delphi method. As a result, the group of primary teachers specializing in English education demanded an overall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opportunities and contents related to more professional teaching, new class forms, and support to enhance students’ and teachers’ capacity for futur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group saw that it is urgent to provide training for supporting students related to the problem of lowering academic achievement caused by COVID-19 and sharing the teaching cases being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future education. Furthermore, they mentioned a need for improvement related to the difficulties faced by primary English teachers, such as the need for online training in various topics, recognition of the number of hours for voluntary on-the-job training in teacher group activities, and so on forth. Based on this,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tr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future competency of primary school English teachers in the post-COVID era were suggested in detail, and it was discussed that various institutional support for more effective teacher training. 코로나-19는 교육과정, 수업 방법, 미래교육 등 교육 현장에 변화를 초래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을 새로이 정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 연수 또한 변화가 요구되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는 델파이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영어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포스트 코로나 맥락의 초등영어 교사 연수 요구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영어교육 관련 다년간의 현장 교수 경험이 있으며, 초등영어 교사 연구회 소속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2회와 초점집단 인터뷰를 1회 실행하였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초등영어교사 연수 요구를 연수 구성 내용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초등영어 전문가 교사 집단은 수업 역량 강화, 수업 형태 변화 대응, 학생 및 교사 역량 강화와 관련된 교사 연수의 기회와 내용이 확대되어야 함을 언급하였다. 특히 해당 전문가 집단은 코로나-19로 심화된 기초학력 저하 문제와 관련된 학생 지원 연수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래교육의 관점에서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수업 사례 관련 연수가 시급하다고 보았다. 나아가 이들은 다양한 주제의 원격연수 필요, 교사 연구회 활동의 직무연수 시수 인정, 영어 교사 연수 이수와 학교 영어교과 담당 연계 등 초등영어교사가 당면한 어려움과 관련된 현장의 개선 사항 또한 언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초등영어교사 교육 역량 신장을 위한 연수의 내용 및 방향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고, 효과적인 연수 운영을 위해 다양한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심지혜(Ji-Hye Sim),김안나(Anna Ki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사교육은 대중적인 공교육의 확산에 대응하여 세계적으로 팽창하고 있지만, 사교육의 제도적 확산에도 불구하고 각 국가가 처한 교육, 경제, 사회문화적 상황에 따라 사교육 활용에는 국가 간 차이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국제비교연구를 통해 보편적 현상으로서 사교육 수요의 원인을 밝히는 것은 사교육 현상을 이해하고 국내의 과도한 사교육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사교육 활용의 세계적 동향과 국가적 차이, 그리고 국가적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TIMSS 자료 및 World Bank 자료를 활용하여, 38개국 8학년 학생 180,194명을 표본으로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국가의 공교육 투자, 경제 수준, 학력중심 문화, 소득 불평등 등이 사교육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전체 국가의 평균 사교육 참여율은 43.91%로 나타났고, 가난한 국가일수록, 고등교육 등록률이 낮을수록, 소득 불평등이 심할수록 사교육에 참여할 가능성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활용 전략의 경우 국가의 공교육 투자가 높을수록, 부유한 국가일수록 사교육을 보충전략으로 활용하는 경향성이 높아지며, 고등교육 등록률이 높은 국가일수록 사교육을 강화전략으로 활용하는 경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교육 연구 및 정책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modern society, along with the expansion of mass public schooling, shadow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worldwide. Since shadow education is affected by a country's education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e of shadow education in different countries. With the need for a cross-national study, this paper aims to reveal global trends and national differences in shadow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used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data from the 2019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Through this analysis, the impact of national factors such as public expenditure on education, economic level, credentialism, and income inequality on the use of shadow education was determined. Specifically, the lower the GDP per capita, the lowe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enrollment rate, and the higher the income inequality,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In regard to shadow education utilization strategies, the higher the public expenditure on education and GDP per capita, the higher the tendency to use shadow education as a remedial strategy.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enrollment rates, the higher the tendency to use shadow education as a enrichment strategy.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s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