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교육전문가의 자격 관리에 관하여

        최지현 ( Ji Hyun Choi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6

        2003년 한국독서학회에 의해 지정된 독서교육 분야의 민간 자격으로서 독서교육전문가는 독서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연구자 및 교육자들에게 그들의 전문성 수준에 부합하는 공인된 전문 자격을 부여하고자 만들어졌다. 지난 11년 동안 독서교육 분야 종사자 약 1,000여 명에게 세 등급으로 나뉜 자격을 부여하면서 이 분야의 대표적 전문 민간자격으로 자리매김되어 왔다. 하지만 독서지도사를 비롯한 기존의 유사 민간자격들이 난립하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 들어 오히려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자격 자체의 신뢰성을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본고는 이 문제의 근본 원인이 공인된 민간자격의 부재에 있다고 진단하고, 실질적으로는 독서교육전문가 자격 규정이 본래의 취지를 실현시키지 못한 것이 문제 요인이 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고는 한국독서학회의 독서교육전문가 자격 규정과 운영 상황을 살펴, 1) 자격 발급 요건의 엄정함에 비해 이를 실행할 방안이 미비했던것, 2) 자격의 권한과 각 자격별 직무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한 것, 그리고 3) 자격 발급 후 질 관리를 위한 재인증과 재교육에 관한 규정과 제도가 마련되지 못한 것 등을 구체적인 문제점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보완할 정책 방안으로 자격 양성을 자격 인증과 분리함으로써 자격 관리자로서 한국독서학회의 공공성과 대표성을 강화하고, 자격 급별 직무의 범위와 전문성 분야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관련 기관 및 단체와의 협약을 통해 이를 뒷받침함으로써 독서교육 분야 종사자들에게 해당 자격 취득의 구체적인 필요를 갖게 하며, 재교육 및 재심사 등의 자격 유지 요건을 강화함으로써 독서교육전문가의 전문성 및 신뢰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Korean Reading Association defined the term ``Reading specialist`` as a private qualification of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in 2003, in order to authorize professional qualification apt for the level of expertise of scholars and instructors specializing in reading education. The term has been established as legitimate throughout the past eleven years, endowing over a thousand people in three different levels of credentials. However, similar non-certified qualifications continue to flood, and moreover, recently show a sharp increase in number, ultimately undermining the credibility of the qualification itself. In this study, I diagnosed the fundamental problem to be in the lack of an authorized system, and the failure of the reading specialist qualification to execute its original purpose. Based on observations of the Korean Reading Association`s regulations and the management conditions of the reading specialist qualification program, I discovered that 1) compared to the strictness of the conditions required for certification, the management was insufficient; 2) the boundaries of the scope of authority given to the qualified and the roles of each specific qualification are obscure; 3) there exists no system nor regulations for retraining or re-certification after once the qualification has been given. Therefore I propose the following three measures to complement these problems: First, to strengthen the publicness and representability of the Korean Reading Asscociation as the qualification manager, the certifica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process of training through establishing qualification programs for institutions and programs. Second, to provide the necessity of the certification to the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the scope and level of expertise of each qualified level should be clearly publicized and recognized through association with respectiv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Third, to maintain the professionalism and reliability of reading specialists the conditions of maintaining said qualification should be rendered stricter through re-training programs and re-examinations.

      •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진로 독서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연구

        황금숙(Gum-Sook Hoang),김수경(Soo Kyoung Kim),김미선(Mi Sun Kim),이수영(Soo Young Lee)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4 No.1

        2016년부터 전면 실시되는 자유학기제를 위해 도서관은 시설 및 장서, 인력, 서비스를 활용하여 자유학기제의 취지에 맞도록 학생들에게 독서문화 활동을 통한 창의적이고 자율 학습의 기반이 되는 메타 인지능력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기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진로 독서프로그램을 독서활동중심 진로 독서프로그램과 정보활용중심 진로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시범 운영을 통해 사전/사후 효과성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서활동중심 진로 독서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에서는 모든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활용중심 진로독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서는 진로지식을 제외하고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에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vernment introduced a free semester in 2013, current targets middle as a core policy for nurturing creative talent, the year 2016 has been carried out in front of all middle school.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library-based career reading program for free semester. In this study, It arrived at a conclusion to b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preliminary/post inspection about career reading program.

      • 작은도서관 운영자를 위한 독서 프로그램 교육 효과성 분석 연구

        임성관(Seong-Kwan Lim)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7 No.1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던 독서 프로그램 교육이 그들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지 효과성을 분석하여,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이 필요로 하는 교육 방식과 내용을 밝혀 향후 기획 및 실시될 독서 프로그램 교육의 지침으로 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9월부터 10월에 걸쳐 6개 광역 단위 지방자치단체에서 7회에 걸쳐 운영되었던 작은도서관 운영자를 위한 독서 프로그램 활용 교육 참여자들 382명에게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의 97%는 독서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있었으며, 93.9%는 독서 프로그램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대상별 독서 프로그램은 아동(31.5%), 청소년(23.3%), 성인(25.6%), 노인(18.5%)의 순으로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the reading program education that was conducted for small library administrators, and identifies the education methods and contents that small library administrators need. The purpose is to make it.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surveyed by 382 participants using reading programs for small library administrators who were operated seven times in six regional government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9. As a result, 97% of small library administrators were interested in reading programs, and 93.9% said they needed reading program education. In addition, the reading programs by subjects showed interest in the order of children (31.5%), adolescents(23.3%), adults(25.6%), and elderly(18.5%).

      • 주제중심 통합교과와 연계한 독서지도 방안 연구: 어휘력과 학습태도 효과를 중심으로

        주혜경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3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1 No.2

        본 연구는 주제중심 통합교과와 연계한 독서지도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어휘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책 읽어주기와 KWL을 적용한 주제중심 통합교과 독서교육의 효과와 그 가능성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주제중심 통합교과 연계 독서지도를 위한 수업모형 및 주제 관련 문헌 탐색 및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독서지도 교수?학습안을 작성하여 이를 실험집단인 초등학교 2학년 학급에 적용하고, 자유독서를 통제집단인 2학년 학급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주제중심 통합교과 연계 독서지도가 학생들의 어휘력과 학습태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주제중심 통합교과 연계 독서지도를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학생들의 통합교과와 관련된 지식이나 흥미를 높여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독서 수업 개발과 적용

        권혜경 ( Kwon¸ Hyekyoung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7

        이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교육용 교재의 한계에서 벗어나 자율적으로 한국어 도서를 선택하여 읽음으로 읽기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독서 수업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를 위한 독서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B대학교의 한국어 학습자 36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15주 동안의 수업에서 각각 2권의 책을 읽었으며 개별적으로 읽은 독서량은 평균 412페이지였다. 또한 설문 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독서수업을 통해 글의 이해 능력이 더 좋아졌다(69%), 한국어 수준이 향상되었다(55%), 나의 읽기 속도가 빨라졌다(42%)고 답했다. 결과적으로 학습자들은 독서 수업을 통해 한국어 실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로 된 단행본을 스스로 완독했다는 사실에 매우 만족하였다. 또한 다수의 학습자들이 수업이 끝난 후에도 계속 독서를 하고 싶다는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ading class in which Korean learners in academia can devote their attention to and raise their interest in reading. This can be achieved by allowing them to select and read Korean books autonomously, free from the limitations of educational textbooks. To this end, a reading class for learners was designed, said class was applied to 36 Korean language learners at B Universit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learners read two books for 15 weeks, during which time, on average, each individual read 412 pages. The results of a survey revealed that the learners felt that the reading class improved their ability to understand texts (69%), their Korean level (55%), and their reading speed (42%). Consequently, learners were considerably satisfied that they could read books in Korean by themselves and that they also improved their Korean proficiency through the reading class. In addition, many learners actively expressed their desire to continue reading Korean books after this class was over.

      • KCI등재

        독서문화의 형성과 비평의 작용

        박인기 한국독서학회 2010 독서연구 Vol.0 No.24

        ‘독서문화’는 독서 현상을 만들어내는 일정한 연속적 범주들(저술, 출판, 읽기 행위, 독서 소통, 텍스트의 전이, 텍스트의 정전화, 텍스트의 이데올로기화 등)에 걸쳐서 나타나는 사회 일반의 공유된 의식과 가치 체계를 말한다. 독서문화는 보이는 차원과 보이지 아니하는 차원이 있다. 독서와 관련한 제도, 규범적 가치, 현 교육과정 내용 등이 보이는 독서문화의 요소라면, 의식(意識), 전복적(顚覆的) 가치, 디지털 매체 공간, 영(零)교육과정 등은 보이지 않는 독서문화의 요소이다. 문화연구가 인문학 연구의 실천 중심으로 등장하면서 비평도 변화되었고, 비평이 독서문화에 주는 영향도 달라졌다. 비문학 텍스트에 대한독서 수요가 늘고, 독서가 일상 속에서 더 널리 소비되는 경향을 보이며,디지털 콘텐츠와 독서 사이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비평은독서에 영향을 미쳤다. 독서 행위에 전문성을 강화해 주고, 텍스트 중심의 절대성을 추구하며, 비평가는 일반 독자와 문화적 도제 관계를 가졌다. 그러나 탈근대의 상황에서는 독서에 대한 비평의 역할이 달라졌다. 지식의 융합과 전이를 돕는 역할을 하고, 독자에게 상호텍스트성의 공간을 열어주는 역할을 하며, 비평가는 독자와 대화적 교섭 관계를 가지게되었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독서문화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업이 놓여 있다. 첫째는 독서문화공간에서의 문화적 헤게모니를 밝히는 연구와비평이 필요하다. 둘째는 독서와 매체의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상호보완적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 셋째는 사회와 교육에서 독서가 소외되어있는 것을 개선해야 한다. 넷째는 독서문화를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각종 독서 지표를 개발하고 활용해야 한다. 다섯째는여러 심급의 독서 공동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독서문화와 비평이 바람직한 상호성을 가지고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몇 가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는 독서 전문성에 의거한 독서 비평을제도화하는 일이다. 둘째는 서평 분야에 메타 비평의 등장이 필요하다. 셋째는 비평과 독자와의 관계 모델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 넷째는 독서문화 인프라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정책과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는 독서 가치를 내면화하는 사회문화적 이슈를 우리 사회가 지속적으로 공유해야 한다. 끝으로 학교 독서는 장르 독서를 넘어서 주제 독서를지향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Reading culture’ refers to the society’s general shared awareness and value system manifested in the consistent and continuous categories(literary works, publishing, reading activities, communicative reading,the textual change, textual canonization, and etc.) In reading culture, there is a visible and an invisible level. While the regulations related to reading, normative values, the contents of the current curriculum could be considered as the visible elements of the reading culture, invisible elements of the reading culture includes consciousness for reading, resistive values in reading, digital media space, and null curriculum related reading and etc. When the cultural studies have appeared as the practice-centered humanities research, criticism has changed, and the effects of criticism on the reading culture diverged as well. As the reading demand for non-literary texts is increasing while the reading tends to be consumed more widely in our daily lives, the barrier between digital content and reading is collapsing. Traditionally criticism has affected reading. It has strengthened the expertise of the reading activities, seeks the text-centered absoluteness and have apprentice 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readers. However, in the Post-modern era, the role of criticism has been transformed. The literary criticism functions in helping the merge and transfer of knowledge, opens the mutual contextual space to the readers and builds the communicative overtures between the critics and the readers. Currently in order to develop the reading culture in Korea, it faces a few questions. First, the researches examine the cultural hegemony in the reading cultural space and the reading criticism would be requir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mediums must be changed in the future-oriented and complementary direction. Third,how reading has been isolated from the society and education would have to be improved. Fourth, in order for the reading culture to diagnose and seek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various reading standards must be developed and utilized. Firth, the reading community of various incidences has to be specifically formed. In order for the reading culture and criticism to develop with desirable reciprocity, a number of efforts would be needed. First the reading criticism based on reading expertise must be institutionalized. Second,the field of book review and meta-criticism are necessary. Third, the relation model between the criticism and the readers must be newly established. Fourth, the policies and institutions on a national level regarding the reading culture infrastructure must be prepared. Firth,the social issues internalizing the values of reading should be consistently shared by our society. Lastly, the reading in school would have to surpass the genre of reading, seeking the thesis-centered reading.

      • KCI등재

        창의,융합 과정으로서의 독서 개념의 타당성 고찰

        김종윤 ( Jong Yun Kim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5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한국 사회 및 교육 현장을 뒤덮는 창의ㆍ융합의 개념을 독서 및 독서 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독서가창의ㆍ융합을 위한 기초적인 지적 활동이며, 창의.융합적 사고의 기본적 토대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다. 그런데 그 개념적 모호성으로 인해 창의ㆍ융합으로서의 독서의 개념은 무엇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 통용되는 ‘창의ㆍ융합’이라는 개념은 과학의 거시적 이론을 위한 통섭, 학제 간 연구 및 신융합 학문, 미래 사회를 위한 국가 전략, 기업ㆍ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 교육 등 다양한 역사적ㆍ사회적 산물이다. 창의ㆍ융합의 개념적 중요성이 사회적으로 인정되지만, 그 개념이 무엇인지 다소 모호한면이 있으며, 이러한 현실은 독서 분야에서도 별반 다르지 않다. 독서 관련이론을 탐색한 결과, 독서 과정 및 독서 발달 이론에서 창의.융합과 관련된 논의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들 논의를 바탕으로, 창의ㆍ융합과 관련한 독서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단기적인 창의ㆍ융합의 계획 및 실행은 지양되어야 한다. 둘째, 장기적 관점에서 ‘교과 독서’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 셋째, 한 개인이 다양한 자료를 파악하여 통합하는 창의ㆍ융합의 아이디어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으로 팀워크를 이루어 문제를 해결하는 지식의 통합에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넷째, 독자들이 인지적 유연성을 가지고 지식에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Creation-Convergence” (hereafter, CC), a dominant social, academic, and educational discourse in Korea, in terms of reading education perspectives. It is hard to deny that reading is a fundamental thinking process for CK. However, it is still unclear of what CC means in reading education, and what part of reading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uilding CC. The review of CC literature reveals that the concept of CC is a social construct that has resulted from diverse social needs and backgrounds: Consilience perspectives on the theory of everything, national strategic efforts represented as NBIC, and social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new generation. While recognized its importance to the society, CC is limited as an academic construct due to the conceptual ambiguity, according to both micro-reading process and macro-reading development theori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discussion, four relevant implications for reading education are discussed. First, it should be reconsidered to develop a narrow and short-term plan for CC reading programs. Second, Korean reading education community has to focus more on disciplinary literacy, in collaboration with other curriculum experts (e.g., science, mathematics). Third, Korean reading educators need to consider the social knowledge integration process between students. Finally, cognitive flexibility should be more emphasized for the Korean student readers.

      • KCI등재

        조선족 동포의 신문 읽기에 나타나는 어휘 양상 분석 중국의 한글 신문을 중심으로

        임옥규 ( Ok Kyu Lim ),신호철 ( Ho Cheol Shin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2

        본고는 중국 동북 3성 지역의 8개 신문사의 한글 신문 최신 기사를 대상으 로 중국 조선어의 어휘 사용 양상을 조사하여 중국 조선족의 어휘 사용 실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중국 조선족들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어휘 목록 선정에 일조할 수 있으며, 한국어와 중국 조선어의 어휘 적 간극을 좁혀 중국 조선족들의 한국 현지 생활에서 오는 읽기 활동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 중국 조선족은 중국 조선어, 북한 조선어, 한국의 한국어를 복합적으 로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중국 조선어가 전통적으로 북한 의 조선어의 영향만 받다가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한국어를 대거 수용하면 서 중국 조선어 내의 사용 어휘가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복잡한 양상을 띠는 중국 조선어 어휘 사용 양상을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 다. 어휘 사용과 표기에 있어서 중국 조선어의 신어휘를 사용하는 경우, 한국어 어휘 의미와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 한국어 저빈도 어휘를 사용 하는 경우, 북한의 조선어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 등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중국 조선어 내의 외래어는 복수로 표기하거나 한국어 표기법과 전혀 다른 외래어 표기를 하고 있는 것도 따로 분류하였다. 먼저 중국 조선어의 신어휘를 사용하는 경우는 의미를 추론하여 알 수 있는 어휘와 의미를 추론할 수는 있으나 그 의미가 모호한 경우, 의미 예측이 전혀 불가능하여 문맥적으로도 의미 해석이 불가능한 어휘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한국어 어휘 의미와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는 한국어의 어휘의미와 완전히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어휘, 어휘가 표시하는 의미는 유사하지만 그 의미가 지시하는 대상이 달라 의미 제한에 위배되는 어휘, 사전적 의미의 기본 의미는 비슷하지만 사용 범위를 달리하는 어휘들로 구분하였다. 셋째 한국어 저빈도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는 한국어서는 의미 가 거의 사라져 가거나 아니면 자주 사용되는 의미로만 고정되어 가고 있는 어휘인데, 중국 조선어에서는 이들 어휘들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다. 넷째 북한 조선어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미 잘 알려진 북한 조선어 어휘들과 북한의 맞춤법 규정에 따라 사용하는 어휘들로 구분하였다. 마지 막으로 북한 조선어의 외래어 표기는 신문사마다 각기 다르게 표기하고 있다. 대체로 한국어의 예사소리나 거센소리를 된소리로 표기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거나, 중국 조선어 내의 외래어 표기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음도 발견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China``s eight regional newspaper targeting Korean newspa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language vocabulary using of China Korean. When we educated the targeting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the Korean vocabulary, we expected to be able to help vocabulary lists select. And it narrows lexical gap of the Korean and China Korean, it can be used to reduce discomfort in the use of language when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living in South Korea.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currently are using a combination of mixed the China Korean, North Korean, Korean. China Korean has been influenced the only North Korean traditionally. The aspects of the China Korean vocabulary using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In other words, we were divided to the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re using new vocabulary use, they are using different meaning a he Korean words meaning, they are using a Korean low-frequency words, they are using a North Korean vocabulary.

      • 현대적 활용을 위한 전통적 독서방법에 대한 연구

        한미경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3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1 No.2

        이 연구는 현대적 활용의 방안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전통적 독서방법과 전통적으로 지양하는 독서방법 을 조사하였으며, 전통적 독서방법 중 특징적 독서방법을 상호 비교 분석하고 전통적 독서방법과 현대적 독서방법과의 비교 분석 또한 진행하였다. 전통적 독서는 치학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현대적 독서는 교양과 오락을 기본으로 문제해결 및 정보습득 그리고 더 나아가 독서치료와 같은 다양하고 의미있는 방향으로 실천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가 오늘날 독서와 독서교육 및 독서문화에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 수준별 독서자료 중심 독서지도 효과에 관한 연구:독서태도 측면에서

        김명희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4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2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인 독서태도 양상을 보이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 을 갖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수준별 독서자료 중심의 독서지도를 통해 학생들의 독서태도 변화를 긍정적으로 이끌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개개인의 독서력 및 독서발달 특징을 고려한 독서자료가 제공되었을 때 보다 나은 독서태도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독서태도 변화는 여가 영역보다는 학습 영역에서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 주었다. 이 같은 결과는 청소년 초기의 학생들에게는 독서를 개인적인 취미로 권장하기보다는 지식, 정보 확장 등에 따른 성취감을 위한 독서지도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